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985B1 -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985B1
KR100683985B1 KR1020057025471A KR20057025471A KR100683985B1 KR 100683985 B1 KR100683985 B1 KR 100683985B1 KR 1020057025471 A KR1020057025471 A KR 1020057025471A KR 20057025471 A KR20057025471 A KR 20057025471A KR 100683985 B1 KR100683985 B1 KR 10068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setting level
rop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591A (ko
Inventor
사토루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9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8Testing of overspeed govern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Abstract

제어장치에는, 승강로의 종단부 근방에서 종단부로 향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 과속도 설정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기억되어 있다. 엔코더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속도가 과속도 설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된다. 브레이크 장치 혹은 비상 정지 장치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 동작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이상(異常)시 제동된다. 제어장치에는, 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 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서의 과속도 설정 레벨의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ABNORMAL-STATE BRAKING SYSTEM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특허 특개평 8-324907호 공보에서는, 엘리베이터의 거버너(governor)의 동작 시험 방법으로서 거버너 쉬브로부터 거버너 로프를 띄운 상태로, 거버너 쉬브를 회전시켜 거버너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거버너 쉬브에 전기 드릴을 눌러 대고 전기 드릴의 회전력으로 거버너 쉬브를 회전시킨다. 거버너 쉬브에는 회전계(tachometer)를 눌러대어 두고, 거버너 쉬브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거버너를 강제적으로 동작시키고, 거버너가 동작했을 때의 거버너 쉬브의 회전 속도를 회전계에 의해 확인한다.
또, 최근의 엘리베이터의 공간 절약화의 요구에 따라, 일본특허 특개 2001-354372호 공보에는,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승강로의 종단부(終端部) 근방에서 연속적으로 작게 하고, 비상 정지 동작시의 제동 거리를 승강로의 종단부 근방에서 단축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바꾸면서 거버너의 동작 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거버너 쉬브를 전기 드릴로 회전시키는 상기의 방법에서는, 거버너 쉬브의 회전 속도만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바꿀 때마다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어, 거버너의 동작 시험에 시간이 걸리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부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승강로의 종단부에 인접하는 소정 구간에 있어서, 종단부를 향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 과속도 설정 레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속도가 과속도 설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부, 및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검출 위치와 이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과속도 설정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로프 캐치(rope catch)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전자(電磁)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로프 캐치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6)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권상기(4)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4)의 구동 쉬브(4a)에는 메인 로프(5)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6)는 메인 로프(5)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권상기(4)에는, 구동 쉬브(4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부인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제동하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제동부)(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비상 정지 장치(7)의 작동에 의해 비상 제동된다.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거버너 쉬브(8)가 설치되어 있다. 거버너 쉬브(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에 동기하여 이동하는 거버너 로프(9)가 감겨져 있다. 거버너 로프(9)의 양 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7)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거버너 로프(9)가 감겨진 텐션 풀리(10)가 설치되어 있다.
거버너 쉬브(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엔코더(encoder)(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인 이상시 제동 시스템 제어장치(12)(이하, 간단히 「제어장치(12)」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엔코더(11)는 제어장치(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2)에서는, 엔코더(11)로부터 얻어진 측정 신호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가 구해진다. 이 예에서는, 제어장치(12)에 있어서, 엔코더(11)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구해지며,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 전기 신호인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처리부(컴퓨터)(13)와, 엔코더(11)로부터의 측정 신호의 입력, 및 처리부(13)에 의한 연산 결과의 출력을 위한 입출력부인 I/O 포트(14)를 가지고 있다. 제어장치(12)에서는, 처리부(13)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전기 신호인 작동 신호가 I/O 포트(14)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거버너 쉬브(8)의 근방에는,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기 위한 제동부인 로프 캐치 장치(로프 구속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로프 캐치 장치(15)에는 콘덴서(도시하지 않음)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에는 로프 캐치 장치(15) 의 작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하(電荷)가 미리 축전되어 있다.
제어장치(12)는,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에 선택적으로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급전(給電)이 정지되어 작동된다. 구동 쉬브(4a)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의해 제동된다. 로프 캐치 장치(15)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콘덴서로부터 작동 전력이 공급되어 작동된다. 거버너 로프(9)는 로프 캐치 장치(15)의 작동에 의해 구속된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1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I/O포트(14)에는, 엔코더(11)로부터의 측정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정보(71) 및 속도 정보(72)로서 상시 입력된다. 또, I/O 포트(14)로부터는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작동 신호(73)를, 로프 캐치 장치(15)에 작동 신호(74)를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I/O 포트(14)에는, 처리부(13)로부터의 특정의 연산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인 디스플레이(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처리부(13)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76)와, 엔코더(11) 및 기억부(76)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연산부(77)를 가지고 있다. 기억부(76)는 ROM(78) 및 RAM(79)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은 ROM(78)에 기억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기억부(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최상층(한쪽의 종단부)과 최하층(다른 쪽의 종단부)의 사이를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게 되는 승강 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구간에는, 최상층 및 최하층의 각각에 인접하며, 또한 통상 운전시에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소정의 구간인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한 속도(정격 속도)로 이동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 레벨을 판단하기 위한 3단계의 설정 레벨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로서의 통상 속도 설정 레벨(통상 속도 패턴)(17)과, 통상 속도 설정 레벨(17)보다 큰 값으로 된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제 1 과속도 패턴)(18)과,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제 2 과속도 패턴)(19)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속도 설정 레벨(17),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치로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최상층 및 최하층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은, 가감속 구간의 종단부에 가까운 쪽에서, 엘리베이터 칸(3)의 정격 속도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76)에는 통상 속도 설정 레벨(17),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엘리베 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다.
연산부(77)는, 구해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을 넘었을 때에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작동 신호(73)를 출력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을 넘었을 때에, 로프 캐치 장치(15)에 작동 신호(74)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의 작동 신호(73)의 출력은, 작동 신호(74)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도 유지되고 있다. 또한 연산부(77)는, 로프 캐치 장치(15)의 작동을 해제하여 통상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 전기 신호인 복귀 신호를 로프 캐치 장치(1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로프 캐치 장치(15)는,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콘덴서로부터의 복귀 전력이 공급되어 복귀된다.
디스플레이(75)에는, 엔코더(11)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7)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7)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비상 정지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2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거버너 로프(9)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20)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인 회동 레버(21)와, 회동 레버(21)에 의해 변위되는 쐐기(20)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 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인 그리퍼 메탈(gripper metal)(22)을 가지고 있다.
각 쐐기(20)는 그리퍼 메탈(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각 쐐기(20)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마찰재(23)가 첩부(貼付)되어 있다. 각 쐐기(20)의 하단부에는, 쐐기(20)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장착부(24)가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단부에는, 수평으로 뻗는 연결축(25)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각 회동레버(21)의 일단부는 연결축(25)의 양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도 5). 각 회동레버(21)의 타단부에는, 회동 레버(21)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각 회동레버(21)는, 긴 구멍(26)이 그리퍼 메탈(22)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장착부(24)는 각 긴 구멍(2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회동 레버(21)에는, 거버너 로프(9)의 양 단부가 접속된 리프팅 바(lifting bar)(27)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4, 5). 리프팅 바(27)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회동레버(21)는, 리프팅 바(27)의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한 변위에 의해, 연결축(2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쐐기(20)는, 회동 레버(21)의 타단부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그리퍼 메탈(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리퍼 메탈(22)은, 엘리베이터 칸(3)의 하단부에 설치된 오목부(29)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그리퍼 메탈(2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슬라이드용 부재(30) 및 가압용 부재(31)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 드용 부재(30) 및 가압용 부재(31)는, 오목부(29) 내에 고정된 지지 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부재(30)에는, 쐐기(2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경사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위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슬라이드용 부재(30)는 지지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가압용 부재(31)는, 탄성체인 지지 스프링(34)을 통하여 지지 부재(32)에 지지되어 있다. 가압용 부재(31)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마찰재(35)가 첩부되어 있다.
쐐기(20)는, 경사부(33)를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에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의 사이에 밀어 넣어지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의 사이에의 쐐기(20)의 밀어 넣어짐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쐐기(20) 및 가압용 부재(31)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되어 있다. 쐐기(20) 및 가압용 부재(31)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단부에는, 각 쐐기(20)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결축(25)을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의 하단부에는, 회동 레버(21)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36)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경사부(33)로부터의 쐐기(2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6은 도 1의 로프 캐치 장치(15)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캐치 장치(15)는, 거버너 쉬브(8)가 설치된 틀체(41)에 지지되어 있다. 또, 로프 캐치 장치(15)는,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와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속부인 가압 슈(42)와, 구속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가압 슈(42)를 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자 액추에이터(43)와, 전자 액추에이터(43)와 가압 슈(42)를 연결하며, 전자 액추에이터(43)의 구동력을 가압 슈(42)에 전달하는 연결 기구부(44)를 가지고 있다.
틀체(41) 상에는, 전자 액추에이터(43)가 장착된 장착부재(45)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재(45)는, 전자 액추에이터(43)를 얹어놓은 수평부(46)와, 수평부(46)의 단부로부터 위쪽에 뻗는 수직부(47)를 가지고 있다.
가압 슈(42)는, 거버너 쉬브(8)의 외주에 대향하는 접촉면을 갖는 마찰재이다. 또, 가압 슈(42)는, 구속 위치에 있을 때에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쉬브(8)에 밀어붙여지고,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진다.
전자 액추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74)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며, 가압 슈(42)를 구속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전자 액추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복귀되며, 가압 슈(42)를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결 기구부(44)는, 전자 액추에이터(43)의 구동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가동 로드(movable rod)(48)와, 가압 슈(42)가 설치되며 가동 로드(48)의 왕복 이동에 의해 구속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가압 슈(42)를 변위시키는 변위 레버(49)를 가지고 있다.
변위 레버(49)의 일 단부(하단부)는 틀체(4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변위 레버(49)의 타단부(상단부)는 가동 로드(4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가압 슈(42)는, 변위 레버(49)의 중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변위 레버(49)는, 가동 로드(48)의 전진에 의해 가압 슈(42)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가동 로드(48)의 후퇴에 의해 가압 슈(42)가 구속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로드(48)는 전자 액추에이터(43)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뻗으며, 수직부(4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또, 가동 로드(48)의 선단부에는, 제1의 스프링 접속부(51)가 고정되어 있다. 변위 레버(49)의 상단부 및 제1의 스프링 접속부(51) 사이에는, 구속 위치에 있을 때의 가압 슈(42)를 거버너 쉬브(8)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탄성체인 가압 스프링(52)이 접속되어 있다.
가동 로드(48)의 전자 액추에이터(43)와 수직부(47)사이의 부분에는, 제2의 스프링 접속부(53)가 고정되어 있다. 수직부(47) 및 제2의 스프링 접속부(53) 사이에는, 전자 액추에이터(43)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탄성체인 조정 스프링(54)이 접속되어 있다. 조정 스프링(54)은, 가동 로드(48)의 왕복 이동에 대하여 가압 스프링(52)의 가압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 압 슈(42)가 구속 위치에 있을 때의 전자 액추에이터(43)의 부하의 크기와, 가압 슈(4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전자 액추에이터(43)의 부하의 크기의 사이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가동 로드(48)의 변위 레버(49)의 상단부와 수직부(47) 사이의 부분에는, 변위 레버(49)의 상단부가 슬라이드되는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55)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55)는, 가동 로드(48)가 전진하게 될 때에 변위 레버(49)의 타단부를 누르면서, 가압 슈(42)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변위 레버(49)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전자 액추에이터(4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전자 액추에이터(43)는, 가동 로드(48)의 후단부에 고정된 가동 철심(가동부)(56)과,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구동부(57)를 가지고 있다.
가동 철심(56)은, 가압 슈(42)가 구속 위치에서 거버너 로프(9)를 구속하는 작동 위치와, 가압 슈(42)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57)는, 가동 철심(56)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58, 59)와 각 규제부(58,59)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60)를 포함하는 고정 철심(61)과, 고정 철심(61)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쪽의 규제부(58)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해제용 코일인 제 1 코일(62)과, 고정 철심(61) 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59)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56)을 변위시키는 작동용 코일인 제 2 코일(63)과, 제 1 코일(62) 및 제 2 코일(63)의 사이에 배치된 고리 형상의 영구자석(64)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규제부(58)에는, 가동 로드(48)가 통과하게 되는 통과구멍(65)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56)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한쪽의 규제부(58)에 맞닿아 접하며,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 다른 쪽의 규제부(59)에 맞닿아 접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코일(62) 및 제 2 코일(63)은, 가동 철심(56)을 에워싸는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 1 코일(62)은 영구자석(64)과 한쪽의 규제부(58)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코일(63)은 영구자석(64)과 다른 쪽의 규제부(59)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56)이 한쪽의 규제부(58)에 맞닿아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56)과 다른 쪽의 규제부(59)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64)의 자속량은, 제 2 코일(63)측보다도 제 1 코일(62)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56)은 한쪽의 규제부(58)에 맞닿아 접한 채로 유지된다.
또, 가동 철심(56)이 다른 쪽의 규제부(59)에 맞닿아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56)과 한쪽의 규제부(58)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자석(64)의 자속량은, 제 1 코일(62)측보다도 제 2 코일(63)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56)은 다른 쪽의 규제부(59)에 맞닿아 접한 채로 유지된다.
제 2 코일(63)에는, I/O 포트(13)(도 1)로부터의 작동 신호(74)가 전자 액추에이터(43)에 입력됨으로써, 콘덴서에 축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코일(63)은, 한쪽의 규제부(58)에의 가동 철심(56)의 맞닿아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저항하는 자속을 콘덴서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62)에는, 처리부(14)로부터의 복귀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43)에 입력됨으로써, 콘덴서에 축전된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코일(62)은, 다른 쪽의 규제부(59)에의 가동 철심(56)의 맞닿아 접함을 유지하는 힘에 저항하는 자속을 콘덴서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에 의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압 슈(42)는, 가동 로드(48)의 전진에 의해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있다(도 6). 또, 각 비상 정지 장치(7)의 쐐기(20)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져 있다(도 4).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도 3)을 넘으면, 제어장치(12)로부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작동 신호(73)가 출력되며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4a)가 제동되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메인 로프(5)의 절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계속 상승하여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도 3)을 넘었을 때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5)에 작동 신호(74)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콘덴서에 축전된 전력이 제 2 코일(63)에 순간적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로드(48)는 후퇴되며 변위 레버(49)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후, 가압 슈(4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쉬브(8)에 밀어붙여지며 구속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는 로프 캐치 장치(15)에 의해 구속된다. 가압 슈(42)가 구속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 태에서는, 가동 철심(56)은 다른 쪽의 규제부(59)에 맞닿아 접하여 유지되고 있다.
로프 캐치 장치(15)에 의한 거버너 로프(9)의 구속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이상 속도로 강하하는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되어, 쐐기(20)가 그리퍼 메탈(22)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 즉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20)는 경사부(33)를 슬라이드하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후, 쐐기(20) 및 가압용 부재(3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밀어붙여진다. 쐐기(20)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해, 더욱 위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슬라이드용 부재(30)의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쐐기(20) 및 가압용 부재(31)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 후,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5)에 복귀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콘덴서에 축전된 전력이 제 1 코일(62)에 순간적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로드(48)가 전진하게 된다. 이후, 변위 레버(49)는, 스토퍼(55)에 맞닿아 접하며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42)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동작 시험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거버너 쉬브(8)로부터 거버너 로프(9)를 띄워서, 거버너 쉬브(8)를 프리(free) 상태로 한다. 이후, 거버너 쉬브(8)에 전기 드릴 등의 회전 장치를 밀어 붙여서 거버너 쉬브(8)를 회전시킨다. 또, 거버너 쉬브(8)에 회전계를 밀어붙여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를 계측한다.
회전 장치에 의해 거버너 쉬브(8)를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75)에는 엔코더(11)에 의해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와, 이 검출 위치에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각각의 값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는, 거버너 로프(9)를 거버너 쉬브(8)로부터 띄워서 계측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와 달라져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75)의 표시 및 회전계를 보면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를 올려가며,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가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을 넘으면, 작동 신호(73)가 제어장치(12)로부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출력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된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과 회전계에 의해 계측된 거버너 로프(8)의 회전 속도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즉,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과 회전계에 의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의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정상으로 하고, 허용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비정상으로 한다.
이후,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를 더욱 올려가며,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에 대응하는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가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을 넘으면, 작동 신호(74)가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5)에 출력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된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과 회전계에 의해 계측된 거버너 로프(8)의 회전 속도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즉,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과 회전계에 의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의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을 정상으로 하고, 허용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을 비정상으로 한다.
이후, 거버너 로프(9)를 거버너 쉬브(8)에 감고,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와 일치시키고서,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동작 시험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에서는, 엔코더(11)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와, 그 검출 위치에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각각의 값이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시스템의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 각각이 동작할 때의 각 설정 레벨의 값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가 동작하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제어장치(1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I/O 포트(14)에는, 엔코더(11)로부터의 위치 정보(71)가 I/O 포트(14)에 입력 가능한 통상 모드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정보로서 원하는 설정 정보(81)를 I/O 포트(14)에 입력 가능한 시험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8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상 모드에서는, 엔코더(11)로부터의 위치 정보(71)가 상시 입력된다. 또, 통상 모드에서는, 위치 정보(71)로부터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와, 그 검출 위치에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각각의 값이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거버너 쉬브(8)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는 값은 변화한다.
시험 모드에서는, I/O 포트(14)에 입력된 설정 정보(81)로부터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3)의 설정 위치와, 그 설정 위치에 있어서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 및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각각의 값이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거버너 쉬브(8)가 회전하게 되어도,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는 값은 변화하지 않고 고정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동작 시험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를 작동시키고 싶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81)를 I/O 포트(14)에 입력하고, 설정 정보(81)를 기억부(76)에 기억시킨다.
이후, 실시 형태 1과 같이 하여 거버너 쉬브(8)를 회전 장치에 의해 회전시키고,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면서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게 되었을 때에는, 회전계에 의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와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로프 캐치 장치(15)가 작동되었을 때에는, 회전계에 의한 거버너 쉬브(8)의 회전 속도와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설정 정보(81)의 값을 바꿔서 상기의 순서로 재차 시험을 행한다. 이 시험을 반복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의 각각의 동작의 이상 유무를 엘리베이터 칸(3)의 설정 위치마다 확인한다.
이후, 거버너 로프(9)를 거버너 쉬브(8)에 감은 후, 전환 스위치(82)에 의해 제어장치(12)의 모드를 시험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에서는, 제어장치(12)가 엔코더(11)로부터의 위치 정보(71)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취득 가능한 통상 모드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원하는 설정 정보(81)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취득 가능한 시험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12)를 시험 모드로 함으로써, 거버너 쉬브(8)의 회전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제어장치(12)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의 설정이 용이하게 되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15)의 각각의 동작의 시험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제어장치(12)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장치(12)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설정 레벨(17)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키는 통상 모드와, 승강로(1)의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x 만큼 떨어진 샘플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과 동일 속도인 샘플 속도 Vos(x)로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키는 시험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장치(12)는, 시험 모드에 있어서, 샘플 위치보다도 승강로(1)의 종단부로부터 떨어진 작동 위치(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를 엘리베이터 칸(3)이 통과할 때에, I/O 포트(14)로부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작동 신호(73)를 강제적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되어서 정지한다. 또한, 샘플 위치는 가감속 구간 내에 설정된다.
디스플레이(75)는,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으로부터 거리 x 만큼 떨어진 모의(模擬) 종단 위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VBOS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동작 시험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장치(12)의 제어를 통상 모드로부터 시험 모드로 전환하고, 샘플의 속도 Vos(x)로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킨다.
이후,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에 이르렀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4a)가 제동되어,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이 샘플 위치에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제동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3)의 거동을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모의적으로 재현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75)에는, 모의 종단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VBOS가 표시된다.
이후,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VBOS가 승강로(1)의 바닥부에 설치된 완충기의 완충 능력의 허용 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에서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키는 통상 모드와, 승강로(1)의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x 만큼 떨어진 샘플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과 동일 속도인 샘플 속도 Vos(x)로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키는 시험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시험 모드에 있어서,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을 엘리베이터 칸(3)이 통과할 때에, 제어장치(12)로부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에 작동 신호(73)를 강제적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종단부 근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거동을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재현할 수 있고, 완충기에 직접 충돌시키지 않아도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75)에는, 중간 위치 M으로부터 거리 x 만큼 떨어진 모의 종 단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VBOS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시험을 더욱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샘플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과속도 설정 레벨(18)의 값과 동일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3)이 주행하게 되고,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에서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나, 샘플 위치에 있어서의 제 2 과속도 설정 레벨(19)의 값과 동일한 속도인 샘플 속도 VTR(x)로 엘리베이터 칸(3)을 주행시키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의 중간 위치 M을 통과할 때에, 제어장치(12)로부터 로프 캐치 장치(15)에 강제적으로 작동 신호(74)를 출력시켜 로프 캐치 장치(15)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로(1)의 종단부 근방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거동을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재현할 수 있고,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상태를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로프 캐치 장치(15)에 대한 동작 시험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 시험을 행하는 경우, 중간 위치 M으로부터 거리 x 만큼 떨어진 모의 종단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디스플레이(75)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완충기에 충돌할 때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로프 캐치 장치(15) 의 동작 시험을 더욱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중간 위치 M으로부터 거리 x 만큼 떨어진 모의 종단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VBOS가 디스플레이(75)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나, 중간 위치 M으로부터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될 때까지의 거리 DSOS를 디스플레이(75)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에 의해 승강로(1)의 종단부에의 엘리베이터 칸(3)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승강로(1)의 중간부에서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및 제동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될 때까지의 거리를 디스플레이(75)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로프 캐치 장치(15)의 동작 시험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장착부재(45)에는, 전자 액추에이터(81)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81)는, 가압 슈(42)에 거버너 로프(9)를 구속시키는 작동 위치와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 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가동부(82)와, 가동부(82)를 작동 위치로 가압하는 가압부인 압축 스프링(83)과, 압축 스프링(83)의 가압에 저항하여 해제 위치로 가동부(82)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84)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84)은 수평부(46) 상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부(82)는, 전자 마그넷(84)에의 통전에 의해 전자 마그넷(84)에 흡인되는 가동판(85)과, 가동판(85)에 고정되며 전자 마그넷(84) 및 수직부(47)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는 가동 로드(86)를 가지고 있다.
가동 로드(86)의 선단부는, 링크(87)를 통하여 변위 레버(49)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87)는,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 로드(86)의 전자 마그넷(84)과 수직부(47) 사이의 부분에는 스프링 접속부(88)가 고정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83)은 스프링 접속부(88) 및 수직부(4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변위 레버(49)는, 가동 로드(86)의 왕복 이동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의 각각의 변위의 차에 의해 가동 로드(86)와 변위 레버(49) 사이의 위치 관계에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가동 로드(86) 및 변위 레버(49) 사이에는 링크(87)가 연결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81)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81)는, 전자 마그넷(84)에의 통전이 정지됨으로써 작동된다. 전자 액추에이터(81)의 작동에 의해, 가동부(82)는 후퇴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42)는 구속 위치로 변위된다.
또, 전자 액추에이터(81)의 작동은,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81)는, 전자 마그넷(84)에 통전됨으로써 복귀된다. 전자 액추에이터(81)의 작동의 해제에 의해, 가동부(82)는 전진되어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42)는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연결 기구부(89)는, 링크((87) 및 변위 레버(49)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복귀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81)에 계속적으로 입력되고 있으며, 전자 마그넷(84)에의 통전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부(82)는 해제 위치에 있고, 가압 슈(42)에 의한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이 해제되어 있다.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81)에 입력되면, 전자 마그넷(84)에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84)에 의한 가동판(85)의 흡착이 해제되며, 가동부(82)가 압축 스프링(83)의 가압에 의해 후퇴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42)가 구속 위치로 변위되어 거버너 로프(9)가 구속된다.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전자 액추에이터(81)에 복귀 신호를 출력시켜서, 전자 마그넷(84)에 통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82)가 전진되어, 가압 슈(94)가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81)에 의해 로프 캐치 장치가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시동 시스템이라도, 실시 형태 1∼4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2)를 적 용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틀체(41)의 하단부에는 틀체(41)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고정부재(91)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91)에는, 고마찰재인 수용부(receiving portion)(92)가 첩부되어 있다. 또, 틀체(41)에는, 대략 ∧자 형상의 변위 레버(93)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변위 레버(93)의 중간부에는, 수용부(92)에 대해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누름 부재인 가압 슈(9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슈(94)는, 변위 레버(93)의 회동에 의해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수용부(92)에 밀어 붙여지는 구속 위치와,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 슈(94)의 거버너 로프(9)에 접촉하는 부분은 고 마찰재로 되어 있다.
틀체(41)의 아래쪽에는, 돌출부(95)를 갖는 액추에이터 지지 부재(96)가 고정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지지 부재(96)에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의 전자 액추에이터(43)가 지지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43)로부터는, 가동 철심(56)에 고정된 가동 로드(97)가 수평으로 뻗어 있다. 가동 로드(97)는 돌출부(9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가동 로드(97)에는 변위 레버(93)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 로드(97)의 선단부에는, 변위 레버(93)의 하단부가 슬라이드되는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98)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로드(97)의 변위 레버(93)의 하단부와 돌출부(95) 사이의 부분에는 스프링 접속부(99)가 고정되어 있다.
변위 레버(93)의 하단부 및 스프링 접속부(99) 사이에는, 구속 위치에 있을 때의 가압 슈(94)를 수용부(92)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탄성체인 압축 스프링(100)이 접속되어 있다. 또, 돌출부(95) 및 스프링 접속부(99) 사이에는, 전자 액추에이터(43)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탄성체인 조정 스프링(101)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43)는,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로드(97)는, 전자 액추에이터(43)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어 가압 슈(94)를 구속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 로드(97)는, 전자 액추에이터(43)에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후퇴 되도록 되어 있다. 가압 슈(94)는 가동 로드(97)의 후퇴에 의해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구속부(102)는 수용부(92) 및 가압 슈(94)를 가지고 있다. 또, 연결 기구부(103)는 가동 로드(97) 및 변위 레버(9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 로드(97)가 후퇴되고, 가압 슈(94)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43)에 입력되면, 가동 로드(97)가 전진되면서 변위 레버(93)가 회동되어, 가압 슈(94)가 구속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수용부(92)와 가압 슈(94)의 사이에 끼워 져서 구속된다.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복귀 신호를 출력시켜서, 가동 로드(97)를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94)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거버너 로프(9)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로프 캐치 장치의 구속부(102)가 거버너 로프(9)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시동 시스템이라도, 실시 형태 1∼4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2)를 적용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3은 도 12의 로프 캐치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거버너 로프(9)의 근방에는 고정부재(111)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11)의 측면에는, 고 마찰재인 수용부(112)가 첩부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수평축(113)이 고정되어 있다. 수평축(113)은 수용부(112)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평축(113)에는, 신축 가능한 탄성 신축체(114)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탄성 신축체(114)의 타단부에는, 수용부(11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압 슈(1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슈(115)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수용부(112)에 밀어 붙여지는 구속 위치(도 13)와,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져서 거버 너 로프(9)의 구속이 해제되는 개방 위치(도 12)의 사이에서, 탄성 신축체(114)의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탄성 신축체(114)는, 가압 슈(115)가 구속 위치에 있을 때에, 수용부(112)의 반력에 의해 수축된다.
탄성 신축체(114)의 길이는, 가압 슈(115)의 하단부가 수용부(112)의 상부면에 닿지 않도록 회동되며, 또한 탄성 신축체(114)가 거의 수평으로 되었을 때에, 수평축(113)과 수용부(112)의 사이에서 수축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 탄성 신축체(114)는, 가압 슈(115)가 설치된 신축 로드(expansion rod)(116)와, 구속 위치에 있을 때의 가압 슈(115)를 수용부(112)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17)을 가지고 있다.
신축 로드(116)는, 수평축(1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의 접속부(118)와, 가압 슈(11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의 접속부(119)와, 제1 및 제2의 접속부(118, 119)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부(120)를 가지고 있다. 신축부(120)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복수의 슬라이드 통(筒)(121)을 가지고 있다. 또, 신축부(120)는 각 슬라이드 통(121)이 서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117)은, 제1 및 제2의 접속부(118, 119)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압축 스프링(117)은, 제1의 접속부(118) 및 제2의 접속부(119)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탄성 신축체(114)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실시 형태 1에서와 같은 구성의 전자 액추에이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43)로부터는, 전자 액추에이터(43)에 대해 왕 복 이동 가능한 가동 로드(122)가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가동 로드(122)의 선단부에는, 스프링 접속부(123)가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 로드(122)의 스프링 접속부(123)와 전자 액추에이터(43) 사이의 부분에는, 고정구(12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접속부(123) 및 고정구(124) 사이에는 접속 스프링(125)이 접속되어 있다.
고정구(124)와 가압 슈(115)는, 연결 기구부(12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기구부(126)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링크 부재(127) 및 제2의 링크 부재(128)를 가지고 있다.
제1의 링크 부재(127)는, 수평축(113)과 평행한 지지축(129)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29)은 승강로(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129)에는 제1의 링크 부재(127)의 중간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의 링크 부재(127)의 일단부는 고정구(12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1의 링크 부재(127)의 타단부는 제2의 링크 부재(128)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의 링크 부재(128)의 길이는, 제1의 링크 부재(127)의 길이보다 짧게되어 있다. 제2의 링크 부재(128)의 타단부는 가압 슈(115)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가압 슈(115)는, 가동 로드(112)의 위쪽으로의 변위(전진)에 의해,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구속 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압 슈(115)는, 가동 로드(112)의 아래쪽으로의 변위(후퇴)에 의해,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되어 개방 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12)의 근방에는, 가압 슈(115)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여 가압 슈(115)를 구속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압 슈(115)는,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의 거버너 로프(9)에 접촉됨으로써, 가압 슈(115)가 수용부(112)측으로 밀어붙여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 로드(122)가 아래쪽으로 후퇴되고, 가압 슈(115)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도 12).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43)에 입력되면, 가동 로드(122)가 위쪽으로 전진되고, 가압 슈(115)가 수평축(113)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가압 슈(115)는 아래쪽으로 회동되면서 거버너 로프(9)를 도면의 우측으로 밀어서 수용부(112)의 측면에 거버너 로프(9)를 접촉시킨다. 이후, 가압 슈(115)는, 거버너 로프(9)의 이동 및 자중에 의해 더욱 아래쪽으로 당겨진다. 이때, 가압 슈(115)는 수용부(112)와의 사이에 거버너 로프(9)가 끼워진 상태로, 탄성 신축체(114)를 수축하면서, 수용부(112)의 측면을 따라 구속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117)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며, 가압 슈(115)는, 거버너 로프(9)를 수용부(112)에 밀어 부친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구속된다(도 13).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복귀시에는, 제어장치(12)로부터 복귀 신호를 출력시켜서 가동 로드(22)를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슈(115)가 개방 위치로 변위되며, 거버너 로프(9) 의 구속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거버너 로프(9)에 대한 구속력이 거버너 로프(9)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증가하는 로프 캐치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시동 시스템이라도, 실시 형태 1∼4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2)를 적용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의 로프 캐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틀체(41)에는 지지축(141, 14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틀체(41)의 지지축(141)과 지지축(142) 사이의 부분에는, 거버너 쉬브(8)의 회전축의 지지부(14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41)에는 지지 링크(144)의 일단부(하단부)가, 지지축(142)에는 변위 레버(145)의 일단부(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틀체(41)의 위쪽에는, 틀체(41)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베이스(146)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베이스(146)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의 각각의 타단부(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베이스(146)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를 통하여 틀체(41)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베이스(146)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와, 가동 베이스 본체(147)로부터 외측으로 뻗으며, 변위 레버(145)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된 나사봉(screw bar)(148)을 가지고 있다. 지지 링크(144)의 상단부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사봉(148)에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로부터의 거리를 조정 가능한 스프링 고정구(150)가 장착되어 있다.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와 스프링 고정구(150)의 사이에는, 나사봉(148)에 장착된 탄성체인 압축 스프링(151)이 배치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151)은,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와 스프링 고정구(150)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위 레버(147)의 상단부 및 스프링 고정구(150)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변위 레버(147)의 중간부에는, 누름 부재인 가압 슈(15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슈(15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쉬브(8)에 밀어붙여지는 구속 위치와, 거버너 로프(9)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 슈(152)는, 변위 레버(147)의 지지축(141)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구속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거버너 쉬브(8)에는, 거버너 쉬브(8)와 일체로 회전되는 래칫 기어(ratchet gear)(153)가 고정되어 있다. 래칫 기어(153)는 외주부에 복수의 톱니부(154)를 가지고 있다.
가동 베이스 본체(147)에는 래치 지지축(155)이 고정되어 있다. 래치 지지축(155)에는, 손톱부(claw portion)(156)를 갖는 래치(15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치(157)는, 손톱부(156)가 래칫 기어(153)의 톱니부(154)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기어(15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래치(157)는, 래치 지지축(15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맞물림 위치와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래치 지지축(155)은, 래치(157)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의 손톱부(156)의 선단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래칫 기어(153)의 회전 방향에 대한 톱니부(154)의 절삭 각(cutting angle)은, 래치(157)가 래치 지지축(155)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의 손톱부(156)의 궤도가 톱니부(154)에 겹쳐지지 않는 각도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래치(157)를 변위시키는 동작, 즉 복귀 동작의 구동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가동 베이스 본체(147) 상에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의 전자 액추에이터(43)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43)로부터는, 전자 액추에이터(43)에 대하여 왕복 운동 가능한 가동 로드(158)가 수평으로 뻗어 있다. 가동 로드(158)는, 전자 액추에이터(43)의 구동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가동 로드(15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63)이 설치되어 있다. 래치(157)에는, 긴 구멍(16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장착부재(159)가 고정되어 있다. 래치(157)는, 가동 로드(158)의 전진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 변위되고, 가동 로드(158)의 후퇴에 의해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래치(157)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가동 베이스 본체(147)는 지지 링크(144) 및 변위 레버(145)에 의해 밸런스(balance)로서 지지되고, 가압 슈(152)는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되고 있는 방향으로 래칫 기어(153)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래칫 기어(153)가 도면의 C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157)가 맞물림 위치로 변위되면, 가동 베이스 본체(147)는, 래칫 기어(153)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 슈(152)가 구속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틀체 (41)에 대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틀체(41)에는, 지지 링크(144)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의 스토퍼(160) 및 제2의 스토퍼(16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스토퍼(160)에 의한 지지 링크(144)의 회동의 규제에 의해, 가압 슈(152)가 거버너 쉬브(8)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의 스토퍼(161)에 의한 지지 링크(144)의 회동의 규제에 의해, 가압 슈(152)의 거버너 쉬브(8)측으로 가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버너 로프(9)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 로드(158)가 후퇴되고, 래치(157)가 해제 위치에 변위되게 된다. 또, 가압 슈(152)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지지 링크(144)는 제1의 스토퍼(160)에 맞닿아 접하고 있다.
거버너 쉬브(8) 및 래칫 기어(153)의 회전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고, 제어장치(12)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전자 액추에이터(43)에 입력되면, 가동 로드(158)가 전진되어 래치(157)가 맞물림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래칫 기어(153)의 톱니부(154)가 래치(157)에 맞물려진다.
이후, 래칫 기어(153)의 회전력에 의해, 가동 베이스 본체(147)가 틀체(41)에 대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변위되고, 가압 슈(152)가 구속 위치로 변위된다. 이때, 가압 슈(152)는, 거버너 로프(9)를 통하여 거버너 쉬브(8)에 가압 스프링(151)의 가압에 의해 밀어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거버너 로프(9)는 구속된다. 가압 슈(152)의 가압력은, 지지 링크(144)의 제2의 스토퍼(161)에의 맞닿아 접함에 의해 적정한 것으로 된다.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거버너 쉬브(8)의 회전력을 거버너 로프(9)에의 구속력에 이용하는 로프 캐치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시동 시스템이라도, 실시 형태 1∼4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2)를 적용함으로써,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 및 로프 캐치 장치의 동작 시험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방향으로의 과속도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윗방향으로의 과속도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승강로의 종단부(終端部)에 인접하는 소정 구간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로 향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 과속도 설정 레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얻어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속도가 상기 과속도 설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검출 위치와, 상기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과속도 설정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2.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승강로의 종단부에 인접하는 소정 구간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로 향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 과속도 설정 레벨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취득 가능한 통상 모드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한 정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취득 가능한 시험 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엘 리베이터 칸의 검출 속도가 상기 과속도 설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부, 및
    상기 시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과속도 설정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상 운전 제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통상 모드와, 상기 승강로의 종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샘플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과속도 설정 레벨의 값과 동일 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시험모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시험 모드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작동 위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도달했을 때에, 상기 작동 신호를 강제적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검출 속도를 또한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또한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KR1020057025471A 2005-12-30 2004-04-30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KR10068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471A KR100683985B1 (ko) 2005-12-30 2004-04-30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471A KR100683985B1 (ko) 2005-12-30 2004-04-30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91A KR20060065591A (ko) 2006-06-14
KR100683985B1 true KR100683985B1 (ko) 2007-02-22

Family

ID=3716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471A KR100683985B1 (ko) 2005-12-30 2004-04-30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9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91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176B2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JP4566994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時制動システム
US7703578B2 (en) Elevator apparatus
CA2544664C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N102085989B (zh) 电梯
KR20140042769A (ko) 비상정지장치를 구동시키고 리셋시키기 위한 장치
EP2495205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KR20190031171A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US7607518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KR100683985B1 (ko) 엘리베이터의 이상시 제동 시스템
CN109019241B (zh) 电梯装置、电梯保护的触发方法
KR100738763B1 (ko) 엘레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JP5907912B2 (ja) エレベータ用レールの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CN113825716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以及电梯的紧急停止装置的检修装置
KR10067881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45908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80491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87838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