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972A - 모듈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972A
KR20060061972A KR1020040100608A KR20040100608A KR20060061972A KR 20060061972 A KR20060061972 A KR 20060061972A KR 1020040100608 A KR1020040100608 A KR 1020040100608A KR 20040100608 A KR20040100608 A KR 20040100608A KR 20060061972 A KR20060061972 A KR 2006006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input
power supply
emergency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263B1 (ko
Inventor
우효승
하정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2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1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wherein the phase of the control voltage is adjustable with reference to the AC source
    • H02M1/08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wherein the phase of the control voltage is adjustable with reference to the AC source with digit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전원차단, 이상발생시 자동전원차단, 비상정지 시 수동전원차단, 전원의 이상유무 감시 등의 전원장치들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설계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각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여 이상발생시 AC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이상발생전원차단장치; 비상정지신호의 입력시 각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비상전원차단장치; 및 AC전원의 라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전원제어장치{Apparatus for Power Control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 사양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전원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위 제어기의 전원스위치와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전원릴레이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위 제어기의 전원이상입력부와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전원이상검출부 연결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듈전원제어장치 102,104 : 라인필터
108,110 : 전원릴레이 112,114,116 : SMPS
120 : 전원이상검출부 150,160 : 모듈
200 : 상위 제어기 202 : 전원스위치
204 : 비상정지스위치 210 : MCCB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서보모듈, I/O모듈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전원차단, 이상발생시 자동전원차단, 비상정지 시 전원차단, 전원의 이상유무 감시 등의 복합기능을 갖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전원제어장치(PCM:Power Control Module)는 상위 제어기(OCP;Operation Control Panel)로부터 명령을 받아 서보모듈, I/O모듈 등을 동작시키면서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MCCB, 이상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는 MS 및 전원릴레이, 사용자로부터 비상정지입력신호를 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E-Stop Circuit,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노이즈필터, 입력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Power Check Circuit 등의 전원장치들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 컨트롤러(산업용 장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원장치들을 조합 또는 설계하여 로봇 컨트롤러에 맞는 모듈전원제어장치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원차단, 이상발생시 자동전원차단, 비상정지 시 전원차단, 전원의 이상유무 감시 등의 전원장치들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설계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모듈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서 각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제어스위치; 상기 전원제어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전원이상검출부; 및 상기 전원이상검출부에 의해 AC전원의 이상발생이 검출되면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MS 및 전원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제어스위치는 AC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MCCB, 상기 전원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전원스위치, 비상정지신호를 입력하는 비상정지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스위치는 제어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릴레이는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1전원릴레이와, 회로 제어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2전원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릴레이는 비상정지스위치로부터 비상정지신호가 입력되면 MS를 통해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각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여 이상발생시 AC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이상발생전원차단장치; 비상정지신호의 입력시 각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비상전원차단장치; 및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MCCB를 통해 입력되는 AC전원의 라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 사양도로서, 본 발명의 모듈전원제어장치가 외부 디바이스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간단히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에서, 모듈전원제어장치(100, PCM:Power Control Module)는 상위 제어기(200, OCP;Operation Control Panel)로부터 명령을 받아 모터부(300)와 I/O 및 리미트부(400)를 제어하고, 현재의 상태를 상위 제어기(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한 대의 상위 제어기(200)에 여러 대의 모듈전원제어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듈전원제어장치(100)는 외부에서 220VAC, 3상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위 제어기(200) 및 각 모듈(서보 드라이브)에 필요한 전압을 만들어 공급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이며, 전원공급 및 순간적인 전원의 불안정을 대비하여 UPS를 외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의 전원 계통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모듈전원제어장치(100)는 라인필터(102,104), 마그네틱 스위치(106;이하, MS라 한다), 전원릴레이(108,110), SMPS(112,114,116), 브레이크릴레이(118), 전원이상검출부(120), 전원모듈(122) 및 다수의 서보모듈(150)과 I/O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라인필터(102,104)는 AC전원의 라인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으로, AC전원(220VAC, 3상)의 입력을 차단하는 MCCB(210)에 연결된 제1라인필터(102)와, 이상발생 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MS(106)에 연결된 제2라인필터(104)로 구성된다.
전원릴레이(108,110)는 상위 제어기(200)의 전원스위치(202)를 온시키면 모 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동작하는 것으로,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1전원릴레이(108)와, 회로 제어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2전원릴레이(110)로 구성된다.
도 3은 상위 제어기(200)에 2개의 모듈전원제어장치(100)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위 제어기(200)의 전원스위치(202)와 모듈전원제어장치(100)의 전원릴레이(108,110)를 연결한 구성도이다.
상기 제1전원릴레이(108)는 사용자가 상위 제어기(200)의 비상정지스위치(204)를 누르면 상위 제어기(200)에서 발생된 비상정지신호(E-Stop신호)를 받아 MS(106)를 통해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차단하여 모든 모듈(150,160)의 동작을 멈추게 하나 제어용 AC전원은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기본 회로는 계속 동작을 한다.
SMPS(112,114,116)는 AC전원을 입력받아 24V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제1라인필터(102)에 연결되어 상시 24V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SMPS(112)와, 상기 제2전원릴레이(110)에 연결되어 24V전원을 I/O모듈(160)과 브레이크릴레이(118)에 공급하는 I/O SMPS(114)와, 상기 제2전원릴레이(110)에 연결되어 24V전원을 상위 제어기(200)에 공급하는 OCP SMPS(116)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릴레이(118)는 서보모듈(150,서보 드라이브)의 브레이크신호를 받아 모터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전원이상검출부(120)는 제1라인필터(102)에 연결되어 AC전원 입력이 불안정하거나 차단될 경우에 전원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상위 제어기(200)에 출력하는 것으로,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기 위해 AC전원의 2선을 따로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위 제어기(200)는 전원스위치(202)를 통해 제1 및 제2전원릴레이(108,110)를 오프시켜 AC전원의 입력을 차단시킨다.
도 4는 상위 제어기(200)에 2개의 모듈전원제어장치(100)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위 제어기(200)의 전원이상입력부(206)와 모듈전원제어장치(100)의 전원이상검출부(120)를 연결한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전원이상검출부(120)는 AC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Open Collector 출력을 ON시키고, AC전원의 입력이 불안정하거나 차단될 경우에는 Open Collector 출력을 OFF시켜 전원이상신호를 발생한다.
전원모듈(122)은 제2라인필터(104)에 연결되어 다수의 서보모듈(150)과 I/O모듈(160)에 220VAC전원을 공급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듈전원제어장치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2에서, 주전원 공급용 스위치인 MCCB(210)를 온시키면, 제1라인필터(102)를 거쳐 AC전원(220VAC, 3상)이 입력되어 상시 SMPS(112)와 전원이상검출부(120)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AC전원은 MS(106)와 제1 및 제2전원릴레이(108,110)를 통해 다른 장치들에는 인가되지 않고, 상위 제어기(200)의 전원스위치(202)를 통해 외부에서 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대기한다.
전원스위치(202)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제1 및 제2전원릴레이(108,110)가 동작하여 상위 제어기(200)와 각 서보모듈(150) 및 I/O모듈(16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이상검출부(120)에서는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면서 운전 중 AC전원의 순간적인 끊김 또는 중단이 발생하면 전원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상위 제어기(200)에 출력한다.
전원이상신호가 발생하면, 상위 제어기(200)는 전원스위치(202)를 통해 제1 및 제2전원릴레이(108,110)를 오프시켜 AC전원의 입력을 차단시킨다.
만약, 운전 중에 상위 제어기(200)의 비상정지스위치(204)로부터 E-Stop이라는 비상정지신호가 발생하면, 제1전원릴레이(108)가 MS(106)를 통해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차단하여 각 모듈(150,16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동작을 멈추게 하고, 이때 제어용 AC전원은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기본 회로는 계속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모듈전원제어장치(100)는 팬을 설치할 경우 24V전원을 공급해주며, 팬의 이상이 감지될 경우 I/O를 통해 이상여부를 알려준다. 또한 서보 드라이브의 브레이크신호를 받아서 모터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의하면, 입력 전원차단, 이상발생시 자동전원차단, 비상정지시 수동전원차단, 전원의 이상유무 감시 등의 전원장치들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AC입력전원의 이상발생, 비상정지신호 발생 또는 브레이크신호 발생 시에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단해줌으로써 설계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각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제어스위치;
    상기 전원제어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전원이상검출부; 및
    상기 전원이상검출부에 의해 AC전원의 이상발생이 검출되면 각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MS 및 전원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스위치는 AC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MCCB, 상기 전원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전원스위치, 비상정지신호를 입력하는 비상정지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스위치는 제어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릴레이는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1전원릴레이와, 회로 제어용 AC전원을 제어하는 제2전원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릴레이는 비상정지스위치로부터 비상정지신호가 입력되면 MS를 통해 모터 구동용 AC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
  4.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각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AC전원의 이상유무를 감시하여 이상발생시 AC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이상발생전원차단장치; 및
    비상정지신호의 입력시 각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비상전원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MCCB를 통해 입력되는 AC전원의 라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전원제어장치.
KR1020040100608A 2004-12-02 2004-12-02 모듈전원제어장치 KR10060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08A KR100608263B1 (ko) 2004-12-02 2004-12-02 모듈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08A KR100608263B1 (ko) 2004-12-02 2004-12-02 모듈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972A true KR20060061972A (ko) 2006-06-09
KR100608263B1 KR100608263B1 (ko) 2006-08-08

Family

ID=371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608A KR100608263B1 (ko) 2004-12-02 2004-12-02 모듈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2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80A (ko) * 1997-01-14 1998-10-15 김광호 전원 공급 장치
JPH11113164A (ja) 1997-10-03 1999-04-23 Ricoh Co Ltd 複写機等の電源監視装置
JP2000152493A (ja) 1998-11-11 2000-05-30 Nec Kofu Ltd 電源制御装置
JP2004328904A (ja) 2003-04-24 2004-11-18 Sato Corp 電圧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263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724B2 (ja) 安全停止回路を備えたモータ制御装置
US8884571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which limits torque command according to input current or power
US9852852B2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with switching element in the auxiliary contact current path
KR101775302B1 (ko) 전력 차단 장치
CN108319258B (zh) 一种dc-dc模块电源主控制器热备份方法
US11661313B2 (en) Drive device having safety circuits using logic states for an elevator
EP2592502B1 (en) Safety control system
US11293997B2 (en) Diagnostic apparatus
JP2009011042A (ja) 突入電流防止回路の保護方法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
US9537316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a multi-phase power supply
KR100608263B1 (ko) 모듈전원제어장치
JP7047499B2 (ja) 電力変換装置
CN108847789B (zh) 用于交流伺服驱动器的安全转矩关断电路及系统
US11745373B2 (en) Method and cutting machine with safety-monitored reversing of the dangerous cutting blade movement in the event of danger
KR10240741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JP7353357B2 (ja) 電源供給装置及び電源供給システム
CN113629855A (zh) 一种基于冗余控制的舞台驱动系统及方法
CN112689936A (zh) 电源供应系统
CN111917097A (zh) 应急断电保护方法和多路伺服电机驱动控制供电系统
CN112673541A (zh) 电源供应系统
CN105634121A (zh) 具有自动重合闸功能的综合保护开关
KR20030091141A (ko) 전동기 자동전환운전 장치
CN214674360U (zh) 一种发电机负荷控制系统
JPS6053398A (ja) 遠方監視制御装置
JP2003174701A (ja) 電気車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