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907A -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907A
KR20060059907A KR1020057024369A KR20057024369A KR20060059907A KR 20060059907 A KR20060059907 A KR 20060059907A KR 1020057024369 A KR1020057024369 A KR 1020057024369A KR 20057024369 A KR20057024369 A KR 20057024369A KR 20060059907 A KR20060059907 A KR 20060059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governor
rope
governor rop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763B1 (ko
Inventor
히로시 기가와
츠네히로 히가시나카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7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있어서는, 거버너 시브(governor sheave)에는, 엘레베이터 카(car)의 승강에 동기(同期)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rope)가 감겨 걸려져 있다. 엘레베이터 카에는, 거버너 로프로 접속되고 엘레베이터 카의 거버너 로프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비상 정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의 이상(異常)을 검출할 때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거버너 시브의 근방에서는, 로프 캐치(catch)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캐치 장치는,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액츄에이터와,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거버너 로프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이상(異常)속도로 주행하는 엘레베이터 카(elevator car)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system)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레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레베이터 카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개표2002-532366호 공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자석에 의해 작동되는 로프리스 거버너(ropeless governor)가 사용되고 있다. 로프리스 거버너에는, 안전 브레이크 시스템이 결합되어 있다. 로프리스 거버너는, 전자석의 작동에 의해 레일에 접촉한다. 안전 브레이크 시스템은, 로프리스 거버너가 레일에 접촉함으로 인한 저항력에 의해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는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리스 거버너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작시험을 빈번하게 행할 필요가 있지만, 동작시험을 행할 때마다 로프리스 거버너가 레일에 격렬하게 접촉하므로, 레일의 마모나 손상이 많고, 레일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로프리스 거버너의 레일에 대한 접촉이 안전 브레이크 시스템의 긴 수명화에 방해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 및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검출부, 통상 운전시에서의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된 과속도 설정레벨(level)이 엘레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억되는 기억부를 포함하고,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구해진 엘레베이터 카의 위치에서,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가 과속도 설정레벨보다도 크게 될 때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엘레베이터 카의 승강에 동기(同期)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rope),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 액츄에이터(actuator)와,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거버너 로프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로프 캐치(catch) 장치, 및 엘레베이터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한 제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엘레베이터 카에 탑재되고, 거버너 로프가 구속되어 엘레베이터 카가 거버너 로프에 대하여 변위(變位)되는 것에 의해, 거버너 레일에 제동부재를 밀어붙여 엘레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제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레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레베이터 카 속도이상 판별기준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비상 정지 장치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전자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비상 정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로프 캐치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레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서는, 한 쌍의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3)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레베이터 카(3) 및 균형 추(6)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권상기(卷上機)(4)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4)의 구동 시브(sheave)(4a)에는, 주(主) 로프(5)가 감겨서 걸려 있다. 엘레베이터 카(3) 및 균형 추(6)는, 주 로프(5)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권상기(4)에는, 구동 시브(4a)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3)에는,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제동부)(7)가 각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7)는, 엘레베이터 카(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3)는,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작동에 의해 비상제동된다.
또한,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회전가능한 거버너 시브(8)가 설치되어 있다. 거버너 시브(8)에는, 엘레베이터 카(3)의 승강에 동기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9)가 감겨서 걸려 있다. 거버너 로프(9)의 양단부는, 일방의 비상 정지 장치(7)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거버너 로프(9)가 감겨서 걸려있는 당김 풀리(pulley)(10)가 설치되어 있다. 당김 풀리(10)는, 거버너 로프(9)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거버너 로프(9)에는, 당김 풀리(10)의 무게에 의해 텐션이 부여되어 있다.
거버너 시브(8)에는,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엔코더(encoder)(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 내에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인 비상 정지 시스템 제어장치(12)(이하, 간단히 「제어장치(12)」라고 함)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11)는, 제어장치(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2)로는, 엔코더(11)로부터 얻어진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 및 속도가 구해진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12)에서, 엔코더(11)로부터의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가 구해지고,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를 미분하는 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12)는,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이상으로 될 때에 전기신호인 작동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12)는,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된 엘레베이터 카 속도이상판별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메모리(memory))(13)와, 엔코더(11) 및 기억부(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연산부(CPU)(14)를 포함하고 있다.
승강로(1) 내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가 승강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복수의 기준위치 센서(sensor)(기준위치 검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각 기준위치 센서(15)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나 유도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각 기준위치 센서(15)는, 엘레베이터 카(3)를 검출할 때에 검출신호를 연산부(14)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연산부(14)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를 측정할 때의 기준으로 된 기준위치가 검출신호의 입력에 의해 구해진다. 이 예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를 검출한 기준위치 센서(15)의 위치가 기준위치로 된다. 연산부(14)에서는, 엔코터(1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기준위치로부터의 거리가 구해져서,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가 산출된다.
거버터 시브(8)의 근방에서는,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기 위한 로프 캐치 장치(로프 구속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캐치 장치(16)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거버너 로프(9)는, 로프 캐치 장치(16)의 작동에 의해 구속된다.
도 2는, 도 1의 기억부(13)로 기억된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이상 판단기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서는, 일방의 정지층(정지위치)과 타방의 정지층(정지위치)과의 사이를 엘레베이터 카(3)가 승강되는 승강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일방의 정지층이 최상층으로 되고, 타방의 정지층이 최하층으로 되어 있다. 승강구간에서는, 일방 및 타방의 정지층의 각각에 인접하고, 한편 통상 운전시에 엘레베이터 카(3)가 가감속된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로 엘레베이터 카(3)가 일정한 속도(정격속도)로 이동되는 정속(定束)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각 기준위치 센서(15)(도 1)는, 가감속 구간에 배치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이상 판단기준으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의 이상 레벨을 판단하기 위한 3단계의 설정레벨이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이상 판단기준으로는, 통상 운전시의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로서의 통상속도 설정레벨(통상속도 패턴(pattern))(17)과, 통 상속도 설정레벨(17)보다도 큰 값으로 된 제1 과속도 설정레벨(제1 과속도 패턴)(18)과,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보다도 큰 값으로 된 제2 과속도 설정레벨(제2 과속도 패턴)(19)이, 각각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통상속도 설정레벨(17),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 및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은, 정속구간에서는 일정 값으로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일방 및 타방의 정지층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 및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은, 가감속 구간의 정지층에 가까운 측에서, 엘레베이터 카(3)의 정격속도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과 통상속도 설정레벨(17)과의 차(差), 및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과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과의 차는, 승강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13)에서는, 통상속도 설정레벨(17),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 및 제2 과속도설정레벨(19)이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이상 판단기준으로서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지층을 최상층과 최하층으로 하고, 기억부(13)는, 항상 같은 과속도 설정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 있지만, 정지층은 엘레베이터 주행마다 변화하여도 좋고, 그 경우, 기억부(13)는, 엘레베이터의 주행마다 엘레베이터 카 위치와 속도와의 관계를 연산하고, 그 속도에 대하여 과속도 설정레벨을 설정한다.
연산부(14)는, 구해진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을 넘을 때에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로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엘레베이터 카 (3)의 속도가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을 넘을 때에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6)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산부(14)는, 로프 캐치 장치(16)의 동작을 해제하여 통상상태로 복귀시킬 때에, 전기신호인 복귀신호를 로프 캐치 장치(16)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신호 및 복귀신호로서는, 콘덴서에 축적된 전력이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비상 정치 장치(7)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비상 정치 장치(7)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각 비상 정치 장치(7)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리가능한 제동부재인 쐐기(20)와, 엘레베이터 카(3)의 거버너 로프(9)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쐐기(20)를 변위시키는 링크(link) 기구인 회동 레버(21)와, 회동 레버(21)에 의해 변위된 쐐기(20)를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인 물림쇠(22)를 포함하고 있다.
각 쐐기(20)는, 물림쇠(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쐐기(20)에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마찰재(23)가 붙어 있다. 각 쐐기(20)의 하단부에는, 쐐기(2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부착부(付着部)(24)가 고정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3)의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축(25)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각 회동 레버(21)의 일단부는, 연결축(25)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도 4). 각 회동 레버(21)의 타단부에는, 회동 레버(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長空)(26)이 설치되어 있다. 각 회동 레버(21)는, 장공(26)이 물림쇠 (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도록, 엘레베이터 카(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부착부(24)는, 각 장공(26)으로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일방의 회동 레버(21)에는, 거버너 로프(9)의 양단부가 접속된 인상봉(引上棒)(27)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3, 4). 인상봉(2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회동 레버(21)는, 인상봉(27)이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연결축(2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쐐기(20)는, 회동 레버(21)의 타단부의 상부로의 회동에 의해 물림쇠(22)에 가까운 방향으로 변위된다.
물림쇠(22)는, 엘레베이터 카(3)의 하단부에 설치된 오목부(29)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물림쇠(22)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을 끼우도록 배치된 슬라이드용 부재(3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용 부재(3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는, 오목부(29) 내에 고정된 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부재(30)에는, 쐐기(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경사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33)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으로 작게 되도록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부재(20)는, 지지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밀어붙임용 부재(31)는, 탄성체인 지지 스프링(34)을 통하여 지지부재(32)에 지지되어있다. 밀어붙임용 부재(31)에는, 엘레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마찰재(35)가 붙어 있다.
쐐기(20)는, 경사부(33)에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드 되는 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와의 사이에 밀어 넣어도록 되어 있다. 엘레베이터 카(3)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와의 사이로의 쐐기(20)의 밀어넣음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도의 왼쪽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쐐기(2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는,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 변위되고,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을 끼워 붙이도록 되어 있다. 쐐기(2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가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밀어 붙여지는 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엘레베이터 카(3)의 하단부에는, 각 쐐기(20)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결축(25)을 밀어붙이는 비틂 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엘레베이터 카(3)의 하단부에는, 회동 레버(21)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stopper)(36)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경사부(33)로부터의 쐐기(20)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5는, 도 1의 로프 캐치 장치(16)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로프 캐치 장치(16)는, 거버너 시브(8)가 설치된 틀(4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프 캐치 장치(16)는,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속부인 밀어붙임 슈(shoe)(42)와, 구속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로 밀어붙임 슈(42)를 변위시키는 구 동력을 발생하는 전자 액츄에이터(43)와, 전자 액츄에이터(43)와 밀어붙임 슈(42)를 연결하고, 전자 액츄에이터(43)의 구동력을 밀어붙임 슈(42)로 전달하는 연결기구부(44)를 포함하고 있다.
틀(41) 위에는, 전자 액츄에이터(43)가 부착된 부착부재(45)가 고정되어 있다. 부착부재(45)는, 전자 액츄에이터(43)가 실려진 수평부(46)와, 수평부(46)의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수직부(47)를 포함하고 있다.
밀어붙임 슈(42)는, 거버너 시브(8)의 외주에 대향하는 접촉면을 가진 마찰재이다. 또한, 밀어붙임 슈(42)는, 구속위치에 있을 때에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시브(8)로 밀어붙이고,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진다.
전자 액츄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고, 밀어붙임 슈(42)를 구속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자 엑츄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신호의 입력에 의해 복귀되고, 밀어붙임 슈(42)를 개방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결기구부(44)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구동에 의해 왕복으로 움직이는 가동 로드(rod)(48)와, 밀어붙임 슈(42)가 설치되고, 가동 로드(48)의 왕복 움직임에 의해 구속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로 밀어붙임 슈(42)를 변위시키는 변위 레버(49)를 포함하고 있다.
변위 레버(49)의 일단부(하단부)는 틀(4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변위 레버(49)의 타단부(상단부)는 가동 로드(4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42)는, 변위 레버(49)의 중간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변위 레버(49)는, 가동 로드(48)의 전진에 의해 밀어붙임 슈(42)가 개방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 로드(48)의 후퇴에 의해 밀어붙임 슈(42)가 구속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로드(48)는, 전자 액츄에이터(4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부(4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또한, 가동 로드(48)의 선단부(先端部)에는, 제1 스프링 접속부(51)가 고정되어 있다. 변위 레버(49)의 상단부 및 제1 스프링 접속부(51) 사이에는, 구속위치에 있을 때의 밀어붙임 슈(42)를 거버너 시브(8) 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탄성체인 누름 스프링(52)이 접속되어 있다.
가동 로드(48)의 전자 액츄에이터(43)와 수직부(47)와의 사이 부분에는, 제2 스프링 접속부(53)가 고정되어 있다. 수직부(47) 및 제2 스프링 접속부(53) 사이에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탄성체인 조정 스프링(54)이 접속되어 있다. 조정 스프링(54)은, 가동 로드(48)의 왕복운동에 대하여 누름 스프링(52)의 밀어붙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의 전자 액츄에이터(43)의 부하의 크기와, 밀어붙임 슈(4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전자 액츄에이터(43)의 부하의 크기와의 사이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가동 로드(48)의 변위 레버(49)의 상단부와 수직부(47)와의 사이 부분에는, 변위 레버(49)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되는 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55)가 고정되어 있다. 스톱퍼(55)는, 가동 로드(48)가 전진할 때에 변위 레버(49)의 타단부를 누르 면서, 밀어붙임 슈(42)가 개방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변위 레버(49)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전자 액츄에이터(4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전자 액츄에이터(43)는, 가동 로드(48)의 후단부에 고정된 가동 철심(가동부)(56)과,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구동부(57)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철심(56)은, 밀어붙임 슈(42)가 구속위치에서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는 작동위치와, 밀어붙임 슈(42)가 개방위치에서 변위되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57)는, 가동 철심(56)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58, 59)와 각 규제부(58, 59)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60)를 포함하는 고정철심(61)과, 고정철심(61) 내에 수용되고, 통전(通電)에 의해 일방의 규제부(58)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해제용 코일인 제1 코일(62)과, 고정철심(61) 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타방의 규제부(59)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작동용 코일인 제2 코일(63)과, 제1 코일(62) 및 제2 코일(63)의 사이에 배치된 환상(環狀)의 영구자석(64)을 포함하고 있다.
일방의 규제부(58)에는, 가동 로드(48)가 지나가는 통공(通空)(65)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56)은, 해제위치에 있을 때에 일방의 규제부(58)에 접하고, 작동위치에 있을 때에 타방의 규제부(59)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코일(62) 및 제2 코일(63)은, 가동 철심(56)을 둘러싼 환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한, 제1 코일(62)는 영구자석(64)과 일방의 규제부(58)와의 사이에 배치되 고, 제2 코일(63)은 영구자석(64)과 타방의 규제부(5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56)이 일방의 규제부(58)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된 공간이 가동 철심(56)과 타방의 규제부(59)와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64)의 자속량(磁束量)은, 제2 코일(63) 측보다도 제1 코일(62) 측으로 많게 되고, 가동 철심(56)은 일방의 규제부(58)에 접한 채로 유지된다.
또한, 가동 철심(56)이 타방의 규제부(59)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된 공간이 가동 철심(56)과 일방의 규제부(58)와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64)의 자속량은, 제1 코일(62) 측보다도 제2 코일(63) 측에서 많게 되고, 가동 철심(56)은 타방의 규제부(59)에 접한 채로 유지된다.
제2 코일(63)에서는, 연산부(14)(도 1)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코일(63)은, 일방의 규제부(58)로의 가동 철심(56)의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반대인 자속을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코일(62)에는, 연산부(14)로부터의 복귀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코일(62)은, 타방의 규제부(59)로의 가동 철심(56)의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반대인 자속을 복귀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밀어붙임 슈(42)는, 가동 로드(48)의 전진에 의해 개방위치로 변위되어 있다(도 5). 또한,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쐐기(20)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져 있다(도 3).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이상으로 상승하는 제1 과속도 설정레벨(18)(도 2)을 넘으면, 제어장치(12)로부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로 작동신호가 출력되고,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시브(4a)가 제동되고, 엘레베이터 카(3)가 제동된다.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주 로프(5)의 절단 등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계속 상승하여,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도 2)를 넘을 때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6)로 작동신호가 출력된다. 즉, 콘덴서에 축적된 전력이 작동신호로서 재빨리 연상부(14)로부터 제2 코일(63)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로드(48)는 후퇴하고, 변위 레버(49)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로프(8)로 밀어붙여지고, 구속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는, 로프 캐치 장치(16)에 의해 구속된다. 밀어붙임 슈(42)가 구속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철심(56)은 타방의 규제부(59)에 접하여 유지되고 있다.
로프 캐치 장치(16)에 의한 거버너 로프(9)의 구속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이상 속도로 강하하는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고, 쐐기(20)가 물림쇠(22)에 대하여 가까운 방향, 즉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때, 쐐기(20)는, 경사부(33)가 슬라이드 된 채로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쐐기(2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밀어붙인다. 쐐기(20)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로의 접촉에 의해,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 슬 라이드용 부재(30)와의 사이로 맞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쐐기(2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와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레베이터 카(3)가 제동된다.
엘레베이터 카(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엘레베이터 카(3)를 상승시킨 후,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6)로 복귀신호를 출력한다. 즉, 콘덴서에 축적된 전력을 복귀신호로서 연산부(14)로부터 제1 코일(62)로 재빨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로드(48)가 전진한다. 이 후, 변위 레버(49)는, 스톱퍼(55)에 접하게 되고,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가 개방위치로 변위되고,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치 시스템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제2 과속도 설정레벨(19)을 넘을 때에 제어장치(12)로부터 전자 액츄에이터(43)로 작동신호가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한 전자 액츄에이터(43)의 작동에 의해, 로프 캐치 장치(16)의 밀어붙임 슈(42)가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비상 정지 시스템의 동작시험 등을 행하는 경우, 엘레베이터 카(3)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쐐기(20)를 접촉시키지 않고, 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로프 캐치 장치(16)의 동작시험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시험 등에 의한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 및 쐐기(20)의 마모나 손상 등을 적게 할 수 있고,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로프 캐치 장치(16)가 비상 정지 장치(7)와는 별개로 되어 있으므로, 거버너 시브(8)의 근방에서 로프 캐치 장치(16)를 설치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한 보수점검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1)에는, 엘레베이터 카(3)의 정지층에 입접하고, 또한 통상 운전시에 엘레베이터 카(3)가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과속도 설정레벨은, 가감속 구간에서 정지층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게 되도록 설저되어 있으므로, 엘레베이터 카(3)의 정지층의 근방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속도가 작을 때의 속도이상을 검출할 수 있고, 비상 정지 시의 엘레베이터 카(3)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엘레베이터 카(3)의 제동거리도 짧게 할 수 있고,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길이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가감속 구간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를 검출할 때의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기준위치 센서(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감속 구간에서의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엘레베이터(11)가 거버너 시브(8)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레베이터 카(3)의 위치 및 속도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액츄에이터(43)는, 작동위치와 해제위치와의 사이에 왕복변위 가능한 가동 철심(56)과, 통전에 의해 가동 철심(56)을 작동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2 코일(63)과, 통전에 의해 가동 철심(56)을 해제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코일(62)과, 작동위치 및 해제위치로 가동철심(56)을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64)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작동위치와 해제위치와의 사이에 가동 철심(56)을 보다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지상태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은 없어, 절전할 수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42)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작동에 의해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시브(8)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로프 캐치 장치(16)의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로프 캐치 장치(16)의 설치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의 비상 정치 장치를 나타낸 모식적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비상 정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를 제동하기 위해, 쐐기(20) 및 밀어붙임용 부재(31)에 의해 가이드 레일(2)이 끼워 붙여지도록 되어 있으나,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쐐기(20)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이 끼워 붙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도에 있어서, 각 비상 정지 장치(7)는, 한 쌍의 쐐기(20)와, 엘레베이터 카(3)가 강하되고 있을 때의 거버너 로프(9)의 구속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각 쐐기(20)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71)와, 링크 기구(71)에 의해 변위되는 각 쐐기(20)를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인 물림쇠(72)를 포함하고 있다.
링크 기구(71)는, 인상봉(27)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plate)(73)와, 연결 플레이트(73)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축(74)과, 수평축(74)에 각각 고정되고, 각 쐐기(20)가 설치된 한 쌍의 쐐기 부착 부재(75)를 포함하고 있다. 각 쐐기(20)의 하단부에는, 쐐기 부착 부재(75)에 쐐기(2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4)가 고정되어 있다.
수평축(74)은, 엘레베이터 카(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축(74)은, 수평축(74)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수평축(74)에는, 각 쐐기 부착 부재(75)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각 쐐기 부착 부재(75)의 타단부에는, 부착부(2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장공(76)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24)는, 장공(7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7)는, 연동용 부재(7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7)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연동용 부재(77)의 일단부는, 일방의 쐐기 부착 부재(75)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동용 부재(77)의 타단부는, 타방의 쐐기 부착 부재(75)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 및 타방의 쐐기 부착 부재(75)는, 각 쐐기(20)가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각 수평축(74)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8).
물림쇠(72)는, 각 쐐기(2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용 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각 슬라이드용 부재(30)는, 지지 스프링(34)을 통하여 지지부재(32)에 각각 지지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이 각 쐐기(20)에 의해 끼워 붙어질 때에, 각 쐐기(20)에 밀어붙이는 힘이 부여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프 캐치 장치 (16)의 작동에 의해, 인상봉(27)이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면, 연결 플레이트(73) 및 각 쐐기 부착부재(75)가 수평축(74)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쐐기(20)는,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면서, 각 슬라이드용 부재(30)에 따라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동반하여, 타방의 비상 정지 장치(7)의 각 쐐기(20)도,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면서,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각 쐐기(20)는,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 후에도, 엘레베이터 카(3)에 대하여 더 위쪽으로 변위되어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와의 사이로 맞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각 쐐기(20)와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과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고, 엘레베이터 카(3)가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있어서도, 고(高)신뢰성이 요구되는 로프 캐치 장치(16)의 동작시험을, 엘레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2)에 쐐기(20)를 접촉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2) 및 쐐기(20)의 마찰이나 손상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엘레베이터 카(3)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는 비상 정지 장치(7)가 엘레베이터 카(3)에 탑재되어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정지 장치(7)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엘레베이터 카(3)에 탑재 하여, 엘레베이터 카(3)의 윗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부착부재(45)에는, 전자 액츄에이터(81)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81)는, 밀어붙임 슈(42)에 거버너 로프(9)를 구속시키는 작동위치와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위치와의 사이로 변위가능한 가동부(82)와, 가동부(82)를 작동위치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부인 누름 스프링(83)과, 누름 스프링(83)의 밀어붙임에 반대로 해제위치로 가동부(82)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네트(magnet)(84)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마그네트(84)는, 수평부(46) 위에 부착되어 있다.
가동부(82)는, 전자 마그네트(84)로의 통전에 의해 전자 마그네트(84)로 흡인(吸引)되는 가동판(85)과, 가동판(85)에 고정되고, 전자 마그네트(84) 및 수직부(47)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는 가동 로드(86)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로드(86)의 선단부는, 링크(87)를 통하여 변위 레버(49)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87)는,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의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 로드(86)의 전자 마그네트(84)와 수직부(47)와의 사이 부분에는, 스프링 접속부(88)가 고정되어 있다. 누름 스프링(83)은, 스프링 접속부(88) 및 수직부(4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변위 레버(49)는, 가동 로드(86)의 왕복운동에 의해 회동된다. 따라서,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의 각각의 변위의 상이함에 의해 가동 로드 (86)와 변위 레버(49)와의 사이의 위치관계에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 사이에서는 링크(87)가 연결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81)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81)는, 전자 마그네트(84)로의 통전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전자 액츄에이터(81)의 작동에 의해, 가동부(82)는, 후퇴하여 작동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는, 구속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전자 액츄에이터(81)의 작동은,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신호의 입력에 의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81)는, 전자 마그네트(84)로 통전되는 것에 의해 복귀된다. 전자 액츄에이터(81)의 작동의 해제에 의해, 가동부(82)는, 전진하여 해제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는, 개방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연결기구부(89)는, 링크(97) 및 변위 레버(49)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신호가 전자 액츄에이터(81)에 단속적(斷續的)으로 입력되어 있고, 전자 마그네트(84)로의 통전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부(82)는 해제위치에 있고, 밀어붙임 슈(42)에 의한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다.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전자 액츄에이터(81)로 입력되면, 전자 마그네트(84)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네트(84)에 의한 가동판 (85)의 흡착이 해제되고, 가동부(82)가 누름 스프링(83)의 밀어붙임에 의해 후퇴하여 작동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42)가 구속위치로 변위되고, 거버너 로프(9)가 구속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전자 액츄에이터(81)로 복귀신호를 출력시키고, 전자 마그네트(84)로 통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82)가 전진하고, 밀어붙임 슈(94)가 개방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에서는, 가동부(82)는, 누름 스프링(83)에 의해 작동위치로 변위되고, 전자 마그네트(84)의 통전에 의해 누름 스프링(83)의 밀어붙임에 반대로 해제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비상 정지 시스템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자 액츄에이터(81)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틀(41)의 하단부에는, 틀(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고정부재(91)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91)에는, 고(高)마찰재인 받음부(92)가 붙어 있다. 또한, 틀(41)에는, 대략 へ자 모양의 변위 레버(93)의 상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변위 레버(93)의 중간부에는, 받음부(92)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누름 부재인 밀어붙임 슈(9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 (94)는, 변위 레버(93)의 회동에 의해,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받음부(92)로 밀어붙여진 구속위치와,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진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94)의 거버너 로프(9)에 접촉하는 부분은, 고마찰재로 되어 있다.
틀(41)의 아래쪽에는, 돌출부(95)를 가진 액츄에이터 지지부재(96)가 고정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지지부재(96)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인 전자 액츄에이터(43)가 지지되어있다. 전자 액츄에이터(43)로부터는, 가동 철심(56)에 고정된 가동 로드(97)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로드(97)는, 돌출부(9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가동 로드(97)에는, 변위 레버(93)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로드(97)의 선단부에는, 변위 레버(93)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되는 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98)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로드(97)의 변위 레버(93) 하단부와 돌출부(95)와의 사이 부분에는, 스프링 접속부(99)가 고정되어 있다.
변위 레버(93)의 하단부 및 스프링 접속부(9) 사이에는, 구속위치에 있을 때의 밀어붙임 슈(94)를 받음부(92) 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탄성체인 누름 스프링(10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95) 및 스프링 접속부(99) 사이에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탄성체인 조정 스프링(101)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로드(97)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 고, 밀어붙임 슈(94)를 구속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로드(97)는, 전자 액츄에이터(43)로의 복귀신호의 입력에 의해,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94)는, 가동 로드(97)의 후퇴에 의해 개방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구속부(102)는, 받음부(92) 및 밀어붙임 슈(9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연결기구부(103)는, 가동 로드(97) 및 변위 레버(9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서는, 가동 로드(97)가 후퇴하여 밀어붙임 슈(94)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위치(12)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전자 액츄에이터(43)로 입력되면, 가동 로드(97)가 전진하면서 변위 레버(93)가 회동되고, 밀어붙임 슈(94)가 구속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받음부(92)와 밀어붙임 슈(94)와의 사이에 끼워져 구속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복귀신호를 출력시켜, 가동 로드(97)를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94)가 개방위치로 변위되고,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은, 로프 캐치 장치의 작동 시에 밀어붙임 슈(94)가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고마찰재인 받음부(92)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거버너 로프(9)의 구속력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 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로프 캐치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거버너 로프(9)의 근방에서는, 고정부재(111)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11)의 측면에서는, 고마찰재인 받음부(112)가 붙어 있다.
승강로(1) 내에서는, 수평축(113)이 고정되어 있다. 수평축(113)은, 받음부(112)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수평축(113)에는, 신축가능한 탄성 신축체(114)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탄성 신축체(114)의 타단부에는, 받음부(112)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밀어붙임 슈(1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115)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받음부(112)에 밀어붙여진 구속위치(도 13)와,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져서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이 해제된 개방위치(도 12)와의 사이로, 탄성 신축체(114)의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 신축체(114)는, 밀어붙임 슈(115)가 구속위치에 있을 때에, 받음부(112)의 반력에 의해 축소된다.
탄성 신축체(114)의 길이는, 밀어붙임 슈(115)의 하단부가 받음부(112)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회동되고, 한편, 탄성 신축체(114)가 대략 수평으로 될 때에, 수평축(113)과 받음부(112)와의 사이로 축소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 신축체(114)는, 밀어붙임 슈(115)가 설치된 신축 로드(116)와, 구속위치에 있을 때의 밀어붙임 슈(115)를 받음부(112) 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누름 스프링(117)을 포함하고 있다.
신축 로드(116)는, 수평축(1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접속부(118)와, 밀어붙임 슈(1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 접속부(119)와, 제1 및 제2 접속부(118, 119) 사이를 연결한 신축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신축부(120)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복수의 슬라이드 통(121)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신축부(120)는, 각 슬라이드 통(121)이 서로 슬라이드 되는 것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 스프링(117)은, 제1 및 제2 접속부(118, 119)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누름 스프링(117)은, 제1 접속부(188) 및 제2 접속부(119)의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탄성 신축체(114)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 내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인 전자 액츄에이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43)로부터는, 전자 액츄에이터(43)에 대하여 왕복가능한 가동 로드(12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동 로드(122)의 선단부에는, 스프링 접속부(12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 로드(122)의 스프링 접속부(123)와 전자 액츄에이터(43)와의 사이 부분에는, 잠금기구(12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접속부(123) 및 잠금기구(124) 사이에는, 접속스프링(125)이 접속되어 있다.
잠금기구(124)와 밀어붙임 슈(115)는, 연결기구부(12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기구부(126)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 부재(127) 및 제2 링크 부재(128)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링크 부재(127)는, 수평축(113)과 평행한 지지축(129)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29)은, 승강로(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129)에는, 제1 링크부재 (127)의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부재(127)의 일단부는 잠금기구(124)에서 회동가능하게 접속되고, 제1 링크부재(127)의 타단부는 제2 링크부재(128)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재(128)의 길이는, 제1 링크부재(127)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제2 링크부재(128)의 타단부는, 밀어붙임 슈(115)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115)는, 가동 로드(112)의 위쪽으로의 변위(전진)에 의해,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되고, 구속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115)는, 가동 로드(11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후퇴)에 의해,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되고, 개방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음부(112)의 근방에서는, 밀어붙임 슈(115)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여 밀어붙임 슈(115)를 구속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115)는, 엘레베이터 카(3)가 하강하고 있을 때의 거버너 로프(9)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115)가 받음부(112) 측으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 로드(122)가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밀어붙임 슈(115)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2).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전자 액츄에이터(43)에 입력되면, 가동 로드(122)가 위쪽으로 전진하여, 밀어붙임 슈(115)가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아래쪽 으로 회동된다. 이때, 밀어붙임 슈(115)는,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거버너 로프(9)를 도의 오른쪽으로 눌러, 받음부(112)의 측면으로 거버너 로프(9)를 접촉시킨다. 이 후, 밀어붙임 슈(115)는, 거버너 로프(9)의 이동 및 자중에 의해 더욱 아래쪽으로 당겨진다. 이때, 밀어붙임 슈(115)는, 받음부(112)와의 사이에 거버너 로프(9)가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 신축체(114)를 축소하면서, 받음부(112)의 측면에 따라 구속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누름 스프링(117)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고, 밀어붙임 슈(115)는, 거버너 로프(9)를 받음부(112)로 밀어붙인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구속된다(도 13).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복귀신호를 출력시켜, 가동 로드(122)를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밀어붙임 슈(115)가 개방위치로 변위되고,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의 비상 고정 시스템에서는, 밀어붙임 슈(115)는, 거버너 로프(9)에 접촉되면서 당겨지는 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의 받음부(112)로의 밀어붙이는 힘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거버너 로프(9)를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전자 액츄에이터(43)에 의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으나, 큰 구동력을 발생하는 별도의 해제장치를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사용하여도 좋다. 해제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볼 나사를 가진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115)를 끌어 올리기 위한 와이어 등을 밀어붙임 슈(115) 에 미리 접속하여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 등에 의해도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틀(41)에는, 지지축(141, 14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틀(41)의 지지축(141)과 지지축(142)과의 사이 부분에서는, 거버너 시브(8)의 회전축의 지지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41)에는 지지 링크(144)의 일단부(하단부)가, 지지축(142)에는 변위 레버(145)의 일단부(하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틀(41)의 위쪽에는, 틀(41)에 대하여 변위가능한 가동 베이스(base)(146)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베이스(146)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의 각각의 타단부(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베이스(146)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를 통하여 틀(41)에 지지되어있다.
가동 베이스(146)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와, 가동 베이스 본체(147)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변위 레버(145)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된 나사 봉(棒)(148)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 링크(144)의 상단부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사 봉(148)에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로부터의 거리를 조정가능한 스프링 고정기구(150)가 부착되어 있다.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와 스프링 고정구(150)와의 사이에는, 나사 봉(148)에 장착된 탄성체인 누름 스프링(151)이 배치되 어 있다. 누름 스프링(151)은,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와 스프링 고정구(150)와의 사이로 축소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 및 스프링 고정구(150)는, 서로 떨어진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변위 레버(147)의 중간부에는, 누름 부재인 밀어붙임 슈(15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15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시브(8)로 밀어붙인 구속위치와, 거버터 로프(9)로부터 떨어진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밀어붙임 슈(152)는, 변위 레버(147)의 지지축(141)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구속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가 변위된다.
거버너 시브(8)에는, 거버너 시브(8)와 일체로 회동되는 래치트 기어(ratchet gear)(153)가 고정되어 있다. 래치트 기어(153)는, 외주부에 복수의 이빨부(154)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베이스 본체(147)에는, 랫치(latch) 지지축(155)이 고정되어 있다. 랫치 지지축(155)에는, 발톱부(156)를 포함한 랫치(15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랫치(157)는, 발톱부(153)가 래치트 기어(153)의 이빨부(154)에 끼워 맞춰진 끼워맞춤 위치와, 래치트 기어(153)와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랫치(157)는, 랫치 지지축(15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끼워맞춤 위치와 해제위치와의 사이를 변위된다.
랫치 지지축(155)은, 랫치(157)가 끼워맞춤 위치에 있을 때의 발톱부(156)의 선단부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방향에 대한 이빨부(154)의 베어낸 각은, 랫치(157)가 랫치 지지축(155)을 중심 으로 회동될 때의 발톱부(156)의 궤도가 이빨부(154)에 겹치지 않도록 한 각도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 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랫치(157)를 변위시키는 동작, 즉 복귀동작의 구동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본체(147) 위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인 전자 액츄에이터(43)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43)로부터는, 전자 액츄에이터(43)에 대하여 왕복운동 가능한 가동 로드(158)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로드(158)는, 전자 액츄에이터(43)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된다. 가동 로드(158)의 선단부에는, 장공(163)이 설치되어 있다. 랫치(157)에는, 장공(16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랫치 부착부재(159)가 고정되어 있다. 랫치(157)는, 가동 로드(158)의 전진에 의해 끼워맞춤 위치로 변위되고, 가동 로드(158)의 후퇴에 의해 해제위치로 변위된다.
랫치(157)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에 의해 균형을 맞추어 지지되고, 밀어붙임 슈(152)는 개방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또한, 엘레베이터 카(3)가 강하되어 있는 방향으로 랫치트 기어(153)가 회전되어 있는 상태(래치트 기어(153)가 도의 C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랫치(157)가 끼워맞춤 위치에서 변위되면, 가동 베이스 본체(147)는,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력에 의해, 밀어붙임 슈(152)가 구속위치로 변위되는 방향(틀(41)에 대하여 도의 오른쪽)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틀(41)에는, 지지 링크(144)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스톱퍼(160) 및 제2 스톱퍼(16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톱퍼(160)에 의한 지지 링크(144)의 회동 의 규제에 의해, 밀어붙임 슈(152)가 거버너 시브(8)로부터 필요이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톱퍼(161)에 의한 지지 링크(144)의 회동의 규제에 의해, 밀어붙임 슈(152)의 거버너 시브(8) 측으로의 밀어붙이는 힘이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버너 로프(9)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서는, 가동 로드(158)가 후퇴하여 랫치(157)가 해제위치에 변위되고 있다. 또한, 밀어붙임 슈(152)는, 개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지지 링크(144)는, 제1 스톱퍼(160)에 접하고 있다.
거버너 시브(8) 및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속도가 이상으로 되고,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전자 액츄에이터(43)에 입력되면, 가동 로드(158)가 전진하고, 랫치(157)이 끼워맞춤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트 기어(153)의 이빨부(154)가 랫치(157)에 끼워맞춰진다.
이 후,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력에 의해, 가동 베이스 본체(147)가 틀(41)에 대하여 도의 오른쪽으로 변위되고, 밀어붙임 슈(152)가 구속위치로 변위된다. 이때, 밀어붙임 슈(15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시브(8)로 누름 스프링(151)의 밀어붙임에 의해 밀어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구속된다. 밀어붙임 슈(152)의 밀어붙이는 힘은, 지지 링크(144)의 제2 스톱퍼(161)로의 접함에 의해 적정하게 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서는, 밀어붙임 슈(152)와 연동 하는 랫치(157)가 래치트 기어(153)에 끼워맞춰질 때에,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력에 의해, 구속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밀어붙임 슈(152)가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래치트 기어(153)의 회전력을 거버너 로프(9)의 구속에 이용할 수 있고, 작은 구동력으로 로프 캐치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4 ~ 6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인 전자 액츄에이터(43)에 의해 가동 로드가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나, 실시 형태 3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인 전자 액츄에이터(81)에 의한 가동 로드를 변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전자석에 의해 작도되고 안전 브레이크 시스텝이 결합되어 있는 로프리스 거버너가 레일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엘레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엘레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로프리스 거버너가 레엘에 격력하게 접촉하여 레일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레일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 및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검출부,
    통상 운전시에서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된 과속도 설정레벨이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억되는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구해진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위치에서,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속도가 상기 과속도 설정레벨보다도 크게 될 때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승강에 동기(同期)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governor rope),
    상기 작동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거버너 로프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로프 캐치(catch) 장치, 및
    상기 엘레베이터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한 제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엘레베이터 카에 탑재되며, 상기 거버너 로프가 구속되어 상기 엘레베이터 카가 상기 거버너 로프에 대하여 변위(變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거버너 레일에 상기 제동부재를 밀어붙여 상기 엘레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제동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베이터 카가 승강되는 승강로에는, 통상 운전시에 상기 엘레베이터 카가 가감속되고, 또한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정지층에 인접하는 가감속 구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감속 구간에서의 상기 과속도 설정레벨은, 상기 정지층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3. 재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 구간에서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엘레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할 때의 기준으로 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기준위치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거버너 로프가 감겨 걸려진 거버너 시브(sheave)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거버너 로프를 구속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거버너 로프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가 변위 가능한 가동부와, 통전(通電)에 의해 상기 가동부를 상기 작동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용 코일과, 통전에 의해 상기 가동부를 상기 해제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해제용 코일과, 상기 작동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에 상기 가동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거버너 로프를 구속하는 작동위치와 상기 거버너 로프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를 상기 작동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밀어붙임부의 밀어붙임에 반대로 상기 해제위치로 상기 가동부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거버너 시브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누름 부재이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거버너 로프를 통하여 상기 거버너 시브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캐치 장치는, 상기 거버너 시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래치트 기어 (ratchet gear)와, 상기 누름 부재와 연동되고,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트 기어에 끼워맞춤 가능한 랫치(latch)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랫치가 상기 래치트 기어에 끼워맞춰질 때에, 상기 래치트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거버너 로프를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고(高)마찰재인 받음부와, 상기 받음부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누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전자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거버너 로프를 통하여 상기 받음부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탄성 신축체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거버너 로프에 접촉하면서 상기 거버너 로프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상기 받음부로의 밀어붙이는 힘이 상기 탄성 신축체에 의한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KR1020057024369A 2005-12-19 2004-04-20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KR10073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369A KR100738763B1 (ko) 2005-12-19 2004-04-20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4369A KR100738763B1 (ko) 2005-12-19 2004-04-20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907A true KR20060059907A (ko) 2006-06-02
KR100738763B1 KR100738763B1 (ko) 2007-07-12

Family

ID=3715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369A KR100738763B1 (ko) 2005-12-19 2004-04-20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5913A (zh) * 2018-12-07 2019-02-15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电梯应急安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848A1 (en) * 2009-12-22 2011-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agnetic br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842A (ja) * 1996-10-08 1998-04-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1354372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4553535B2 (ja) *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5913A (zh) * 2018-12-07 2019-02-15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电梯应急安全装置
CN109335913B (zh) * 2018-12-07 2023-12-0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电梯应急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763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6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システム
JP4566994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時制動システム
EP1749784B1 (en)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EP1604935A1 (en) Elevator device, and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EP2364946A1 (en) Elevator apparatus
EP2402276B1 (en) Elevator speed governor
CN110451382B (zh) 基于磁体组件到轨道的距离的同步
EP3147248A1 (en) Braking system for a hois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ing a hoisted strucuture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EP1741659B1 (en) Elevator apparatus
EP1731469B1 (en) Method for inspecting operation of actuator and actuator operation inspector
KR100738763B1 (ko)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KR100683985B1 (ko)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JP72168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498399B (zh) 用于安全钳的触发系统、电梯设备和运行电梯设备的方法
KR20070069152A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