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223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223A
KR20060069223A KR1020050035534A KR20050035534A KR20060069223A KR 20060069223 A KR20060069223 A KR 20060069223A KR 1020050035534 A KR1020050035534 A KR 1020050035534A KR 20050035534 A KR20050035534 A KR 20050035534A KR 20060069223 A KR20060069223 A KR 2006006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lurring
shaking
detected
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971B1 (ko
Inventor
히구치 마사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특별한 조작 없이 간
단히 인식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 결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된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 수단과,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하는 흐려짐ㅇ흔들림 검지 수단과,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수단에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한편,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는 표시 수단에 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pick up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디지털카메라의 흐려짐ㅇ흔들림 검출 동작을 나타내는 생산 공정도이다.
도 4는 흐려짐ㅇ흔들림 검출에 사용되는 하이패스 필터의 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흐려짐ㅇ흔들림 검출에서의 평가를 행하는 단위인 미소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디지털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디지털카메라 12: 렌즈
14: 모터 드라이버 16: CCD
18: AFE 20: TG
22: AGC 24: ADC
26: SIO/PIO 28: MPU
30: SDRAM 32: 카드 인터페이스
34: 메모리 카드 36: 이미지 프로세싱
38: 비디오 인터페이스 40: TFT
42: JPEG 처리부 44: 오디오 인터페이스
46: 스피커 48: 키 인터페이스
50: 조작 키 52: 버스 라인
본 발명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자동 초점이 잘못 맞춰진 경우나, 촬영 피사체의 움직임이 셔터 스피드에 비해 빠른 경우에는, 촬영한 화상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현상이 발생한다. 디지털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디지털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액정 디스플레이는 해상도가 낮아,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발생한 화상을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촬영 후에 PC 등으로 화상을 표시한 후 흐려짐 또는 흔들림 현상을 발견하고 실망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에 대해,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196301호에는 초점 위치를 확대 표시하는 디지털카메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187329호에는 실패 화상을 인쇄 전에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196301호에 기재된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촬영시마다 화상을 확대 표시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한다. 또한,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187329호에 기재된 프린터는, 촬영된 화상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프린터에 세팅하여 인쇄 전에 실패 화상을 선별하기 때문에, 촬영 후 인쇄할 때까지 실패 화상이 기록 매체에 남아 있어 기록 매체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특별한 조작 없이 간단히 인식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광학 결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 수단과,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檢知)하는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과,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 시 수단에 상기 화상 전체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화상을 기록 매체에서의 소정의 폴더에 기록하는 한편,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화상을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폴더와 다른 폴더에 기록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선명한 부분을 검출하는 선명부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표시 수단에 확대 표시되는 상기 화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이 검출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가장 선명한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복수의 선명한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부분 중에서 화상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광학 결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에 의해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하는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과,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순차적으로 읽어 내고,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화상을 미리 설정된 폴더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화상을 삭제하고, 또한 상기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것을 통지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지 수단은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촬상 장치인 디지털카메라(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카메라(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10)의 렌즈(12)를 통과하여 결상되는 피사체상(被寫體象)에 따라 CCD(16)가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전기 신호가 변환 및 보정 등이 행해진 화상이 디지털데이터로서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30)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모리 카드(34)에 기록된다. 여기서 도 1에는 촬상 소자로서 CCD(16)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MOS 등의 다른 촬상 소자도 가능하다.
렌즈(12)는 CCD(16)에 피사체를 결상시킨다. 이 렌즈에 설치된 초점 조정 모터 및 줌 모터가 모터 드라이버(14)에 의해 구동되어, 초점 및 배율이 조정된다.
렌즈(12)에 의해 CCD(16)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광은 CCD(16)에서 화상 신호로 광전 변환되고, CCD(16)의 각 화소에서 수광된 화소 신호의 신호열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전기 신호가 출력된다.
AFE(18)는 TG(Timing Generator)(20), AGC(Automatic Gain Control)(22) 및 ADC(Analog-Digital Converter)(24)로 구성된다. TG(20)는 CCD(16)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여기에 공급한다. AGC(22)는, CCD(16)로부터 입력되는 R(적), G(녹), B(청)의 각색의 감도 조정을 행한다. ADC(24)는, AGC(22)로부터 입력되는 각 화소 신호의 R, G, B의 색 성분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버스 라인(52)으로 출력한다.
SIO/PIO(시리얼 입출력/패러럴 입출력)(26)은, MPU(Micro Processor Unit)(2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14) 및 AFE(18)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MPU(28)는, 제어 프로그램 및 상수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고,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며, 또한 조작 키(50)의 조작에 의해 키 인터페이스(48)로부터 버스 라인(52)으로 출력된 신호를 검지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MPU(28)는 SIO/PIO(26)를 통해 모터 드라이버(14) 및 AFE(18)을 제어하고 자동 초점 및 자동 노출 제어를 행한다. 자동 초 점 제어는, 모터 드라이버(14)에 대해 렌즈(12)의 초점 조정 모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초점 맞춤 제어를 행한다. 자동 노출 제어는 모터 드라이버(14) 및 TG(20)를 제어함으로써, 렌즈(12)의 렌즈 조리개와 CCD(16)의 셔터 스피드, 즉 전하 축적 시간을 조절하여 행한다. 또한, MPU(28)는, ADC(24)로부터 버스 라인(52)으로 출력된 화상을 SDRAM(3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고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은, 광원의 차이에 의한 화상의 색 편향을 보정하고, 백색 피사체가 희게 재현되도록 ADC(2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R, G, B의 각 색 성분의 레벨 변환을 행한다.
SDRAM(30)은,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 이외에, MPU(30) 처리에 의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미지 프로세싱(36)은, SDRAM(30)에 기억된 화상에 대해 보간, 톤 보정, 엣지 강조 등을 행한다. 이들에 의해 표시 가능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보간은, 화소와 화소 사이에 새로운 화소를 만들어 내거나, 또는 화소를 솎아 낸다. 이에 따라, CCD(16)의 실제 화소수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사이즈보다 큰 화상 사이즈로 출력할 수도 있다. 톤 보정은, 화상이 검게 일그러지기 쉬운 역광이나 과순광(過順光)으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 부분의 계조를 남기고, 사람의 눈으로 본 인상에 보다 가까운 화상을 얻는다. 엣지 강조는 원래 화상에 적당한 필터를 끼워 화상의 첨예화를 도모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YC 신호 처리를 행하고 SDRAM(30)으로 처리 화상을 기억한다. 이 YC 신호 처리는 휘도 신호(Y) 및 크로마 신호(Cr, Cb)를 생성한다.
JPEG(Joint Pphotographic Expert Group) 처리부(42)는,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압축한다.
카드 인터페이스(32)는, 메모리 카드(34)에 대한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읽어낸다.
비디오 인터페이스(38)는 TFT(40)를 제어한다. TFT(40)는,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이나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조작키(50)는, 셔터 버튼 및 그 밖의 조작에 사용되는 키로 이루어진다. 조작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키 인터페이스(48)로부터 대응되는 신호가 버스 라인(52)에 출력된다.
스피커(46)는, 오디오 인터페이스(44)에 의해 제어되고, 음성 출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정보 통지를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카메라(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털카메라(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디지털카메라(10)의 조작키(50) 중 셔터 버튼을 누르면 화상 촬영이 행해진다(단계 S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MPU(28)는 자동 초점 제어 및 자동 노출 제어를 행하고, ADC(24)로부터 버스 라인(52)에 출력되어 어떠한 가공도 되어 있지 않은 화상 데이터인 로(Raw) 데이터를 SDRAM(30)에 기억시키고(단계 S2), 상술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및 현상 처리(단계 S3)를 행하고, SDRAM(30)에 기억(단계 S4)한다.
다음으로,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한다(단계 S5).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 여, 흐려짐·흔들림 검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흐려짐·흔들림 검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SDRAM(30)에 기억된 화상 중 휘도 신호(Y)(Y 화상)에 대해서, HPF(High-Pass Filter)인 라플라시안 필터를 끼운다(단계 S21). 이 라플라시안 필터는 화상의 엣지 검출에 사용되는 디지털 필터이다. 이 처리는 각 화소에 대해서, 그 화소와 그 인접 화소의 값으로부터의 계산으로 값을 구함으로써 행한다. 도 4는, 각 화소에 대해서 값을 구할 때 사용하는 계수를 나타낸다. 이것은, 좌표가 (i, j) 화소의 값을 f(i, j)로 나타내면, 좌표가 (i, j)의 화소에 대해서는 그 화소의 값을 4배로 하고, 좌표가 (i-1, j-1), (i-1, j+1), (i+1, j-1), (i+1, j+1)의 화소의 값을 각각 (-1)배로 하고, 이들 값을 가산하여 값을 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f(i, j)×4+f(i-1, j-1)×(-1)+f(i-1, j+1)×(-1)+f(i+1, j-1)×(-1)+f(i+1, j+1)×(-1)의 값을 구한다. 또한, 화면 끝의 좌표에 대해서는, 3×3의 인접 화소의 일부가 존재하지 않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존재하는 화소의 평균값으로 3×3의 인접 화소 중에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채우고 나서 상기 계산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모든 화소에 대해서 계산된 값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소 블록, 예를 들어 8×8화소의 미소 블록마다 분할하고, 이 블록마다 단계 S24부터 단계 S29까지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24부터 단계 S26은, 화상이 선명한 블록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며, 단계 S27부터 단계 S29는, 화상이 선명한 블록의 위치를 구하는 것, 즉 화상 중에서 선명한 부분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들은, 평가하는 미소 블록, 예를 들어 8×8화소의 미소 블록을 특정하여(단계 S23), 모든 블록에 대해서 차례로 행한다.
먼저, 단계 S24에서, 8×8화소내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특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차이가 클 수록 엣지가 확실하게 서 있어 화상이 샤프(sharp)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산출 결과는, 흐려짐·흔들림 화상의 판정에 사용된다. 단계 S25에서, 단계 S24에서 산출한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고 카운터에 1을 가산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단계 S27로 진행한다.
단계 S27에서, 8×8 각 화소의 절대값의 평균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8에서, 단계 S27에서 산출한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단계 S29로 진행하고, 좌표와 단계 S27에서 산출한 평균값을 세트로 하여 SDRAM(30)에 기억한다. 여기서 좌표란, 예를 들면 8×8화소의 중앙 4개의 화소 중 어느 하나의 화소, 예를 들면 왼쪽 상부의 화소의 좌표를 사용한다. 한편, 단계 S28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에서, 단계 S24부터 단계 S29까지 평가한 8×8화소의 블록이 최종블록인지를 판정한다. 아직, 평가를 행하지 않은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모든 블록에 대해서 평가를 행한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계 S31로 진행한다.
단계 S31에서, 카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지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단계 S33으로 진행하고, 흐려짐·흔들림 화상이라고 판정된다. MPU(28)은, 비디오 인터페이스(38)를 통해 TFT(40)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 출되었음을 통지하는 표시를 한다. 이 통지는, MPU(28)가 오디오 인터페이스(44)를 통해 스피커(46)로부터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31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단계 S32로 진행하여, 흐려짐·흔들림 화상이 아니라고 판정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 S5의 흐려짐·흔들림 검출 결과, 흐려짐·흔들림 화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계 S9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5에서 흐려짐·흔들림 화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MPU(28)는 SDRAM(30)에 기억된 화상의 전체를 비디오 인터페이스(38)를 통해 TFT(40)에 표시하고, 단계 S8에서, MPU(28)는 SDRAM(30)에 기억된 화상을 카드 인터페이스(32)를 통해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도 3에서 설명한 흐려짐·흔들림 검출 단계 S29에서, SDRAM(30)에 좌표와 평균값을 세트로 기억했으나, 도 2의 단계 S9에서는 이 중에서 평균값이 최대인 좌표를 선택한다. 이 좌표를 포함하는 블록이 화상 중에서 가장 선명한 부분이 된다.
또한, 여기서 선택하는 좌표는, SDRAM(30)에 기억된 좌표와 평균값의 세트 중 화상의 중앙의 좌표에 가장 가까운 좌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좌표를 포함하는 블록이, 화상 중에서 추출된 복수의 선명한 부분 중 화상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선택된 좌표를 포함하여, 이 주변의 영역을 TFT(40)에 확대 표시한다(단계 S10). 예를 들면, SDRAM(30)에 기억된 화상의 화소수가 1280×960화소인 경우, 선택된 좌표를 중앙의 좌표로 하는 320×240화소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해 보간 등을 행하여 TFT(40)의 전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MPU(28)는, TFT(4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표시하고, 사용자가 기록한다고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S11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계 S8로 진행하고, SDRAM(30)에 기억된 화상을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여기서 화상을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할 때에는, 단계 S6에서 흐려짐 또는 흔들림 화상으로 판정되지 않은 화상과 구별하였기 때문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 화상으로 판정된 화상을 기록하는 폴더를 마련하여, 그 폴더에 기록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록하지 않는다고 선택한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단계 S12로 진행하며, SDRAM(30)에 기억된 화상을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제 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촬영시마다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하지 않고 화상을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한 후, 메모리 카드(34)에 기록된 모든 화상에 대해서 일괄하여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하는 것이다. 도 6은, 이 일괄 흐려짐·흔들림 화상 검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조작키(50)에 의해, 흐려짐·흔들림 화상의 일괄 검출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면, MPU(28)가 이 조작을 검출하고 메모리 카드(34)의 카드 정보 취득을 행하여, 메모리 카드(34)에 몇 장의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단계 S41). 화상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2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 계 S43로 진행하고, 화상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2의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단계 S43에서, 메모리 카드(34)로부터 화상을 한 장 읽어낸다. 이 화상에 대해, 도 3에 설명한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한다(단계 S44). 단계 S44의 결과, 흐려짐·흔들림 화상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45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한편, 흐려짐·흔들림 화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서, 흐려짐·흔들림 화상을 이동하거나 삭제함과 동시에,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화상을 이동할지 삭제할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도 있고, 단계 S46에서 화상을 이동할지 삭제할지 지정하도록 TFT(40)에 표시를 하여 사용자의 지정에 따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을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 장소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을 수도 있고, 단계 S46에서 이동 장소를 지정하도록 TFT(40)에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조작키(50)에 의해 지정한 폴더에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흐려짐·흔들림 화상이라고 판정된 화상을 특정 폴더에 일괄하여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확인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었다는 통지로는, MPU(28)가 비디오 인터페이스(38)를 통해 TFT(40)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었음을 표시할 수도 있고, MPU(28)가 오디오 인터페이스(44)를 통해 스피커(46)로부터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7에서, 메모리 카드에 흐려짐·흔들림 검출 대상이 되는 다음 화상이 있는지 판정한다.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하지 않는 화상이 있으면, 단계 S47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단계 S4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메모리 카드(34)의 모든 화상에 대해서, 흐려짐·흔들림 검출을 행한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NO」가 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시에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출하여,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지의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되기 때문에, 그 장소에서 재촬영이 가능해져 중요한 장면의 촬영을 실패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촬영한 화상 중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출하기 쉬운 부분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출하고,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출된 화상과 검출되지 않은 화상을 기록 매체에서 다른 폴더에 저장함으로써, 촬영한 화상을 나중에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촬영한 화상에 대해 촬영 후에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일괄하여 추출함에 따라, 사용자가 확인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광학 결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 수단과;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하는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과;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한편,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화상을 기록 매체에서의 소정의 폴더에 기록하는 한편,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화상을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폴더와 다른 폴더에 기록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선명한 부분을 검출하는 선명부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표시 수단에 확대되어 표시되는 상기 화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이 검출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가장 선명한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부 검출 수단은, 상기 촬영된 화상 중에서 복수의 선명한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부분 중에서 화상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광학 결상을 광전 변환하는 촬상 소자에 의해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하는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과;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순차적으로 읽어 내고,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화상을 미리 설정된 폴더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에 이동하거나 상기 화상을 삭제하고, 또한 상기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이 검지되었음을 통지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지 수단은 표시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려짐·흔들림 검지 수단은, 8×8화소의 기준 블록씩 분할하여서, 상기 기준 블록마다 화상의 흐려짐 또는 흔들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50035534A 2004-12-17 2005-04-28 촬상 장치 KR101119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6108A JP4781670B2 (ja) 2004-12-17 2004-12-17 撮像装置
JPJP-P-2004-00366108 2004-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223A true KR20060069223A (ko) 2006-06-21
KR101119971B1 KR101119971B1 (ko) 2012-04-19

Family

ID=3667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534A KR101119971B1 (ko) 2004-12-17 2005-04-28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81670B2 (ko)
KR (1) KR101119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90B1 (ko) * 2007-08-09 2010-08-09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과 카메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031A (ja) * 2007-01-22 2008-07-31 Fujifilm Corp 撮像装置
US7844127B2 (en) * 2007-03-30 2010-11-30 Eastman Kodak Company Edge mapping using panchromatic pixels
DE112009002024B4 (de) * 2008-09-03 2016-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Fahrzeug-Bilderfassungssystem
JP5129182B2 (ja) * 2009-03-12 2013-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285B2 (ja) * 1998-11-24 2007-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及びその画像処理方法
JP2006020101A (ja) * 2004-07-02 2006-01-19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990B1 (ko) * 2007-08-09 2010-08-09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이미지 안정화 장치 및 방법과 카메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1670B2 (ja) 2011-09-28
KR101119971B1 (ko) 2012-04-19
JP2006174253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6699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100957261B1 (ko) 화상 촬영 장치 및 색수차 보정 방법
US8823857B2 (en) Image apparatus
JP4999268B2 (ja) 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CN100591099C (zh) 摄像装置
TWI492618B (zh) 攝影裝置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2009094997A (ja) 撮像装置、撮像方法
JPH11298791A (ja) 電子カメラ
KR101119971B1 (ko) 촬상 장치
JP3798544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509267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110754A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撮影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731196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053321B2 (ja) 電子カメラ
JP2006287814A (ja) 撮像装置及び動きベクトル決定方法
US8514305B2 (en) Imaging apparatus
JP2009246468A (ja) 撮影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5012423A (ja) 撮像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
JP2006253970A (ja) 撮像装置、シェーディング補正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55415A (ja) カメラ
JP2008113466A (ja) 電子カメラ
JP4522232B2 (ja) 撮像装置
JP4720255B2 (ja) カメラ装置、撮影方法並びに撮影プログラム
JPH11224324A (ja) 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JP4962597B2 (ja) 電子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