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896A -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896A
KR20060067896A KR1020050123509A KR20050123509A KR20060067896A KR 20060067896 A KR20060067896 A KR 20060067896A KR 1020050123509 A KR1020050123509 A KR 1020050123509A KR 20050123509 A KR20050123509 A KR 20050123509A KR 20060067896 A KR20060067896 A KR 2006006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rd
opposing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106B1 (ko
Inventor
다카미츠 와다
아키라 기무라
히로키 가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택트 및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서, 고정부재는 하우징에 결합된다.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대향 부분을 갖는다. 이 대향 부분은 연결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나사 구멍은 대향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나사 구멍 각각은 제 1 방향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CONNECTOR HAVING A U-SHAPED FIXING MEMBER WITH SCREW HOLES}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카드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될 때, 카드 커넥터에 카드가 함께 삽입된 것을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카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카드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될 때, 카드 커넥터에 카드가 함께 삽입된 것을 도시한다.
도 5 는 도 4 의 카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택트 2 : 고정 금속 부재
2a, 2b : 나사 구멍 3 : 콘택트
8 : 나사 부재 10 : 베이스 부분
12 : 결합 부분 13 : 수용 구멍
20, 31 : 프레임 부분 23 : 유지 부분
24 : 끼움 장착 부분 30, 32 : 하우징
33 : 결합 부분 34 : 유지 부분
35 : 관통 구멍 36 : 콘택트 수용 부분
37 : 가이드 홈 46 : 베이스 부분
50 : 기판 51 : 관통 구멍
60 : 제 1 카드 70 : 제 2 카드
101 : 카드 커넥터 102 : 제 1 카드 커넥터
103 : 제 2 카드 커넥터
본 발명은, 예컨대, 카드 등의 연결시에 사용되는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카드 커넥터는 주로 노트북 PC, 휴대전화 및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PDA) 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사용된다.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단부에 배치된다. 카드 커넥터가 장치되는 하우징의 구조와 장치의 용도에 따라, 2종류의 카트 커넥터중 하나가 선택 사용되며, 즉, 1장의 카드를 수용하는 1슬롯 타입 또는 2장의 카드를 수용하는 2슬롯 타입의 2종류중 하나가 사용된다.
예컨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289772 호에는 1슬롯 타입 및 2슬롯 타입과 같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카드 커넥 터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에 장착되며, 제 1 커넥터에 적층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는 각각 상이한 카드를 수용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 2 커넥터에 고정된 너트와 너트에 결합되게 그 후면으로부터 기판를 관통하는 나사 부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너트는 제 1 커넥터에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카드 커넥터가 1슬롯 타입으로서 사용된다면, 너트는 제 1 커넥터에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가 1슬롯 타입 또는 2슬롯 타입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너트가 상이한 대상물에 고정된다. 따라서, 너트의 존재 유무에 따라 2 종류의 제 1 커넥터가 요구된다.
또한, 기판와 너트 사이의 간격은 1슬롯 타입과 2슬롯 타입 사이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의 어셈블리 메이커는 서로 다른 길이의 2종류의 나사 부재를 제공해야 한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162282호에는 U자형 금속 부재를 사용하는 2개의 카드 가이드를 클램핑하고,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카드 가이드와 금속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2슬롯 구조가 실현되는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2슬롯 타입 구조가 1슬롯 타입 구조로 변화되면, 서로 다른 길이의 2종류의 나사 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구조에 고정된 U자형 금속 부재와 1슬롯 타입 구조를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2슬롯 타입 구조가 실현되는 카드 커넥터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 상이한 U자형 금속 부재가 1슬롯 타입 구조에 상응하여 1대1로 제공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장착하고, 커넥터에 다른 것을 결합시킬 때 사용하는 단순한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커넥터만이 사용되는 1슬롯 타입 구조와 제 2 커넥터가 제 1 커넥터에 부가하여 사용되는 2슬롯 타입 구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 1 및 제 2 커넥터 양자가 사용되는 상태에서 제 2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제 1 커넥터만이 사용되는 다른 상태로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명세서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콘택트,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정 부재,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제 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대향 부분, 대향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대향 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나사 구멍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설명한다.
카드 커넥터 (101) 는 2 슬롯 타입이며, 접속 대상물로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50) 에 장착된다. 카드 커넥터 (101) 는 IC 카드, PC 카드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제 1 카드 (60) 를 수용하는 제 1 (하부) 커넥터 (102) 및 제 1 커넥터 (102) 위에 적층되어, 제 1 카드 (60) 와 유사한 IC 카드와 같은 제 2 카드 (70) 를 수용하는 제 2 (상부) 커넥터 (103) 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커넥터 (102, 103) 는 연직 방향 즉, 제 1 방향 (A1) 으로 기판 (50) 에 적층된다.
제 1 커넥터 (102) 는 베이스 부분 (10) 과 이 베이스 부분 (10) 에 결합되는 프레임 부분 (20) 을 포함하는 하우징 (3O) 을 구비한다. 프레임 부분 (20) 측면 방향 즉, 제 2 방향 (A2) 에서 그 뒷면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U자 형상 유지 부분 (23) 이 제공된다. 각각의 유지 부분 (23) 은 개구 또는 공간을 사이에 한정하는 한 쌍의 벽부분 (23a, 23b) 을 갖는다. 각각의 유지 부분 (23) 의 개구에는, 끼움 장착 부분 (24) 이 배치되어 고정 부재인 고정 금속 부재 (2) 를 수용하게 된다.
고정 금속 부재 (2) 는 제 1 방향 (A1) 으로 서로 마주하는 태핑 구멍 즉, 나사 구멍 (2a, 2b) 을 갖는다. 나사 구멍 (2a, 2b) 은 제 1 방향 (A1) 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대향 부분 (2c, 2d) 에 형성된다. 대향 부분 (2c, 2d) 은 연결 부분 (2e)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대향 부분 (2c, 2d) 과 연결 부분 (2e) 은 함께 U자형상을 이룬다.
베이스 부분 (10) 은 제 1 커넥터 (102) 의 복수 개의 콘택트 (1) 와 제 2 커넥터 (103) 의 복수 개의 콘택트 (3) 의 단자부 (terminal portion) 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 구멍 (13) 을 갖는 베이스 본체 (11) 와 제 2 방향 (A2) 으로 베이스 본체 (11) 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프레임 부분 (20) 의 유지 부분 (23) 에 수용되어 잠금되는 (lock) 되는 한 쌍의 돌출 결합 부분 (12)을 갖는다. 프레임 부분 (20) 은 콘택트 (1) 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구멍 및 홈으로 형성된 콘택트 수용 부분 (26) 을 갖는다.
콘택트 (1) 는 콘택트 수용 부분 (26) 에 수용되고, 베이스 부분 (10) 에 의해 정렬된다. 콘택트 (1) 는 베이스 부분 (10) 및/또는 프레임 부분 (20) 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콘택트 (1) 는 종래 기술의 인서트 몰딩에 의해 프레임 부분 (20) 또는 베이스 부분 (10) 에 몰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프레임 부분 (20) 의 중간에는 빗모양의 홈 및 관통 구멍이 제공되어 있어 콘택트 (1) 의 단자부가 이들에 삽입 및 수용된다.
제 2 커넥터 (103) 는 콘택트 (3) 를 지지하는 하우징 (32) 을 구비한다. 하우징 (32) 은 카드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프레임 부분 (31) 과 이 프레임 부분 (31) 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 (46) 을 구비한다. 프레임 부분 (31) 의 오목부 양측에는, 카드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 (37) 이 제공된다. 프레임 부분 (31) 은 그 오목부의 밑바닥측에 형성된 결합 부분 (33) 을 구비하며, 이 결합 부분은 종래에 공지된 요철형상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베이스 부분 (46) 은 그 후면의 일측에 형성된 콘택트 수용 부분 (36) 을 가지며, 이 수용 부분은 콘택트 (3) 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구멍 및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32) 은, 후면측의 양쪽 코너에 형성되어 관통 구멍 (35) 을 갖는 한 쌍의 유지 부분 (34) 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 (35) 은 제 1 커넥터 (102) 와 제 2 커넥터 (103) 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기판 (50) 은 카드 커넥터 (101) 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나사 부재 (5) 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 (51) 을 갖는다.
이하, 제 1 및 제 2 커넥터 (102, 103) 가 기판 (50) 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콘택트 (1) 의 일단부가 프레임 부분 (20) 의 콘택트 수용 부분 (26) 에 끼워진다. 이후, 베이스 부분 (10) 이 프레임 부분 (20) 에 수용되어 결합 부분 (12) 이 유지 부분 (23) 에 결합된다. 이 때, 콘택트 (1) 의 다른 부분은 베이스 부분 (10) 과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택트 (3) 의 일단부는 베이스 부분 (46) 의 콘택트 수용부 (36) 에 삽입된다. 또한, 콘택트 (3) 의 타단부는 베이스 부분 (10) 의 상부면으로부터 그 베이스 부분 (10) 의 수용 구멍 (13) 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커넥터 (102, 103) 는 기판 (50) 위에 2단 (two-tier) 구조로 적층된다. 그 후, 2개의 고정 금속 부재 (2) 가 각각 유지 부분 (23) 에 압입 (press-fit) 된다. 특히, 고정 금속 부재 (2) 는, 각각의 끼움 장착 부분 (24) 이 대향 부분 (2c, 2d)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움 장착 부분 (24) 에 끼워진다. 도 3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부재 (8) 와 나사 부재 (5) 는 상하로부터 관통 구멍 (35, 51) 을 통해 고정 금속 부재 (2) 의 나사 구멍 (2a, 2b) 에 들어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 1 카드 (60) 는 제 1 및 제 2 방향 (A1, A2) 에 수직한 제 3 방향 (A3) 으로 제 1 커넥터 (102) 에 대해 삽입 및 제거된다.
전술한 2슬롯 타입의 카드 커네터 (101) 에서, 제 1 커넥터 (102) 는 고정 금속 부재 (2) 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 (2b) 과 나사 부재 (5) 에 의해 기판 (50) 에 고정된다. 제 2 커넥터 (103) 는 고정 금속 부재 (2) 의 상부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 (2a) 과 나사 부재 (8) 에 의해 제 1 커넥터 (102) 에 고정된다. 따라서, 단지 나사 부재 (8) 를 제거하는 것 만으로, 제 2 커넥터 (103) 가 제 1 커넥터 (102) 로부터 제거되어, 1슬롯 타입 카드 커넥터가 얻어진다.
2슬롯 타입 및 1슬롯 타입 중 어느 것에서도, 카드 커넥터는 동일한 길이의 나사 부재 (5) 를 사용하여 기판 (50) 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종류의 제 1 커넥터 (102) 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셈블리 메이커는, 카드 커넥터가 하부 커넥터만을 포함하는 1슬롯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카드 커넥터가 상부 및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2슬롯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기판과 카드 커넥터를 고정하는 나사 부재의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한 종류의 나사 부재를 필요로 하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1슬롯 타입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부 및 하부 커넥터가 상부 커넥터를 하부 커넥터에 고정하는 나사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서로 분리된다. 상부 커넥터를 분리한 후, 하부 커넥터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하부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로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50) 에 장착되는 1슬롯 타입이다. 이 카드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의 제 1 커넥터 (102) 만을 구비하며, 따라서 동일한 부호 "102" 가 부여되어 있다.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카드 커넥터 (102) 는 도 1 내지 도 3 에 기술된 제 1 커넥터 (102) 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콘택트 (1) 는 프레임 부분 (20) 에 유지되며, 프레임 부분 (20) 은 베이스 부분 (10) 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카드 커넥터 (102) 는 기판 (50) 위에 배치된다. 이후, 관통 구멍 (51) 과 나사 구멍 (2b) 이 정렬된다. 나사 부재 (5) 가 기판 (50) 의 후면으로부터 관통 구멍 (51) 으로 삽입되고, 나사 구멍 (2b) 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하우징 (30) 의 프레임 부분 (20) 에 형성된 끼움 장착 부분 (24) 에 압입된 U자 형상 고정 금속 부재 (2) 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카드 커넥터 (102) 가 기판 (50) 에 고정된다.
전술한 카드 커넥터는 노트북 PC, 휴대전화 및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PDA) 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이 수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명세서가 접속 대상물 로서 IC 카드와 같은 카드를 사용한 카드 커넥터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다른 접속 대상물을 사용한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전자 장치 등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다수의 콘택트가 각각의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콘택트를 사용한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용 커넥터를, 1슬롯, 즉 단지 하부 커넥터만 있는 경우에도, 2슬롯, 즉 상부 커넥터와 하부 커넥터의 양쪽의 사용 중, 어느쪽으로 하는 경우에도, 어셈블리 메이커는 기판과 카드 커넥터를 고정하는 나사의 길이를 변경 하지 않고, 1종류의 나사로 대응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콘택트, 이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결합된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대향 부분,
    상기 대향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 및,
    상기 대향 부분에 제 1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나사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은, 상기 대향 부분 사이에 배치된 끼움 장착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장착 부분은 제 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나사 구멍과 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어 카드를 안내하는 프레임 부분을 가지며,
    상기 끼움 장착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 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은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벽 부분을 갖는 유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 장착부분은 상기 벽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은 제 2 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부분 및 끼움 장착 부분은 제 1 방향으로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의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제 2 방향으로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제 2 방향으로 양 단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유지 부분과 결합하게 되는 결합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은 제 1 및 제 2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콘택트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부분과 연결 부분은 함께 U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따른 커넥터,
    제 1 방향으로 커넥터의 일단부에 마주하는 기판, 및
    기판을 통과하여 상기한 대향 부분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커넥터의 일단부에 마주하는 추가의 커넥터, 및
    추가의 커넥터를 통과하여 다른 대향 부분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추가의 나사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50123509A 2004-12-15 2005-12-14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KR100688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2560A JP4010512B2 (ja) 2004-12-15 2004-12-15 コネクタ
JPJP-P-2004-00362560 200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896A true KR20060067896A (ko) 2006-06-20
KR100688106B1 KR100688106B1 (ko) 2007-03-02

Family

ID=3658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509A KR100688106B1 (ko) 2004-12-15 2005-12-14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2544B2 (ko)
JP (1) JP4010512B2 (ko)
KR (1) KR100688106B1 (ko)
CN (1) CN100435420C (ko)
TW (1) TWI2942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127A (ko)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탭홀 일체형 자재 및 탭홀 가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75515Y (zh) * 2007-06-26 2008-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TWI405370B (zh) * 2007-10-08 2013-08-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卡連接器
JP5344969B2 (ja) * 2009-04-02 2013-11-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及びそれに搭載されるハードディスク装置のホルダ
TWM388142U (en) * 2010-03-19 2010-09-0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Fixing device for a card connector
JP5513568B2 (ja) * 2012-08-31 2014-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CN109616797B (zh) * 2018-11-06 2020-06-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其扣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767B2 (ja) * 1992-11-20 1998-11-25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939854B2 (ja) * 1994-04-30 1999-08-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上下のドライブ装置を組付けたメモリカードドライブ装置
US5643001A (en) * 1996-07-26 1997-07-01 The Whitaker Corporation Memory card connector
JP3301922B2 (ja) * 1996-09-30 2002-07-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3122933B2 (ja) * 1997-04-11 2001-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スロット共用多段カードコネクタ
JP3368462B2 (ja) * 1997-12-02 2003-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454927Y (zh) * 2000-12-20 2001-10-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127A (ko)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마리카디자인 탭홀 일체형 자재 및 탭홀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8776A (zh) 2006-07-26
US7252544B2 (en) 2007-08-07
CN100435420C (zh) 2008-11-19
JP2006172857A (ja) 2006-06-29
TW200635149A (en) 2006-10-01
KR100688106B1 (ko) 2007-03-02
TWI294202B (en) 2008-03-01
JP4010512B2 (ja) 2007-11-21
US20060128214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06B1 (ko) 나사 구멍을 갖춘 u자형 고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US64820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US7983064B2 (en) Power adapter
US779639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heat sink
US20070249187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20050024245A (ko) 복수의 카드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소형화될 수 있는 카드장착 기구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US6997748B1 (en) Shielded shell for electronic connector
KR100387910B1 (ko) 부동 가이드 커넥터 및 방법
US6592408B2 (en) Sink-type audio socket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US645904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lectrical component holder
US2008011907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3777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4087177A (ja) カード接続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カードコネクタ
US6179650B1 (en) Modularized electric connector
CN100369531C (zh) 连接器保持构造
US6648680B1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assembly
US740207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4902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ver
US7252529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KR20090095471A (ko) 커넥터
US769531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0928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ing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