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432A -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432A
KR20060064432A KR1020040103292A KR20040103292A KR20060064432A KR 20060064432 A KR20060064432 A KR 20060064432A KR 1020040103292 A KR1020040103292 A KR 1020040103292A KR 20040103292 A KR20040103292 A KR 20040103292A KR 20060064432 A KR20060064432 A KR 2006006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eel sheet
lining
steel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695B1 (ko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서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석 filed Critical 서효석
Priority to KR102004010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6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수조 외면 등의 벽체에 스테인리스스틸 강판, 도복장 강판 또는 유리판 등을 덧씌운 벽면 라이닝에 관한 것으로, 강판과 강판을 연결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은 용접 등을 하고 있으나 박판 용접의 여러 문제점 및 용접 시 발생하는 가스 등으로 거의 밀폐된 저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서의 용접작업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용접을 가급적 하지 않고 강판과 강판을 연결하도록
양방향 ㄷ 형 연결부속(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0
)을 콘크리트 구체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연결부속(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1
)의 ㄷ 형 가운데 틈 사이에 강판을 끼워 넣도록 하는 벽체 라이닝을 개시한다.
강판을 끼웠을 때 양방향 ㄷ 형 연결부속(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2
)과 강판 틈 사이에 지수패킹 등을 삽입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필요시 수압이 센 부위에는 지수패킹이 강판과 더욱 더 압착되도록 압착볼트를 조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 보강 방법{Lining structure, connection parts for the same, method of consolidating walls using the same}
도 1은 기존의 용접에 의한 강판 덧씌우기(lining) 방법의 대표적인 단면도.
도 1a는 도1의 강판 연결부 확대 상세도
도 1b는 도1의 대표적인 평면도(또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라이닝(lining) 방법의 대표적인 단면도.
도 2a는 도2의 연결부의 확대 상세도
도 2b는 도2의 대표적인 평면도(또는 정면도)
도 3은 도2의 연결부 지수패킹에 압착판 및 압착볼트를 추가한 단면도
도 3a는 도3의 연결부 단면의 확대 상세도
도 3b는 도3의 대표적인 평면도(또는 정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라이닝(lining) 및 벽체 보강 방법의 대표적인 단면도.
도 4a는 도4의 연결부 확대 상세도
도 4b는 도4의 대표적인 평면도(또는 정면도)
도 5는 도4의 연결부 지수패킹에 보조강판 및 압착볼트를 추가한 단면도
도 5a는 도5의 연결부 단면의 확대 상세도
도 5b는 도5의 대표적인 평면도(또는 정면도)
도 6은 강판 면과 연결부속 면을 일치시켜 강판을 설치한 단면도
도 6a는 도6의 강판 한 장의 대표적인 단면도
도 7은 강판 뒷면이 기존 콘크리트 면에 맞닿게 강판을 설치한 단면도
도 7a는 도7의 강판 한 장의 대표적인 단면도
도 8은 보강콘크리트 타설시 강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강판 앞면에 분리형 보강판을 설치한 단면도
도 8a는 도8의 분리형 보강판의 평면도
도 9는 보강콘크리트 타설시 강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강판 앞면에 일체형 보강판을 설치한 단면도
도 9a는 도9의 일체형 보강판의 평면도
도 10은 연결부속의 대표적인 예로써 도2의 3가지 연결부속 십자형(22a), 짧은형(22b), 긴형(22c)이 조합된 평면도(또는 정면도)의 확대 평면도
도 10a는 십자형 연결부속의 중앙부(22a1)의 펼친그림
도 10b는 십자형 연결부속 중앙의 우측부(22a2)의 펼친그림
도 10c는 십자형 연결부속 중앙의 좌측부(22a3)의 펼친그림
도 10d는 짧은형 연결부속(22b)의 펼친그림
도 10e는 긴형 연결부속(22c)의 펼친그림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기존의 구체콘크리트 11,21,60,70 : 패널(강판 또는 유리판)
12 : 강판고정부속
13,23,43 : 앵커볼트(ANGKER BOLT OR HILTING NAIL)
14 : 강판연결 용접부 22a,32a,42a,52a : 십자형 연결부속,
22b,32b,42b,52b : 짧은형 연결부속 22c,32c,42c,52c : 긴형 연결부속,
24,31,41,51 : 지수패킹 j : 십자형,짧은형,긴형 연결부속의 접합부
30,50 : 지수패킹 압착판 33,53 : 압착볼트,
40,44 : 보강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mortar)
61 : 강판 뒷면 채움재, S1 : 기존 콘크리트 면 ,
S2 : 연결부속의 앞면 S3 : 강판의 앞면
g , h : 강판 절곡부 80a : 분리형 보강판 좌측부
80b : 분리형 보강판 우측부 81 : 분리형 보강판 좌우측부 조임볼트
90 : 일체형 보강판 91 : 이탈방지 밀착볼트
92 : 이탈방지 밀착볼트 보조강판 100 : 앵커볼트 설치 구멍
22a1 : 십자형 연결부속의 중앙부 22a2 : 십자형 연결부속의 우측부
22a3 : 십자형 연결부속의 좌측부
w : 십자형 연결부속(22a)을 제작하기 위해 부품(22a1,.22a2,22a3)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선
p : 연결부속 끼움선 f : 연결부속 제작 시 강판을 접는 선
본 발명은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외면에 강판을 덧씌우는 벽체 라이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판 덧씌우기, 즉, 라이닝(lining)을 위한 강판 패널과 강판 패널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강판과 강판을 연결하는 방법은 연결부위를 용접하거나 볼트 또는 리벳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으나 얇은 강판을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으로 연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작업공간이 거의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기에는 매우 힘들고, 유리 지붕등의 경우 틀을 이루는 강체에 접착제로 유리를 붙이는 방법은 강한 햇빛과 기온 변화에 의해 유리가 팽창 또는 신축 작용 시 접착제가 떨어져 물이 새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강판 등 패널 덧씌우기(lining) 시 볼트 및 리벳 접합 또는 용접을 하지 않고도 강판과 강판을 연결하고, 물이 새지 않도록 차수도 하며, 연결부속과 강판을 용접 등으로 일체화하지 않고 끼우는 방식으로 팽창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패널이 팽창으로 인해 연결부속에 밀착되지 않도록 여유 공간을 두어 팽창량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팽창 또는 신축 작용에 의해 구조물 및 덧씌우기(lining) 강판 등 패널(panel)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벽체 라이닝 및 그 라이닝에 적합한 연결부속과 그 벽체 라이닝을 이용한 벽체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조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 혹은 모르타르(mortar) 벽체 면에 강판 등 패널(panel)로 덧씌우기(lining) 공사를 할 때 강판과 강판을 연결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용접을 하는 방법 외에 연결부위를 용접을 하지 않고 하는 강판 덧씌우기(lining)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벽체 라이닝을 제공한다.
이러한 벽체 라이닝은 강판이 얇아서 매우 숙련된 용접기술이 필요하거나 볼트나 리벳접합이 부적합한 경우 등에서 매우 적절한 연결 방법으로써 양방양 ㄷ자형(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3
)연결부속을 구조물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연결부속 ㄷ자 가운데에 강판등 패널(panel)을 끼워 넣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위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차수가 필요할 때에는 지수패킹을 연결부속의 홈과 패널 사이에 삽입하여 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압이 센 부위에는 강판과 지수패킹을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압착판을 연결부속과 지수패킹 사이에 끼우고 압착볼트를 조여서 완전히 차수가 되도록 보강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벽체 라이닝을 이용한 벽체 보강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가 중성화 등으로 노화되어 보수를 필요로 하거나 노화 방지를 하기 위해 시멘트 모르타르(mortar) 바르기나 보강 콘크리트 치기가 필요할 때에는 콘크리트 벽면과 강판 사이에 필요한 모르타르(mortar)나 보강 콘크리트 두께 만큼 공 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결부속을 제작하고, 강판을 거푸집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모르타르(mortar)나 보강 콘크리트 자중에 의해 강판이 처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해 강판 앞면에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된 일정 간격으로 띠형 보강판을 대고 보강 시멘트 모르타르(mortar)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벽체 라이닝용 연결 부속은 기본이 되는 선형 연결부속으로 짧은형과 긴형이 있을 수 있으며, 단면이 양방향으로 ㄷ 자형 홈을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대상 벽체 면에 고정시킬 고정 수단, 가령, 연결부에서 연장된 부분에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볼트를 설치하거나, 리벳·못 등을 설치하는 등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형 연결부속이 벽체 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될 경우, 그 격자점에는 상기 선형 연결부속과 홈 부분 및 강체 부분이 이어지는 십자형(+형) 연결부속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벽체 보강 방법을 위해 연결부속에서 강판을 벽체 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와 연결되어 연결부의 홈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용접 혹은 용접 부위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벽체 라이닝(lining) 및 그 형성 방법, 벽체 보강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연결부속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1a는 종래의 콘트리트 구조물(10)에 강판(11) 덧씌우기(lining) 공 사 시 강판(11)과 강판(11)의 연결작업을 용접으로 할 때의 일반적인 단면도(도1) 및 확대상세도(도1a)로써, 강판(11)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속(12)을 앵커 볼트(13)로 콘크리트 면(10)에 고정 설치하고 강판과 강판을 용접(14)으로 연결작업을 하면서 고정부속(12)에도 강판(11)이 고정되도록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1b는 도1의 평면도(또는 정면도)의 일부로써 점선은 고정부속(12) 및 앵커볼트(13)를, 굵은 선은 용접부위인 용접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2, 2a 및 2b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단면도(도2) 및 단면 확대상세도(도2a)와 평면도(또는 정면도)(도2b)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강판(21)을 덧씌우기(lining)할 때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서 철강회사에서 생산한 규격이 필요한 크기만큼 맞게 강판이 생산되지 않을 뿐 아니라 대규모 크기로는 현장 반입 여건 등의 시공상 어려움이 있으므로 현장 실정에 맞게 별도 공장에서 소규모로 가공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연결 부위를 용접하지 않고 양방향 ㄷ자형(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4
)의 연결부속(십자형:22a, 짧은 형:22b, 긴형:22c) 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써, 연결부속을 설치할 위치 및 작업순서 등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작업계획에 의해 연결부속(22a,22b,22c)을 설치할 위치의 콘크리트(10) 면을 깨끗이 청소하고 보수가 필요하면 보수하는 등 연결부속을 설치할 콘크리트 면의 전처리를 하고, 설치할 강판의 한쪽 편(예: 왼쪽 또는 하부)의 연결부속을 앵커볼트(23)로 콘크리트 면에 고정하고 강판(예: 21a)을 끼운 후 다른 편(예: 오른쪽 또는 상부)의 연결부속을 강판에 끼운 후 콘크리트(10) 면에 고정설치하면 다음 강판(예: 21b)을 끼울 수 있고 다시 연결부속을 끼우고 고정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덧씌우기(lining) 작업을 완 료하는 방식이다. 이때 연결부속을 미리 고정 설치한 후 덧씌우기(lining) 강판 등 패널(panel)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연결부속과 연결부속의 간격에 약간의 여유를 더 두고 연결 부속을 먼저 콘크리트 면(10)에 고정 설치한 후 강판 등 패널(panel)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덧씌운 강판 등 패널(panel) 사이로 물이 새면 안돼는 구조에서는 강판등 패널(panel)과 연결부속 사이에 지수패킹(24)을 끼우거나 지수제 등을 주입하여 차수가 되도록 하였으며, 연결부속 십자형(22a)에 짧은형(22b) 및 긴형(22c) 연결부속을 끼워 넣은 후 고정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끼운 틈새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위(j)에 에폭시 또는 실리콘, 지수제 등을 주입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최소한의 용접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조물의 벽면과 벽면, 벽면과 상.하부 슬래브(UPPER OR BOTTOM SLAB), 및 벽면과 벽면 그리고 슬래브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강판 등은 정확히 현장 실측을 하여 현장에 맞게 공장에서 강판 등의 패널(panel)을 구부려 제작하거나 또는 용접 등을 하여 별도로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부속에 끼워 설치하면 되도록 하였고. 맨 마지막에 설치되는 강판 등은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부속에 끼운 후 절단부위를 용접하거나 연결테이프, 접착제등으로 마감처리하면 강판 설치 작업이 마무리 되도록 하였다..
도3, 3a, 및 3b는 도2를 보강한 단면도(도3) 및 단면 확대 상세도(도3a)와 평면도(또는 정면도)(도3b)로써, 도2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지수패킹을 끼워 차수 가 되도록 하였으나, 저수조의 경우 벽체 하단부나 바닥 슬래브에 작용하는 수위가 벽체 상단부에 작용하는 수위보다 높으므로 벽체 하단부나 바닥 슬래브에 작용하는 수압이 보다 커서 벽체 하단부나 바닥 슬래브에서 지수가 잘 안될 경우에 대비하여 지수패킹 압착판(30)을 끼우고 압착볼트(33)로 조여 지수패킹(31)과 강판(21)을 더욱 밀착시켜 물이 새지 않도록 보강한 방법이다. 이때 지수패킹 압착판(30)은 압착볼트(33)로 조일 시 지수패킹(31)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다.
도4, 4a, 및 4b는 도2를 보강한 단면도(도4) 및 단면 확대 상세도(도4a)와 평면도(또는 정면도)(도4b)로써, 강판(21)과 기존 콘크리트(10) 면과의 사이에 공간(t)을 두어 기존 콘크리트 면이 중화되어 보강 모르타르(mortar)(44) 또는 보강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보수 보강할 필요가 있을 때 덧씌우기(lining)할 강판(21)을 거푸집 대용으로 활용하여 강판(21)과 콘크리트(10)의 면 사이에 보강 모르타르(mortar) 또는 콘크리트(40,44)를 타설 할 수 있도록 연결부속의 높이(t)를 높게 제작한 방법으로, 강판(21)을 거푸집으로 활용 시에는 거푸집 설치 재료비 및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사도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5, 5a, 및 5b는 도4를 보강한 단면도(도5) 및 단면 확대 상세도(도5a)와 평면도(또는 정면도)(도5b)로써, 도4와 같이 물이 새지 않도록 지수패킹을 끼워 차수가 되도록 하였으나 도3과 같이 수압이 커서 차수가 잘 안되는 부위에는 지수패킹 압착판(50)을 끼우고 압착볼트(53)로 조여 지수패킹(51)과 강판(21)이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한 차수 보강 방법이다.
도 6, 및 6a는 강판 앞면과 연결부속 앞면을 일치시켜 강판을 설치한 단면도(도6) 및 도6의 강판 한 장의 대표적인 단면도(도6a)로써 도6과 같이 강판을 설치할 경우 설치할 강판(60)의 앞면(S3)과 콘크리트 면(S1)이 떨어져 있어 수압에 의해 강판이 콘크리트 면(S1)에 닿게 되면 강판이 휘어져 연결 부속 내의 지수패킹(24)이 강판 끝단과 밀착되지 않아 차수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판(60)에 절곡부(g)를 두어 강판을 제작하여 설치하고, 강판(60)과 구조물 면(S1)과의 공간을 채움재(61)로 채워 수압에 의해 강판이 휘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강판 면(S3)을 연결부속 면(S2)과 일치시키면 미관상 보기도 더 좋을 수 있다.
도7 및 7a는 강판 뒷면이 콘크리트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 단면도(도7) 및 강판 한 장의 대표적인 단면도(7a)로써 도6에서 강판이 휘어지지 않도록 강판(60) 뒷면에 채움재(61)를 두는 것은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강판이 콘크리트 면에 닿도록 도7a와 같이 강판 끝 부분에 절곡부(h)를 두어 강판(70)을 제작 설치하여 강판이 휘어지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도8 및 8a는 도4,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판을 거푸집 대용으로 활용할 때 강판의 강도가 부족해 보강 콘크리트나 모르타르(mortar)가 양생되어 굳기 전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mortar)의 중량에 의해 설치한 강판이 연결부속에서 빠져나오는 등 이탈되지 않도록 강판 앞면에 강판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한 분리형 보강판의 단면도 및 평면도(또는 정면도)로써, 보강판을 좌측부(80a)와 우측부(80b)로 나누어 제작하여 연결부속과 연결부속에 끼운 후 조임볼트(81)를 조이면 좌우측부 보강판이 조여지면서 연결부속과 강판에 밀착되어 강판을 받혀주어서 강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 분리형 보강판의 한 형태이다.
도9 및 9a는 도4, 도5에서 강판(21)을 거푸집 대용으로 활용할 때 강판(21)이 강도가 부족해서 보강 콘크리트(40)나 모르타르(mortar)의 중량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강판(21) 앞면에 강판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한 일체형 보강판(90)의 단면도(도9) 및 평면도(또는 정면도)(도9a)로써, 보강판(90)을 강판 연결부속과 연결부속에 걸어 끼운 후 이탈방지 밀착볼트(91)를 조이면 보강판이 연결부속에 밀착되면서 강판을 받혀 주어 강판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 일체형 보강판의 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탈방지 밀착볼트 보조강판은 이탈방지 밀착볼트를 조일 때 밀착볼트가 바로 연결부속에 닿아 연결부속이 찌그러지는 등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연결부속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다.
도10은 연결부속의 대표적인 예로써 도2의 3가지 연결부속 십자형(22a), 짧은 형(22b), 긴형(22c)이 조합된 평면도(또는 정면도)의 확대 도면이고 중앙부의 십자형 연결부속은 22a1에 22a2 및 22a3을 용접선(w)을 따라 용접하여 제작한 것이며, 도10a 내지 도10e는 상기의 3가지 십자형, 짧은형, 긴형 등의 연결부속을 제작하기 위해 전개한 도면으로써, 도10a는 십자형 연결부속의 중앙부(22a1)를 전개한 도면이며, 도10b는 십자형 연결부속 중앙의 우측부(22a2)를 전개한 도면이며, 도10c는 십자형 연결부속 중앙의 좌측부(22a3)를 전개한 도면이다. 그리고 각각 전개한 도면의 접는선(f)을 따라 강판을 접어 용접선(w)을 따라 용접만 하면 중앙부 십자형 연결부속(22a)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10d는 짧은형의 연결부속(22b)을 전개한 도면이고 도10e는 긴형의 연결부속(22c)을 전개한 도면으 로써 접는 선(f)을 따라 강판을 접어 제작하여 중앙부 연결부속(22a)의 끼움선(p)에 끼워 맞춘 후 앵커볼트로 구조물에 고정하고 끼움부에는 지수제 등을 주입하면 차수도 되므로 제작이나 설치 작업이 아주 용이하다.
용접을 하지 않으므로 강판의 부식 방지를 위한 피복 등이 용접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어 모든 코팅 및 도복장 강판 등의 덧씌우기(lining) 작업도 가능하며, 용접으로 인한 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저수조 내부 등 거의 환기가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용접품의 절감 및 작업효율 증대로 공사비가 저렴하며,
연결부위를 용접 등으로 강판 등의 패널을 일체화하지 않고 연결부속에 끼워서 강판 등의 패널을 분리하는 연결공법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강판 등의 신축량 또는 팽창량을 연결부속 내의 여유 공간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강판 등의 패널의 신축 작용에 대응하기 위한 별도의 신축조인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신축 팽창이 큰 유리판 시공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연결부속과 강판 사이에 지수패킹을 두어 차수가 되도록 하여 물이 새어서는 안돼는 수구조물이나 유리지붕 등에도 사용 가능할 뿐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부품이나 장비가 간단하여 협소한 장소 등에서도 시공이 용이하다.
한편. 연결부위의 지수패킹에 의해 전기 절연 역할을 하므로 이종 금속 간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강판을 거푸집 대용으로 활용하여 기존 구조물에 보수 보강 콘크리트나 모르타르(mortar)를 칠 수도 있어 공사가 쉽고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상 벽체 면에 단면이 양방향 ㄷ자형(
    Figure 112004519041413-PAT00035
    )인 부분을 가진 선형 연결부속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두 선형 연결부속의 마주보는 ㄷ자형 홈에 강판 등 패널이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는 벽체 라이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연결부속은 상기 벽체 면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되고,
    그 격자점에는 상기 선형 연결부속과 홈 부분 및 강체 부분이 이어지는 십자형(+형) 연결부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속의 ㄷ자형 홈과 상기 홈에 끼워지는 패널(panel) 사이에 지수패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패킹의 일부분을 압착할 수 있는 압착판이 상기 연결부속과 상기 지수패킹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속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어 죄어질 때 상기 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속은 단면이 양방향으로 ㄷ 자형 홈을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벽체 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홈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벽체 면에 고정시킬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 면과 상기 강판 패널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패널은 상기 연결부속과 연결되는 끝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속의 홈을 이루는 상부의 면과 같은 수준의 연결되는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상기 강판 패널은 상기 연결부속과 연결되는 끝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상부의 면과 같은 수준의 연결되는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
  7. 단면이 양방향으로 ㄷ 자형 홈을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대상 벽체면에 고정시킬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벽체 라이닝용 연결 부속.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벽체 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홈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벽체 라이닝용 연결 부속.
  9.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속은 강판을 접는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라이닝용 연결 부속.
  10. 모르타르(mortar) 또는 콘크리트 벽체 면에 단면이 양방향으로 ㄷ 자형 홈을 가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대상 벽체 면에 고정시킬 고정 수단,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벽체 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한 벽체 라이닝용 연결 부속과 상기 연결부속 사이에서 상기 홈에 끼워지는 강판 패널로 이루어진 벽체 라이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강판 패널로 이루어진 벽체 라이닝에 보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 면과 상기 벽체 라이닝 사이의 공간에 보강 모르타르(mortar) 또는 보강 콘크리트를 채우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라이닝 벽체 보강 방법.
KR1020040103292A 2004-12-08 2004-12-08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KR10066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92A KR100667695B1 (ko) 2004-12-08 2004-12-08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92A KR100667695B1 (ko) 2004-12-08 2004-12-08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432A true KR20060064432A (ko) 2006-06-13
KR100667695B1 KR100667695B1 (ko) 2007-01-12

Family

ID=3715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292A KR100667695B1 (ko) 2004-12-08 2004-12-08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KR100899581B1 (ko) * 2008-07-28 2009-05-27 정명화 조립식 벽마감을 위한 결합부재
KR20160149601A (ko) * 2015-06-18 2016-12-28 씨앤텍플러스 주식회사 라이닝용 복합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108A (ko) 2015-01-13 2016-07-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강판과 콘크리트가 분리 가능한 강판 콘크리트 구조
KR102258201B1 (ko) * 2020-01-07 2021-05-31 (주)대명에스이에스 콘크리트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KR100899581B1 (ko) * 2008-07-28 2009-05-27 정명화 조립식 벽마감을 위한 결합부재
KR20160149601A (ko) * 2015-06-18 2016-12-28 씨앤텍플러스 주식회사 라이닝용 복합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695B1 (ko) 200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695B1 (ko) 벽체 라이닝, 이에 적합한 연결부속, 이를 이용한 벽체보강 방법
JP2011504821A (ja) 構造用サンドイッチ板部材の改良された形成方法
CN211286083U (zh) 一种集成保温模板的预制叠合构件及预制叠合外墙
CN108824651B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主体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805159A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US20230037589A1 (en) Steel plate built-up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CN212478375U (zh) 一种保温层薄石材装饰板安装连接结构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425474B (zh) 先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GB2303862A (en) A ceil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991071B1 (ko) 앵커와 스터드로 보강된 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 구조물
JP6190002B2 (ja) 複合パネル及び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85919Y1 (ko) 천연석패널
CN219654178U (zh) 一种内隔墙钢梁装修结构
CN218437563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墙体板间防水结构
CN211898945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条板的装配结构
KR017945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유동이음부 마감공법과 지수용철판
CN213087119U (zh) 一种混凝土预制外墙连接构造
CN211172458U (zh) 一种建筑结构伸缩缝的防水结构
KR100636430B1 (ko) 채널수단과 내화보드를 이용한 강재보 시공방법
JP5951949B2 (ja) 複合パネル及び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CN217400005U (zh) 止水键及组合墙板拼接节点
JP5805995B2 (ja) 断熱構造
JP2868147B2 (ja) 止水板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板
KR102497185B1 (ko) 단열재 일체형 장경간용 골데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