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232A -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232A
KR20060065232A KR1020040104028A KR20040104028A KR20060065232A KR 20060065232 A KR20060065232 A KR 20060065232A KR 1020040104028 A KR1020040104028 A KR 1020040104028A KR 20040104028 A KR20040104028 A KR 20040104028A KR 20060065232 A KR20060065232 A KR 2006006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rner
panel
panel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156B1 (ko
Inventor
김재년
Original Assignee
(주)금원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원알테크 filed Critical (주)금원알테크
Priority to KR102004010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1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곡률 반경을 확보함으로써,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손이 긁히거나 베이는 것과 같은 부상을 방지하며, 캐비넷 모서리의 부드러운 곡면 부분이 시각적으로 잘 띄므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조립 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벽(12,14)과 전후방벽(16,18)에 의해 그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된 된 다수개의 패널(5,10)을 고정수단(32,34,36)에 의해 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캐비넷(1)에 있어서, 외측면에 곡면부(23)가 형성된 코너바아(25)와, 이 코너바아(25)의 내측면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중공부(8)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편(27,28)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27,28)을 각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하여 상기 패널(5,10)들을 연결하면, 상기 코너바아(25)의 곡면부(23)가 서로 연결된 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Corner connection structure for a cabine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캐비넷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캐비넷의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10. 패널 23. 곡면부
25. 코너바아 27,28. 삽입편
본 발명은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곡률 반경을 확보함으로써,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신체 부분이 베이는 등의 부상을 방지하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한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장이나 실내 욕실장과 같은 캐비넷은 MDF와 같은 목재 패널을 사각 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캐비넷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사용자의 손이 찔리거나 긁히면서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코너부재를 부착한다. 이러한 라운딩 코너부재는 외측면이 라운딩 처리된 수지재의 띠부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욕실장과 같은 캐비넷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기도 한다. 즉, 알루미늄으로 패널을 압출 성형하고, 이 패널들을 서로 연결하여 캐비넷을 제작한다. 이처럼 알루미늄으로 캐비넷을 압출 성형할 경우,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패널의 끝부분을 약간 라운딩 가공하거나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을 연마 가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알루미늄재의 캐비넷은 패널의 모서리 부분을 큰 곡률로 벤딩하면, 패널의 조립 작업 등이 곤란하므로, 약간만 벤딩할 수밖에 없으며, 연마 가공의 경우 패널의 개별판의 두께가 얇아서 충분한 연마면을 확보하기가 불가능하며, 연마 가공시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알루미늄 캐비넷은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곡면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사용중에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손이 베이는 등의 부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알루미늄 캐비넷은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곡면이 확보되지 못하여, 외관상으로도 모서리의 곡면부가 거의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곡률 반경을 확보함으로써,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손이 긁히거나 베이는 것과 같은 부상을 방지하며, 캐비넷 모서리의 부드러운 곡면 부분이 시각적으로 잘 띄므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며, 조립 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벽(12,14)과 전후방벽(16,18)에 의해 그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된 된 다수개의 패널(5,10)을 고정수단(32,34,36)에 의해 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캐비넷(1)에 있어서, 외측면에 곡면부(23)가 형성된 코너바아(25)와, 이 코너바아(25)의 내측면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패 널(5,10)의 중공부(8)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편(27,28)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27,28)을 각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하여 상기 패널(5,10)들을 연결하면, 상기 코너바아(25)의 곡면부(23)가 서로 연결된 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너바아(25)에는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편(29)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편(27,28)을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하여 연결하였을 때, 상기 지지편(29)이 상기 패널(5,10)의 내외벽(1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면(12,14)에 접촉되면서 이 벽면(12,14)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웃한 패널(5,1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널(5,10)의 내벽(12) 또는 외벽(14)에는 상대편 패널(5,10)을 관통하는 체결구(36)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보스(3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34)는 상기 패널(5,10)의 전방벽(16) 또는 후방벽(18)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부재(20)의 삽입편(27,28)을 상기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편(27,28)이 체결보스(3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패널(5,10)은 그 내외벽(12,14)과 전후방벽(16,18)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8)의 일측단에 상기 내벽(12)이 후퇴되어 이루어진 확장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27,28)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편(27,28)은 그 내측면에 상기 확장결합홈(17)에 삽입되도록 단차진 확장돌기(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캐비넷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캐비넷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 다수개의 금속패널(5,10)을 고정수단(32,34,36)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여 캐비넷(1)을 형성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외측면에 곡면부(23)가 형성된 코너바아(25)와, 이 코너바아(25)의 내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편(27,28)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편(27,28)이 각 금속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되어 각 금속패널(5,10)을 연결하며, 상기 코너바아(25)의 곡면부(23)는 서로 연결된 상기 금속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코너바아(25)는 그 외측면에 곡면부(23)가 형성된 바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너바아(25)의 내측면 상하단에는 직각 방향으로 한 쌍의 삽입 편(27,28)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편(27,28)은 그 외측면에 직각부가 형성되도록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삽입편(27,28)은 각 금속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한 금속패널(5,10)을 예비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편(27,28) 중에서 하나의 삽입편(27)은 금속패널(10)의 전방벽(16)에 접촉되어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편(28)은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에 접촉되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과 접촉되는 삽입편(28)에는 볼트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에는 상기 삽입편(28)의 볼트공(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편(27,28)이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되어 상기 이웃한 패널(5,10)을 예비적으로 연결하고, 이렇게 연결된 각 패널(5,10)이 고정수단(32,34,36)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32,34,36)은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에 접촉되는 상기 삽입편(28)에 형성된 볼트공(32)과, 서로 이웃한 패널(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10)의 내벽(12) 또는 외벽(14)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보스(34)와, 다른 하나의 패널(5)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34)에 삽입되는 체결구(36) 및 상기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편(28)의 볼트공(32)에 체결되는 체결구(36)로 구성된다. 이때, 서로 이웃한 상기 금속패널(5,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널(5)의 외벽(14)에는 상대편 금속패널(10)의 체결보스(34)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2)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편(27,28)을 각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하여 상기 코너바아(25) 외측면에 형성된 곡면부(23)가 각 금속패널(5,10)의 모서리 부분 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금속패널(5,10)의 후방벽(18)에서 상기 삽입편(28)의 볼트공(32)에 체결구(36)를 체결하고, 상기 금속패널(5)의 외벽(14)에 형성된 구멍(2)을 관통하여 상대편 금속패널(10)의 체결보스(34)에 체결구(36)를 체결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금속패널(5,10)을 연결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너바아(25)의 외측 곡면부(23)가 서로 연결된 금속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므로,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4,36)은 서로 이웃한 패널(5,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널(10)의 내벽(12) 또는 외벽(14)에 형성된 체결보스(34)와, 다른 하나의 패널(5)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34)에 체결되는 체결구(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2,36)은 상기 한 쌍의 삽입편(27,28)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32)과, 상기 각 패널(5,10)의 전후방벽(16,18)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편(27,28)의 볼트공(32)에 체결되는 체결구(36)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수단(32,34,36)은 상기 패널(5,10)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상기 코너바아(25) 외측면에 형성된 곡면부(23)가 서로 연결된 상기 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너부재(20)의 곡면부(23)는 패널(5,10)의 모서리 부분을 약간만 벤딩하거나 연마 가공하는 종래에 비하여 충분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곡면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곡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캐비넷(1)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손이 베이는 등의 부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넷(1) 모서리 부분의 곡면부(23)가 충분한 면적으로 이루어져,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미려한 곡면부(23)가 잘 띄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코너바아(20)는 크롬도금과 같은 광택성 도금으로 처리되어, 장식적으로 액센트를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코너바아(2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편(29)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편(29)은 코너바아(25)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삽입편(27,28)을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내부에 삽입하였을 때, 각각의 패널(5,10)의 외벽(14)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코너바아(25)의 지지편(29)에 의해 각 패널(5,10)의 외벽(14)이 지지되어, 각 패널(5,10)의 외벽(14)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지지편(29)이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패널(5,10)의 외벽(14)에 외부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조적으로 캐비넷(1)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편(29)은 금속패널(5,10)의 외벽(14) 뿐만 아니라 내벽(12)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보스(34)는 각 패널(5,10)의 내벽(12)에 패널(5,10)의 전방벽(16)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5,10)의 내벽(12)에는 그 후방벽(18)과 인접된 위치에 확장결합홈(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편(27,28) 중에서 볼트공(32)이 형성된 삽입편(28)은 그 내측면에 상기 확장결합홈(17)에 삽입되도록 단차진 확장돌기(22)가 구비되어, 상기 확장돌기(22)가 상기 확 장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편(27,28)을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중공부(8)에 반씩 삽입하여 상기 패널(5,10)을 연결할 때, 상기 삽입편(27,28) 중에서 볼트공(32)이 형성된 삽입편(28)은 상기 패널(5,10)의 확장결합홈(17)에 끼워지고, 볼트공(3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삽입편(27)은 상기 체결보스(34)와 패널(5,10)의 전방벽(16)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삽입편(27,28)을 서로 이웃한 패널(5,10)의 중공부(8)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편(27)과 체결보스(34) 사이의 간섭을 피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패널(5,10)의 연결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널(5,10)의 확장결합홈(17)에 상기 볼트공(32)이 형성된 삽입편(28)의 확장돌기(22)가 끼워져, 상기 패널(5,10)의 후방벽(18)에 형성된 구멍(2)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편(28)의 볼트공(32)에 볼트 등의 체결구(36)를 체결할 때, 상기 삽입편(28)이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34)도 삽입편(27)이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5,10)의 내벽(12) 후방에는 레일(11)이 형성되어, 이 레일(11)에 별도의 보드(도시되지 않음)를 끼워서 캐비넷(1)의 배면판을 형성하는데, 상기 확장결합홈(17)은 패널(5,10)의 내벽(12)이 상기 레일(11) 방향으로 후퇴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레일(11)의 자유단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공(32)이 형성된 삽입편(28)의 단차진 확장돌기(22)가 상기 패널(5,10)의 확장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편(28)의 확장돌기(22)가 상기 패널(10)의 확장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편(28)의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결합홈(17)이 상기 패널(5,10)의 레일(11) 부분을 향하여 내측단으로 후퇴되어 이루어져서, 상기 레일(11)의 자유단이 적어지기 때문에, 상기 레일(11)에 보드를 끼워 캐비넷(1)의 배면판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배면판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일(11)의 자유단이 쉽게 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므로, 캐비넷(1)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코너바아에 구비된 삽입편이 서로 이웃한 패널의 내부로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패널을 연결하면, 상기 코너바아의 외측면에 형성된 곡면부가 서로 연결된 패널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코너바아의 곡면부에 의해 캐비넷의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곡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캐비넷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손이 긁히거나 베어서 상처를 입는 등의 부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비넷 모서리 부분의 곡면부가 충분한 면적으로 이루어져, 부드럽고 미려한 곡면부가 눈에 잘 띄게 되므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너바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편이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 각각의 패널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접촉되면서 각 패널의 내벽 또는 외벽이 지지되기 때문에, 패널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캐비넷이 구조적으로 보 다 견고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너바아의 삽입편은 상기 패널의 전방벽과 후방벽과 접촉되도록 상기 패널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의 내벽 또는 외벽에는 그 전방벽 또는 후방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체결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코너바아의 삽입편을 패널의 내부에 삽입할 때, 상기 체결보스에 의해 상기 삽입편이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삽입편을 패널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패널의 연결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확장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삽입편 중에서 볼트공이 형성된 삽입편이 상기 확장결합홈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확장결합홈에 의해 삽입편의 위치가 잡혀져서, 상기 삽입편의 볼트공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체결하여 각 패널을 연결 조립할 때, 상기 삽입편이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지지되기 때문에, 패널의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확장결합홈은 금속패널의 후방에 형성된 레일 방향으로 소정 깊이 후퇴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레일의 자유단이 적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에 별도의 보드를 끼워 캐비넷의 배면판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배면판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자유단이 쉽게 휘어지는 것 등을 방지하기 때문에, 캐비넷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된 다수개의 패널(10)을 고정수단(32,34,36)에 의해 박스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캐비넷(1)에 있어서, 외측면에 곡면부(23)가 형성된 코너바아(25)와, 이 코너바아(25)의 내측면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패널(10)의 중공부(8)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편(27,28)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편(27,28)을 각 패널(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패널(10)들을 연결하면, 상기 코너바아(25)의 곡면부(23)가 서로 연결된 패널(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넷(1)의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23)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바아(25)에는 서로 이웃한 패널(10)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편(29)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편(27,28)을 서로 이웃한 패널(10)의 중공부(8)에 삽입하여 연결하였을 때, 상기 지지편(29)이 상기 패널(10)의 내외벽(1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면(12,14)에 접촉되면서 이 벽면(12,14)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한 패널(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널(10)의 내벽(12) 또는 외벽(14)에는 상대편 패널(10)을 관통하는 체결구(36)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보스(34)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34)는 상기 패널(10)의 전방벽(16) 또는 후방벽(18)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코너부재(20)의 삽입편(27,28)을 패널(10)의 중공부(8)에 삽입할 때, 상기 삽입편(27,28)이 체결보스(3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5,10)은 그 내외벽(12,14)과 전후방벽(16,18)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8)의 일측단에 상기 내벽(12)이 후퇴되어 이루어진 확장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27,28)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편(27,28)은 그 내측면에 상기 확장결합홈(17)에 삽입되도록 단차진 확장돌기(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KR1020040104028A 2004-12-10 2004-12-10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KR10061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28A KR100614156B1 (ko) 2004-12-10 2004-12-10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028A KR100614156B1 (ko) 2004-12-10 2004-12-10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232A true KR20060065232A (ko) 2006-06-14
KR100614156B1 KR100614156B1 (ko) 2006-08-21

Family

ID=3716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028A KR100614156B1 (ko) 2004-12-10 2004-12-10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779B1 (ko) 2010-04-28 2011-12-21 김부근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AU2014376416B2 (en) * 2014-01-10 2019-08-29 Valinge Innovation Ab A furniture panel
KR101867038B1 (ko) * 2017-04-18 2018-07-17 우주웰보드 주식회사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102154062B1 (ko) * 2020-03-25 2020-09-09 신재훈 가구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561426B1 (ko) * 2021-07-12 2023-07-31 새한솔루텍 주식회사 욕실 상부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156B1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3820C2 (ru) Дверная ручка
WO2001026078A3 (en) Multi-sided display holder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US6073784A (en) Shelving system
US3961456A (en) Molding for cabinets and doors
CA2318670A1 (en) Piece of furniture
KR101942056B1 (ko) 조립식 가구
JP3882164B2 (ja) 間仕切りパネルにおけるパネル板の取付具と、それを使用する間仕切りパネル
KR200295294Y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200360505Y1 (ko) 수납장
EP2000760B1 (en) Household refridgerator door
KR940002906Y1 (ko) 패널의 외곽 프레임 모서리 연결구조
US7380385B2 (en) Adjustable length decoration panel
JP6892959B1 (ja) 仕切板付き天板
USD491278S1 (en) Acrylic window insert for a garage door
KR200319062Y1 (ko) 장식장 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259369Y1 (ko) 조립식선반
CN215776662U (zh) 一种用于柜体的支撑结构
KR20090011062U (ko) 가구용 패널의 코너 마감부재
CN211448091U (zh) 一种条形拉手结构
KR200246397Y1 (ko) 가구용 패널
KR200168260Y1 (ko) 실내방화문의 목재장식물 고정구조
RU65930U1 (ru) Доборная доска и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из нее
JP4167953B2 (ja) 接続ユニット内蔵建具と接続ユニット及び接続金具
JP2787567B2 (ja) 棚受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