KR20060069989A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989A
KR20060069989A KR1020040108600A KR20040108600A KR20060069989A KR 20060069989 A KR20060069989 A KR 20060069989A KR 1020040108600 A KR1020040108600 A KR 1020040108600A KR 20040108600 A KR20040108600 A KR 20040108600A KR 20060069989 A KR20060069989 A KR 2006006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floor
v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5175B1 (en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175B1/en
Publication of KR2006006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9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풍통로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에 대한 풍량감소를 최소화함과 함께, 바이레벨 모드시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변동시킴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하여 바이레벨 온도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실내에 대한 쾌적한 공조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to minimize the decrease in the air flow rate for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to the air mixing section 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thout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cabin in the bi-level mo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bileve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ffect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 사이에 설치되는 템프도어(17)의 상면에, 템프도어(1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돌출 설치된 배플(Baffle, 30)을 구비한다. 상기 배플(30)은, 상기 플로어 도어(24)가 풀 오픈(Full Open)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플로어 도어(24)의 끝단부(24a)에서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垂線) L1과,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12a)에서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 L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mp door 1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 door 17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to heat-exchan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1 A baffle 30 is provid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The baffle 30 is repai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t the end portion 24a of the floor door 24 when the floor door 24 is in a full open state. It is located between L1 and the waterline L2 which fell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temp door 17 at the end part 12a of the said guide wall 12. As shown in FIG.

공조장치, 안내벽, 템프도어, 배플, 바이레벨 모드, 온도차, 쾌적성, 편차Air Conditioners, Guide Walls, Tempdoors, Baffles, Bi-Level Modes, Temperature Differences, Comfort, Deviation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3은, 도 2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장착되는 템프도어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mporal door mounted 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FIG. 2.

도 4는, 도 3에서의 바이레벨 모드시 운전자의 머리측 온도와 발측 온도변화를 비교한 그래프.4 is a graph comparing the driver's head temperatur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in the bi-level mode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장착되는 템프도어의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mp door mounted 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에서의 바이레벨 모드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in the bilevel mode mode in FIG. 5; FIG.

도 8는, 도 7에서의 바이레벨 모드시 운전자의 머리측 온도와 발측 온도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8 is a graph comparing the driver's head temperatur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 in the bi-level mode in FIG. 7.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케이스(Case)본체 12 : 안내벽10: case body 12: guide wall

13 : 제1 공기유로 14 : 제2 공기유로13: first air passage 14: second air passage

15 : 증발기 16 : 히터코어(Heater Core)15: evaporator 16: heater core

17 : 템프 도어(Temp Door) 18 :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7: Temp Door 18: Defrost Vent                 

19 : 페이스 벤트(Face Vent) 20, 21 : 플로어 벤트(Floor Vent)19: Face Vent 20, 21: Floor Vent

22 : 디프로스트 도어 23 : 페이스 도어22: defrost door 23: face door

24 : 플로어 도어 30 : 배플(Baffle)24: floor door 30: baffle

31 : 제1 보조배플 32 : 제2 보조배플31: first auxiliary baffle 32: second auxiliary baffle

C : 냉풍통로 H : 온풍통로C: Cold air passage H: Hot air passage

M : 공기혼합구간 M: Air mixing se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풍통로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에 대한 풍량감소를 최소화과 함께,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시, 페이스 벤트와 플로어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를 변동시킴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바이레벨 모드의 온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특정의 송풍모드에 관계없이 차량 실내의 좌우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실내에 대한 공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face vent and a floor in a bi-level mode, while minimizing a decrease in wind volume for warm air flowing through a hot air passage to an air mixing s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i-level mode by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 and also, regardless of the specific blowing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maximizing air conditioning effects on an interior of a vehicle by making it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air discharged from side to sid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 차량 외부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selectively heats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a vehicle interior by a blower unit through a heat evaporator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or a heater core through which a coolant of a vehicle engine flows.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cool or heat the vehicle interior by distributing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vehicle interior in a cold or warm state through a vent communicating with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 공조장치,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 공조장치, 및 상기 세가지 유니트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 공조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This air conditioning unit is a three-piece type air conditioning unit consisting of a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independently, and a semi-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case. Mounting Typ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 which all three units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case may be classified.

도 1은, 일례로서 일반적인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general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as an examp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적인 공조장치는, 케이스본체(100)의 입구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01)로부터 블로어유니트(미도시)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출구측으로 유출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측으로 굴곡 연장된 안내벽(102)에 의해 제1 공기유로(113)와 제2 공기유로(114)로 구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general air conditioner, from the lower surface to flow out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unit (not shown) from the air inlet 101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case body 100 to the outlet side, It is partitioned into the 1st air flow path 113 and the 2nd air flow path 114 by the guide wall 102 extended to the upper surface side.

상기 제1 공기유로(103)의 상류쪽과 하류쪽에는, 증발기(105)와 히터코어(106)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기유로(103)상에는, 상기 증발기(105)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냉풍통로(C)와 상기 히터코어(106)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온풍통로(H)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105)와 히터코어(106) 사이에는, 상기 냉풍통로(C)와 온풍통로(H)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 10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An evaporator 105 and a heater core 106 are provided on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103, respectively, and are cooled by the evaporator 105 on the first air passage 103. Cold air passage (C) for passing the compressed air and hot air passage (H) for passing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core (106) are formed, respectively, between the evaporator (105) and the heater core (106), Temporary doors (Temp Door, 107)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and the hot air passage (H) is provided rotatably.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출구측에는, 상기 템프도어(107)의 개도정도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를 자동차 전면유리쪽으로 토출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08),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109) 및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로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110, 111)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템프도어(107)의 개도에 따라 유동되는 냉/온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각 벤트들(108, 109, 110, 111)을 통하여 차실내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모드도어(Mode Door)인 디프로스트 도어(108), 페이스 도어(109), 및 플로어 도어(1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outlet side of the case body 100, the defrost vent (108) for removing the frost of the vehicle glass by discharging the air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oral door 107 toward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Defrost Vent, 108) Face vents (109) for discharging air to the upp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and floor vents (110, 111) for discharging air to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are installed, respectively, and the temp door ( The defrost door which is a mode door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amount of cold / warm flow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door 107 to be discharged into the cabin through the vents 108, 109, 110, and 111. 108, face door 109, and floor door 110 are provided, respectively.

여기서, 플로어 벤트 110은 상기 제2 공기유로(104)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차량 실내의 앞좌석 플로어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위한 전방 플로어 벤트이고, 플로어 벤트 111은 상기 제2 공기유로(104)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차량 실내의 뒷좌석 플로어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위한 후방 플로어 벤트이다. Here, the floor vent 110 is located upstream of the second air passage 104 and is a front floor vent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ront seat floor of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floor vent 111 is the second air passage 104. It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ear floor vent for air discharge to the rear seat floor of the vehicle interior.

이와같은 공조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최대 냉방모드에서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프도어(107)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히터코어(106) 전방의 온풍통로(H)를 차단함과 동시에, 히터코어(10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를 개방함으로써, 공기유입구(101)로부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05)를 지나면서 냉각된 후, 디프로스트 벤트(108), 페이스 벤트(109), 플로어 벤트(110, 111)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 난방모드에서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템프도어(107)를 상향으로 회전시 켜 히터코어(106) 전방의 온풍통로(H)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히터코어(106) 하부를 지나 상기 각 벤트들(108, 109, 110, 111)을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 the maximum cooling mod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 the temporal door 107 is rotated downward to block the hot air passage H in front of the heater core 106. At the same time, by opening the cold air passage C bypassing the heater core 106,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unit from the air inlet 101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5, and then the defrost vent 108 The face vents 109 and the floor vents 110 and 111 are suppl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In the maximum heating mode,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 the temporal door 107 is rotated upward to open the hot air passage H in front of the heater core 106, thereby allowing the blower unit to open.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 core 106 and is suppli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s 108, 109, 110, and 111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더욱이, 이러한 일반적인 공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상기 템프도어(107)의 개도에 따라 각 벤트들(108, 109, 110, 111)을 통하여 냉/온기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송풍모드를 행한다.Further, such a general air conditioner performs a blowing mod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cold / warm air through the vents 108, 109, 110, and 111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oral door 107 as follows.

먼저, 페이스 모드(Face Mode)에서는, 페이스 도어(113)의 회동에 의해 페이스 벤트(109)가 개방되고, 디프로스트 도어(112) 및 플로어 도어(114)의 회동에 의해 디프로스트 벤트(108) 및 플로어 벤트(110, 111)가 폐쇄됨으로써, 냉/온기가 상기 페이스 벤트(109)만을 통하여 차실내로 토출된다. First, in the face mode, the face vent 109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face door 113, and the defrost vent 108 is rotated by the defrost door 112 and the floor door 114. And floor vents 110 and 111 are closed, so that cool / warm air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only through the face vent 109.

그리고, 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Mode)에서는, 디프로스트 도어(112)의 회동에 의해 디프로스트 벤트(108)가 개방되고, 페이스 도어(113) 및 플로어 도어(114)의 회동에 의해 페이스 벤트(109) 및 플로어 벤트(110, 111)가 폐쇄됨으로써, 냉/온기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08)만를 통하여 차실내로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플로어 모드(Floor Mode)에서는, 플로어 벤트(110, 111)가 개방되면서 냉/온기가 그 개방된 플로어 벤트(110, 111)를 통하여 차실내로 토출된다. In the defrost mode, the defrost vent 108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defrost door 112, and the face vent 109 is rotated by the face door 113 and the floor door 114. ) And the floor vents 110 and 111 are closed, so that cold / warm air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only through the defrost vent 108. Similarly, in the floor mode, the floor vents 110 and 111 are opened, and cold / warm air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opened floor vents 110 and 111.

또한,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에서는, 페이스 벤트(109)의 일부와 플로어 벤트(110, 111)와 연통된 제2 공기유로(104)의 일부가 개방되면서 냉/온기가 그 개방된 페이스 벤트(109)와 플로어 벤트(110, 111)를 통하여 차실내로 양분되는 상태로 토출되며, 믹스 모드(Mix Mode)에서는, 디프로스트 벤트(108)의 일부와 플 로어 벤트(110, 111)와 연통된 제2 공기유로(104)의 일부가 개방되면서 냉/온기가 그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08)와 플로어 벤트(110, 111)를 통하여 차실내로 양분되는 상태로 토출된다.In the bi-level mode, the part of the face vent 109 and the part of the second air passage 104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vents 110 and 111 are opened while the cold / warm air is opened. The liquid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face vents 109 and the floor vents 110 and 111. In the mixed mode, a part of the defrost vent 108 and the floor vents 110 and 111 are provided. A portion of the second air flow passage 104 communicating with the air is opened and the cold / warm air is discharged in a state that is divid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opened defrost vent 108 and the floor vents 110 and 111.

이와같은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7, 112, 113, 114)와 안내벽(102)은, 공기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거나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이지만, 그 위치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공조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In suc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e doors 107, 112, 113, 114 and the guide wall 102 are essenti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or guiding the flow of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11. Depending on the location, airflow may be impeded to reduc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부분의 공조장치에서는, 냉온기의 혼합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내벽(102)의 끝단부가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벽(102)의 끝단부는, 그 끝단부의 연장선을 템프도어측으로 그렸을 때, 상기 냉풍통로(C)의 대략 2/3 지점에 위치되는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꺾여져 있다. For example, in most air conditioners as illustrated in FIG. 1, the ends of the guide walls 102 protrude and extend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in order to maximize the mixing properties of the cold and warm air. Specifically,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wall 102 is bent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located at approximately 2/3 of the cold air passage C when the extension line of the guide wall 102 is drawn toward the temporal door side. .

이에 따라, 상기 온풍통로(H)를 통하여 유출되는 온기가 상기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꺾인 안내벽(102)의 끝단부에 부딪히면서 통기저항을 일으킴으로써, 풍량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페이스 벤트(109)측으로는 적당량의 냉기를, 플로어 벤트(110, 111)측으로는 적당량의 온기를 토출시켜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적당히 벌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바이레벨 모드에 있어서, 플로어 벤트(110, 111)로 토출되는 온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질 수 밖에 없음으로 인하여, 온풍량이 감소되어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크게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 warm air flowing out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hits the end of the guide wall 102, which is bent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causing airflow resistance, resulting in a loss of air volume. As a result, in the bi-level mode in which an appropriate amount of cold air is discharged to the face vent 109 side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warm air is discharged to the floor vents 110 and 111 side to keep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car room open properly. Since the amount of warmth discharged to the (110, 111) is bound to be relatively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warm air is reduced and the fluctuation of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not kept constant and greatly fluctuates.                         

더욱이, 바이레벨 모드시, 상기 템프도어(107)의 개도에 의해 온풍통로를 통과한 온기가 공기혼합구간(M)에서 냉풍통로를 통과한 냉기와 혼합될 수 밖에 없음으로 인하여 바이레벨의 온도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Further, in the bi-level mode,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i-level because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er door 107 can only be mixed with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in the air mixing section (M).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lowering

한편,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이레벨 모드시의 공기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flow state in the bi-level mode.

상기 종래의 일례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공조장치와 마찬가지로, 케이스본체(20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증발기(201)와 히터코어(202) 사이에 템프도어(20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템프도어(203)의 개도에 따라 각 벤트들(205, 206, 207, 208)로 냉/온기를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모드도어들(209, 210, 211)이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similar to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the temp door 203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201 and the heater core 202 sequentially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200. And the mode doors 209, 210, and 211 for selectively discharging cold / warm air to the vents 205, 206, 207, and 208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 door 203. It is.

다만, 히터코어 하류측의 온풍통로(H)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직진 유동되는 온기를 플로어 벤트(207, 208)로 적절히 안내하여 온풍량을 좀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템프도어(203)의 상면에 배플(Baffle, 20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배플(20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템프도어(203)의 상면 끝단에 회전축(203a)과 평행하게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However, the temp door may be guided to the floor vents 207 and 208 so that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er core and flows straight to the air mixing section M is properly guided to the floor vents 207 and 208. The upper surface of 203 is provided with a baffle 204. As illustrated in FIG. 3, the baffle 204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shaft 203a at the upper end of the tempor 203.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바이레벨 모드시, 온풍통로(H)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직진 유동되는 온기가 상기 배플(204)에 부딪히면서 플로어 벤트(207, 208)측으로 방향전환되게 하여 냉풍통로(C)를 통과한 냉풍과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간의 변동되는 공기의 온도차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in the bi-level mode,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and flows straight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hits the baffle (204) and turns to the floor vents (207, 208). In order to avoid mixing with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fluctuating betwee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in the vehicle compartmen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배플(204)이 템프도어(203)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레벨 모드시 템프도어(203)가 특정구간에 위치될 경우, 온풍통로(H)를 통과한 온기가 냉풍통로(C)를 통과한 냉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일부는 페이스 벤트(206)로, 나머지 일부는 플로어 벤트(207, 208)로 토출됨으로써,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간의 온도차의 변동을 초래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since the baffle 204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emporal door 203, when the temporal door 203 is positioned in a specific section in the bilevel mode, the warm air passage H ) Is discharged into the face vent 206 and the remaining part to the floor vents 207 and 208 in the state where the warmth passing through the air is mixed with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and thus, betwee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It caused a change in temperature difference.

즉, 템프도어(203)는,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상에 설치된 공조컨트롤러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8개의 회동구간으로 분할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레벨 모드시, 그 템프도어(203)가 온풍통로(H)를 완전히 차단하는 위치, 즉, 최대 냉방모드 위치로부터 4/8구간 위치(P1) 이상 까지 회동되는 경우, 상기 배플(204)이 직진 유동되는 온기를 방향전환할 수 없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온풍통로(H)를 통과한 온기는 상기 배플(204)측으로 향할 때, 냉풍통로(C)를 통과한 냉기와 혼합된 상태로 페이스 벤트(206)와 플로어 벤트(207, 208)로 토출되게 된다. That is, the temp door 203 is divided into eight rotation sections by an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switch (not shown) installed on an instrument panel in a vehicle interior. As illustrated in FIG. In the mode, when the temporal door 203 is rotated to a position where the hot air passage H is completely blocked, that is, from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to the 4/8 section position P1 or more, the baffle 204 flows straight. Since the warmth is in a position where the direction of the warmth cannot be changed, the warmth pass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is directed to the baffle 204 side, and the face vent 206 is mixed with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 And floor vents 207 and 208.

도 4는, 이와같은 템프도어의 회동구간에 따라 각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에서, 'V-LH' 및 'V-RH'는, 각각 페이스 벤트의 좌측과 우측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온도변화선, 'V-LC ' 및 'V-RC'는, 각각 페이스 벤트의 좌측 중앙부와 우측 중앙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온도변화선, 'FF-LH' 및 'FF-RH'는, 각각 전방 플로어 벤트의 좌측과 우측을, 'RF-LH' 및 'RF-RH'는, 각각 후방 플로어 벤트의 좌측과 우측을 통하여 토출되는 온도변화선을 표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템프도어가 최대 냉방모드 위치로부터 4/8구간 위치(P1)에 있는 경우, 3/8구간 위치(P0)에 있을 때에 비하여, 플로어 벤트(207, 208)를 통하여 차실내의 하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현저할 정도로 떨어지는 반면, 페이스 벤트(206)를 통하여 차실내의 상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면서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가 현저하게 좁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템프도어(203)가 5/8구간 위치(P2)에 있을 때 더 두드려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ure 4 compare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air discharged to each v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section of the temp door. In FIG. 4, 'V-LH' and 'V-RH' are air temperature change lines discharg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vent, respectively, and 'V-LC' and 'V-RC' are the face vents,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change lines, 'FF-LH' and 'FF-RH', discharged through the left center part and the right center part,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floor vent, and the 'RF-LH' and 'RF-RH',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change line discharg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floor vent is show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temp door is located at the 4/8 section position P1 from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located through the floor vents 207 and 208 as compared to the 3/8 section position P0.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half of the temperature drops significantly,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half of the vehicle through the face vent 206 is sharply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in the vehicle is narrowed significantly. It can be seen that this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when the temp door 203 is in the 5/8 section position P2.

예컨대, 템프도어(203)가 3/8구간 위치에 있는 경우,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간의 평균온도차는 대략 24℃이었으나, 템프도어가 각각 4/8구간과 5/8구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대략 12℃와 7℃로서,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가 크게 변동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하 온도차의 변동으로 인하여, 탑승자에게 열적으로 쾌적한 공조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when the temp door 203 is in the 3/8 section positio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in the vehicle compartment is approximately 24 ° C., but when the temp door is in the 4/8 section and the 5/8 section, respectively. At approximately 12 ° C. and 7 ° C., it can be seen that the up and down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vehicle room varies greatly. Due to such fluctuations in temperature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provide a thermally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ffect to the occupant.

더욱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벽(212)의 끝단부가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향하여 있기 때문에,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에 대한 풍량 손실을 감수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플로어 벤트(207, 208)로 토출되는 온기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d of the guide wall 212 is directed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side, the air amount loss for the warm air flowing to the air mixing section M side can not be tolerated. Inevitably,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arm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s 207 and 208 cannot be expe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온풍통로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에 대한 풍량감소를 최소화함과 함께,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시, 페이스 벤트와 플로어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를 변동시킴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바이레벨 모드의 온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특정의 송풍모드에 관계없이 차량 실내의 좌우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실내에 대한 공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ile minimizing a decrease in the amount of air flow to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in the bi-level mode, Through the face vent and the floor v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can be kept constant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i-level mode, and also related to the specific blowing mo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maximize the air conditioning effect o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interi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출구단에 각각 형성된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와,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이어져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까지 연결되는 제1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이어져 상기 플로어 벤트까지 연결되는 제2 공기유로를 구획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측으로 굴곡 연장되는 안내벽을 구비하는 케이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inlet formed at the inlet end, a defrost vent, a face vent and a floor vent formed at the outlet end,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defrost vent and the face vent from the air inlet. A case having a guide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to define a first air passage and a second air passage extending from the air inlet and connected to the floor vent;

상기 각 벤트들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 페이스 도어, 및 플로어 도어;A defrost door, a face door, and a floor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each vent;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case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코어를 우회하는 냉풍통로와 상기 히터코어 전방의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the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and a temporal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hot air passage in front of the heater core,

상기 템프도어의 상면에는, 바이레벨 모드시, 상기 온풍통로를 통과한 온기를 플로어 벤트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플이 템프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및 높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a baffle for guiding the warmth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rm air passage to the floor vent sid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mporal door in the bilevel mode.

상기 배플은, 상기 플로어 도어가 풀 오픈(Full Open)된 상태인 경우에, 상 기 플로어 도어의 끝단부에서 상기 템프도어의 상면에 내린 수선(垂線) L1과, 상기 안내벽의 끝단부에서 상기 템프도어의 상면에 내린 수선 L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ffle may include the water line L1 lowered from the end of the floor doo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when the floor door is in a full open state, and at the end of the guide wall.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water line L2 low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 do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높이는, 10mm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aid baffle is 10 mm-20 mm,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양측부에는, 각각 그 양측부로부터 상기 템프도어의 회전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조배플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 portions of the baffle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extending from the both side portions at predetermined heights incline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temporal do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벽의 끝단부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일측 끝단부쪽으로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guide wall, characterized in that toward the one end of the defrost ven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템프도어는 평판형 구조이며,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 페이스 도어, 및 플로어 도어는 버터플라이(Butterfly)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ed door is a flat structure, the defrost door, the face door, and the floor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erfly (Butterfly)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템프도어에 설치된 배플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서의 바이레벨 모드모드시의 공기유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ffle installed in the temp door in Figure 5, Figure 7 is the air in the bi-level mode mode in Figure 5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flow.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를 갖고, 출구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후술하는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 공기유로(13)(14)중, 상기 제1 공기유로(13)와 연결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8)와 페이스 벤트(19)를 갖고, 상기 제2 공기유로(14)와 연결되는 플로어 벤트(20, 21)를 갖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공기유입구(11)에 설치되는 블로어 유니트(미도시)와, 상기 블로어 유니트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블로어 유니트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와, 상기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템프 도어(17)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inlet 11 at an inlet side, and is partitioned by a guide wall 12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 at an outlet side. And a defrost vent 18 and a face vent 19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13 among the second air passages 13 and 14,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14. A case body 10 having floor vents 20 and 21, a blower unit (not shown) provided at the air inlet 11, and air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unit to cool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Or an evaporator 15 and a heater core 16 for heating or heating, and a temporal door 17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상기 템프 도어(17)는, 평판형 구조로서, 그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축(17a)을 중심으로 상, 하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템프도어(17)는,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H)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The temporal door 17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upward and downward about a rotation shaft 17a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hat is, the tempor 17 has a cold air passage C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5 from the air inlet 11 bypasses the heater core 16 and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6. The passage 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 페이스 벤트(19) 및 플로어 벤트(20, 21)에는, 냉난방모드시에의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벤트들(18, 19, 20, 21)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22), 페이스 도어(23) 및 플로어 도어(24)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22), 페이스 도어(23) 및 플로어 도어(24)는, 각 벤트(18, 19, 20)측으로의 공기유동시 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의 버터플라이(Butterfly)형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로어 벤트 20은, 전방 플로어 벤트이고, 플로어 벤트 21은 후방 플로어 벤트이다.The defrost vent 18, the face vent 19, and the floor vents 20, 21 are selectively provided with the vent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blowing modes such as the defrost mode, the face mode, the floor mode, and the like in the air-conditioning mode. Defrost doors 22, face doors 23 and floor doors 2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18, 19, 20 and 21 are rotatably provided, respectively. The defrost door 22, the face door 23 and the floor door 24 have a conventional butterfly structure in order to minimize aeration resistance during air flow to the vents 18, 19, and 20. It is. Here, the floor vent 20 is a front floor vent, and the floor vent 21 is a rear floor vent.

더욱이, 상기 제1 공기유로(13)와 제2 공기유로(14)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와 페이스 벤트(19)쪽으로 굴곡되게 연장되는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그 끝단부측에 상기 플로어 벤트(20, 21)과 연통되는 제2 공기유로(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상기 플로어 도어(24)가 설치되어 있다. Further, the first air passage 13 and the second air passage 14 are guide walls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10 toward the defrost vent 18 and the face vent 19. The floor door 24, which is partitioned off by 12) and which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air passage 14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vents 20 and 21, is provided at the end side thereof.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는, 공기유입구(11)부터 유입된 공기가 템프도어(17)의 선택적인 개도에 따라 상기 냉풍통로(C) 또는 온풍통로(H)를 통하여 각 벤트(18, 19, 20, 21)측으로 유동될 때, 그 유동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냉기와 온기가 혼합되는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꺾임이 없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의 일측 끝단(18a)쪽으로 향하여 있다.The end of the guide wall 12,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1 through each of the vents 18,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or the hot air passage (H) in accordance with the optional opening degree of the temper door (17) 19, 20, 21, one end 18a of the defrost vent 18 without bending to the air mixing section (M) side where the cold and warm air is mixed in order to minimize the resistance to the flowing air To the side).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가 냉기와 온기를 혼합하는 공기혼합구간(M)의 중심부측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냉온기의 혼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나, 온풍통로(H)를 통하여 유동되는 온기가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과 함께, 통기저항이 증대되어 풍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d of the guide wall 12 is loc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air mixing section M for mixing cold and warm ai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ixing properties of the cold and warm air, This is because the warmth flowing through the passage H hits the end of the guide wall 12, and together with the vortex phenomenon, the airflow resistance is increased to cause a loss of air volume.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바이레벨 모드시,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안내벽(12)의 끝단부가 상기 공기혼합구간(M)의 중심부측에서 떨어진 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그 구간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온풍통로(H)를 통해 유동되는 온기가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에 크게 충돌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풍량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상태에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i-level mode, in order to keep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in the vehicle compartment constant, the end of the guide wall 12 is formed at the central side of the air mixing section M as described above. By extending the section so as to be located on the side away,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does not collide with the end of the guide wall 12 significantly, and thus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side It is designed to flow out smoothly while minimizing airflow loss.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이 상기 온풍통로(H)를 통해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와 냉풍통로(C)를 통해 유동되는 냉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냉기의 양에 비하여 온기의 양을 상대적으로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온기를 플로어 벤트(20, 21)측으로 효율좋게 안내하여 바이레벨 모드의 온도특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프도어(17)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배플(30)을 형성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hot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to the air mixing section (M) and the cold air flow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C), as compared to the amount of cold air In order to ensu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rmth, and to efficiently guide the warmth to the floor vents 20 and 21,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ilevel mode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a baffle 3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상기 배플(30)은,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템프도어(1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플(30)은, 그 높이가 너무 높으면, 통기저항이 증대되어 풍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에, 그 높이가 너무 낮으면, 공기흐름을 충분히 안내할 수 없기 때문에, 최적의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플(30)의 높이는, 대략 10mm ∼ 20mm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5mm이다.The baffle 30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mporal door 17. If the height of the baffle 30 is too high, the airflow resistance can be increased to cause a loss of air volume. If the height of the baffle 30 is too low, the airflow cannot be sufficiently guided. It is good.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said baffle 30 is preferable in the range of about 10 mm-20 mm, Most preferably, it is about 15 mm.

더욱이, 상기 배플(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 도어(24)가 풀 오픈(Full Open)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어 도어(24)의 끝단부(24a)와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12a)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로어 도어(24)의 끝단부에서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이 L1이고, 상기 안내벽(19)의 끝단부(12a)에서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이 L2인 경우, 상기 배플(30)은 수선 L1과 수선 L2 사이의 범위내에 위치되는 템프도어(17)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5, the baffle 30 has an end portion 24a and the guide wall of the floor door 24 in a state in which the floor door 24 is full open. It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ends 12a of (12). That is, the waterline which fe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t the end of the floor door 24 is L1, and the waterline which fe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t the end 12a of the guide wall 19. In the case of L2, the baffle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 door 17 located within the range between the waterline L1 and the waterline L2.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12a)를 공기혼합구간 (M)의 중심측으로 꺾임이 없이 디프로스 벤트(18)의 일측 끝단부(18a)를 향하도록 위치시킴과 함께, 템프도어(17)의 대략 중간부에 배플(30)을 수직하게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레벨 모드시, 온풍통로(H)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M)측으로 유동되는 온기를 풍량손실 없이 플로어 벤트(20, 21)와 연통되는 제2 공기유로(14)측으로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차량 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의 온도차가 변동되는 일이 없게 되고, 이에 의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12a of the guide wall 12 is positioned to face one end 18a of the defrost vent 18 without being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air mixing section M. In addition, by forming the baffle 30 vertically in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tempored door 17, in the bi-level mode, as shown in Figure 7, the flow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toward the air mixing section (M) side Since the warm ai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flow passage 14 communicating with the floor vents 20 and 21 without losing the air volum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does not fluctuate as before. As a result,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플(30)의 양측부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그 양측부로부터 상기 템프도어(17)의 회전축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조배플(31)(3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온풍통로(H)를 통과한 온기가 상기 배플(30)측으로 유동될 때, 한쪽으로 집중되는 온기를 좌우측으로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차실내의 좌우측(예컨대,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도 균일한 풍량을 토출시키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b), the both sides of the baffle 30, respectively, at a predetermined heigh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temper door 17 from both sides thereof. Extending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31 and 32 may be provided. When the warm ai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flows to the baffle (30) side, the warmth that is concentrated on one side is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eve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or example, the driver's seat side and the passenger seat side) in the cabin, It is for adjusting to discharge the air volum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플(30)과 함께 제1 및 제2 보조배플(31)(32)에 의하여, 차실내의 상하간의 온도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좌우측간의 온도편차도 적절히 보상할 수 있으므로, 공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보조배플은 상기한 바이레벨 모드 이외의 다른 임의의 송풍모드시에도 작용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31 and 32 together with the baffle 30 can appropriately compensate for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cabin. Therefore, the air conditioning effect can be maximized. Thes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also operate in any blowing mode other than the bilevel mode described above.

도 8은, 상기와 같이 안내벽의 끝단부와 템프도어의 배플의 위치변경에 따른 차실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V-LH ', 'V-RH', 'V-LC' , 'V- RC', 'FF-LH', 'FF-RH', 'RF-LH', 'RF-RH'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FIG. 8 shows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cabin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baffle of the temporal door and the temporal door as described above. 8, 'V-LH', 'V-RH', 'V-LC', 'V-RC', 'FF-LH', 'FF-RH', 'RF-LH', 'RF-RH' The definition of 'is as described abov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이레벨 모드시, 템프도어(17)를 최대 냉방모드 위치로부터 3/8구간 위치(P0)까지 회동시킨 상태에서, 차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간의 평균온도차를 측정해 본 결과, 그 평균온도차는 대략 15℃이고, 템프도어(17)를 4/8구간 위치(P1)까지 회동시킨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거의 15℃이며, 또한 템프도어를 5/8구간 위치(P2)까지 회동시킨 경우는 대략 14℃로서, 차실내의 상하 온도차가 거의 변동없음을 알 수 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바이레벨 온도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됨에 따라, 공조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in the bi-level mode,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measured while the temporal door 17 is rotated from the maximum cooling mode position to the 3/8 section position P0. As a result,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is approximately 15 ° C., and the case where the temporal door 17 is rotated to the 4/8 section position P1 is almost 15 ° C.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mp door is positioned at the 5/8 section position ( In the case of turning to P2), it is about 14 ° C,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cabi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air-conditioning performance as the bilevel temperature characteristic i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와 연결되는 제1 공기유로와 플로어 벤트와 연결되는 제2 공기유로를 구획하는 안내벽의 끝단부를 공기혼합구간측으로 꺾임이 없이 디프로스트 벤트의 일측 끝단부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온풍통로를 통과하여 공기혼합구간측으로 유동되는 온기에 대한 풍량감소를 최소화할 수가 있고, 더욱이 템프도어의 특정 위치에 배플을 돌출형성함으로써, 바이레벨 모드시 페이스 벤트와 플로어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상반부와 하반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차를 변동시킴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바이레벨 모드의 온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차실내에 대한 쾌적한 공조효과를 극대화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wall partitioning the first air flow path connected to the defrost vent and the face vent and the second air flow path connected to the floor vent is not deflected to the air mixing section side. By directing it to one end of the v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the air flow rate for the warm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to the air mixing section side. Furthermore, by forming a baffle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emp door, the face vent and the The floor vent can be maintained constant without chang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thereby improving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bi-level mode, thereby maximizing the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ffect in the vehicle interi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플의 양측단부에 경사진 제1 및 제2 보조배플을 연장형성함으로써, 바이레벨 모드는 물론 그 이외의 송풍모드시에, 차실내의 좌우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편차를 보상하여 효율적인 공조성능을 제공할 수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tend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that are inclin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baffl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abin in the bi-level mode as well as other blowing modes. Compensation for deviations can provide efficient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입구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출구단에 각각 형성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8), 페이스 벤트(Face Vent, 19) 및 플로어 벤트(Floor Vent, 20, 21)와,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와 페이스 벤트(19)까지 연결되는 제1 공기유로(13)와 상기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상기 플로어 벤트(20, 21)까지 연결되는 제2 공기유로(14)를 구획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측으로 굴곡 연장되는 안내벽(12)을 구비하는 케이스본체(10); An air inlet 11 formed at the inlet end, a defrost vent 18, a face vent 19, and a floor vent 20 and 21 formed at the outlet end, respectively; A second air passage 13 connected to the defrost vent 18 and the face vent 19 from the air inlet 11 and the air inlet 11 to the floor vents 20 and 21. A case body (10) having a guide wall (12)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to partition the air flow passage (14); 상기 각 벤트들(18, 19, 20, 21)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22), 페이스 도어(Face Door, 23), 및 플로어 도어(Floor Door, 24);A defrost door 22, a face door 23, and a floor door 24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each of the vents 18, 19, 20, and 21; 상기 케이스본체(10)내에 설치되며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15) 및 히터코어(Heater Core, 16); An evaporator 15 and a heater core 16 installed in the case body 10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상기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코어(19)를 우회하는 냉풍통로(C)와 상기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H)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 17)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It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15 and the heater core 16, and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C) bypassing the heater core 19 and the hot air passage (H)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6.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Temp Door (17),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는,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시, 상기 온풍통로(H)를 통과한 온기를 플로어 벤트(20, 21)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플(Baffle, 30)이 템프도어(1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높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 baffle 30 for guiding the warm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t air passage H to the floor vents 20 and 21 in the bi-level mode is provided. It protrudes in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mper door 17, 상기 배플(30)은, 상기 플로어 도어(24)가 풀 오픈(Full Open)된 상태인 경 우에, 상기 플로어 도어(24)의 끝단부(24a)에서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垂線) L1과,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12a)에서 상기 템프도어(17)의 상면에 내린 수선 L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When the floor door 24 is in the full open state, the baffle 30 is repai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t the end portion 24a of the floor door 24.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L1 and the waterline L2 low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l door (17) at the end (12a) of the guide wall (1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플(30)의 높이는, 10mm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height of the baffle 30 is 10mm to 20mm, the vehicle air condition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배플(30)의 양측부에는, 각각 그 양측부로부터 상기 템프도어(17)의 회전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보조배플(31)(3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Both side portions of the baffle 3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ffles 31 and 32 extending from the both side portion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cline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temporal door 17, respectively.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내벽(12)의 끝단부(12a)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8)의 일측 끝단부(18a)쪽으로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end portion (12a) of the guide wall (12) is directed toward one end portion (18a) of the defrost vent (1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템프도어(17)는 평판형 구조이며, 상기 디프로스트 도어(22), 페이스 도어(23), 및 플로어 도어(24)는 버터플라이(Butterfly)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temporal door (17) has a flat structure, the defrost door (22), the face door (23), and the floor door 24 is a vehicle (Hutterfly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erfly (Butterfly) structure.
KR1020040108600A 2004-12-20 2004-12-20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1115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00A KR101115175B1 (en) 2004-12-20 2004-12-20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00A KR101115175B1 (en) 2004-12-20 2004-12-20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989A true KR20060069989A (en) 2006-06-23
KR101115175B1 KR101115175B1 (en) 2012-02-24

Family

ID=3716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600A KR101115175B1 (en) 2004-12-20 2004-12-20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17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409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10024408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3868481A (en) * 2012-12-18 2014-06-1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checking air outlet of dashboard
US9108488B2 (en) 2007-05-29 2015-08-18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415A (en) 1985-02-27 1985-10-28 Nippon Denso Co Ltd Car air conditioner
JPH10100644A (en) 1996-09-27 1998-04-21 Denso Corp Air conditioner
JP2004042802A (en) * 2002-07-12 2004-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le air conditioner
JP4120393B2 (en) * 2002-12-25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488B2 (en) 2007-05-29 2015-08-18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KR20110024409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10024408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3868481A (en) * 2012-12-18 2014-06-1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checking air outlet of dash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175B1 (en)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843B1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00071748A (en) Air 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113872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6749008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4017141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JPH11208245A (en) Vehicle air condiioner
KR1011626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19912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111517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074507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two-layer air flow type
US1104059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5011125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12988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12916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149283B1 (en) Case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20070048828A (en) A car rear air conditioning device
JP200016833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588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20019118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992735B1 (en) Rear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KR2005011227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090752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2010978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999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