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514A -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514A
KR20060068514A KR1020040107227A KR20040107227A KR20060068514A KR 20060068514 A KR20060068514 A KR 20060068514A KR 1020040107227 A KR1020040107227 A KR 1020040107227A KR 20040107227 A KR20040107227 A KR 20040107227A KR 20060068514 A KR20060068514 A KR 2006006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keyword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주
박유미
성기순
최진영
최영일
이병선
전경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514A/ko
Publication of KR2006006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다. 정보검색부는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의해 호출된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API호출부는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 및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정보제공부는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의해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화된 API를 이용하여 통신망 사업자의 망 자원을 이용하면서도 각 망의 특성에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어 쉽고 빠르게 수용함으로써, 서비스요청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빠른 정보 검색 뿐만 아니라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모든 분야의 정보제공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의 전달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세대 통신망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개방형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개방형 API)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망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없는 일반적인 망 구조에서의 정보제공 서비스는 특정한 키워드에 대해 특성화된 형태로서 망에 의존적인 서비스이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보안에 의존적이며 정형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아 차세대 통신망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발된 기존의 서비스들은 이동망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에 종속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람의 위치를 찾고자 한다면 이동망의 기능들 중 위치를 검색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망에서 특정 사람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로 개발이 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망에 상관없이 서비스 요청자가 전송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의해 호출된 메시징 서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부;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 및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API호출부; 및 상기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은, (a)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b)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의해 호출된 메시징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통신망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망에 종속되지 않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요청자에게 쉽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네트워크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 애플리케이션 서버(120), 개방형 게이트웨이(130), 및 서비스요청자 단 말기(140)로 구성된다.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는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핸드폰, PDA 등의 무선통신장치 또는 음성통화 기능을 구비한 무선전화, 유선전화, 인터넷폰 등의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일반적으로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 또는 애플리케이션서버(120)에 저장되어 있거나 애플리케이션서버(120)가 별도의 정보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정보이나,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자의 상태 등) 자체가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통신망의 서비스 계층에 위치하며 개방형 API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서비스 요청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로부터 API를 호출하고,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API로부터 호출을 받는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문자메시지를 전달받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로직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현예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요청한 개방형 API를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이다.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 및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와 연결되어 서비스 요구가 발생시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게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120)가 요청하는 개 방형 API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는 SCF(Service Capability Function)로 불리기도 하는 복수의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표 1에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 존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그 기능이 기재되어 있다.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능
호제어(Call Control) 호제어 정의 - 기본호, 다중호, 회의호, 멀티미디어호
사용자 상호작용(User Interaction) 사용자와의 동작, 안내방송송출, SMS 전송 등
이동성(Mobility) 위치 및 상태 정보
터미널 가용성(Terminal Capabilities) 사용자 단말능력
데이터세션제어(Data Session Control) 데이터세션 제어관리
메시징(Generic Messaging) 메일처리, MMS, VMS
연결관리(Connectibity Management) QoS 제공관리
가입자관리(Account Management) 가입자 계정 관리
과금(Charging) 응용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과금
정책관리(Policy Management) 정책 정보의 생성, 변경, 관리
존재/가용성관리 (Presence and Availavility Management) 디지털 아이덴터티, 에이전트의 프레전스 상태, 엔티티 상태 및 능력정보, 보안 관리
각각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들은 모바일 스위칭 센터, IP 서버, 과금 서버, 단말정보 서버, SMS 서버, 위치정보 서버 등의 이동망을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대응되는 장치와 연동하여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는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장치로서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 구현된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200)은 데이터베이스부(210), 정보검색부(220), API호출부(230), 정보제공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부(210)에는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210)에 등록되는 정보는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며, 예를 들어, 택시운전사로서 택시검색 서비스의 대상이 되고 싶다면 택시운전사는 소지한 핸드폰 번호, 차량 번호, 주로 활동하는 지역 등 검색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 대, 서비스제공자가 등록하는 정보는 서비스제공자의 아이덴티티(즉, 택시, 상점 등과 같이 프레즌스를 관리하기 위한 개체)와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제공자의 아이덴티티의 생성 및 등록에 의해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 존재하는 존재/가용성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의한 프레즌스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10)에는 개방형 API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요청자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등록받은 신원정보, 결제정보 등의 가입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다.
정보검색부(220)는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에 의해 호출된 메시징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방식을 결정하고,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결정된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이 때, 검색방식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의 위치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검색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공자와 서비스요청자 사이에 호를 연결하는 제1검색방식 및 키워드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 (210)에 분야별 디렉토리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하는 제2검색방식을 포함한다.
제1검색방식에 속하는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로는 가장 가까운 위치의 택시 찾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상점 찾기 등이 있으며, 제2검색방식에 속하는 서비스로는 디렉토리 형태로 제공되는 주소록 서비스, 기타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있다. 각각의 키워드에 따라 두 가지의 검색방식 모두에 의해 정보를 검색할 것인지 둘 중 하나의 검색방식에 의해 정보를 검색할 것인지는 서비스 로직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만약, 검색방식이 제1검색방식으로 결정되면, 정보검색부(220)는 AIP호출부(230)가 호출한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파악된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의 위치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210)로부터 키워드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한다. 이 경우, 정보검색부(220)는 검색한 요청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제공 가능한 정보들의 리스트를 검색하며, 일예로, 서비스 요청자가 택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요청자가 있는 지역으로 등록된 택시 리스트 중에서 택시운전사가 등록한 핸드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검색한다. 이와 달리, 검색방식이 제2검색방식으로 결정되면, 정보검색부(220)는 데이터베이스부(210)에 분야별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API호출부(23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 존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중에서 결정된 검색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만약, 제1검색방 식이 정보의 검색방식으로 결정되면, AIP호출부(230)는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의 위치를 파악한 후 정보검색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정보제공시에 API호출부(230)는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 사이에 호를 설정한다. 이와 달리, 제2검색방식이 정보의 검색방식으로 결정되면, AIP호출부(230)는 별도의 서비스 인터페이스 호출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정보제공시에만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정보제공부(240)는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형태에 의해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정보의 제공형태가 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제1정보제공형태로 결정되면, 정보제공부(240)는 API호출부(230)가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 사이에 호를 설정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정보제공부(240)가 API호출부(230)에 의해 호출된 존재/접촉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제공자의 이용가능성을 파악한 후 API호출부(230)가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정보의 제공형태가 서비스요청자에게 메시지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2정보제공형태로 결정되면, 정보제공부(240)는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지어 메시지에 의해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에 제공한다.
통신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200)이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를 포함하는 외부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어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에는 운영프로그램이 인스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요청자는 문자메시지로 키워드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S300). 예를 들면 교통 서비스 중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택시를 찾고 싶을 때 서비스 요청자는 “택시”, “taxi”와 같은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전송된 메시지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로 전달된다(S305).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의 정보검색부(220)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방식을 결정한다(S310). 검색방식은 크게 위치에 기반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제1검색방식과 위치에 기반하지 않은 디렉토리 검색인 제2검색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검색방식에 속하는 서비스로는 서비스요청자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의 택시 찾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상점 찾기 등이 있으며, 제2검색방식에 속하는 서비스로는 주소록 서비스, 기타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있다.
정보의 검색방식이 제1검색방식이면(S315), API호출부(230)는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서비스요청자의 위치(즉,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보검색부(220)에 제공한다(S320). 정보검색부(220)는 정보요청자의 위치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부(210)를 검색하여 정보요청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정보제공자의 식별정보 또는 정보제공자가 등록한 정보를 검출한다(S325). 이와 달리, 정보의 검색방식이 제2검색방식이면(S315), 정보검색부(220)는 분야별로 미리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검색한다(S330). 이러한 분야별 등록정보에 대한 검색을 통한 정보제공 서비스에는 인명 전화번호, 상점 전화번호 등의 디렉토리 서비스와 같은 지식 정보 제공 서비스가 포함된다.
정보제공부(240)는 정보검색 타입분류를 통해 검색된 정보에 대해 상태 및 프레즌스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S335). 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택시를 찾았는데 택시 운전사가 통화 가능한지를 확인 하려면 택시 운전사 전화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택시의 프레즌스를 확인하고 싶으면 프레즌스를 통해 빈택시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혹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친구 찾기 등을 요구한 경우 그 친구의 스케쥴을 확인하기 위해 프레즌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레즌스의 확인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결과의 프레즌스나 상태를 확인하여 유효한 정보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할 정보의 검색이 완료되면, 정보제공부(240)는 검색결과를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인 정보제공방식을 결정한다(S340). 검색결과의 제공방식은 서비스요청자와 검색된 서비스제공자를 3자 통화로 연결해 주는 제1정보제공방식과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제2정보제공방식으로 분류된다. 만약, 제1정보제공방식이 검색결과의 제공방식으로 결정되면(S345), 정보제공부(240)는 API호출부(230)가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지시하며, API호출부(230)는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 사이에 호를 설정한다(S350). 제1정보제공방식에 의한 정보제공의 예로는 택시를 요청한 경우 택시 운전사와 서비스 요청자를 전화로 연결해 주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정보제공방식이 검색결과의 제공방식으로 결정되면(S345), 정보제공부(240)는 AIP호출부(230)가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지시하며, API호출부(230)는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해 전송한다(S355). 제2정보제공방식에 의한 정보제공의 예로는 서비스요청자가 인명의 전화번호를 요청한 경우 또는 특정 상점의 위치를 요청한 경우에 검색된 전화번호 또는 검색된 상점의 지도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 그림, 보이스, 음악, 문자 등의 모든 멀티미디어를 결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의 전달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제공자(400)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 정보를 등록한다(S410).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서비스제공자(400)에 해당하는 아이덴티티를 생성하여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에 등록한다(S415). 한편, 서비스요청자(405)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 이션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한다(S420).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는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로부터 키워드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S425),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 문자메시지의 도착을 통지한다(S430). 제1검색방식에 의해 검색을 수행할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서비스요청자의 위치를 획득한다(S435).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서비스요청자의 위치를 기초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제공가능한 정보들의 리스트(예를 들면,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한다(S440). 리스트의 검색이 완료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존재/가용성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위치기반으로 검색된 정보의 상태 및 프레즌스를 검색한다(S445). 이와 달리, 제2검색방식에 의해 검색을 수행할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한다(S450).
정보의 검색이 완료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따라 검색된 정보를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한다. 제1정보제공방식에 의해 검색결과를 제공할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에 호를 연결을 요청한다(S455).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는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에 호를 연결하고(S460), 서비스제공자 단말기(110)에 호를 연결한다(S465).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는 연결된 호를 통해 통화한다(S470). 이와 달리, 제2정보제공방식에 의해 검색결과를 제공할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개방형 게이트웨이(130)의 메시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검색된 정보를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해 전달할 것을 요청한다(S475). 개방형 게이트웨이(13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서비스요청자 단말기(140)에 전달한다(S48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차세대 통신망에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동망에 관련된 정보 뿐만 아니라 유선망, 무선망, IP 망 등 하부 망에 상관없이 쉽고 빠르게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통신망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무선 및 유선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즉 추상화된 통신망의 기능을 이용하여 하부 통신망에 독립적으로 정보 기술과 통신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표준으로 정의된 API를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정보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통신망에서 구축된 보안 기능과 정보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요구 조건을 갖추면서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의해 호출된 메시징 서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검색부;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 및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API호출부; 및
    상기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검색방식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제1검색방식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제2검색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색부는 상기 제1검색방식을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의 검색방식으로 결정하면, 상기 AIP호출부가 호출한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파악된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색부는 상기 제2검색방식을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의 제공형태로 결정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방식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와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 또는 검색된 정보의 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제1정보제공방식 및 상기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정보제공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제공방식이 상기 서비스요청자에 대한 정보제공방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API호출부가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API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존재/접촉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이용가능성을 파악한 후 상기 API호출부가 상기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제공방식이 상기 서비스요청자에 대한 정보제공방식으로 결정되면,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API호출부가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지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9. (a) 서비스요청자에게 제공될 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b)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의해 호출된 메시징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대응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호출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검색방식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제1검색방식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제2검색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정보의 검색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b2) 상기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이 상기 제1검색방식이면, 이동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결정된 정보의 검색방식이 상기 제2검색방식이면, 상기 (c)단계는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분야별로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방식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와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 또는 검색된 정보의 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제1정보제공방식 및 상기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정보제공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정보의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이 상기 제1정보제공방식이면,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d2)단계는,
    (d2-1) 존재/접촉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이용가능성을 파악하는 단계; 및
    (d2-2)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호제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서비스제공자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제공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3)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정보의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d4) 상기 결정된 정보의 제공방식이 상기 제2정보제공방식이면, 메시징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검색된 정보를 멀티미지어 메시지에 의해 상기 서비스요청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20040107227A 2004-12-16 2004-12-16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8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27A KR20060068514A (ko) 2004-12-16 2004-12-16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27A KR20060068514A (ko) 2004-12-16 2004-12-16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514A true KR20060068514A (ko) 2006-06-21

Family

ID=3716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227A KR20060068514A (ko) 2004-12-16 2004-12-16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5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047B1 (ko) * 2005-11-01 2007-09-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837210B1 (ko) * 2006-11-30 2008-06-12 (주)이엠넷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광고 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광고 대행 방법
KR100901929B1 (ko) * 2007-12-13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트랙 포지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8690B1 (ko) * 2008-06-27 2010-03-24 주식회사 이츠코리아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중계 장치 및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223A (ja) * 2002-03-06 2003-09-10 Ntt Docomo Inc オープンapi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50602A (ko) * 2002-12-10 200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통합망에서 개방형 서비스 api를 이용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060065241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정보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223A (ja) * 2002-03-06 2003-09-10 Ntt Docomo Inc オープンapi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50602A (ko) * 2002-12-10 200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통합망에서 개방형 서비스 api를 이용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060065241A (ko) * 2004-12-10 2006-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정보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047B1 (ko) * 2005-11-01 2007-09-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837210B1 (ko) * 2006-11-30 2008-06-12 (주)이엠넷 에이피아이를 이용한 광고 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광고 대행 방법
KR100901929B1 (ko) * 2007-12-13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트랙 포지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8690B1 (ko) * 2008-06-27 2010-03-24 주식회사 이츠코리아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중계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920B2 (en) Service authorizer
US8243910B2 (en) Single point of contact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US7610343B2 (en) Presence data management method
US8824643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veying presence information via voice mail
EP18894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enabled voice mail
KR20060034233A (ko)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984397A (zh) 用于路由针对某个电话号码的呼叫的方法和系统
CN101742004A (zh) 多呼叫中心系统中呼叫转接的方法和装置
KR20060086705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0484166C (zh) 用于根据文本查询直接连接电话呼叫的系统和方法
CN102572139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业务处理方法及装置
EP1466468B1 (en) Multi-modal messaging and callback with service authorizer and virtual customer database
KR100687719B1 (ko) 개방형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RU2465741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услуги обмена мультимедийными сообщениями
CN102469039A (zh) 智能的网络交流系统和方法
CN102546984B (zh) 一种实现客户服务电话实名的方法及其装置和系统
KR20060068514A (ko) 개방형 api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16834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several users, arrangement,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2089A (ko) 모바일을 이용한 고객응대 시스템
CN100438509C (zh) 统一消息智能路由的实现方法及其系统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3879391B2 (ja) 音声配信方法および装置
KR100619175B1 (ko) 메신저를 이용한 전화 통화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601107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바일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20040044720A (ko)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