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319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319A
KR20060059319A KR1020040098366A KR20040098366A KR20060059319A KR 20060059319 A KR20060059319 A KR 20060059319A KR 1020040098366 A KR1020040098366 A KR 1020040098366A KR 20040098366 A KR20040098366 A KR 20040098366A KR 20060059319 A KR20060059319 A KR 2006005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oaded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9319A/ko
Publication of KR2006005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의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의 폭을 정렬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그 일측이 베이스에 접촉되어 표면 마찰력으로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발명과 달리 가이드부가 표면 마찰력에 의해 용지의 폭에 밀착되어 용지를 지지하므로 균일한 급지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가 용지의 일측에 표면 마찰력을 이용해 밀착되므로 래칫홈의 피치폭으로 인해 발생되던 용지의 중송이나, 스큐(skew), 잼(jam) 등의 급지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주 제기되는 넌센스콜 유형의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도면과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체 102...대전롤러
103...광주사 유닛 104C, 104M, 104Y, 104K...현상기
105...전사벨트 106...제1클리닝장치
108...고전압전원공급부 109...제2클리닝장치
110...전사전 제전유닛 111...정착부
112...전사롤러 113a..급지카세트
115a..픽업롤러 125...현상롤러
140...본체 프레임 200...가이드부
201...베이스 202...녹업 플레이트
204...핑거 206...탄성부재
210...가이드부재 220...고마찰부재
230...고마찰패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의 일측을 표면 마찰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급지시 발생되는 급지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프로세스,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프로세스,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인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하는 현상프로세스,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하여 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용지가 급지되는 급지프로세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와 같이 급지된 용지로 전사(transfer)하는 전사프로세스, 용지로 전사된 토너화상을 고온, 고압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프로세스, 정착이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시키는 배지프로세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프로세스에 따라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카세트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급지카세트(1)는 급지카세트(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S)의 폭을 정렬하는 가이드부(10)와, 용지(S)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Knock-up plate, 20)와, 급지카세트(1)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핑거(finger, 30)와, 녹업 플레이트(20)를 후술하는 핑거(30)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40)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0)는 그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2)가 급지카세트(1)의 밑면에 형성된 래칫홈(14)에 결합되어 용지(S)의 폭을 조절하거나 멈춤 동작을 수행한다. 즉, 가이드부(10)는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며, 손으로 가이드부(10)를 슬라이딩시켜 적재된 용지(S)의 측면을 정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지(S)를 적재하거나 교환할 때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급지카세트(1)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착탈한다. 그리고 나서, 녹업 플레이트(20)를 하방으로 고정한 후 적재되는 용지(S)가 쉽게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10)를 바깥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용지(S)의 선단이 핑거(30)의 하단부에 걸치도록 삽입한 후 가이드부(10)를 손으로 슬라이딩시켜 돌기부(12)와 래칫홈(14)을 결합시켜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다(도 3 참조). 즉, 용지(S)의 선단이 핑거(30)의 하단부에 걸치도록 삽입한 후, 가이드부(10)를 손으로 밀어 적재된 용지(S)가 급지카세트(1)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이때, 가이드부(10)의 밀착량(A, 도 2 참조)은 정상적인 급지를 위해 중요하다. 가이드부(10)가 용지(S)에 적절한 가압력을 가한 상태로 밀착된 경우 정상적인 급지 동작이 가능하다. 즉, 용지(S)가 핑거(30)에 걸리는 걸림량(B, 도 4 참조)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어야 정상적인 급지 동작이 가능하므로, 밀착량(A, 도 2 참조)과 걸림량(B, 도 4 참조)은 매우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갖는다.
그런데, 급지카세트(1)에 용지(S)를 적재시 용지(S)의 선단이 핑거(30)의 하단부에 걸치도록 삽입한 후, 최종적으로 가이드부(10)를 밀어 용지(S)의 측면에 가이드부(10)가 밀착되도록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래칫홈(14)의 피치폭(16) 만큼의 틈새가 발생된다. 즉, 가이드부(10)는 급지카세트(1)의 베이스에 설치된 래칫홈(14)에 의하여 좌우 조절 및 멈춤 동작을 수행하게 되지만, 래칫홈(14)이 가지는 피치폭(16)에 의해 그 폭만큼의 틈새가 발생된다. 따라서, 용지(S) 폭의 오 차나 래칫홈(14)의 피치폭(16)에 의해 밀착량(A)이 불균일하게 되므로, 가이드부(10)는 용지(S)를 밀착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걸림량(B)이 확보되지 못하다.
걸림량(B)이 과소하면, 즉 가이드부(10)가 용지(S)와 이격된 상태에서 급지카세트(1)가 장착되면, 용지(S)의 중송이나 스큐(skew)로 인해 잼(jam) 등의 급지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걸림량(B)이 과다하면 가이드부(10)에 의한 가압력 때문에 용지(S)의 이송이 원활히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래칫홈의 피치폭에 의해 발생되는 급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상기 용지의 폭을 정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표면 마찰력으로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 드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와 소정의 표면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용지 측으로 슬라이딩시 소정 위치에서 상기 용지를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고마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마찰부재는, 표면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에는, 고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핑거와;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상기 핑거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급지카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도면과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12는 도 6의 급지카세트 중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5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의 다른 실시예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레임(140) 내부에 감광체(101)와, 대전롤러(102)와, 광주사 유닛(103)과, 4개의 현상기(104)와, 전사벨트(105)를 구비한다.
감광체(10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체(10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광주사 유닛(103)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02)는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롤러(102)에는 감광체(10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주사 유닛(103)은 감광체(101)의 하방에 설치되며,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주사하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 유닛(103)은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광주사 유닛(103)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4 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체 프레임(14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그 내부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분말상의 토너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5)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은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롤러(125)는 현상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101)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5)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25)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현상롤러(125)가 감광체(10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의 현상갭(Dg)만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와 감광체(101)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101)에서 현상롤러(125)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며, 하전된 토너는 현상갭(Dg) 사이에 형성된 현상영역에서 진동 왕복운동을 하면서 이송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일측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현상기 구동 장치(104A)가 설치된다.
4개의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는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시안 현상기(104C), 마젠타 현상기(104M), 옐로우 현상기(104Y), 블랙 현 상기(104K)의 순서로 배치된다.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현상기(104K)의 상방에는 전사전 제전유닛(110)이 위치된다. 감광체(101)의 하방에는 광주사 유닛(103)과 제전램프(107)가 위치된다. 감광체(101)를 중심으로 현상기(104C, 104M, 104Y, 104K)의 반대쪽에는 용지이송유닛(1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사벨트(105)에는 감광체(101)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중첩 전사됨으로써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사벨트(105)의 길이는 컬러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용지(S)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전사벨트의 내주에는 다수의 지지롤러가 전사벨트(105)를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닙롤러(105a)는 전사벨트(105)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가 일정한 닙(Nip, A)을 유지하도록 한다. 중간전사롤러(105b)에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되도록 하는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는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전사될 수 있도록, 중간전사롤러(105b)와 닙롤러(105a) 사이의 구간에서 감광체(101)와 대면되게 설치된다. 즉, 전사벨트(10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며, 감광체(101)의 외주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된다.
제1클리닝장치(106)는 감광체(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과정 후에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1블레이드(106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수단(106b)을 구비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에 전사벨트(105) 상에 잔류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제2클리닝장치(109)는 전사벨트(105)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제2블레이드(109a)와, 폐토너를 폐토너 저장부(미도시) 쪽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109b)을 구비한다.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면과 대면되도록 설치되어, 전사벨트(105)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옮겨지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상기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 컬러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전사벨트(105)에 컬러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벨트(105)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전사벨트(105)의 외측면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12)와 전사벨트(10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S)에 전사될 수도 있다.
전사전 제전유닛(pre-transfer eraser, 110)은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로 전사시키기 전에 감광체(101) 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비화상영역)의 전하를 제거한다. 전사전 제전유닛(110)은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제전램프(107)는 대전 전단계에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일 예이다.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조사하여 감광체(101)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를 제거한다.
고전압전원공급부(High voltage power supply, 108)는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현상기(104)로부터 감광체(101)로 토너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 감광체(101)로부터 전사벨트(105)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전사벨트(105)로부터 용지(S)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 대전롤러(102)에 제공되는 대전 바이어스전압 등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에 전압을 제공한다.
정착부(111)는 히트롤러(123)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124)를 구비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히트롤러(123)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24)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24)는 히트롤러(123)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17)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 용지(S)는 배지부(180)에 적재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13a)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3a)는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 이다. 적재수단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는 MPF(multi-purpose feeder, 113c)가 포함될 수 있다. MPF(113c)는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13a)는 급지카세트(113a)의 베이스(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용지(S)의 폭을 정렬하는 가이드부(200)와, 용지(S)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Knock-up plate, 202)와,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핑거(finger, 204)와, 녹업 플레이트(202)를 후술하는 핑거(204)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206)를 구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베이스(201)에 설치되어 녹업 플레이트(202)에 적재된 용지(S)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베이스(201)에 접촉되어 표면 마찰력으로 녹업 플레이트(202)에 적재된 용지(S)의 일측을 밀착 지지한다. 가이드부(200)는 픽업롤러(115a)에 의한 용지(S)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용지(S)를 가압 지지하여 용지(S)를 정렬한다.
가이드부(200)는 베이스(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10)와, 베이스(201)와 소정의 표면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고마찰부재(22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210)는 베이스(201)에 왕복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용지(S)의 일측을 가압 정렬한다. 가이드부재(210)의 높이(212)는 녹업 플레이트(202)에 적재가능한 용지(S)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마찰부재(220)는 가이드부재(2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베이스(201)와 소정 의 표면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가이드부재(210)가 용지(S) 측으로 슬라이딩시 소정 위치에서 용지(S)를 밀착 지지하도록 한다. 고마찰부재(220)는 가이드부재(210)의 일측에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결합수단을 이용해 결합되며, 고마찰부재(220) 자체가 갖는 표면 마찰력으로 가이드부재(210)가 용지(S)를 밀착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마찰부재(220)는 표면 마찰력이 큰 고무나 코르크나 실리콘 계열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재료에 의한 마찰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고마찰부재(220)는 베이스(201)에 접하는 면에 홈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마찰부재(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10)의 일단에 형성된 홈(222)에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달리 가이드부재(210)와 접촉되는 베이스(20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마찰패드(2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표면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10)의 일단에는 고마찰부재(220)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재(210)와 접촉되는 베이스(201)에는 고마찰패드(2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고마찰패드(230)는 표면 마찰력이 큰 고무나 코르크나 실리콘 계열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재료에 의한 마찰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핑거(204)는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어 픽업롤러(115a)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를 한 장씩 분리시킨다. 용지(S)가 한 장씩 이송되기 위해서 핑거(204)와 용지(S) 사이에는 일정량 이상의 걸림부(C)가 있어야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200)는 용지(S)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용지(S)가 핑거(204)에 걸리는 부분(C)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용지(S)를 핑거(204)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핑거(204)는 용지(S)의 모서리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용지(S)가 그 강성에 의하여 한 장씩 분리되도록 하는 장치이며,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핑거(204)는 급지카세트(113a)에 적재된 용지(S)가 픽업롤러(115a)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로,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부재(206)는 녹업 플레이트(202)에 적재된 용지(S)를 핑거(204)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즉, 녹업 플레이트(202)에 적재된 용지(S)는 탄성부재(206)에 의해 핑거(204)의 하단에 걸치게 되고, 픽업롤러(115a)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된다.
상기에서는 용지 분리수단으로 핑거(204)가 설치된 급지카세트(113a)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13은 상기와 달리 용지 분리수단으로 분리부를 둔 급지카세트(113a)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급지카세트(113a)와 작용,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13a)는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는 픽업롤러(115a)와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분리부(256)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3a)는 용지(S)가 적재되는 베이스(201)와 베이스(201)에 대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벽(255)을 갖는다. 베이스(201)는 실질적으로 평판형태이다. 경사벽(255)은 용지(S)를 분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급지카세트(113a)는 경사벽(255)을 갖지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201)에 적재된 여러 장의 용지(S)가 한꺼번에 픽업되는 중송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201)의 상면에는 픽업롤러(115a)와 대면되는 위치에 마찰패드(258)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패드(258)는 마지막 용지(S)의 배면에 적어도 용지(S) 상호간의 마찰력보다 더 큰 마찰력을 제공하여 중송을 방지한다.
픽업롤러(115a)는 용지(S)의 잔량에 따라 용지(S)를 가압하여 이송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피킹아암(picking arm, 252)의 일단에 설치되어, 용지(S)의 잔량에 따라 용지(S)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회동된다. 픽업롤러(115a)는 용지(S)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용지(S)를 급지카세트(113a) 밖으로 이송시킨다.
마찰부재 등과 같은 분리부(256)는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경사벽(255)에 설치된다. 분리부(256)는 픽업롤러(115a)에 의해 경사벽(255)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S)의 배면에 마찰저항을 제공하여 최상측의 용지(S)만이 이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리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분리부(256)는 적어도 용지(S)와의 마찰력이 용지(S) 상호간의 마찰력보다 더 커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부(256)는 코르크나 실리콘 계열의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재료에 의한 마찰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급지카세트(113a)의 일측에는 가이드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이드부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픽업롤러(115a, 115c)는 급지카세트(113a, 113c)의 상측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113a, 113c)에 적재된 용지(S)를 후술하는 피드롤러(116) 측으로 이송시킨다.
피드롤러(116)는 픽업롤러(115a, 115c)에 의해 급지카세트(113a, 113c)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용지이송부(120) 쪽으로 이송시킨다.
용지이송부(120)는 피드롤러(116)와 정착부(111) 사이에서 용지(S)를 안내하는 급지경로(121)와, 양면인쇄를 위한 반전경로(duplex path)(122)를 포함한다. 용지이송부(120)에는 용지정렬기(registration roller, 118)가 설치된다. 용지정렬기(118)는 피드롤러(116)로부터 이송된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용지(S)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용지(S)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며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부(111)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1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지된다.
양면인쇄시에는 배지롤러(117)가 역회전되고, 용지(S)는 반전경로(122)를 따라 이송된다. 그러면, 화상이 인쇄되지 않은 면에 화상이 인쇄될 수 있도록 용지(S)가 역전된다. 역전된 용지(S)는 다시 피드롤러(116)에 의해 급지경로(121)를 거쳐 이송되면서 다른 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상세 히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벨트(105)에 중첩시키고 이를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용지(S)를 적재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급지카세트(113a)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착탈한다. 그리고 나서, 녹업 플레이트(202)를 하방으로 고정한 후 적재되는 용지(S)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부(200)를 바깥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용지(S)의 선단이 핑거(204)의 하단부에 걸치도록 삽입한 후 가이드부(200)를 용지(S)의 일측에 밀착한다. 이때, 가이드부(200)는 그 일측에 설치된 고마찰부재(22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용지(S)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200)는 고마찰부재(220)와 베이스(201) 사이의 표면 마찰력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용지(S)의 일측을 밀착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용지(S)를 적재한 후 급지카세트(113a)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하면, 아래와 같은 화상형성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대전롤러(102)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 유닛(103)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체(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 다.
감광체(101)가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시안 현상기(104C)에 접근하면,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시안 현상기(104C)의 현상롤러(125)에 고전압전원공급부(108)로부터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다른 현상기(104M, 104Y, 104K)의 현상롤러(125)에는 현상을 방지하는 현상방지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시안(C) 색상의 토너만이 현상갭(Dg)을 가로질러 감광체(10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접근하면, 제1전사 바이어스전압 또는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전사된다.
시안(C)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전사벨트(105)에 중첩되게 전사된다. 이때, 현상기 구동 장치(104A)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현상기(104C, 104M, 104Y, 104K)를 구동한다.
상기 과정 중에 전사롤러(112)는 전사벨트(10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4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5)로 모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 전사벨트(105) 상에 컬러토너화상이 형성되면, 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해 전사롤러(112)가 전사벨트(105)와 접촉된다.
전사벨트(105)에 형성된 컬러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 (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가 접촉된 지점에 도달하도록 급지카세트(113a) 또는 MPF(113c)로부터 용지(S)가 공급된다. 용지(S)가 전사벨트(105)와 전사롤러(112) 사이를 통과하면 제2전사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며, 계속하여 정착부(111)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컬러토너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컬러화상형성이 완료된다.
다음 번 인쇄를 위해 제1 및 제2클리닝장치(106)(109)는 각각 감광체(101)와 전사벨트(105)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며, 제전램프(107)는 감광체(101)에 광을 조사하여 감광체(101) 상의 잔류전하를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가이드부(200)가 용지(S)의 폭에 밀착되어 표면 마찰력에 의해 용지(S)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가이드부가 표면 마찰력을 이용해 용지의 폭에 밀착되어 지지하므로 균일한 급지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가 용지의 일측에 표면 마찰력을 이용해 밀착되므로 래칫홈의 피치폭으로 인해 발생되던 용지의 중송이나, 스큐(skew), 잼(jam) 등의 급지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주 제기되는 넌센스콜 유형의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상기 용지의 폭을 정렬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어 표면 마찰력으로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와 소정의 표면 마찰력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용지 측으로 슬라이딩시 소정 위치에서 상기 용지를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고마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마찰부재는,
    표면 마찰력의 증대를 위해 상기 베이스에 접하는 면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에는 고마찰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지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 핑거와;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상기 용지를 상기 핑거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98366A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KR20060059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66A KR20060059319A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66A KR20060059319A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19A true KR20060059319A (ko) 2006-06-01

Family

ID=3715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66A KR20060059319A (ko) 2004-11-27 2004-11-27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9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9178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10179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00749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106491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1178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H07285701A (ja) 自己調心低ジャム率アイドラアセンブリ
US90085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eeding device
US7587160B2 (en) Toner repelling stripper finger assembly
JP611931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EP0617341B1 (en) Stripping of paper from photoreceptor belts with reduced stress
KR20060059319A (ko) 화상형성장치
US20060055959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59347A (ko) 화상형성장치
KR10063620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S597660A (ja) シ−ト搬送装置
KR20060041517A (ko) 화상형성장치
JP595878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59245A (ja) 給紙カセット
JP402598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0083613A (ja) 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2056744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誘電体ベルト
KR20060059570A (ko) 화상형성장치의 잼 감지방법
JP200625112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501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