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779B1 -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779B1
KR101095779B1 KR1020100039356A KR20100039356A KR101095779B1 KR 101095779 B1 KR101095779 B1 KR 101095779B1 KR 1020100039356 A KR1020100039356 A KR 1020100039356A KR 20100039356 A KR20100039356 A KR 20100039356A KR 101095779 B1 KR101095779 B1 KR 10109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channel
profile plate
frame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928A (ko
Inventor
김부근
Original Assignee
김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근 filed Critical 김부근
Priority to KR102010003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7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에 필요한 전기전자부품을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를 사용하여 제어반의 측벽을 형성할 때, 각 모서리에서 고정쇠(40)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FRAME APPARATUS FOR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해상 판넬, 선박의 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제어판넬 등으로 불리는 제어반은 설비, 기계 등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류 및 스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어반은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설치하도록 하는데, 제어반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장치는 통상 판재를 절곡하고 용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판재의 용접작업을 통해 제어반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에 따라 다양한 불량요인을 발생시키고, 외관적으로도 미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박, 해상용 제어반의 경우 용접부위는 장기적으로 부식의 우려가 높고, 지속적인 동적 하중으로 인한 파손의 원인이 된다. 예컨대, 용접작업에 의한 제어반의 제작은 용접할 때 각 도면의 치수를 일일이 줄자, 각도계 및 간이형의 측정 기구로 측정하여 도면의 치수에 맞게 판재에 마킹한 후, 용접하게 되므로, 기준이 명확하지 않는 상태로 작업자에 따라서 위치가 조금씩 차이가 날수밖에 없어 작업 자체가 불편하고, 다양한 불량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65112호 "수·배전반 구조"는 전면의 중심과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볼트 또는 스크류의 나사부가 삽입될 정도의 폭으로 개방되고 내측으로 이 개방된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너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너트 홈과, 정면에 위치한 상기 너트 홈 전방으로 형성된 단턱과, 정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T’자형으로 돌출된 돌기와, 후면에 길이방향으로 중심이 개방된 구조의 슬롯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을 사각 틀 형태로 고정시켜 주는 체결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 2개의 사각 틀을 박스 형태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L’자형의 단면을 갖고 양면에 각각 사각으로 관통된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 체결공을 통해 볼트로 메인 프레임의 너트공에 끼워진 너트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과; 철판의 양단이 각각 ‘ㄷ’자 모양으로 벤딩된 형태로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 고정공을 통하여 볼트로 메인 프레임의 너트공에 끼워진 너트에 고정되어 측면 및 천정을 마감하는 패널과; 박스 형태의 골조 전면에 개폐되도록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 패널로 구성되는 프레임 장치를 제안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생산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부품의 상태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직접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물류비의 절감을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18851호 "배전반'은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대와 공동으로 역 T 자를 구성하는 1 쌍의 종부재를 기대의 좌ㆍ우측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종부재의 절곡편에 단면이 L 자형 및 コ자형인 횡부재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장치를 제안하여, 부품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0204호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은 소정의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 차단기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시스템과, 직교하는 부스바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커넥터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착탈식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부스바를 절단, 절곡하거나 홀 가공하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MCC반)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통상 수전반 또는 배전반으로 불리는 대형 제어반의 용접방식을 배제하기 위해 프로파일(profile)을 적용하여 프레임 장치와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기기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프레임 장치의 외측 둘레면을 이루는 판재들을 프로파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여전히 대량의 스크류(screw; 나사, 볼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역시 작업시간의 증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외부 통제가 이루어지는 대형 수·배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통제가 어려운 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소형 배전반의 경우 스크류 결합에 의한 프레임 장치의 경우 무모한 분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많은 스크류들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해상 판넬, 선박의 제어반과 같이 수밀구조가 요구되는 제어반에 적용하여, 용접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량의 스크류를 사용하므로써 발생되는 조립 작업과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써, 소형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이 미려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어에 필요한 전기전자부품을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 전기전자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결합되는 도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채널(31)이 형성되고,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모서리 맞춤결합되므로써 측벽을 이루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및,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모서리 맞춤결합과 대응되는 사이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양측의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1)에 상기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가 서로 대응되어 삽입결합되므로써, 상기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쇠(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도어부(60)가 위치되는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외주면상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오목 채널(34) 및, 상기 오목 채널(34)을 따라 부착되는 패킹(39)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부(60)는 상기 오목 채널(3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 채널(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도어부(60)가 위치되는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반대측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채널(33)이 형성되도록 상기 채널(33)의 외측을 지지하는 테두리(32)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부(60)의 반대측에서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0)에 평판의 플레이트를 삽입시켜 후면(2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는 상기 채널(31)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미세 돌기(31a)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쇠(40)의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는 상기 미세 돌기(31a)와 대응되는 면상에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사이 공간(45)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따르면, 프로파일 플레이트(30)를 사용하여 제어반의 측벽을 형성할 때, 각 모서리에서 고정쇠(40)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프로파일 플레이트(30)와 고정쇠(40)를 사용하여 도어부(20)도 함께 구성할 수 있고, 후면(22)과 도어면(62)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해상 판넬, 선박의 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몸체와 도어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측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밝힌 종래기술들,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와 관련된 기술들 및 다양한 소재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기술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특별하게 구성되는 몸체부(20)와 도어부(60)를 구비하여,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설치하도록 제어반의 골격을 이루고, 제어에 필요한 전기전자부품을 내부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20)는 전기전자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부(60)는 몸체부(20)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을 사용하여 몸체부(20)와 도어부(60)의 측벽을 형성하면서 평판의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몸체부(20)의 후면(22)과 도어부(60)의 도어면(6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부(60)는 필요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블록(66)에 의해 결합되며, 임의로 열고 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 블록(66)의 반대측에 열쇠(64)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걸쇠(24)가 설치되어 벽면 등에 못 등으로 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고,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의 맞춤 결합을 위해 사각의 모서리에 고정쇠(4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쇠(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 자체로 맞춤되는 구조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의 각 면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몸체부(20) 또는 도어부(60)의 측벽을 이루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의 성형방향을 지칭한다. 즉,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는 바람직하게 압출성형을 통해 연속되는 바 형태로 형성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 외에도 그 강도를 높이거나 조립에 필요한 추가적인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서리 맞춤결합이라 함은 평행하게 형성된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몸체부(20)와 도어부(60)를 형성할 때, 하나의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끝단과 다른 프로파일 플레이트의 끝단이 맞대어지는 형태를 지칭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모서리 맞춤결합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각 박스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모서리 맞춤결합은 설계자 또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몸체와 도어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측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몸체부(20)가 프로파일 플레이트(30)와 고정쇠(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프로파일 플레이트(30)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채널(31)이 형성되고,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모서리 맞춤결합되므로써 측벽을 이룬다. 그리고, 고정쇠(40)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모서리 맞춤결합과 대응되는 사이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를 구비하여,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양측의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1)에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가 서로 대응되어 삽입결합되므로써,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를 고정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도어부(60)는 상술한 몸체부(20)와 동일하게 프로파일 플레이트(30')와 고정쇠(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0)와 도어부(60)에 적용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는 그 크기가 다를 뿐 그 구성 및 작용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고정쇠(4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통되는 채널(3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는 하나의 단면 구조를 네 측변에 모두 적용하므로써, 서로 다른 단면구조의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작비용의 절감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는 동일한 단면을 갖는 두 종류{몸체부(20)와 도어부(60)}가 적용되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몸체부(20)와 도어부(60) 사이에서 안정적인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20)는 도어부(60)가 위치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외주면상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오목 채널(34)을 갖고, 이 오목 채널(34)을 따라 부착되는 패킹(39)을 갖는다. 그리고, 도어부(60)는 오목 채널(3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 채널(38)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어부(60)가 몸체부(20)에 닫혔을 때, 도어부(60)의 볼록 채널(38)은 몸체부(20)의 오목 채널(34)로 삽입되어 위치되고, 고무패드와 같은 패킹(39)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20)와 도어부(60)의 전체 둘레를 통해 안정적인 밀폐가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제어반의 후면(22)과 도어면(62)의 설치시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0)는 도어부(60)가 위치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반대측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채널(33)이 형성되도록 채널(33)의 외측을 지지하는 테두리(32)를 가지므로써, 도어부(60)의 반대측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0)에 평판의 플레이트를 삽입시켜 후면(22)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고정쇠(40)를 사용하여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를 고정한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고정쇠(40)와 동일하게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의 모서리 맞춤결합과 대응되는 사이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돌기(52, 54)를 갖는 보조 고정쇠(5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보조 고정쇠(50)는 볼트와 너트의 고정을 통해 프로파일 플레이트(30)에 고정쇠(4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고정쇠(40)가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의 채널(31)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에서 프로파일 플레이트(30)는 채널(31)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미세 돌기(31a)을 갖는다. 그리고, 고정쇠(40)의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는 미세 돌기(31a)와 대응되는 면상에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사이 공간(45)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46)를 갖는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걸림 돌기(46)는 고정쇠(40)의 각 끝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크기를 갖도록 하여, 고정쇠(40)를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1)에 삽입시킬 때, 처음에는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하고, 나중에는 빡빡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해상 판넬, 선박용 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의 조립과정을 보면, 도 6과 같이 모든 구성요소들이 준비된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와 좌우에서 하나씩의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를 배치하면서 몸체부(20)와 도어부(60)의 측벽 일부를 형성한다. 이때, 후면(22) 및 도어면(62)을 이루는 평판 플레이트를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에 끼워 넣어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이와 같은 과정에서 스크류를 전혀 사용할 필요없이, 맞대고자 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의 각 모서리에 고정쇠(40)를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편의 프로파일 플레이트(30, 30')와 고정쇠(40)를 준비하여 후면(22)과 도어면(62)을 이루는 평판 플레이트에 끼워 전체적인 결합을 이루이게 된다. 그리고, 보조 고정쇠(50)를 각 모서리에 부착시켜서 최종적인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20 : 몸체부
21 : 후면 30 : 프로파일 플레이트
31, 33 : 채널 31a : 미세 돌기
32 : 테두리 34 : 오목 채널
38 : 볼록 채널 39 : 패킹
40 : 고정쇠 42 : 제 1 삽입 돌기
44 : 제 2 삽입 돌기 45 : 공간
46 : 걸림 돌기 60 : 도어부

Claims (4)

  1. 삭제
  2. 제어에 필요한 전기전자부품을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있어서,
    전기전자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결합되는 도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는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채널(31)이 형성되고,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어 모서리 맞춤결합되므로써 측벽을 이루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 및,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모서리 맞춤결합과 대응되는 사이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를 구비하여, 상기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양측의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1)에 상기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가 서로 대응되어 삽입결합되므로써, 상기 모서리 맞춤결합되는 프로파일 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고정쇠(4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도어부(60)가 위치되는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외주면상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오목 채널(34) 및,
    상기 오목 채널(34)을 따라 부착되는 패킹(39)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부(60)는 상기 오목 채널(3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 채널(3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도어부(60)가 위치되는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반대측에 내측 수직방향으로 채널(33)이 형성되도록 상기 채널(33)의 외측을 지지하는 테두리(32)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부(60)의 반대측에서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채널(30)에 평판의 플레이트를 삽입시켜 후면(2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는 상기 채널(31)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미세 돌기(31a)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쇠(40)의 제 1 삽입 돌기(42)와 제 2 삽입 돌기(44)는 상기 미세 돌기(31a)와 대응되는 면상에 상기 프로파일 플레이트(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사이 공간(45)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20100039356A 2010-04-28 2010-04-28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109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56A KR101095779B1 (ko) 2010-04-28 2010-04-28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56A KR101095779B1 (ko) 2010-04-28 2010-04-28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28A KR20110119928A (ko) 2011-11-03
KR101095779B1 true KR101095779B1 (ko) 2011-12-21

Family

ID=4539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356A KR101095779B1 (ko) 2010-04-28 2010-04-28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9779A (zh) * 2018-08-27 2018-11-27 江苏南瑞帕威尔电气有限公司 一种加强型开关柜后门及加强型开关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804A (en) * 1979-04-11 1980-10-25 Tamura Shokai Kk Method of fabricating frame of distribution box
JP2002078537A (ja) * 2000-09-06 2002-03-19 Kokuyo Co Ltd 収納庫本体
KR100614156B1 (ko) 2004-12-10 2006-08-21 (주)금원알테크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804A (en) * 1979-04-11 1980-10-25 Tamura Shokai Kk Method of fabricating frame of distribution box
JP2002078537A (ja) * 2000-09-06 2002-03-19 Kokuyo Co Ltd 収納庫本体
KR100614156B1 (ko) 2004-12-10 2006-08-21 (주)금원알테크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28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598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металлический профиль для сборки состав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и внутренних деталей шкафов
US6516955B1 (en) Modular cabinet frame
GB2304235A (en) Corner connection element
US6238028B1 (en) Rack with several assembly levels
US8319106B2 (en) Carrying device for busbars
HU222209B1 (hu) Kapcsolószekrény
KR20050080447A (ko)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1074961B1 (ko)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0540204B1 (ko)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101095779B1 (ko)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0629901B1 (ko) 알루미늄 조립식 배전반
RU2008140309A (ru)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и набор комплектующих для него
AU2015299736A1 (en) An interconnection and insulation module for busbars
KR20150117400A (ko)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US8801442B2 (en) Device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multiple round plug
KR200331163Y1 (ko) 배전반
US20100193214A1 (en)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GB2295078A (en) Frame for electronics appliance cabinet
KR20080090907A (ko) 판형 회전방지구가 적용된 부스 덕트 연결용 조인트 키트
KR20120000449A (ko) 조립식 배전함
KR100337207B1 (ko) 조립식박스체
KR100753636B1 (ko) 판체 지지용 프레임
JP3785943B2 (ja) 接続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住宅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