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064A -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 Google Patents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064A
KR20060061064A KR1020040099928A KR20040099928A KR20060061064A KR 20060061064 A KR20060061064 A KR 20060061064A KR 1020040099928 A KR1020040099928 A KR 1020040099928A KR 20040099928 A KR20040099928 A KR 20040099928A KR 20060061064 A KR20060061064 A KR 20060061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material
surface layer
lay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102004009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1064A/ko
Publication of KR2006006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을 구축하기 위한 벽돌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도로의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는 인도 및 공원 등의 보도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에 관한 것으로,
가격이 싼 재료로 모재층과 가격이 비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이 서로 겹쳐진 접합된 상태로 성형된 이중 블럭을 제공하되, 상기한 모재층과 표면층의 접합면이 서로 결속되는 결속구조로 결합되어 성형되게 하여 모재층과 표면층이 혼연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생산단가가 저렴한 블럭을 생산할 수 있으며, 건물을 건설할 때 표면층이 표출되게 건축하는 수단으로 마치 고가의 재료로 된 블럭을 사용하여 건물을 건설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발명이다.
블럭, 모재층, 표면층, 결속구조, 돌기물

Description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Block for construction and roa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2 : 모재층
3 : 표면층 3a : 단일재료 표면층
3b : 복수재료 표면층 4 : 결속구조
4a,4b,4c : 돌기물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을 구축하기 위한 벽돌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도로의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는 인도 및 공원 등의 보도에 사용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재료 예를 들면, 현재 기준으로 가격이 싼 황토와 가격이 비싼 백토를 상,하측 또는 좌,우측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블럭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가격이 비싼 백토 재료로 제조된 벽돌과 같은 사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럭은 사용용도에 따라 건물의 벽면을 구축하기 위한 것과, 도로나 인도 등에 깔아주기 위한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시멘트재료로 된 블럭은 성형틀에 재료를 충진시키고 다져주는 방법으로 성형되며, 황토 및 백토 재료로 된 블럭은 반죽된 재료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익스트루터(Extruder)가 장착된 토련기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 중에서 토련기로 성형할 수 있는 블럭은 가격이 싼 재료인 황토만으로 성형되는 황토블럭과, 가격이 비싼 재료인 백토만으로 성형되는 백토블럭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황토블럭과 백토블럭들은 천연적인 색상을 띠고 있다.
즉, 상기한 황토블럭은 붉은색을 띠게 되고, 백토블럭은 하얀색을 띠게 된다.
상기한 황토블럭과 백토블럭은 강도면에서는 별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가격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를 기준하여 볼 때 황토는 생산지가 많아 공급이 원활하여 가격이 싼 반면에, 백토는 생산지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황토블럭과 백토블럭은 생산단가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황토블럭은 싸고 백토블럭은 비싸다.
위와 같은 이유로 건물을 건축할 때 황토블럭을 사용하게 될 경우와 백토블럭을 사용하게 될 경우를 비교할 때 건축비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백토블럭을 사용하게 되면 건축비가 비싸지고, 황토블럭을 사용하게 되면 백토블럭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건축비가 싸지게 된다.
그러나 건물의 벽면 색상에 비중을 두고 건축하게 될 때에는 황토블럭과 백토블럭의 가격차이에도 불구하고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의 색상에 맞추어 건물을 건축하게 되기 때문에 비싼 재료로 제조된 블럭의 색상으로 건물을 건축하게 될 때에는 건축비가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을 하얀색상으로 건축하고자 할 때에는 하얀색을 띠는 백토블럭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백토블럭이 황토블럭보다 비싼 만큼 건축비의 상승요인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건물주에게 황토블럭에 비하여 비싼 가격차이 만큼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황토블럭과 백토블럭을 제조할 때 가격이 싼 플라이 애시(fly ash)를 황토 및 백토에 혼합하여 블럭을 생산하게 될 때에는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는 있지만, 플라이 애시는 검은 회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황토에 플라이 애시를 혼합하여 생산되는 블럭은 플라이 애시의 혼합량에 따라 황토 고유의 붉은색을 띠지 못하고 희석된 색상을 띠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백토에 플라이 애시를 혼합하여 생산되는 블럭 역시 백토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밝은 흰색이 플라이 애시에 의해 희석된 색상을 띠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격이 싼 재료와 가격이 비싼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블럭을 성형하되, 가격이 싼 재료로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모재층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가격이 비싼 재료로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표면에 노출되는 표면층을 이루도록 하며, 도한 상기한 모재층과 표면층이 서로 결속된 상태로 결합되어진 블럭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격이 싼 재료 또는 가격이 비싼 재료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모재층과, 가격이 비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모재층과 표면층의 접합면이 서로 결속되는 결속구조로 결합되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결속구조는 황토층과 백토층은 서로 접합되는 각각의 접합면에서 서로 교대적으로 상대측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의 측면끼리 결속된 상태로 맞물리는 돌기물들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결속구조는 돌기물들이 표면층의 접합면에서 돌출되어 모재층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구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은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모재층은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의 표면층은 재료의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재료가 모재층의 일면에 양분된 상태로 접합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의 모재층과 표면층은 각기 두 종류의 재료가 적당한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의 표면층은 모재층의 연결되는 3면에 연속에서 이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블럭(1)은 가격이 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재층(2)과, 가격이 비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표면층(3)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서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모재층(2)과 표면층(3)은 서로 접하게 되는 접합면 각각에 형성되는 결속구조(4)에 의하여 서로간에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모재층(2)과 표면층(3)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블럭(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럭(1)은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모재층(2)의 두께는 두텁게 형성하고, 가격이 비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3)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도록 블럭(1)을 제조하게 되면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도 1 내지 도 4 참조), 또는 모재층(2)과 표면층(3)의 두께를 서로 같은 규격으로 형성하게 되더라도 가격이 비싼 재료만으로 생산되는 블럭에 비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상기한 모재층(2)과 표면층(3)은 가격의 차이에 다른 재료의 성분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서로간 따로 반죽된 상태에서 접합되어지는 구조로 성형되기 때문에 단순 접합구조로서는 모재층(2)과 표면층(3)은 상호간에 결합하려는 접합력이 약해 블럭(1)으로의 성형 후 모재층(2)과 표면층(3)이 이완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모재층(2)과 표면층(3)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결속구조(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속구조(4)는 모재층(2)과 표면층(3)이 서로 접합하는 접합면에는 서로 상대측 몸체 내부를 향해 서로 교대적으로 연속해서 돌출되어 삽입되는 돌기물(4a)(4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물들 각각의 측면은 상호간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결속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속구조(4)는 모재층(2)과 표면층(3) 각각의 접합면에서 교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각 돌기물(4a)(4b)들이 상대측 몸체 내부로 들어갈수록 폭이 점차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및 역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구조로서, 기계구조에서 두 금속재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구조인 도브테일 타입(dovetail type)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속구조(4)는 모재층(2)과 표면층(3) 각각의 접합면에서 교대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물(4a)(4b)들이 서로 상대측 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부분이 양측으로 벌어져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일명 완자무늬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속구조(4)는 표면층(3)의 접합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물(4c)이 모재층(2)의 접합면을 뚫고 내부를 향해 삽입되어 결속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속구조(4)는 표면층(3)에만 돌기물(4c)을 돌출시키는 구 조이므로 표면층(3)의 두께를 더욱 얇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어 블럭(1)의 생산단가를 더 많이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모재층(2)에 접합 결속되는 표면층(3)은 두 종류의 재료 예를 들면, 가격이 비싼 재료만으로 형성되는 단일재료 표면층(3a)과, 가격이 싼 재료와 가격이 비싼 재료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재료 표면층(3b)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모재층(2)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실시예의 양측 단일재료 및 복수재료 표면층(3a)(3b) 각각은 모재층(2)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물(4b)들이 모재층(2)에서 표면층(3)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물(4a)들과 서로 결속되는 구조로서 모재층(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 6의 도시는 표면층(3)이 모재층(2)의 3면에 연속해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는 블럭(1)의 표면과 좌,우측면 3면에 형성된 표면층(3)은 벽면의 좌측 또는 우측 코너부분에 축조되는 블럭(1)에서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된 모재층(2)은 은폐시키고 가격이 비싼 재료로 형성된 표면층(3)만을 표출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 실시예 역시 모재층(2)과 이의 3면에 형성된 표면층(3) 각각의 접합면에는 서로 결속되는 돌기물(4a)(4b)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성형되는 블럭(1)은 기존의 블럭을 생산하는 토련기의 토출마우스의 상,하측(또는 좌,우측)으로 가격이 싼 재료(예로서, 황토)로 반죽된 반죽물과 가격이 비싼 재료(예로서, 백토)로 반죽된 반죽물을 동시에 연속 공급하여 성형금형내에서 결속구조(4)가 형성되게 하면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생산하게 되 면 가격이 싼 재료로 된 모재층(2)과 가격이 비싼 재료로 된 표면층(3)은 접합면에서 교대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물(4a)(4b) 및 표면층(3)에서 돌출되어 모재층(2)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돌기물(4c)들 각각은 서로 결속되어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 상태로 압출성형되는 것이며, 이렇게 성형금형의 토출구로부터 압출되어 나오는 압출물을 압착로울러로 압착하게 되면 돌기물(4a)(4b)도 압착되면서 더욱 긴밀하게 결속되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토련기에서 성형된 블럭(1)을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하게 되더라도 모재층(2)과 표면층(3)은 결속구조(4)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건조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모재층(2)은 가격이 싼 재료인 황토보다 더 싼 재료인 플라이 애시를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표면층(3)도 가격이 비싼 재료인 백토에다 가격이 싼 황토 또는 플라이 애시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 반죽된 혼합재료를 토련기에 투입하여 압출성형하여 성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모재증(2)과 표면층(3)을 가격이 싼 재료를 혼합하여 블럭(1)을 제조하게 될 때에는 생산단가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격이 싼 재료인 황토 등으로 형성되는 모재층과 가격이 비싼 재료인 백토 등으로 형성되는 표면층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결합된 블럭은 가격이 비싼 재료인 백토만으로 제조되는 블럭에 비하여 저렴한 생산단가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가격이 싼 모재층과 가격이 비싼 표면층으로 된 블럭으로 건물을 건축할 때 표면층이 표면에 표출되도록 블럭을 쌓게 되면 건축물이 가격이 비싼 재료로 된 블럭으로 건축한 것과 동일한 건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도로포장용으로 사용할 때에도 가격이 비싼 재료로 된 블럭으로 도로를 포장한 것과 동일한 포장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가격이 비싼 재료만으로 된 단일재료 표면층과, 가격이 비싼 재료 및 가격이 싼 두 종류의 재료로 된 복수재료 표면층이 모재층 일면에 양쪽으로 분리되게 구획된 상태에서 함께 형성되어 있는 블럭의 경우에는 두 종류의 재료로 된 표면층이 두가지의 색상을 표현하게 되어 건물의 벽면 또는 도로의 표면을 두가지 색상으로 장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축비 또는 도로포장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커다란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가격이 싼 재료 또는 가격이 비싼 재료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블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모재층과, 가격이 비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이 서로 접합된 상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한 모재층과 표면층의 접합면이 서로 결속되는 결속구조로 결합되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속구조는 황토층과 백토층은 서로 접합되는 각각의 접합면에서 서로 교대적으로 상대측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의 측면끼리 결속된 상태로 맞물리는 돌기물들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속구조는 돌기물들이 표면층의 접합면에서 돌출되어 모재층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구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모재층은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가격이 싼 재료로 형성되는 표면층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표면층은 재료의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재료가 모재층의 일면에 양분된 상태로 접합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모재층과 표면층은 각기 두 종류의 재료가 적당한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표면층은 모재층의 연결되는 3면에 연속에서 이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KR1020040099928A 2004-12-01 2004-12-01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KR20060061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28A KR20060061064A (ko) 2004-12-01 2004-12-01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28A KR20060061064A (ko) 2004-12-01 2004-12-01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64A true KR20060061064A (ko) 2006-06-07

Family

ID=3715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28A KR20060061064A (ko) 2004-12-01 2004-12-01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10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249A (zh) * 2011-12-08 2012-06-27 江苏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粘土砖表层的淤泥污泥烧结砖及其制备方法
KR20230087847A (ko) * 2021-12-10 2023-06-19 배석정 폐글라스울을 재활용한 보도블럭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249A (zh) * 2011-12-08 2012-06-27 江苏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粘土砖表层的淤泥污泥烧结砖及其制备方法
CN102518249B (zh) * 2011-12-08 2014-07-16 江苏省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粘土砖表层的淤泥污泥烧结砖及其制备方法
KR20230087847A (ko) * 2021-12-10 2023-06-19 배석정 폐글라스울을 재활용한 보도블럭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778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 concrete masonry hollow block
EP2313553B1 (en) Artificial stone
EP2472017A2 (en)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US20030079432A1 (en) Building blocks
US5987831A (en) Building materials
KR20060061064A (ko) 건물구축용 및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럭
US20120263528A1 (en) Set of artificial flagstones
KR100195968B1 (ko) 건축용 인조석 판재의 성형방법
CN205242927U (zh) 烧结物构件
KR100277222B1 (ko) 컬러벽돌의 제조방법
JP2710538B2 (ja) 役物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4772B1 (ko) 프리캐스트 입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1283A (en) Building-block.
TWI644773B (zh) Colorful cement br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85045B2 (ja) 異質材料を目地で仕切つたコンクリ−ト製品の製造方法
JP4183026B2 (ja) 路面用敷材の製造方法
KR102145988B1 (ko) 벽체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3115030U (ja) セメントブロック及びセメントブロックを用いた構造体
KR100785830B1 (ko) 황토 보도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95786A (ko) 조립식 포장벽돌 및 그 제조방법
JPH01235769A (ja) 発光体埋設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54462A (ja) 役物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64436Y1 (ko) 건축물 외장재용 코너벽돌
KR200349899Y1 (ko) 벽면체의 장식지붕마감재
JP2005098025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目地接続施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その接続用目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