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423A -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423A
KR20060063423A KR1020040102594A KR20040102594A KR20060063423A KR 20060063423 A KR20060063423 A KR 20060063423A KR 1020040102594 A KR1020040102594 A KR 1020040102594A KR 20040102594 A KR20040102594 A KR 20040102594A KR 20060063423 A KR20060063423 A KR 20060063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vehicle
sign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222B1 (ko
Inventor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2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범용비동기송수신부로 접속된 원격시동부의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과 근거리 무선접속하고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거나 근거리 음성통신을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에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접속되는 원격시동부를 이용하여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신하고, 차량에 고정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의 센서 감지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원격시동부를 통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에서 수신하여 엔진을 제어하며,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센서부에 의하여 검출되면 설정된 근거리 통신경로로 음성급 통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등등으로 하여,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차량과 휴대단말기 사이에 긴급한 의사교환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OF VEHICLE REMOTE CONTROLING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일반적인 자동차 원격시동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 원격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 순서도,
도6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원격시동부 110, 410 : 메모리부 120, 310, 440 : 제어부
130, 430 : 고주파부 140, 450 : 스피치부 200 : 유에이알티부
300 : 이통부 320 : 키보드부 330 : 표시부
340 : 이동무선부 350 : 입출력부 400 : 차량시동부
420 : 센서부 460 : 마이크부 470 : 스피커부
480 : 정합부 500 : 엔진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차량을 원격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범용비동기송수신부로 접속된 원격제어부를 통하여 일정한 반경 안에 위치한 차량과 무선접속하고 시동을 제어하거나 음성통신을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망(NETWORK)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이용률을 높이고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일 예로,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확인 등이 있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피디에이(PDA: PERSONAL DATA ASSISTANT)는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 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 컴퓨터 장치로,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관리하고, 포켓컴퓨터(POCKET COMPUTER)라하며, 상기 휴대단말기 기능을 부가하여 데이터 단말기로 이용되는 동시에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이용되는 것을 피디에이폰(PDA PHONE)이라고 한다.
상기 피디에이폰은 계산, 정보입력 저장, 메시지 작성, 검색 등의 데이터 처리를 위주로 하는 초소형 컴퓨터에 휴대단말기 기능을 부가하므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표시부의 면적이 비교적 넓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디에이폰을, 휴대단말기(MS)에 부가서비스로 피디에이(PDA)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분류하여, 이하 휴대단말기로 칭한다.
자동차(VEHICLE)는, 사람이 한 지점으로부터 다른 지점으로 편안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는 기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솔린(GASOLINE) 등의 엔진(ENGINE)을 시동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워밍업(WARMING UP)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하고 일정한 시간동안 워밍업 하므로, 정상 출력을 낼 수 있는 것으로, 보다 빠르게 정상출력을 내도록 하는 방식 중에 하나가, 원격시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고 엔진을 시동하는 원격시동 방식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항상 휴대하는 특징이 있고, 상기 자동차도 오너 드라이버가 증가하면서 현재 사회생활의 필수품화 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상기 원격시동장치와 휴대단말기를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 시스템과 자동차 원격시동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일반적인 자동차 원격시동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10)는, 기지국(RAN)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되어 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고유번호(ID)를 입력하여 호접속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출력하면, 상기 기지국(20)에서 무선수신하여 이동교환국(MSC)(30)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 고유번호(ID)를 분석하므로, 상기 통신 상대방이 자체 이동통신망에 가입되었는지 또는, 다른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인터넷 등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상대방이 자체 통신망에 가입된 경우는, 자체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SWITCHING) 처리하고, 상기 통신 상대방이 다른 통신망에 가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중망(40)에 접속하며, 상기 공중망(40)을 제어하여, 해당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칭(SWITCHING) 처리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순수하게 통신에만 사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매우 작은 편이고, 통신의 긴급성과 효용성 및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특성 등에 의하여 항 상 휴대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이용률 및 운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 부가서비스 이며, 일 예로, 티비기능, 카메라 기능, 라디오 기능, 피디에이 기능, 엠피3 기능을 포함하여,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등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 자동차를 원격제어하여 시동 걸거나 또는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 원격시동 방법을 설명한다.
자동차 원격 시동장치는, 원격지에 있는 자동차를 제어하여 엔진(ENGINE) 시동을 걸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자동차 엔진을 원격 시동하고자 하는 경우, 시동제어 신호를 출력하고(S20), 상기 자동차 엔진 시동제어 신호를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BAND)의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하므로 원격제어하며(S30),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에 의하여 자동차 엔진의 시동상태를 확인한다(S4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원격시동장치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포함하여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녀야 하는 물품의 숫자가 늘어나므로 관리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자동차 원격제어 장치를 일체화하는 것으로, 특히, 엔진 시동 제어를 포함하여 근거리 음성급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에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접속되는 원격시동부를 이용하여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신하고, 차량에 고정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의 센서 감지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무선기지국과 접속하여 무선통신하는 동시에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이통부와; 상기 이통부와 접속하고 양방향 입출력되는 신호를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정합시켜 양방향 전송하는 유에이알티부와; 상기 유에이알티부와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출력하며,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통부에 전송하여 양방향 통신하는 원격시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아이에스엠 밴드로 수신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정합 접속된 엔진에 시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고 아이에스엠 밴드에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차량엔진을 원격제어에 의하여 시동하는 경우 시동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입력되는 시동 제어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변조하여 무선송신하고 차량의 시동부로부터 음성급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원격제어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차량시동부로부터 음성급 신호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으면, 이통부에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음성급 신호로 근거리 통신하는 음성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접속하는 차량시동부는 차량을 원격제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를 복조하여 검출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무선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엔진부의 시동을 제어하고 센서부가 음성급 통신요청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센서과정과; 상기 센서과정의 차량시동부는 스피치부를 활성화하고 아이에스엠 밴드로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근거리 음성급 무선통신하는 근거리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원격시동부를 통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에서 수신하여 엔진을 제어하며,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센서부에 의하여 검출되면 설정된 근거리 통신경로로 음성급 통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원격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 순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하여 휴대단말기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에 유에이알티(UART) 방식으로 접속되는 원격시동부(100)를 이용하여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무선송신하고, 차량에 고정 구비되는 차량시동부(400)의 센서(SENSOR) 감지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무선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것으로,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양방향 무선전송하는 이동무선부(340); 상기 이동무선부(340)와 접속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이동통신을 제어하며 음성급 근거리 통신하는 제어부(310); 상기 제어부(3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메시지와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330); 상기 제어부(310)에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350); 상기 제어부(310)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명령과 이동통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부(3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이통부(300)와,
상기 이통부(300)와 접속하고 양방향 입출력되는 신호를 유에이알티(UART) 방식으로 정합시켜 양방향 전송하는 것으로, 이통부(300)와 원격시동부(100)를 24핀(PIN) 커넥터로 접속하고 양방향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여 해당 방향으로 고속 출력하는 유에이알티부(200)와,
상기 유에이알티부(200)와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아이에스엠(ISM) 밴드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출력하며,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통부(300)에 전송하여 양방향 통신하는 것으로, 유에이알티부(200)를 통하여 이통부(300)로부터 차량 원격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 요청에 의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수신되는 음성급 신호를 스피치 처리하고 이통부(300)에 인가하며, 이통부(3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스피치 처리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신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원격시동부(100)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110); 상기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입출력되는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스피치부(140); 상기 제어부(1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무선송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130)로 이루어지는 원격시동부(10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을 하는 이통부(300)와 차량을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통하여 원격제어하는 원격시동부(100)와, 24 핀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시동부와 이통부가 비동기방식으로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유에이알티부(2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통부(300)는, 정상적인 기능의 이동통신 휴대단말기로, 이동통신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고, 원격시동부(100)를 통하여 차량을 원격제어하거나, 또는,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이용하는 근거리 음성통신을 한다.
일 실시 예로, 근거리에 위치하고, 엔진이 꺼진 상태로 주차한 차량의 엔진을 원격 시동하는 경우, 키보드부(320)를 통하여 해당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310)에 의하여, 상기 유에이알티부(200)에 출력된다.
상기 유에이알티부(200)는 비동기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이통부(300)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원격시동부(100)의 제어부에 인가한다.
상기 원격시동부(100)는, 상기 이통부(300)에 동작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대기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110)로부터 차량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로드(LOAD)하고, 운용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운용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원격시동부(100)의 제어부(120)에 상 기 이통부(300)로부터 차량 원격제어 신호가 유에이알티부(200)를 통하여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고주파부(130)를 제어하여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상향변조하고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송신한다.
상기 아이에스엠(ISM) 밴드는, 공업(INDUSTRIAL)분야, 과학(SCIENTIFIC)분야, 의료(MEDICAL)분야 등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할당된 무선주파수 영역이다.
상기와 같이 원격시동부(100)로부터 아이에스엠 밴드로 출력되는 차량 원격제어 신호는, 차량에 일체로 구비되는 차량시동부(400)에서 무선수신하고 복조 및 분석하여 해당 내연기관 엔진(ENGINE)을 시동한다.
상기 차량으로부터 근거리의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상기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원격시동부(100)의 고주파부(130)에서 수신하고, 제어부(120)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20)에서 분석하여,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이통부(300)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한 원격시동부(100)의 제어부(120)는, 유에이알티부(200)를 통하여 접속된 이통부(300)와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통하여 차량시동부(400)와 양방향의 음성급 신호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하므로, 상기 차량시동부(400)와 휴대단말기의 이통부(300) 사이에서 근거리 음성통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 구성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아이에스엠 밴드를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제어하며, 근거리 음성통신으로 필요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를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부터 아이에스엠(ISM) 밴드(BAND)로 수신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정합(MATCHING) 접속된 엔진에 시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센서(SENSOR)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고, 아이에스엠 밴드에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통신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근거리 무선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출력하며, 음성통신을 요청하여 음성급 신호로 근거리 통신하는 차량시동부(400)와,
상기 차량시동부(400)에 접속하고 인가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시동하는 차량 엔진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차량시동부(400)는,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100)와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무선접속하여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430); 상기 고주파부(430)와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정합상태로 차량의 엔진부(500)에 출력하며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과 음성급 근거리 통신을 운용 감시하는 제어부(440); 상기 제어부(440)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와 근거리 음성통신을 제어하는 운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410); 상기 제어부(440)에 접속하고 호출요청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420); 상기 제어부(440)에 접속하고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처리하여 입출력하는 스피치부(450); 상기 스피치부(450)에 접 속하고 주변의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부(460); 상기 스피치부(450)에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470); 상기 제어부(440)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정합상태로 엔진부(500)에 출력하는 정합부(48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차량에 고정되고 아이에스엠(ISM) 밴드(BAND)를 통하여 무선수신되는 원격제어 신호에 의하여 엔진부(500)를 구성하는 내연기관 엔진을 원격 시동하는 차량시동부(400)는, 상기 엔진부(500)와 정합부(480)를 통하여 정합(MATCHING)된 상태로 접속되어 엔진시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100)로부터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차량의 원격제어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고주파부(430)에서 무선수신하고, 하향변조하여 기저대역(BASEBAND)의 신호로 상기 제어부(44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440)는, 메모리부(410)로부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로드(LOAD)하므로 운용대기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은 운용대기 상태에서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 시동을 원격제어하는 명령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합부(480)로 시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정합부(480)는, 시동제어신호를 정합(MATCHING)된 상태로 변환하여 엔진부(500)에 구성되는 내연기관 엔진이 움직이도록 시동한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차량이 주차하고 있으나, 인접한 장소에 주차하고 있는 다른 차량을 이동하기 위하여 또는, 차량의 소유주와 간단한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센서부(420)에 특정 신호를 인가하면, 즉, 노크와 같은 소정 크기의 충격을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440)에서 인지하고, 고주파부(430)를 통하여 원격시동부(100)에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원격시동부(100)는,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이통부(300)에 출력하므로 이통부(300)가 음성통신경로를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음성통신 경로는 차량시동부(400)에 까지 확장 연결되며, 상기제어부(440)는, 스피치부(450)를 활성화하여 음성급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스피치부(450)는, 마이크부(460)를 통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고 스피치부(450)에 인가하므로, 상기 스피치부(450)는 해당 복조 처리하여 제어부(44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440)는 고주파부(430)를 통하여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무선송신하므로, 상기 원격시동부(100)의 고주파부(130)에 전송된다.
상기 고주파부(130)는, 수신된 음성급 신호를 검출하고 하향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스피치부(100)를 제어하여, 음성신호를 복조하고, 상기와 같이 복조된 음성급 신호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유에이알티부(200)에 인가되며, 상기 유에이알티부(200)는 정합상태로 이통부(300)에 인가되므로, 상기 이통부(300)의 입출력부(350)를 통하여 출력된다.
상기 이통부(300)의 입출력부(350)에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는, 제어부(310)에 의하여 유에이알티부(200)에 인가되고, 상기 유에이알티부(200)에 의하여 원격 시동부(100)의 제어부(120)에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스피치부(140)에 인가하므로 변조처리하고, 상기와 같이 변조된 음성급 신호는 고주파부(130)에 인가되어 아이에스엠(ISM) 밴드의 신호로 무선송신되므로, 차량시동부(400)의 고주파부(430)에서 무선수신한다.
상기 차량시동부(400)의 고주파부(430)는, 무선수신된 음성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440)는 스피치부(450)로 인가하며, 상기 스피치부(450)는 입력된 음성급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부(470)에 인가하므로, 들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부(460) 및 스피커부(470)와, 상기 이통부(300)의 입출력부(350) 사이에 설정된 음성급 통신경로를 통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이 진행되고, 상기 마이크부(460)와 스피커부(470)는 차량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음성급 통신은, 별도의 통신채널 점유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긴급한 통신을 진행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원격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원격시동부(100)를 통하여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시동부(400)에서 수신하여 엔진(ENGINE)을 제어하며,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센서부(420)에 의하여 검출되면 설정된 근거리 통신경로로 음성급 통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차량엔진을 원격제어에 의하여 시동하는 경우 시동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100)에 의하여 차량엔진을 원격제어하고 시동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차량엔진을 원격제어로 시동하는 경우에 키보드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제어 신호를 유에이알티(UART) 방식으로 입력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입력되는 시동 제어신호를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변조하여 무선송신하고 차량의 시동부(400)로부터 음성급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과정에서 입력되는 시동제어명령을 아이에스엠 밴드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요청 신호가 무선수신되고 검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제어과정과,
상기 원격제어과정에서 차량시동부(400)로부터 음성급 신호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으면, 이통부(300)에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음성급 신호로 근거리 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원격제어과정에서 음성급 통신요청이 있으면, 웨이크업 신호를 이통부(300)에 인가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의 원격시동부(100)와 이통부(300) 사이에 음성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150); 상기 휴대단말기는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근거리 무선 송수신되는 음성급 통신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음성통신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원격시동부 (100)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차량을 원격제어하여 시동할 것인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차량을 원격제어하여 시동하는 경우, 이통부(300)의 키보드부(320)를 통하여 원격에 의한 시동제어명령을 입력한다(S110).
상기 이통부(300)에 의하여 입력된 원격 시동제어 명령은, 유에이알티부(200)를 통하여 정합(MATCHING)된 상태로 원격시동부(100)에 인가되고, 상기 원격시동부(100)는, 아이에스엠(ISM) 밴드의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S120)하므로, 차량시동부(400)에서 무선수신하고 원격시동을 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원격시동부(100)는, 아이에스엠(ISM) 밴드(BAND)의 주파수 신호를 통하여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무선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130), 상기 판단(S130)에서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어 입력되면, 상기 원격시동부(100)는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발생하여 유에이알티부(UART)(200)에 출력하고, 상기 유에이알티부(200)는 정합(MATCHING) 상태로 이통부(300)에 인가한다(S140).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인가받은 이통부(300)는 원격시동부(100)와의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확보하고(S150), 상기 확보된 음성통신 경로를 통하여 차량시동부(400)와 근거리 음성급 통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S160).
즉,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제어로 시동하고, 웨이크업(WAKEUP) 신호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차량과 휴대단말기 사이에서 근거리 음성급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부가서비스를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표시부가 넓은 피디에이(PDA)를 이용하는 경우는, 원격제어 상태를 용이하게 표시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와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무선접속하는 차량시동부(400)는 차량을 원격제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아이에스엠(ISM) 밴드 신호를 복조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차량의 엔진부에 접속되고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시동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100)로부터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의 차량시동부(400)는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출력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지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무선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엔진부(500)의 시동을 제어하고 센서부(420)가 음성급 통신요청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과정의 차량시동부(400)에 의하여 복조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엔진부(500)에 출력하여 시동을 제어하는 과정(S220); 상기 과정(S220)의 차량시동부(400)는 센서부(420)를 감시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230)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과정과,
상기 센서과정의 차량시동부(400)는 스피치부(450)를 활성화하고 아이에스엠(ISM) 밴드로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근거리 음성급 무선통신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시동부(400)에 의하여 스피치부(450)를 활성화하고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S240); 상기 과정(S240)의 차량시동부(400)는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100)에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하는 과정(S250); 상기 과정(S250)의 차량시동부(400)는 아이에스엠(ISM) 밴드(BAND)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를 근거리 무선송수신하여 통신하는 과정(S260)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 통신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제어를 받는 차량시동부의 차량 원격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 구성에 의한 차량시동부(400)는,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무선으로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는 원격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판단(S200)에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수신되는 원격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하향변환하고 복조한다(S210).
상기와 같이 검출되고 복조된 차량 원격제어 신호는, 차량시동부(400)를 구성하는 제어부(440)에 의하여 정합부(480)에 인가되고, 상기 정합부(480)는 정합(MATCHING)된 상태로 엔진부(500)에 출력하여 시동을 제어한다(S22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아이에스엠 밴드의 무선신호로 인가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엔진을 원격 시동한다.
상기 차량시동부(400)의 제어부(440)는, 센서부(420)를 감시하여, 음성급 근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센싱(SENSING)하고 인가되는지 판단하며(S230), 상기 판단(S230)에서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센싱한 경우, 제어부(440)는 스피치부 (450)를 활성화하여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통한 음성통신이 진행되도록 하는 경로(PATH)를 설정한다(S240).
상기 차량시동부(400)의 제어부(440)는, 아이에스엠(ISM) 밴드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에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고(S250), 스피치부(450)를 활성화하여 마이크부(460)와 스피커부(470)를 이용한 음성급 신호를 입출력하므로, 고주파부(430)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한다(S260).
따라서, 차량에 일체로 구비되는 차량시동부(400)를 이용하여 엔진의 시동을 원격제어하는 동시에 음성급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므로, 차량소유주와 긴급한 음성통신을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원격시동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하도록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과 휴대단말기 사이에 아이에스엠 밴드를 이용한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하도록 하므로, 긴급한 의사교환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이동통신 휴대단말기에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접속되는 원격시동부를 이용하여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신하고, 차량에 고정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의 센서 감지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2. 이동통신 무선기지국과 접속하여 무선통신하는 동시에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이통부와,
    상기 이통부와 접속하고 양방향 입출력되는 신호를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정합시켜 양방향 전송하는 유에이알티부와,
    상기 유에이알티부와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출력하며,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무선통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이통부에 전송하여 양방향 통신하는 원격시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통부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양방향 무선전송하는 이동무선부와,
    상기 이동무선부와 접속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이동통신을 제어하며 음성급 근거리 통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문자메시지와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명령과 이동통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이알티부는,
    상기 이통부와 원격시동부를 24핀 커넥터로 접속하고 양방향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여 해당 방향으로 고속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시동부는,
    상기 유에이알티부를 통하여 이통부로부터 차량 원격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 요청에 의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수신되는 음성급 신호를 스피치 처리하고 이통부에 인가하며 이통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스피치 처리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송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원격시동부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입출력되는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변복조 처리하는 스피치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무선송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6. 휴대단말기로부터 아이에스엠 밴드로 수신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정합 접속된 엔진에 시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고 아이에스엠 밴드에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음성급 근거리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근거리 무선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출력하며, 음성통신을 요청하여 음성급 신호로 근거리 통신하는 차량시동부와,
    상기 차량시동부에 접속하고 인가되는 차량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시동하는 차량 엔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시동부는,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접속하여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음성급 근거리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와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정합상태로 차량의 엔진부에 출력하며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과 음성급 근거리 통신을 운용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호출요청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근거리 음성급 통신신호를 처리하여 입출력하는 스피치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정합상태로 엔진부에 출력하는 정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차량 원격제어와 근거리 음성통신을 제어하는 운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스피치부에 접속하고 주변의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부와,
    상기 스피치부에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장치.
  10. 휴대단말기로 차량엔진을 원격제어에 의하여 시동하는 경우 시동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입력되는 시동 제어신호를 아이에스엠 밴드로 변조하여 무선송신하고 차량의 시동부로부터 음성급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원격제어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차량시동부로부터 음성급 신호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요청이 있으면, 이통부에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음성급 신호로 근거리 통신하는 음성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에 의하여 차량엔진을 원격제어하고 시동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차량엔진을 원격제어로 시동하는 경우에 키보드부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제어 신호를 유에이알티 방식으로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과정은,
    상기 시작과정에서 입력되는 시동제어명령을 아이에스엠 밴드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아이에스엠 밴드를 통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요청 신호가 무선수신되고 검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 과정은,
    상기 원격제어과정에서 음성급 통신요청이 있으면, 웨이크업 신호를 이통부에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원격시동부와 이통부 사이에 음성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는 아이에스엠 밴드로 근거리 무선 송수신되는 음성급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4. 휴대단말기와 아이에스엠 밴드로 무선접속하는 차량시동부는 차량을 원격제어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아이에스엠 밴드 신호를 복조하여 검출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무선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하여 엔진부의 시동을 제어하고 센서부가 음성급 통신요청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센서과정과,
    상기 센서과정의 차량시동부는 스피치부를 활성화하고 아이에스엠 밴드로 음 성통신 경로를 설정하여 근거리 음성급 무선통신하는 근거리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차량의 엔진부에 접속되고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차량시동부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로부터 아이에스엠 밴드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차량시동부는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과정은,
    상기 수신과정의 차량시동부에 의하여 복조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엔진부에 출력하여 시동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차량시동부는 센서부를 감시하여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과정은,
    상기 차량시동부에 의하여 스피치부를 활성화하고 아이에스엠 밴드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음성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차량시동부는 휴대단말기의 원격시동부에 근거리 음성통신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차량시동부는 아이에스엠 밴드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를 근거리 무선송수신하여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18.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원격시동부를 통하여 아이에스엠 밴드로 차량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시동부에서 수신하여 엔진을 제어하며, 근거리 음성급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가 센서부에 의하여 검출되면 설정된 근거리 통신경로로 음성급 통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방법.
KR1020040102594A 2004-12-07 2004-12-07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4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594A KR100641222B1 (ko) 2004-12-07 2004-12-07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594A KR100641222B1 (ko) 2004-12-07 2004-12-07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423A true KR20060063423A (ko) 2006-06-12
KR100641222B1 KR100641222B1 (ko) 2006-11-02

Family

ID=3715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594A KR100641222B1 (ko) 2004-12-07 2004-12-07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96B1 (ko) * 2015-11-05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모듈,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5749A (ja) 1997-07-31 1999-02-26 Niles Parts Co Ltd 電話器を用いた車両用マルチリモコン装置
JPH11139252A (ja) 1997-11-11 1999-05-25 Kansei Corp 車両通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96B1 (ko) * 2015-11-05 2016-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모듈,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699290B2 (en) 2015-11-05 2017-07-04 Hyundai Motor Company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222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987B2 (en)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8364139B2 (en)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8369846B2 (en)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9456069B2 (en) Methods, systems and key fob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hands free mobile communications from within an automotive vehicle
KR100834661B1 (ko)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CN104639759B (zh) 移动终端防遗忘提醒方法及装置
US815569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4915111B (zh) 终端操作控制方法及装置
CN101141151A (zh) 用于使用短距离无线通信的移动终端的成员通知方法
CN103138806A (zh) 连接建立方法、连接建立模块和终端设备
JP2020150309A (ja) 車載機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5286827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JP4275027B2 (ja) ヘッドセット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11107524A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系统及车载终端
JP5094279B2 (ja) 通信装置
KR100641222B1 (ko) 휴대단말기의 차량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EP2137894B1 (en)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JP20022910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KR20120083151A (ko) 동일한 아이디를 가진 복수의 가입자 확인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770440B (zh) 通信方法及装置
AU2012203969B2 (en)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0538880B1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핸즈프리 방법
KR100549421B1 (ko) 카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전화 통화방법
US8442597B2 (en) Telephone apparatus having calling card support function and handsfre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