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871A -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871A
KR20060069871A KR1020067006178A KR20067006178A KR20060069871A KR 20060069871 A KR20060069871 A KR 20060069871A KR 1020067006178 A KR1020067006178 A KR 1020067006178A KR 20067006178 A KR20067006178 A KR 20067006178A KR 20060069871 A KR20060069871 A KR 2006006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gimbal
restraint
magnet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465B1 (ko
Inventor
제임스 엘. 웨버
케빈 웨이-룽 잉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6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60R2022/40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 B60R2022/40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automatically adjustable to keep a vertical position, e.g. irrespective of seat or vehicle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Air Bag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를 위한 가속 센서 조립체는 구속 견인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속 스프로킷을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는 상기 가속 스프로킷과 함께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잠글 수 있도록 상기 가속 스프로킷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속 잠금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속 센서 조립체는 가속력이 존재하는 경우 가속 잠금쇠를 움직이기 위해 가속 잠금쇠와 결합된 관성 부재 및 상기 관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짐벌을 포함한다. 상기 가속 센서 조립체는, 상기 가속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작동가능하게 잠그도록 하며 벨트가 상기 구속 견인기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성 부재가 상기 가속 잠금쇠를 상기 가속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할 때까지, 상기 짐벌의 운동을 제동하도록 상기 짐벌에 결합된 무접촉 제동 메카니즘을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 구속 견인기, 좌석 구속 시스템, 제동 메카니즘, 관성 부재

Description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RESTRAINT RETRA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을 위한 가속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 좌석의 승객을 잡아두도록 차량의 좌석 벨트와 같은 좌석 구속 시스템이 제공된다. 어떤 차량에서 좌석 구속 시스템은 무릎 벨트이거나 어깨 벨트, 또는 두가지 모두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릎 벨트와 어깨 벨트는 일단이 서로 연결된다. 좌석 구속 시스템은 일단이 연결된 걸쇠판을 포함한다. 좌석 구속 시스템은 차량 구조체에 웨빙(webbing)등에 의해 일단이 연결된 버클을 더 포함한다. 버클은 함께 조여지기 위해 걸쇠판을 수용한다. 버클과 걸쇠판이 서로 채워지면, 좌석 구속 시스템은 충돌 중에 승객을 보호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승객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좌석 구속 시스템을 위한 구속 견인기가 제공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구속 견인기는 좌석 구속기의 벨트 웨빙에 부착된 스풀(spool)를 구비하고, 축에 의해 구속 견인기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구속 견인기는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벨트 웨빙을 견인하기 위해 스풀을 한 방향으로 감는 나선형의 스프링을 축의 일단에 구비한다. 또한, 구속 견인기는 축의 타단에 있는 이가 있는 로킹 스프로킷(locking sprocket)과, 벨트 웨빙dl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이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하지 않게 잠그도록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로킹 잠금쇠를 구비한다. 로킹 스프로킷은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경유하여 가속 스프로킷에 종속되고, 가속 잠금쇠는 가속 감지 메카니즘 또는 센서에 의해 작동된다. 가속 센서는 가속 잠금쇠에 결합하여 작동하게 하는 구형 또는 절두-원뿔형인 질량 부재 또는 "스탠딩 맨(standing man)"을 포함한다.
구속 견인기는 좌석 또는 차체에 부착된다. "모든 벨트의 좌석결합" 또는 "좌석 통합형 구속"의 적용에 있어서, 구속 견인기는 좌석 등받이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구속 견인기가 좌석에 부착된 경우 가속 센서는 민감하고, 등받이가 기울여지거나 할 때 질량 부재는 용이하게 작동된다. 이에 따라, 가속 잠금쇠가 작동하여 가속 스프로킷에 맞물려지고, 로킹 스프로킷과 로킹 잠금쇠를 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되게 하여, 압박 견인기의 축을 회전하지 않도록 잠근다.
이와 같은 경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구속 견인기들은 가속 잠금쇠를 작동시키도록 2-질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2-질량 시스템에 제공된 큰 질량은 가속 잠금쇠를 작동하게 하는 작은 질량에 뒤쳐진다. 그러나, 이 구속 견인기들은 높은 소음, 큰 부피, 그리고 느린 속도의 감속(충돌전 제동)에 대한 낮은 감지도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가속 감지를 위해 "모든 벨트의 좌석 결합"용례에 있어서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느린 속도의 감속(충격전 제동)에 대해 높은 감지도를 갖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를 위한 가속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음 및 부피를 줄이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를 위한 가속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높은 감지도 및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등받이가 소정의 각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좌석 통합형 차량 감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속 견인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속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를 위한 가속 센서 조립체이다. 가속 센서 조립체는 구속 견인기의 작동가능하게 잠그도록 가속 스프로킷에 결합된 가속 잠금쇠를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는 가속력이 존재하는 경우 가속 잠금쇠를 움직이기 위해 가속 잠금쇠와 결합된 관성 부재 및 관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짐벌을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는, 가속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구속 견인기를 작동가능하게 잠그도록 하며 벨트가 구속 견인기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성 부재가 가속 잠금쇠를 가속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할 때까지, 짐벌의 운동을 제동하도록 짐벌에 결합된 무접촉 제동 메카니즘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가속 감지를 하기 위해 "좌석의 모든 벨트" 또는 "통합된 좌석 구속"을 위한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의 가속 센서 조립체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낮은 소음 레벨을 가지고, 큰 부피의 소음 절연 커버를 위한 비용을 제거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느린 속도로 감속(선 충격 제동) 하기 위해 높은 감지도를 가진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구속 견인기를 위해 소형을 유지하도록 얇은 측면을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질량면에서 가볍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느린 속도에서도 상세할 정도의 높은 감지도를 제공하는 짐벌(gimbal) 메카니즘의 자기 제동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 등받이의 소정의 각 범위 안에서의 짐벌, 차량가 가속/감속을 하는 동안 짐벌의 더 좋은 제동력, 및 차량의 가속 센서의 최고의 감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자기 제동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가속 센서 조립체가 조용하고, 소형이며, 가볍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관성 부재가 결합된 와전류 자기 제동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형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결합되어 수반되는 서술을 읽은 후에 같은 점을 더 이해하기 쉬운 것과 같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를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가속 센서 조립체와 구속 견인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속 견인기의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가속 센서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가속 센서 조립체의 제1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7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C는 가속 센서 조립체의 제2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7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4로 지시한 차량(부분도시)의, 도면부호 12로 지시한 좌석 구속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차량(14)은 차체(16)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차체(16)의 승객 칸막이(22)의 플로어 팬(floor pan, 차체 바닥의 움푹한 부분)과 같은 차 구조체(20)에 장착된 좌석(1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좌석(18)은 차량의 앞 좌석이다. 좌석(18)은 좌석 쿠션(18a)과, 적절한 수단(미도시)에 의해 좌석 쿠션(18a)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좌석 등받이(18b)를 구비한다. 좌석(18)은 차량(14)의 뒷좌석이나, 두 번째 줄 또는 세 번째 줄의 좌석이 될 수 있다.
차량(14)은 좌석(18)에서 승객(미도시)을 구속하기 위해 좌석 구속 시스템(12)을 포함한다. 좌석 구속 시스템(12)은 무릎 벨트(26)와 어깨 벨트(28)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의 일단에 연결된 걸쇠혀 또는 걸쇠판(24)을 더 포함하며, 무릎 벨트(26)와 어깨 벨트(28)의 타단은 후술하는 구속 견인기(34)에 연결된다. 또한, 좌석 구속 시스템(12)은 차량 조립체(20)에 벨트 웨빙(32)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 버클 조립체(30)를 더 포함한다. 걸쇠판(24)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버클 조립체(30)에 탈착 가능하다. 가속 센서 조립체(10)를 제외하고 좌석 구속 시스템(12)과 차량(14)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이며 널리 알려져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석 구속 시스템(12)은 어깨 벨트(28)에 연결된 구속 견인기(34)를 포함한다. 또한, 구속 견인기(34)는 측벽(40) 사이에 위치하고, 어깨 벨트(28)의 끝단부에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 벨트 릴 또는 권양 스풀(42)을 더 포함한다. 또한, 구속 견인기(34)는 권양 스풀(42)이 하우징(36)에 대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36)의 권양 스풀(42)과 측벽(40)을 통과하여 연장된 축(44)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36)은 좌석(18) 등받이(18b)의 프레임(미도시)에 적절한 수단(미도시)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구속 견인기(34)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축의 일단에 배치된 견인 스프링(46)을 포함한다. 견인 스프링(46)은 나선형이며, 일단은 축(44)에 부착되고 타단은 하우징(36)에 연결된다. 견인 스프링(46)은 하우징(36)의 측벽(40)에 부착된 스프링 하우징(4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견인 스프링(46)은 소정의 토크 또는 장력을 가지고, 어깨 벨트(28)를 권양 스풀(42)에 감기 위해서 축(44)을 소정 방향으로 압박한다. 구속 견인기(34)는 블레이크(Blake) 등에 의한 미국 특허번호 4,815,674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구속 견인기(34)는 스프링(46)의 맞은편 축(44)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킹 스프로킷(48)을 포함한다. 로킹 스프로킷(48)은 근접하도록 위치한 복수의 이(49)를 구비한다. 구속 견인기(34)는 핀(미도시)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36)의 측벽(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로킹 잠금쇠(50)를 포함한다. 로킹 잠금쇠(50)는 하우징(36)에 대해서 축(44)을 멈추기 위해 이(49)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구속 견인기(34)는 축(44)을 중심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51)를 포함하고, 로킹 스프로킷(48)의 표면의 이(49)와 맞물림 가능한 로킹 암(미도시)과, 로킹 잠금쇠(50)로부터 연장되고 슬롯에 안착된 핀(52)을 수용하도록 로킹 암을 통해 연장된 슬롯(미도시)을 구비한다. 어깨 벨트(28)의 벨트 웨빙이 소정비율 너머로 풀리면, 로킹 암은 이(49)와 맞물려 가이드 부재(51)를 회전시키고 핀(52)에 대하여 슬롯을 이동시키므로, 로킹 잠금쇠(50)는 회동하여 축(44)을 회전하지 않도록 잠근다. 구속 견인기(34)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이고 알려져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구속 견인기(34)의 축(44)의 끝단에 부착되어 배치된 가속 디스크 또는 스프로킷(53)을 포함한다. 가속 스프로킷(53)은 일반적으로 원형이고, 가장자리(원주)에 배치된 복수의 이(54)를 구비한다. 스프로킷(53)은 가속 스프로킷(53)이 로킹 스프로킷(48)과 동일한 속도 또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스프링(미도시)을 경유하여 로킹 스프로킷(48)에 연결된다. 가속 스프로킷(53)은 종속적인 부재이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견인 하우징(36)에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 지지 하우징(55)을 포함한다. 지지 하우징(55)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이다. 지지 하우징(55)은 기반벽(56)과, 안쪽에 공동(58)을 형성하도록 기반벽(56)에 수직으로 연장된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57)을 구비한다. 지지 하우징(55)은 견인 하우징(36)에 연결되기 위해 측벽들(57) 중 하나로부터 연장된 돌출부(60)를 구비한다. 아울러, 지지 하우징(55)은 후술하는 기능을 위해 상부의 근처에 측벽들(57)의 내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공동(61)을 구비한다. 지지 하우징(55)은 측방향으로 측벽들(57)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부의 공동들(61)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구멍(미도시)을 구비한다. 지지 하우징(55)은 단단한 재료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지지 하우징(55)은 완전하게 합쳐진 하나의 조각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하나의 구조체이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지지 하우징(55)의 공동(58)에 배치된 짐벌(gimbal)(62)을 포함한다. 짐벌(62)은 일반적으로 "U"자 형이고 기반벽(64)과, 안쪽에 공동(68)을 형성하도록 기반벽(64)에 수직으로 서로 마주하여 연장된 측벽들(66)을 구비한다. 짐벌(62)은 각각의 측벽(66)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지지 하우징(55)과 관련된 짐벌(62)이 회동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위해 지지 하우징(55)의 동공(61)에 배치된 돌출부(70)를 구비한다. 짐벌(62)은 소정의 질량을 가진다. 짐벌(62)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다. 짐벌(62)은 적절한 형태를 지닌다. 짐벌(62)은 흔들리는 진자 또는 추와 같이 움직인다.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후술하는 기능을 위해 짐벌(62)의 측벽들(66) 중의 하나에 연결된 범위외 센서(out of range sensor)(69)를 포함한다. 범위외 센서(69)는 후술하는 센서 레버(78)와 함께 좌석(18)의 등받이(18b)가 소정의 조정각 범위를 이탈하여 기울어질 때 구속 견인기(34)를 잠그도록 한다. 범위외 센서(69)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 될 것이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짐벌(62)의 공동(68)에 배치된 "스탠딩 맨(standing man)"과 같은 관성 부재(72)를 포함한다. 관성 부재(7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다. 아울러, 관성 부재(72)의 상단부에는 홈(74)이 있다. 관성 부재(72)는 후술하는 기능을 위해 약 0.26부터 0.7G's까지 바람직하게 약 0.4G's인 가속 범위를 위해 굴곡진 아치형이다. 관성 부재(72)는 소정의 질량을 가지며, 짐벌(62)의 소정의 질량과는 다르다. 관성 부재(72)는 놋쇠와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관성 부재(72)는 구와 같은 적절한 형상을 가진다.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속 스프로킷(53)의 이(54)에 맞물리기 위해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이 부분(80)을 구비하는 가속 또는 센서 레버(78)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 레버(78)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난 바와 같은 범위외 센서(69)와의 협동을 위해 캠 표면(미도시)을 구비한다. 센서 레버(78)는 지지 하우징(55)의 구멍을 통해 연장된 핀(82)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지 하우징(5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 레버(78)는 지지 하우징(55)의 공동(58)측으로 연장되고 관성 부재(72)에 결합되기 위해 홈(74)에 배치된 돌출부(84)를 구비한다. 센서 레버(78)는 단단한 재료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센서 레버(78)는 완전하게 합쳐진 하나의 조각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하나의 구조체이다. 센서 레버(78)는 구형의 관성 부재를 위해 두 개의 조각일 수도 있다. 또한, 센서 레버(78)의 돌출부(84)는 짐벌(62)의 회동축의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가속력을 받는 경우, 관성 부재(72)는 센서 레버(78)를 움직여 이(54)와 맞물려 가속 스프로킷(53)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로킹 잠금쇠(50)가 스프링을 매개로 로킹 스프로킷(48)의 이(49)에 맞물리고 축(44)을 잠궈 어깨 벨트(28)의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가속 스프로킷(53) 및 로킹 스프로킷(48)은 종속형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하우징(55)에 배치된 하나의 자석(86)을 포함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짐벌(62)의 기반벽(64)에 연결된 하나의 전도성 부재(90)를 포함한다. 전동성 부재(90)는 일반적으로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전도성 부재(90)는 비자성체 및 구리와 같은 전기적으로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하 나의 판재이다. 뿐만 아니라,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하우징(55)에서 짐벌(62)의 바로 밑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단면의 형태가 "U"자형인 포커싱(focusing) 부재(94) 포함한다. 포커싱 부재(94)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55)에 설치된다. 자석(86)은 포커싱 부재(94) 안의 전도성 부재(90)의 하측 또는 바로 밑에 위치된다. 짐벌(62), 자석(86), 및 전도성 부재(90)는 무접촉 또는 와전류형 감쇠 메카니즘을 이룬다. 또한, 포커싱 부재(94)는 자석(86)와 함께 자기장에서 초점을 잡고, 유동의 방향을 바꾼다. 자석(86) 및 전동성 부재(90)는 횡 배열을 형성한다.
차량(14)이 0.26G's부터 0.7G's "G"하중을 받는 경우와 같이, 차량의 급가속 또는 급감속이 감지될 때,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작동에서 짐벌(62)의 동적인 운동은 자석(86)과 전도성 부재(90) 사이에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완충된다. 이것은 관성 부재(72)에 힘을 가해 기울이게 하고, 센서 레버(78)의 돌출부(84)에 상측을 향하는 힘을 가한다. 그에 따라, 센서 레버(78)는 작동 위치가 변위됨으로써 가속 스프로킷(53)에 맞물려 스프로킷(53)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결과적으로, 로킹 잠금쇠(50)가 스프링을 매개로 로킹 스프로킷(48)에 맞물리면 구속 견인기(34)는 멈추게 될 것이다. G 하중이 0.26G's보다 작은 경우, 관성 부재(72)는 중립 위치를 유지하고, 어깨 벨트(28)가 구속 견인기(34)의 내부로 되돌아 갈 때, 구속 견인기(34)의 잠금은 풀린다. "G" 하중의 형태보다 더 큰 가속을 위해, 구속 견인기(34)는 로킹 잠금쇠(50) 및 로킹 스프로킷(48)을 거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잠긴다.
좌석(18)의 등받이(18b)는 13°와 35°사이, 바람직하게, -25°와 25°사이 의 소정 작동 각도로 뒤로 기울어지면, 짐벌(62)과 그것에 부착된 구성요소들은 고정된 안착 위치로 회전하며, 이 위치에서는 결합된 질량 중심이 항상 무게 중심에 위치하고, 구속 견인기(34)가 잠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좌석(18)의 등받이(18b)가 소정 조작각 범위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범위외 센서(69)는 센서 레버(78)에게 상방향 힘을 가하게 될 것이다. 범위외 센서(69)는 도 7A 내지 도 7C에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좌석(18)의 등받이(18b)가 소정 조정각의 범위 내로 기울어질 때, 짐벌(62)은 관성 부재(72)를 구속 견인기(34)가 잠겨지지 않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감지도 및 효율을 유지면서 등받이(18b)가 소정각으로 기울어지도록 허용한다. 뿐만 아니라, 가속 센서 조립체(10)는 차량내의 배치방향으로부터 15°이하의 각도(0.26 G's이하)로 위치 구속 견인기(34)를 잠그지 않고, 차량내의 배치방향으로부터 45°이상의 각도(0.7 G's이상)로 구속 견인기(34)를 잠근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100)씩 증가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짐벌(190)의 바로 밑에 배치되며 일반적으로 단면이 "U"자 형상인 전도성 부재(190)를 포함한다. 전도성 부재(190)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155)에 설치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짐벌(162)로부터 연장되고 전도성 부재(190) 내부에 배치된 "L"자 형상의 돌출부(1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자석(186)을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관성 부재(172), 범위외 센서(미도시) 및 센서 레 버(178)를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유사하다. 또한, 자석(186)과 전도성 부재(19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200씩 증가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속 센서 조립체(210)는 짐벌(262)의 기반벽(264)에 연결된 하나의 자석(286)을 포함한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210)는 자석(286)의 하측 또는 바로 밑에 배치된 전도성 부재(290)를 포함한다. 전도성 부재(290)는 일반적으로 궁형 또는 만곡형으로 이루어진다. 전도성 부재(290)는 하나의 평판이다. 전도성 부재(290)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255)에 설치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210)는 관성 부재(272), 범위외 센서(미도시) 및 센서 레버(278)를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2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유사하다. 또한, 자석(286)과 전도성 부재(29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2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작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300씩 증가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속 센서 조립체(310)는 짐벌(362)의 기반벽(364)에 연결된 하나의 전도성 부재(390)를 포함한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310)는 자석(386)의 하측 또는 바로 밑에 배치된 하나 의 자석(386)을 포함한다. 자석(386)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355)에 설치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310)는 관성 부재(372), 범위외 센서(미도시) 및 센서 레버(378)를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3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유사하다. 또한, 자석(386)과 전도성 부재(39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310)는 가속 센서 조립체(210)와 비교하면 역 자기/전기 전도성 부재 구성을 갖는다.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400씩 증가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속 센서 조립체(410)는 후술하는 기능을 위해 기반벽(46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471)를 가진 짐벌(462)을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410)는 접착제(미도시)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짐벌(462)의 돌출부(471)에 장착되거나 짐벌(462) 내부에 연장된 구멍(488)에 하나 이상의 자석(486)을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410)는 지지 하우징(455)에 측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도성 부재(490)를 포함한다. 전도성 부재들(490)은 일반적으로 평탄한 "U"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전도성 부재들(490)은 자석(486)이 전도성 부재들(490)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접착제(미도시)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지 하우징(455)에 장착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410)는 관성 부재(472), 범위외 센서(미도시), 및 센서 레버(478)를 더 포함한다. 위치외 센서(out of position sensor)는 처음 위치외의 5도의 범위의 개시를 갖는 ±20도 짐벌 범위를 위해 사용되며 짐 벌(462), 자석(486) 및 전도성 부재(490)는 무접촉 또는 와전류형 감쇠 메카니즘을 이룬다. 또한, 가속 센서 조립체(410)는 가속 센서 조립체(10)와 유사하다. 아울러, 자석(486)과 전도성 부재(490)는 수직방향으로 나열된다.
도 6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0)의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500씩 증가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도 6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속 센서 조립체(510)는 짐벌(190)의 바로 밑에 배치되며 일반적으로 단면이 "U"자 형상인 포커싱 부재(594)를 포함한다. 포커싱 부재(594)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우징(555)에 설치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510)는 짐벌(562)의 기반벽(564)에 연결된 하나의 전도성 부재(590)를 포함한다. 전기적인 전도성 부재(590)은 하나의 평판이다. 가속 센서 조립체(510)는 짐벌(586)의 하측 또는 바로 밑에 배치되며 포커싱 부재(594)의 내측에 배치된 하나의 자석(586)을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510)는 관성 부재(572), 범위외 센서(미도시) 및 센서 레버(578)를 더 포함한다. 가속 센서 조립체(510)의 작동은 가속 센서 조립체(10)과 비슷하다. 또한, 자석(586)과 전도성 부재(590)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아울러, 가속 센서 조립체(510)는 자기 집속과 유속 방향전환(flux redirection)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가속 센서 조립체의 여러 가지 실시예는 견인 형태 및 위치선호도에 따라 가속 센서 조립체를 포장하는 융통성을 제공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가속 센서 조립체(110)가 도시된다. 가속 센서 조립체(110)는 범위외 센서(69)와 유사한 범위외 센서 또는 돌출부(169)를 포함 한다. 범위외 센서(169)는 전방 또는 제1 돌출부(197), 및 후방 또는 제2 돌출부(199)를 구비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위외 센서(169)는 0도와 같은 무작동 위치에 있다. 좌석(18)의 등받이(18b)가 -25°와 같은 소정 조정각(θ)의 범위 밖의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범위외 센서(169)의 제1 돌출부(197)는 센서 레버(178)상의 캠 동작을 위한 상방향 힘을 가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를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센서 레버(178)의 캠 표면(181)에 결합된다. 캠 좌석(18)의 등받이(18b)가 25°와 같은 소정 조정각(θ)의 범위 밖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범위외 센서(169)의 제2 돌출부(199)는 센서 레버(178)상의 직접 동작을 위한 상방향 힘을 가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를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센서 레버(178)에 연결될 것이다. 범위외 센서 및 센서 레버는 가속 센서 조립체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같이 유사하게 작동된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서술되었다. 지금까지 사용된 용어는 한정이라기 보다는 서술된 단어의 본질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교시로부터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6)

  1.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의 구속 견인기를 위한 가속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속 견인기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된 가속 스프로킷;
    상기 가속 스프로킷과 함께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작동가능하게 잠그느 가속 잠금쇠;
    가속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가속 잠금쇠와 함께 가속 잠금쇠를 움직이기 위한 관성 부재;
    상기 관성 부재를 지지하는 짐벌(gimbal); 및
    상기 가속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상기 관성 부재가 상기 가속 잠금쇠를 상기 가속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작동가능하게 잠그며 벨트가 상기 구속 견인기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될 때까지, 상기 짐벌의 운동을 감쇠하도록 상기 짐벌과 결합된 무접촉 제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메카니즘은 자기 메카니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메카니즘은 와전류형 자기 메카니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메카니즘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과 결합된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중의 하나가 상기 짐벌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의 밑에 배치된 포커싱(focusing)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부재는 일반적으로 U자형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 중에서 하나가 상기 포커싱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8. 제 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에 연결되며, 좌석의 등받이가 소정의 조정각 범위를 이탈하여 기울여질 때, 상기 가속 잠금쇠와 함께 구속 견인기를 잠그는 범위외(out-of-range)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외 센서는 상기 등받이가 상기 소정의 조정각 범위를 이탈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가속 잠금쇠와 함께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잠그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잠금쇠는 상기 짐벌의 회동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한 쌍의 판재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은 연장되어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는 일반적으로 "U"자형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짐벌의 저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는 일반적으로 궁형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의 밑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짐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의 밑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은 수평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견인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짐벌은 상기 지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조립체.
  21.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을 위한 구속 견인기 조립체에 있어서,
    견인기 하우징;
    상기 견인기 하우징에 장착된 회전가능한 축;
    상기 축에 장착되고, 상기 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 좌석 구속 시스템의 벨트에 연결된 권양 스풀;
    상기 축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로킹 스프로킷;
    상기 로킹 스프로킷과 함께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잠그는 로킹 잠금쇠;
    상기 로킹 잠금쇠에 작동이 결합된 가속 스프로킷;
    상기 가속 스프로킷에 작동이 결합된 가속 잠금쇠;
    가속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가속 잠금쇠와 함께 상기 가속 잠금쇠를 작동시키는 관성 부재;
    상기 관성 부재를 지지하는 짐벌; 및
    상기 가속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상기 관성 부재가 상기 가속 잠금쇠에 맞물려 구속 견인기를 동작가능하게 잠그로 상기 구속 견인기로부터의 벨트 풀림을 방지할 때까지 상기 짐벌의 운동을 제동하도록 상기 짐벌과 결합하는 무접촉 제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을 위한 구속 견인기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메카니즘은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과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견인기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중의 하나는 상기 짐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견인기 조립체.
  24. 상기 차량의 좌석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석 구속 시스템의 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 상기 벨트에 연결된 구속 견인기;
    상기 구속 견인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속 스프로킷;
    상기 구속 견인기를 작동가능하게 상기 가속 스프로킷에 작동이 결합된 가속 잠금쇠;
    가속력이 존재하는 경우 가속 잠금쇠를 움직이기 위해 가속 잠금쇠와 결합된 관성 부재;
    관성 부재를 지지하는 짐벌(gimbal); 및
    상기 가속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상기 관성 부재가 상기 가속 잠금쇠에 맞물려 구속 견인기를 동작가능하게 잠그로 상기 구속 견인기로부터의 벨트 풀림을 방지할 때까지 상기 짐벌의 운동을 감쇠하도록 상기 짐벌에 결합된 무접촉 제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과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부재 중의 하나는 상기 짐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좌석 구속 시스템.
KR1020067006178A 2003-09-29 2004-08-11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 KR100822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73,617 US6915979B2 (en) 2003-09-29 2003-09-29 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restraint retractor
US10/673,617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871A true KR20060069871A (ko) 2006-06-22
KR100822465B1 KR100822465B1 (ko) 2008-04-16

Family

ID=3437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178A KR100822465B1 (ko) 2003-09-29 2004-08-11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15979B2 (ko)
EP (1) EP1673263B1 (ko)
JP (1) JP4308262B2 (ko)
KR (1) KR100822465B1 (ko)
AT (1) ATE456495T1 (ko)
DE (1) DE602004025367D1 (ko)
WO (1) WO20050353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6268A1 (en) * 2005-05-03 2006-11-03 Christl Cheng A signaling system for use in a vehicle to provide a signal indicative of a change in vehicle speed
WO2013105580A1 (ja) * 2012-01-13 2013-07-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9096194B2 (en) 2012-03-27 2015-08-04 Tk Holdings Inc. Seatbelt retractor
CN105531159A (zh) * 2013-09-13 2016-04-27 关键安全体系股份有限公司 具有万向型车辆传感器的卷收器
MX2017002993A (es) * 2014-09-09 2017-05-30 Key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con proteccion contra lodo y reduccion de vibracion.
JP7339177B2 (ja) * 2020-02-07 2023-09-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994A (en) * 1994-09-0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US5791582A (en) 1995-08-02 1998-08-11 Autoliv Development Ab Safety belt reeling device with inclination compensation for the vehicle-sensitive sensor
JP3525638B2 (ja) * 1996-08-26 2004-05-1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9982406B3 (de) 1998-10-28 2016-11-10 Takata Inc. Sicherheitsgurtstraffer für verstellbare Rückenlehnen
US6164581A (en) 1999-01-29 2000-12-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ow noise self-compensating vehicle sensor and retractor
US6386472B1 (en) 2000-03-31 2002-05-14 Delphi Technologies, Inc. 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a restraint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56495T1 (de) 2010-02-15
JP4308262B2 (ja) 2009-08-05
KR100822465B1 (ko) 2008-04-16
US6915979B2 (en) 2005-07-12
EP1673263A2 (en) 2006-06-28
WO2005035311A3 (en) 2005-11-10
US20050067520A1 (en) 2005-03-31
EP1673263A4 (en) 2008-07-23
JP2007507393A (ja) 2007-03-29
WO2005035311A2 (en) 2005-04-21
DE602004025367D1 (de) 2010-03-18
EP1673263B1 (en)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382B1 (en)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US3439932A (en) Belt retracting device with pendulum actuated locking means
US4249708A (en) Emergency locking mechanism for the seat belt retractor of vehicles
US4083512A (en) Independent redundant clutchless retractor
US4726539A (en) Dual mode seat belt retractor assembly
US6164581A (en) Low noise self-compensating vehicle sensor and retractor
US3610361A (en) Electrically operated seat belt retractor
EP0861171A1 (en) A safety restraint system having a variable angle web guide opening
KR100822465B1 (ko) 구속 견인기용 가속 센서 조립체
JPH0510131U (ja) プリローダ装置
US4718696A (en) Retaining structure for webbing secured to seat of vehicle
US5740979A (en) Transport guard device for a belt retractor
US6386472B1 (en) 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a restraint retractor
US3698657A (en) Inertia operated locking retractor
US4331304A (en) Emergency lock type retractor
US6302489B1 (en) Retractor
EP0543520B1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rattle suppression mechanism
JPS5814337B2 (ja) シ−トベルト装置
US4771854A (en) Belt winding brake for passive belt retractor
US4116295A (en) Electrically operated seatbelt retractor
US6216974B1 (en) Orientation apparatus for an emergency locking mechanism in a vehicle seat belt retractor
EP3984836A1 (en) A vehicle-sensitive sensor and self-locking belt-retractor
JPS6335464B2 (ko)
EP1593560A1 (en) Vehicle sensor for retractor
KR0138775Y1 (ko) 차량의 긴급 로크식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