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770A -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구비하는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구비하는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770A
KR20060061770A KR1020060042156A KR20060042156A KR20060061770A KR 20060061770 A KR20060061770 A KR 20060061770A KR 1020060042156 A KR1020060042156 A KR 1020060042156A KR 20060042156 A KR20060042156 A KR 20060042156A KR 20060061770 A KR20060061770 A KR 2006006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rinting apparatus
foam material
foam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65B1 (ko
Inventor
조서현
황형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3Specific material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alys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잉크를 담지하기 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잉크를 함습하기 위한 폼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폼재는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탈취 및 살균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노즐의 클로깅 현상 없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폼재,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은 나노 입자

Description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A printer catridge comprising an antibacterial foam and a printer employing the printer catridge}
도 1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로서, 내부에 폼재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0: 카트리지 케이스
11: 폼재
12: 잉크 공급부
13: 필터
14: 연통구
본 발명은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항균, 탈취 및 살균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노즐의 클로깅 현상 없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피코리터급의 잉크 방울을 열 전사 등의 방법을 통해서 종이에 분사함으로써 텍스트 및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며, 상기한 잉크 방울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세하게 작동하는 헤드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는 카트리지와 연결된 잉크 공급 케이스에서 잉크를 공급받으며, 이와 같은 카트리지는 헤드에 적정량의 잉크를 공급함과 아울러 잉크 누설을 방지하고 잉크 방울이 생성되기에 용이한 구조로 제작된다.
도 1에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는 케이스 (10), 상기 케이스 (10)에 충진되어 잉크를 보유할 수 있는 폼 (foam)재 (11), 상기 폼재 (11)에서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부 (12), 상기 공급부 (12)에서 잉크를 토출할 때 잉크를 필터링하는 필터 (13), 및 상기 케이스 (10)에 외부 공기를 연통시켜 상기 폼재 (11)에서 잉크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는 연통구 (14)로 구성되어 있다.
즉, 미세한 기공을 갖고 있는 상기 폼재 (11)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0)에 수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잉크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폼재 (11)의 미세 기공에서 발생되는 모세관력에 의해서 부압이 발생되고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착색제, 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되며, 기대되는 제팅 (jetting) 물성 및 제팅된 후 기대되는 흡착 또는 흡수 특성을 보유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잉크 조성물은 점도, 표면장력, 화상 선명성, 제팅 안정성, 건조 시간, 번짐성, 저장 안정성, 칼라 구현성, 프린터 헤드 및 기록 매체와의 친화성, 내마찰 번짐성 및 화상의 내수성 등에서 적절한 특성을 나타내어야 하며, 항균, 탈취 및 살균 특성도 이러한 중요한 특성들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종래의 항균성 잉크젯 프린터는 항균,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잉크 조성물 자체에 은 입자를 첨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제03/0380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49007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331151호에서는 잉크 조성물에 미세 크기의 은 입자를 첨가하여 항균 효과를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고해상도의 프린팅 품질을 얻기 위해서 잉크의 드롭 (drop)량을 점차 줄여나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잉크 분사 노즐도 점점 작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잉크 조성물에 첨가된 은 입자는 미세화된 노즐에 클로깅 (clogging)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인쇄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잉크 조성물 자체에 은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카트리지 내부의 폼재에 은 나노 입자를 외첨시킴으로써, 항균, 탈취 및 살균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노즐의 클로깅 현상 없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일 태양에서,
잉크를 담지하기 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잉크를 함습하기 위한 폼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폼재는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태양에서,
상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는 잉크를 담지하기 위한 하우징 및 담지된 잉크를 함습하기 위한 폼재를 구비하며, 상기 폼재는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우징 내부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쇄용 잉크가 통상의 함량으로 충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나노 입자의 함량은 폼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포함된다. 상기 은 나노 입자의 함량이 0.1 중량%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충분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과량의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나노 입자의 1차 입경은 30 nm 내지 100 ㎛이다. 상기 은 나노 입자의 입경이 30 nm보다 작은 경우에는 은 나노 입자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0 ㎛보다 큰 경우에는 은 입자를 폼재 내부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폼재는 당업계에서 카트리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재질의 폼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미노 수지, 알키드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폼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폼재는 a) 예비 중합체, 폴리올, 중합 촉매, 은 나노 입자, 정포제 및 셀 조절제를 혼합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원료 조성물을, 터널 형태의 측벽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컨베이어 상부에 연속적으로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주입물을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택 프리 상태의 발포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포체를 컨베이어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 조성물은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올 10 내지 100 중량부, 중합 촉매 0.01 내지 20 중량부, 은 나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정포제 0.1 내지 50 중량부, 및 셀 조절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중합체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및/또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터용 폼재의 제조에 있어서는 내수성이 우숫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성분의 함 량은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0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중합체가 불완전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반응 물질의 잔류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원료 조성물은 또한 예비 중합체의 중합 반응을 촉매하기 위한 중합 촉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재의 제조에 있어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방향족계 모노올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반응을 촉매하는 중합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3량화 촉매 이외에도 선택된 폼재의 재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중합 촉매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메틸헥실아민,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및 테트라메틸프로판디아민과 같은 3차 아민, 및 이들의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4차 암모늄염, 그리고 유기 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납 옥틸레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및 칼륨 옥틸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촉매의 함량은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조성물은 또한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은 나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은 나노 입자의 함량은 최종 완성체 폼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는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2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은 나노 입자의 1차 입경은 30 nm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 나노 입자는 기계적 그라인딩 (grinding) 방법, 공침법, 분무법, 졸-겔법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염 수용액에, 환원제 및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환원제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히드라진, NaBH4, LiAlBH4, 옥소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은 입자의 크기 및 크기 분포를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 및 농도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의 탄화수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또는 플로로카본계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조성물은 또한 고탄성 폼재의 제조를 위한 셀 개방용 실리콘 정포제 및 셀 조절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용도로 적합한 정포제로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클로린, 플르오르, 및 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포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셀 조절제로는 스태노스 옥토에이트와 같은 올라노틴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특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셀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포제의 함량은 상기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개방 셀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방 셀이 너무 많아져서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셀 조절제의 함량은 상기 예비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1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중합속도가 너무 느린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함량이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조절제의 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개방 셀 폼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개방 셀 폼재를 발포시킴으로써 다수의 타원형 셀이 성장 배열되도록 소정 크기의 발포체를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 단계에서 성형된 발포체를 성장된 셀의 단축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셀의 장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폼재의 성형 단계는 상기 원료 조성물을 직사각형 등과 같은 형태의 터널을 형성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주입함으로써 개시되며, 주입된 원료 조성물은 터널의 측벽 내부를 지나면서 발포 성형되고, 기둥 모양의 발포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원료 조성물을 발포기 헤드를 통하여 터널 측벽의 입구측에 발포하게 되면, 컨베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팽창하게 되며, 이는 크림 상태보다 더 부풀어 약간의 점성을 가지는 젤 상태가 되고, 이러한 젤 상태를 지나 점성이 없어지는 택 프리 (tack free) 상태로 변화되면서 기둥 모양의 발포체로 성형된다. 이때, 원료가 발포되면서 측벽의 천장 쪽으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방출되며, 이로 인하여 폼 내부의 개방 셀들은 바닥면에서 천장쪽으로 팽창하여 Ag 입자가 함유된 폼재가 형성되게 된다. 최종 폼재는 성형 단계에서 성형된 발포체를 일정 두께를 갖도록 컨베이어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상의 원료 조성물의 이동 시간은 10분 내지 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폼 형성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길어져서 양산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인쇄 장치로는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은 나노 입자의 제조
계면활성제로서 1.25g의 폴리옥시에틸렌 (20몰)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Tween 20), 환원제로서 0.07g의 히드라진이 용해된 수용액 100g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0.04g의 AgNO3가 용해된 수용액 5g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결과물로서, 평균 직경 50 nm의 미세 은 나노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2. 폼재의 제조
예비 중합체로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0g 및 방향족계 모노올 50g을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된 프리폴리머와 폴리올로서 폴리에테르트리올 60g, 중합 촉매로서 이소시아네이트 3량화 촉매 2g, 평균 1차 입경 100 nm의 은 나노 입자 2g, 정포제로서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20g, 및 셀 조절제로서 스태노스 옥토에이트 3g을 혼합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원료 조성물을, 직사각형 터널 형태 (가로 20cm, 세로 20cm, 높이 20cm)의 측벽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컨베이어 상부에 연속적으로 주입시켰다. 상기 주입물을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1시간 동안 이동시킴으로써 택 프리 (tack free) 상태의 발포체를 성형하였으며, 상기 발포체를 컨베이어 바닥면에 대해서 가로 1m, 높이 1m의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폼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항균실험 결과
실시예 2에 따른 폼재를 충진시킨 카트리지 및 비교예로서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식에 따른 카트리지 각각에 대해서, 솔리드 패턴 (solid pattern) 및 하프톤 패턴 (halftone pattern) 화상에 대한 항균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박테리아 감소율 (%)
솔리드 패턴 하프톤 패턴
실시예 2 99.8% 99.8%
비교예 26.0% 26.0%
항균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를 35±1℃ 시험용액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초기 균수는 1.4 ×105개/ml이었으며 24시간 배양하면 균수가 16.4 ×106개/ml로 증가하였다. 24시간 배양된 용액을 솔리드패턴과 하프톤 패턴으로 인쇄된 용지위에 떨어뜨렸다. 용지의 크기는 60cm2을 사용하였다. 24시간 후 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균수 대비 감소된 수를 상기 표 1과 같이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는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트리지에 비해서 월등한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 탈취 및 살균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노즐의 클로깅 현상 없이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인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잉크를 담지하기 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잉크를 함습하기 위한 폼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폼재는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입자의 함량은 상기 폼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입자의 1차 입경은 30 nm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미노 수지, 알키드 수지, 페놀계 수지,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재는 폴리우레탄 수지 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20060042156A 2003-12-17 2006-05-10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구비하는 인쇄 장치 KR100694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506 2003-12-17
KR20030092506 2003-12-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59A Division KR100607986B1 (ko) 2003-12-17 2004-06-22 항균성 폼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770A true KR20060061770A (ko) 2006-06-08
KR100694165B1 KR100694165B1 (ko) 2007-03-12

Family

ID=37158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59A KR100607986B1 (ko) 2003-12-17 2004-06-22 항균성 폼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카트리지
KR1020060042156A KR100694165B1 (ko) 2003-12-17 2006-05-10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구비하는 인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59A KR100607986B1 (ko) 2003-12-17 2004-06-22 항균성 폼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607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80B1 (ko) * 2006-02-06 2009-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제로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양극 합제 및그것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47882B1 (ko) * 2007-01-12 2008-07-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냄새 저감 및 항균성이 부가된 연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및 폼의 제조방법
KR102322694B1 (ko) 2020-02-12 2021-11-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탈취 및 항균 기능이 있는 부직포 잉크젯 출력소재
KR20230033141A (ko) 2021-08-27 2023-03-08 주식회사 에스엠나노바이오 탈취 및 항균 기능이 있는 부직포 잉크젯 출력소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14B1 (ko) * 2002-01-28 2007-03-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986B1 (ko) 2006-08-21
KR100694165B1 (ko) 2007-03-12
KR20050061265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3421A1 (en) Foam, method of forming the foam, print cartridge including the foam,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print cartridge
KR100694165B1 (ko) 항균성 폼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구비하는 인쇄 장치
CN101724167B (zh) 层叠片及其制造方法
JPS5845272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エツト記録方法
US4968724A (en) Hydrated salt systems for controlled release of water in polyurethane foams
EP3152268B1 (en) Ink composition
EP00897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yurethane foams
US6699423B2 (en) Ink wastage absorber and ink supporter
KR100250371B1 (ko) 통기성 개방 셀을 갖는 우레탄 폴리머
EP1277587B1 (en) Ink retaining polyurethane foam
EP1277586B1 (en) Ink retaining polyurethane foam
US5587731A (en) Ink retainer
EP0832750B1 (en) Ink reservoir for ink jet printer
JP5242018B2 (ja) 廃インク吸収体の製造方法
KR100564381B1 (ko) 폴리우레탄 미립자의 제조방법
CN109016842A (zh) 液体喷出头
JPH1120192A (ja) インク保持体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269248B2 (ja) インク保持体
JP4895071B2 (ja) インク保持体
US9695266B2 (en) Wettable, high strength foam especially for ink holders
JP2008221815A (ja) インク保持体
JP200031312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3159032A (ja) インク保持体
JP2009179705A (ja) 発泡ウレタン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