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559A -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559A
KR20060064559A KR1020057020744A KR20057020744A KR20060064559A KR 20060064559 A KR20060064559 A KR 20060064559A KR 1020057020744 A KR1020057020744 A KR 1020057020744A KR 20057020744 A KR20057020744 A KR 20057020744A KR 20060064559 A KR20060064559 A KR 2006006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module
rooftop air
heat exchanger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를-하인츠 하쎌
지크베르트 쇤
바브리크 미로슬라프
Original Assignee
테르모 킹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3145997 external-priority patent/DE10345997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315237U external-priority patent/DE20315237U1/de
Application filed by 테르모 킹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르모 킹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6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탑 공기조화 시스템 K(4),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용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일련의 장치를 포함하며, 이 장치는 내부 냉각제의 작용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고압측 열교환장치(54)로 구성되며, 고압측 열교환장치는 팬 장치(16), 팽창 장치(52), 증발 장치(36) 및 조화될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 덕트 설비(12)를 포함하며, 증발 장치(36)와 열을 교환한다.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는 모듈형 디자인(6)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유형의 결합 모듈(6a,6b) 연결부가 제공, 준비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6, 즉 6a,6b)은 동일한 출력 모듈 및 또는 단차 출력 모듈의 격자형 결합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ROOF-TOP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PARTICULARLY A BUS}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특히 상용차(commercial vehicles)를 포함하는 육상용 차량용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작동식 및 비레일 작동식 상용차에 대한 수요가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요점은 버스의 루프탑 공기조화기이다.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유형의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US-A 4 679 616 명세서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루프탑 공기조화기에서, 전체 고압측 열교환기 및 관련 팬은 제 1 모듈로서 단일 하우징 내에 결합된다. 제 2 모듈은 일반적으로 하기에서 증발 장치로 지칭되는, 전체 증발기와 관련 송풍기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이러한 두 모듈은 더 작은 모듈들로 더 세분되지 않는다. 유일한 방안은 이러한 모듈들 중 하나를 제거하여 새로운 것으로 재설치하거나 대체하는 것 또는, 이러한 두 모듈과 관계없이 전체 공기조화기를 조립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공기조화기의 디자인은 각 차량의 필요조건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정된다. 특히, 이는 상이한 차량의 상이한 출력 필요조건에 대해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유형의 다수의 모듈, 또 는 동일하거나 단차형인 출력의 짝수 모듈의 사용은 한편으로는 고압측 열교환장치에 대해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증발 장치에 대해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특허의 모듈 디자인으로 가능한 유선형 효과는 상대적으로 작다.
대체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고압측 열교환장치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인 점에서,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더욱 효율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임계치 이하로 작동될 경우 압축장치이고, 임계치 이상으로 작동될 경우 가스 냉각기이다(청구항 제29항 참조).
이러한 전체적인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통해 충족된다.
본 발명은, 제조비용 및 차량의 루프에 필요한 공간의 관점에서 고압측 열교환장치가 공기조화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이를 깨달음으로써, 본 발명은 차량 유형에 따라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치수를 결정(dimensioning)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조, 보관,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모듈로 지칭되는 모듈 구성요소의 유용성에 1차적 주의를 기울인다. 이론적으로는, 단일 유형의 모듈만이 고압측 열교환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모듈은, 적어도 공칭 출력 및 압력 손실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버스와 같은 차량 유형과는 무관하게 모든 구성요소의 구성 및 치수와 관련하여 최소 설계된다. 높은 공칭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모듈화된 조립체는 차량 각각의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이 균일하고 표준화된 모듈로 조립된다.
청구항 제8항과 관련하여 하기에 언급하는 바와 같이, 개별 모듈의 구성을 표준화하는 것은 특히 개별 모듈의 하우징을 표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직사각형 모듈에 대한 길이, 폭 및 높이와 같은 외부 치수뿐만 아니라 이상적으로 그 전체를 고려한 것이며, 모듈의 제조를 위한 고체적의 생산부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유형의 동일한 모듈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기하학적으로 특히 명백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개별 모듈이 단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은 이러한 모듈이 지정된 모듈 세트(module set)로부터 획득될 경우 완수되며, 또한, 지정된 모듈 세트는 예를 들어, 두 개의 동일한 모듈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두 배의 공칭 출력으로 고압측 열교환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US-A 4 679 616에 언급된 종래기술의 설계 방식과 혼동되지 않을 것이며, 즉, 본 발명은 항상 고압측 열교환장치용 단일 모듈만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각 차량의 설계를 위해 개별적으로 이러한 모듈을 재치수화하고 구성하여, 상이한 차량 유형에 맞는 모듈식으로 모듈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은 생산 부품이 각각의 공개공보에서 모듈로 지칭된 경우에도 공칭 출력에 따라 차량 특유의 하우징 내부에 상이한 개수의 고체적 생산 부품을 함께 연결하는 공지된 설계 방식과 혼동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US 5 121 613 A에서, 이러한 생산 부품들은 핀형 냉각제 이송관(finned coolant conveying tubes)을 갖는 열교환기 요소로 설계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고정식 냉각 시스템의 하우징 내부에서 몇 개라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DE 195 05 403 C2에 따른 차량용 루프탑 공기조화기에서, 증발 장치뿐만 아니라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임의의 개수의 상이한 생산 부품들은 단일 차량의 특정 하우징을 제외하고, 차량의 횡방향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들 부품은 한편으로는 증발기 요소를, 다른 한편으로는 응축기 요소를 포함한다. DE 77 14 617 U1에서 응축기 패키지와 증발기 패키지를 갖는 차량용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유사한 개념이 제안되며, 각각의 패키지는 고체적의 부품으로 설계되어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 표준 설계 길이를 가지며 동일한 생산 요소가 횡방향으로 결합된다.
상이한 공칭 출력의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모듈형 키트(modular kits)에서만 동일한 공칭 출력을 갖는 모듈이 이용 가능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가장 단순한 형태가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구현되며, 다른 경우, 두 개 이상의 동일한 형태의 모듈이 요구되는 공칭 출력에 기초하여 격자 형태로 동시에 결합된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은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이용 가능한 모듈 시스템에서 상이한 공칭 출력을 갖는 상이한 베이스 모듈을 통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상이한 공칭출력들은, 예를 들면, 출력의 정수 배수와 같이, 가장 작은 베이스 모듈의 공칭 출력의 배수를 나타낼 수 있거나, 실제적 요건의 결과로서 다른 출력비에서 단차진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이들 모듈을 포함하는 키트에 소수의 상이한 공칭 출력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기에 보다 확실히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공칭 출력을 갖는 단지 세 개의 모듈유형이 실질적으로 고압측 열교환장치용 모듈을 포함하는 버스의 모든 필요조건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세 가지 유형은 외부 기하학 치수가 동일할 수 있다(이 경우, 청구항 제16항 참조).
보통, 일반적인 유형의 차량에서,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설치를 위한 가용 루프면적은 차량의 폭방향에서보다 차량의 종방향에서 상당히 길다. 일반적으로 이는 버스에 적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듈식 결합이 사용될 때, 다수의 모듈의 결합은 차량의 종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권장될만하다. 따라서, 모듈 자체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결합 요소는, 그러한 결합 방법에 따라 배열되어야 한다. 결합 요소에는 많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종류의 결합 이외에, 예를 들면 납땜, 용접, 나사 또는 리벳 연결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종방향에 모듈의 결합을 제공하는 개념은 이러한 관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모듈의 기하구조를 고려하여 루프에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은 원칙적으로 차량의 루프 표면을 덮는 임의의 베이스 표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모듈은 보통, 기본 사각 형상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상을 가지는 긴 베이스 표면을 가질 것이다. 또한, 이때, 차량의 종방향에 모듈을 결합시키는 개념은 차량 루프의 종축에 관해 측방으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차량의 종방향에 모듈을 나란히 결합시키는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을 배치하는 개념상 가능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명백히, 바람직한 방법은 모듈의 베이스 표면이 길어지며, 모듈의 종축이 정렬되어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주로 적어도 차량의 종축 또는 상부 루프 표면을 따라 지향되는 배열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항상 공기조화기용 원형관 또는 편평관을 사용하는 결정에 맞춰 조정된다.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하우징을 치수화하는 것이 상당히 바람직하며(청구항 제5항), 상기 하우징은 모든 경우 모듈을 위해 존재하며, 그러한 원형관 또는 편평관은 내부 냉각제를 전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은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에 의해 단지 반제품으로 배달되도록 하기 위해 비축되거나 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에 원형관 또는 편평관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소비자에게 맡길 수 있다. 이는 제조업자가 처음부터 고체적 제품 계열에 원형관 또는 편평관을 설치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기본 구조는 조화되어야 하는 공기가 냉각되는 것으로 가정한다(청구항 제1항의 구성요소 참조). 그러나, 용어 "공기조화"의 포괄적인 의미에 따르면, 조화되어야 하는 공기용 히터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가 추가로 고안될 수 있다; 이는 조화되어야 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추가의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물리적 배치가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정은 주요 구성으로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보통, 차량 내연기관의 냉각 회로로부터 취해지는 기술을 이용하는 통상의 방식으로 열전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일부 다른 이유로 [이용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면, 전기 가열기가 제공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보충 기기로서 설치될 수 있다.
한가지 유형의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만 사용되는 경우, 고체적의 생산부품으로 인해 모듈은 처음부터 동일한 베이스 표면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의 키트 형태로 하나보다 많은 상이한 공칭 출력의 모듈이 제공되는 경우, 차량 루프의 결합 격자에 적어도 약간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다. 그 과정에서, 특히, 모듈이 길어지고 모듈의 종축이 차량의 축선 또는 루프를 따라 지향되거나, 특히 그와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으로 이미 전술한 바람직한 경우가 참조된다. 적어도 약간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듈이 격자 내에 동일한 횡방향 길이를 갖는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으며, 사실상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조화되어야 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채널설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 자체 하우징과 모듈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 내부채널설비가 고압측 열교환장치와 별도로 생산되어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옆쪽에 부착되는 구성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내부채널설비의 적어도 한 구역(section)이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에 통합되는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의 더 큰 [더 넓은] 통합 솔루션을 배제하지 않으며, 또한, 바람직하게, 증발 장치가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차량형으로 특정된 유닛으로서 루프탑 공기조화기를 제조하는 개념과 혼동되지 않으며, 또한 모듈로 지칭될 수 있고, 사전 제조된 후, 연속적으로 동일한 유형의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유일한 개념은 동일한 공칭 출력에 기초한 모듈형 유닛을 갖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동일한 압력 손실로, 상기 유닛은 하나의 최소 출력보다 더 큰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 모듈로서 격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처음부터 더 작은 유닛에 공칭 출력이 제공되는 경우, 차량의 루프에 이미 결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증발 장치가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에 통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내부채널설비에 대해 횡으로 증발 장치를 배열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는 항상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우수한 면적 분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발 장치 및/또는 내부채널설비는 자체 하우징과 모듈형으로 설계된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내부채널장치 또는 내부채널장치의 적어도 한 구역 및/또는 상이한 공칭 출력의 모든 고압측 열교환장치용 증발 장치에 단 하나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루프탑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때, 높은 모듈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해, 증발장치 자체가 몇몇 유용한 출력 레벨에서 이용 가능한 순간에 [개념적인] 연장부(continuation)가 추가되며, 따라서, 전체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설계에 따라 모든 상이한 모듈형 키트로부터 충분한 선택성을 제공한다. 그 후,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 및/또는 증발 장치 모듈, 그렇지 않은 경우, 동일한 모듈의 설계를 계속하고,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의 동일한 개수의 팬 유닛 또는 적절하게 선택된 증발 장치의 동일한 개수의 송풍기 유닛에 의해 공칭 출력 레벨이 단독으로(바람직하게) 또는 본질적으로 결정되게 함으로써,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청구항 제12항 참조)이 계속될 수 있다(청구항 제16항 참조). 이 과정에서, 각각의 모듈은, 비교적 작은 (가변) 수의 동일한 송풍기 또는 팬 유닛의 설계가 유일한 차이점이 출력에 있는 모듈에서 사용되거나, 상이한 공칭 출력의 유닛과 교환 가능하도록 준비된다. 이러한 개념은 각 모듈의 동일한 외부 설계를 유지하면서, 공칭 열교환기 출력 또는 증발 출력의 레벨을 내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고압측 열교환장치, 즉, 그 모듈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러한 개념(청구항 제17항 참조)의 연속선상에서, 증발장치와, 내부채널설비의 적어도 한 구역은 차량 또는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이는 증발 장치와, 내부채널설비의 적어도 한 구역이 모듈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내부채널설비와 증발장치 자체가 모듈형으로 배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들은 횡방향으로 특히 유용한 자체 구역을 구성하며, 청구항 제13항 내지 제15항에 따른 차량의 횡방향의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특정 기하구조에 의해 차량 루프의 곡선 형상에 따라 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이한 모듈 또는 단지 대응하는 설비의 구역은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지향되는 시임(seams)을 가지며, 이로 인해, 인접 구역 또는 인접 모듈에 대해 비스듬한 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구역 및 모듈 또는 일련의 구역들 및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 횡방향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굴곡(angling)이 일어날 수 있어서, 커브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차량 루프의 설치 표면 굴곡과 흡사하거나 적어도 그에 맞춰진다. 그 과정에서, 인접한 구역 및 모듈, 또는 구역들 및 모듈들의 쌍 사이에 설치된 힌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횡방향으로 연속적인 모듈들에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섹션들 또는 일련의 섹션들 또는 모듈들에, 각도가 고정된 연결부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고 유용한 각진 연결부의 변형예는 인접한 모듈들 및 섹션들, 또는 모듈들 및 섹션들의 쌍들 사이에 예정된 굽힘점(bending point)을 제공한다. 이는 구조적으로 단순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루프에 원하는 최종 각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인접한 면적의 무게를 이용하여 루프를 설치하는 동안 서로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경우, 루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루프탑 공기조화기 면적의 실제 무게를 이용하면, 툴을 사용하기 전에 각각의 각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고정이 모듈 또는 구역의 무게로 인해 영구적으로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는 단지 안전성을 고려하여 각진 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편평하지 않은 차량 루프 상의 설치 표면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개조에 관한 것인데 반해, 청구항 제15항은 소위 상이한 폭만큼 차량의 횡방향으로 상이한 설치 표면에 따른 다른 유형의 조정에 관한 것이다. 무게 분포의 이유로, 이러한 경우,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차량의 설치표면의 전체 폭에 걸쳐 분포되는 것이 권장되며, 이는, 구역 및 모듈 쌍들 사이, 또는 횡방향의 구성을 보상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구역 및 모듈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가교 장치(bridging device)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가교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형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폭 방향에 고정된다(청구항 제15항 참조).
바람직하게, (청구항 제18항에 따르면)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중심에 대해 횡방향으로 대칭으로 설계되며, 중심은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설비와 정렬된다. 이때, 양 측면에서, 내부채널설비는 먼저 외부에서 제 1 인접 부재이고, 그 외부에서 양 측면은 증발장치이며, 증발장치는 팽창 장치에 연결된다.
버스, 그리고 일부 다른 차량에서,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작동 모드는 차량의 내부 공기를 조화시키고, 다른 하나의 작동 모드는 차량에 인입된 외부 공기를 조화시키는 두 가지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거나, 두 가지 작동 모드들 사이의 혼합 상태로 작동할 수 있는 전환 밸브(switching valve)를 설치하기 위해 배치된다. 특히,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내부채널설비의 적어도 한 구역을 모듈형으로 구성하기 위해, 그러한 전환 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채널설비 내부의 공간 또는 내부에 전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전환 밸브는 완전히 통상적인 방식으로 조절판에 놓일 수 있다.
루프탑 공기조화기에서, 통상적으로 고압측 열교환장치는 압축장치의 내부 냉각제 하류의 유동 방향으로 설치되며, 압축장치는 고압측 열교환장치와 마찬가지로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되지 않지만 차량의 엔진 구획에 위치되거나, 차량에 의해 적어도 기계적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된다. 보다 간략하고 바람직하게,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뿐만 아니라, 논리상 적어도 하나의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의 팬 장치 다음에 그러한 압축장치를 통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바람직하게, 보충 압축장치 자체는 자체 하우징을 갖는 모듈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용 팬 장치 외에 고압측 열교환장치에 대한 다른 보조장치는 청구항 제22항 내지 제28항에 설명되며, 청구항 제22항 내지 제28항은 개념의 연속으로서 연료전지 장치의 통합에 관한 것이다. 압축장치가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통합되는 경우, 연료전지 장치는 적어도 이러한 압축장치가 작동 전원으로 작용하며,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가열을 위해 루프탑 공기조화기를 사용할 때, 발전(power generation)용 보조장치로 작용한다. 또한, 팬과 송풍기에는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연료전지 장치가 차량 자체의 보조전원 시스템과 같이,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작동 모드는 수십 년 된 통상의 임계치 이하의 기술 또는 현대의 임계치 이상의 기술에 따라 설계될 수 있으며, 임계치 이상의 작동은 예를 들면, 내부 냉각제의 작동 유체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고압측 열교환장치 또는 그 모듈은 물론 내부 냉각제용 가스 냉각기를 포함한다(청구항 제29항 참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개략적 도면에 의해 보다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비스듬한 상부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단면도가 아니며, 상이한 공칭출력을 갖는, 도 1과 동일하게 표현된 제 2 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도 2의 고압측 열교환장치(high-pressure side heat exchanging device)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의 분리 확대도;
도 5는 도 4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갖지만, 높은 공칭출력을 갖는 도 4의 변형도;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따라 표현되었으나, 내부 냉각제 안내관(internal coolant guide tubes)에 맞는 상이한 관 기하구조를 갖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를 관통하는 단면도;
도 8a는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8a의 변형도;
도 10은 하우징을 갖는 독립형 모듈과 같은 내부채널설비(internal channel arrangement) 단면의 분리 확대도;
도 10a는 상이한 공기조화 작동모드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 전환 밸브(switching valve)의 조절판(adjustable plate)이 추가로 설치된, 도 10과 동일하게 표현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관 다이어그램;
도 12는 도 11의 대체도;
도 13은 아래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가능한 일 실시예 도면;
도 13a는 도 13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일체 성형된 연료전지(fuel cell)의 독립형 모듈을 관통한 단면도;
도 15는 전술한 형태의 연료전지의 독립형 연료탱크를 관통한 단면도로서, 상기 탱크 자체가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독립형 모듈로 형성된 도면; 및
도 16은 도 11의 대체도이다.
도 1에서, 버스 지붕의 설치표면(installation surface,2)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선으로 표시되며; 루프탑 공기조화기(4)의 제 1 실시예는 이러한 설치표면에 설치된다.
루프탑 공기조화기는 다른 대부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지 단차 공칭 파라미터(stepped nominal parameters)를 개별적으로 가질 수 있는 빌딩블록 스타일(building block style) 모듈에서 조립된다. 도시된 각각의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유형의 모든 모듈은 각각의 공칭 파라미터에 관계없이 규정된 외부 기하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하구조는 특정 모듈의 하우징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4)는 여러 가지 모듈을 가지며, 각각의 모듈은 설치표면(2)의 장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체로 직사각형 베이스 표면을 갖는다. 설치표면(2)의 폭 방향에 나타낸 것처럼, 연속적인 두 개의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6)이 제공되는데, 상기 모듈은 상이한 공칭출력을 가지며, 측방 이동 없이 단부끼리 서로 연결된다. 제공되는 결합 수단은 나사 또는 리벳(8)으로 함께 조여지는 모듈(6)의 겹치는 벽부 돌기(overlapping wall projections,7)이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모듈(6)의 양 측면에는, 조화되어야 할 공기를 안내하는 내부채널설비(12)의 모듈(10)이 나란히 배열된다. 양쪽 모듈의 외면을 따라, 증발장치모듈(14)이 각각 동일한 관계로 연장된다.
열교환장치의 두 모듈(6)은 동일한 종방향 모듈 길이를 유지하면서, 한 모듈(6a)에는 세 개의 팬(16)이 설치되는데 반해, 다른 모듈(6b)에는 단 하나의 팬(16)만이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 도 1에서 공칭출력이 서로 상이하다.
도 1에서, 팬은 커버 격자(cover gratings)를 통해서만 도시된다. 모듈(6b)에는 팬 및 커버 격자가 표시되지 않은 추가의 슬롯(17)이 있는데; 제 2 슬롯이 도시되지 않아 설치되지 않았지만, 선택할 경우, 커버 격자와 함께 팬(16)이 설치될 수 있다. 슬롯(17)이 채워지지 않는다면,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야 한다.
모듈(6,10) 사이에는 측면 연결부(lateral connections,7,8)와 동일한 유형의 측면 연결부(18,19)들이 표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듈(10,14) 사이에 유사한 측면 연결부가 존재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단지 모듈(6b)의 슬롯(17)에, 도 1에서 사용되지 않은 커버 격자가 도시된 다른 팬(16)을 설치함으로써 도 1의 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면, 모듈(6)에 하나의 팬(16)(도 1), 두 개의 팬(16)(도 2) 또는 세 개의 팬(16)(도 1 및 도 2의 모듈(6a))이 임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모듈(6)에서 세 개의 상이한 공칭출력이 각각 발생할 수 있고, 반면 다른 경우, 동일한 디자인의 모듈(6)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모두 상이한 공칭 출력(도 1에서는 1과 3, 도 2에서는 2와 3)을 갖는 두 개의 모듈을 결합시킴으로써 고압측 열교환장치의 전체 출력이 보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되지 않은 방식의 다른 변형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가능한 변형예는 먼저, 연달아 축방향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모듈(6)과, 다음으로, 세 개 이상의 팬(16)이 설치된 각각의 모듈을 포함한다. 버스용으로는 예시적 실시예에서와 같 이 동일한 외부 기하구조를 갖지만 2개, 3개 및 4개의 팬 사이에서 공칭 출력이 변화하는 모듈을 이용하면 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모듈의 디자인을 더욱 상세히 볼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다른 한편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내부 냉각제를 전달하는 관들의 기하구조는 임의적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 기하구조, 모듈 크기 및 특히 모듈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의 원형관(20)과, 도 6 및 도 7의 편평관(flat tubes,21)을 이용하여 도시되는데, 각각의 관들은 외부 핀(external fin,22)을 갖는다. 이러한 핀(22)은, 냉각 모드로 공기를 조절하는 동안 흡수된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주위 공기와 접촉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내부 냉각제를 냉각시킨다.
특히, 모듈(6 또는 6a 및 6b, 10, 14)의 하우징은 나머지 도면들에도 부분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8에서 참조번호 23,24,25로 확인된다.
내부채널설비의 하우징(24)은 도 10 및 도 10a에 보다 명확히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a에서, 조절판(28)을 갖는 전환 밸브(26)가 하우징 내부에 도시되는데, 상기 밸브는 종래 방식으로 내부채널설비(10)를 통과하는 조절될 공기를 재순환 모드(recycle mode), 신선한 공기 모드(fresh air mode), 또는 혼합 모드(mixed mode)로 흐르게 하는데 사용한다.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조절될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29), 배플(31)을 통과하는 외면으로부터 전환 밸브(26)까지의 신선한 공기 유입을 위한 유입구 (30), 및 작동 모드에 따라 조절될 내부 또는 외부 공기가 모듈(14)의 증발 장치를 향하는 배출구(32)가 하우징(24)에 설계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측면 연결부(18,19)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모듈(10)은 도 8a 실시예의 중심부에서 명백히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증발장치 모듈(14)은 다음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먼저, 증발 열교환기(evaporation heat exchanger,36)가 항상 존재하는데, 증발 열교환기의 내부는 냉각제와 접촉하고, 외부는 내부채널설비를 통과하는 조절될 공기와 접촉한다. 증발 열교환기(36)는 그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하우징(25) 내에 조립된다. 출력은 송풍기(38)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라질 수 있으며, 송풍기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모듈당 한 개 내지 네 개의 송풍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는 좌우 증발 열교환기(36)가 사용될 때 모듈(6) 양측면의 대칭배열로 인해, 증발기의 개수가 두 배로 되어 두 배의 증발 출력이 생산된다. 그러나, 또한, 송풍기(38)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하나의 송풍기만으로 사용을 제한할 수도 있다.
조절될 공기를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대안적으로 가열시키는 데에도 루프탑 공기조화기가 사용된다면, 증발장치 모듈(14)에 가열 열교환기(heating heat exchanger)가 또한 통합될 수도 있으며, 원형관을 사용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스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냉각제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가 가열되고, 조절될 공기에 의해 외부에 접촉한다. 물론 편평관 사용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그 대신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전력에 의해 가열되는 다른 가열 요소들이 제공 될 수도 있다.
도 8a에는 원형관들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형관들 또한 대안적으로 편평관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9에서는, 우선 각각의 모듈(6,10,14)이 설치표면(2)의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교 장치(42)에 의해 서로 거리를 두고 측면지지 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시 다른 가교 장치가 모듈(10,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교 장치(42)는 모듈식 하우징 구조물(도 9에만 도시)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9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의 설치표면(2)의 표면 곡률에 대해 적합하도록, 모듈(10)이 모듈(6)에 대해 상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도 9는 힌지 연결부(44)를 도시하는 반면, 도 8a는 유연 굽힘 연결부(soft bending connection,46)를 표시한다.
도 11에 의해 몇몇 로직 보충(logical supplementations)과 함께 지금까지 기술한 설비의 작동 모드를 하기에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의 내부 냉각제용 배관도(piping diagrams)에서, 다음의 내부 냉각제 사이클(internal coolant cycle)이 가능한 작동 모드임을 볼 수 있다: 버스 엔진(48)에 의해 압축 장치 또는 압축기(50)가 기계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압축기는 압축 효과로 인하여 내부 냉각제를 저압 상태에서 고압 상태로 상승시켜 냉각제를 모듈(6) 내부 열교환장치의 열교환기 배관(heat changer tubing,20,21)으로 전달하고, 이때 열은 외부 핀에서 주위 공기로 분산된다. 그 후, 내부 냉각제가 압 축기 모듈(14)에서 팽창장치(expansion device,52)로 전달되며, 내부 냉각제는 팽창장치에서 다시 저압 상태로 변화되어, 그 상태로 모듈(14) 내부의 압축 장치(36)로 전달된다. 팽창장치(52)는 압축장치(36)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압축장치에서 나오는 내부 냉각제는 압축장치(50)로 다시 전달된다.
도 11의 중심부에서, 내부 냉각제의 순환방향은 화살표 부호로 표시된다.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증발장치는 자신의 모듈(14) 내부에 위치하는 반면, 도 12에 따르면 고압측 열교환장치 모듈(6) 내에 대안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가독성을 위하여, 본질적으로 관(20 또는 21) 및 외부 핀(22)으로 이루어진 고압측 열교환장치는 공통 참조부호 54로 표시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압축장치(5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엔진 부근의 루프탑 공기조화기 외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인 도 13에서, 압축장치(50)는 자체 하우징을 갖는 자신의 모듈(56) 내부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공기조화기의 대응 슬롯에 조립된다. 설명을 위해, 모듈(56)의 하부 덮개판을 도 13에서 제거하였다. 모듈(6)은 모듈(10,14)보다 짧은 종방향 길이를 가지며, 그로 인해 획득된 공간에 압축장치(50)가 조립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전원용 설치 블록(installation block)과 개별 전기구동 요소용 관련 제어부(associated controls)를 참조부호 58로 표시하였다.
도 13a에 따른 단면도에서, 모듈(56)의 하우징(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두 요소(50,58)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에 조립된다. 하우징(60) 외부 에 도시된 그로밋(grommet)을 통해 전력선(electrical power line,62)이 하우징(60)으로부터 인출된다.
모듈(56)과 유사하게, 연료전지장치(64)가 모듈(6)의 축방향 연장부 또는 자체 하우징(66)을 갖는 추가 모듈로 배치되며, 그 결과 모듈(68)이 분리될 수 있다.
연료장치의 필요 냉각 사이클(70)이 하우징(66)에 또한 포함되어 표시된다. 또한, 연결부(connections,74)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장치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용 전기연결선(electrical connection lines,72)과, 유입 및 유출되는 연료를 위한 관련 연료전지장치 공급선(feed lines)이 하우징(66)을 통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4는 연료가 외부로부터 모듈(68)로 공급되고, 소비된 가스가 다시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일 실시예를 표시한다.
반면, 도 15는 연료전지장치(64)용 연료 수용탱크(receiver tank,80)와 자체 하우징(78)을 갖는 독립형 모듈(76)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듈(76)은 단독으로 조립될 수 있거나, 전술된 모듈(56 및/또는 68)과 같이, 두 모듈(56,68) 또는 둘 중 하나와 루프탑 공기조화기(4)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부가적인 논리개념으로, 개별적인 개구가 연료 전지장치의 연료를 비우는 비움 라인(emptying lines)뿐만 아니라 탱크를 채운다.
도 16은 루프탑 공기조화기가 연료전지 장치(68)를 갖는 모듈로 보충되었던 관 다이어그램을 갖는 도 11의 확장을 나타낸다. 이때, 연료 전지(64)에 내부 냉각제가 제공된다. 팽창장치(52)에 의해 높은 압력수준에 있는 냉각제가 낮은 압력수준으로 조절되며 이를 위해 냉각제가 증발 장치(36)로 전달된다. 도시된 방식으 로, 연료 전지의 냉각 사이클(70)에서 냉각제가 냉각된다(청구항 제25항 참조). 대안적으로, 냉각 사이클은 루프탑 공기조화기를 보충시키는 개별적인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대안적 또는 이와 유사하게, 내부 냉각제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제공되어 연료 전지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Claims (29)

  1. 관련 팬 장치(16)를 갖는 고압측 열교환장치(54)에 후속하여 내부가 냉각제와 접촉하는 증발 장치(36)와 팽창 장치(52)가 배치되고,
    루프탑 공기조화기(4)에 대하여 조화될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증발 장치(36)와 열을 교환하는 내부채널설비(12); 및
    자체 하우징(6,14)에 관련 팬 장치(16)를 갖는 고압측 열교환장치(54)의 모듈형 구조물(6);을 구비하며, 내부 냉각제를 이용하여 냉증기 압축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조화기(4)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 모듈(6a,6b)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34)가 제공, 준비 또는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6,6a,6b)이 동일한 출력 모듈 및/또는 단차 출력 모듈의 격자형 결합(7,8;34)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6,6a,6b)의 결합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냉각제를 전달하는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원형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냉각제를 전달하는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편평관(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의 하우징(23)이 상기 원형관(20) 또는 편평관(21)이 설치되어 내부 냉각제를 전달할 수 있도록 치수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화될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가 하나 이상의 가열 열교환기(40)를 가지며,
    상기 가열 열교환기(40)는 외부 핀이 조화될 공기의 공기통로와 정렬되는 상기 증발 장치 내부에, 그리고 하나 이상의 상기 증발 열교환장치(36)의 상기 외부 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에서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든 모듈(6a,6b)의 종방향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6 또는 6a,6b)이 내부채널설비(12)의 하나 이상의 구역과 증발 장치(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채널설비(12)가 상기 모듈(6 또는 6a,6b)과 분리되어 제공되며, 상기 모듈(6 또는 6a,6b)에 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장치(36)가 상기 내부채널설비(12)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장치(36) 및/또는 상기 내부채널설비(12)가 자체 하우징(24;25)을 갖는 모듈형으로(10;14) 자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구역 또는 모듈(6,10,14)로 세분되며, 인접한 구역 및 모듈 쌍들 또는 구역 및 모듈 사이의 상대 각위치가 상기 차량의 횡방향으로 조절 가능한(44;4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한 쌍 이상의 상기 구역들, 모듈들 또는 한 쌍 이상의 상기 구역 및 모듈이 힌지(44) 및/또는 연성 굽힘(46)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들과 모듈들의 쌍들 사이 또는 구역과 모듈 사이에 가교 장치(42)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장치(36)에 설치될 수 있는 상이한 개수의 동일한 송풍기 유닛(38)을 이용함으로써 및/또는 고압측 열교환장치(54)에 설치될 수 있는 상이한 개수의 동일한 팬 유닛(16)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모듈(6,14)의 상이한 출력 레벨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 증발 장치(36) 및 하나 이상의 내부채널설비(12)의 구역이 각각 상기 차량 (및 모듈(6,10,14))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의 일측에 내부채널설비(12)가 있으며,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의 일측면 증발장치(36)가 후속하며, 상기 증발장치가 각각의 팽창장치(52)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탑 공기조화기(4)의 상기 내부채널설비(12)가 (24 내의) 설치 공간을 가지며, 상기 설치 공간에는 차량의 내부 공기 조화와 차량에 공급된 외부 공기 조화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환시키도록 전환 밸브(26)가 있거나,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듈(6 또는 6a,6b)에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팬 장치(16) 외에 압축 장치(50)로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압축 장치(50)는 자체 하우징을 갖는 모듈(56)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모듈(6 또는 6a,6b)에서,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팬 장치(16) 외에 연료전지 장치(64)로 보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연료전지 장치(64)가 자체 하우징(66)을 갖는 모듈(68)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64)가 루프탑 공기조화기 내부의 자체 냉각장치(70) 또는 자체 냉각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내부 냉각제가 연료전지 장치(64)용 냉각제로서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64)의 연료 탱크(80)가 상기 루프탑 공기조화기(4)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80)가 단독 모듈(76)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8. 제 23 항 및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80)가 상기 연료전지 장치(64)의 상기 모듈(68)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모드가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고압측 열교환장치(54)가 내부 냉각제용 가스 냉각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공기조화기.
KR1020057020744A 2003-10-02 2004-09-14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 KR20060064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15237.9 2003-10-02
DE2003145997 DE10345997A1 (de) 2003-10-02 2003-10-02 Aufdach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en Omnibus
DE10345997.9 2003-10-02
DE20315237U DE20315237U1 (de) 2003-10-02 2003-10-02 Aufdach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en Omni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559A true KR20060064559A (ko) 2006-06-13

Family

ID=3442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44A KR20060064559A (ko) 2003-10-02 2004-09-14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60037339A1 (ko)
EP (1) EP1667862B1 (ko)
JP (1) JP2007507383A (ko)
KR (1) KR20060064559A (ko)
AT (1) ATE355985T1 (ko)
BR (1) BRPI0406433B1 (ko)
CA (1) CA2508548A1 (ko)
DE (1) DE502004003176D1 (ko)
ES (1) ES2282891T3 (ko)
MX (1) MXPA05005842A (ko)
PT (1) PT1667862E (ko)
WO (1) WO200503286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11B1 (ko) * 2014-12-31 2016-01-20 강준모 차량용 루프탑텐트
KR20220078407A (ko) 2020-12-03 2022-06-10 전영주 반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
KR20220079110A (ko) 2020-12-04 2022-06-13 김현우 접이식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391B2 (en) * 2004-09-10 2009-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olant-based regenerative energy recovery system
DE102004045679C5 (de) 2004-09-17 2008-07-31 Spheros Gmbh Klimaanlage für Kraftfahrzeuge
US20080156468A1 (en) * 2006-12-29 2008-07-03 Geothermal Design Associates, Inc. Modular, multiple airflow pattern water source heat pump
DE202007007103U1 (de) * 2007-05-18 2008-09-25 Thermo King Deutschland Gmbh Aufdach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en Omnibus
DE102007023249B4 (de) 2007-05-18 2014-02-13 Ingersoll-Rand Klimasysteme Deutschland Gmbh Aufdach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en Omnibus
KR100974757B1 (ko) 2008-08-27 2010-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버스의 연료전지 냉각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01737910A (zh) * 2008-11-07 2010-06-16 塞莫金公司 新鲜空气箱
US9758014B2 (en) 2009-02-27 2017-09-12 Thermo King Corporation Low profile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DE102009058855B4 (de) * 2009-11-24 2014-09-11 Spheros Gmbh Axialgebläseanordnung
CN103079854B (zh) * 2010-09-10 2016-03-09 三菱电机株式会社 车用空调装置的更新方法、车用空调装置
US8650895B2 (en) * 2012-01-25 2014-02-18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ir conditioning systems with universal base units
US9441855B2 (en) * 2013-01-17 2016-09-13 Trane International Inc. Adaptable HVAC unit base
US9908386B2 (en) * 2013-11-25 2018-03-06 Thermo King Corporation Fresh air control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DE102015100144A1 (de) * 2014-01-20 2015-07-23 Denso Thermal Systems S.P.A. Rooftop air conditioning unit for buses
DE102015118557A1 (de) 2015-10-30 2017-05-04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Aufdachklimaanlage
CN105216588A (zh) * 2015-11-04 2016-01-06 比赫电气(太仓)有限公司 一种带有环境调节功能的大巴车顶置直流空调
BR102021014317A2 (pt) * 2021-07-20 2023-01-31 Marcopolo Sa Sistema e processo de ventilação e climatização de ar em veículo de transporte de passageiros e veícul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3A (en) * 1868-01-28 Improvement in spoke-shaves
DE19913776A1 (de) * 1999-03-26 2000-09-28 Hagenuk Faiveley Gmbh & Co Klimaanlage für umbaute Räume
DE10062686B4 (de) * 2000-12-15 2004-08-12 Konvekta Ag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Omnibus
US6742343B2 (en) * 2001-10-30 2004-06-01 Carrier Corporation Self-contained refrigeration unit
DE10161254A1 (de) * 2001-12-13 2003-07-03 Konvekta Ag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6763670B1 (en) * 2003-05-05 2004-07-20 Carrier Corporation Configuration for modular rooftop air conditioning system
US7051544B2 (en) * 2003-05-05 2006-05-30 Carrier Corporation Modular bus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11B1 (ko) * 2014-12-31 2016-01-20 강준모 차량용 루프탑텐트
KR20220078407A (ko) 2020-12-03 2022-06-10 전영주 반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
KR20220079110A (ko) 2020-12-04 2022-06-13 김현우 접이식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2891T3 (es) 2007-10-16
BRPI0406433B1 (pt) 2013-07-16
CA2508548A1 (en) 2005-04-14
EP1667862A1 (de) 2006-06-14
BRPI0406433A (pt) 2005-10-04
EP1667862B1 (de) 2007-03-07
PT1667862E (pt) 2007-05-31
WO2005032865A1 (de) 2005-04-14
US20060037339A1 (en) 2006-02-23
US20080256968A1 (en) 2008-10-23
DE502004003176D1 (de) 2007-04-19
MXPA05005842A (es) 2005-08-26
ATE355985T1 (de) 2007-03-15
JP2007507383A (ja)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4559A (ko) 차량, 특히 버스용 루프탑 공기 조화 시스템
US1030515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olant in water-cooled batt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998267B (zh) 热交换系统
US5307645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6932148B1 (en) Vehicle heating and cooling system
EP2766667B1 (en) Air conditioner with a cooling module
US6708513B2 (en) CO2-module for cooling and heating
EP0484548A1 (en) Electric automobile
CN210320359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KR20160107749A (ko) 볼텍스튜브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AU2010340138A1 (en) Microchannel coil manifold system
KR101125882B1 (ko) 후방 탑재용 버스 에어컨 시스템
KR101902684B1 (ko) 차량용 배터리모듈 열교환기
US9834061B2 (en) Assembly including a heat exchanger and a mounting on which said exchanger is mounted
JP6031676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17052506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CN214249919U (zh) 一种凉霸
CN219534643U (zh) 动力电池温控板及车辆
CN216346673U (zh) 空调器、空调系统和热交换系统
JP2011218908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2604359U (zh) 换热器及具有该换热器的车辆空调换热系统
JP2010195367A (ja) 温度調節装置
CN220793300U (zh) 空调器室外机
CN213020011U (zh) 空调器
CN114905930A (zh) 一种集成式热管理模块和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