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673A - 히스토리 기반 경보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히스토리 기반 경보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673A
KR20060058673A KR1020057022658A KR20057022658A KR20060058673A KR 20060058673 A KR20060058673 A KR 20060058673A KR 1020057022658 A KR1020057022658 A KR 1020057022658A KR 20057022658 A KR20057022658 A KR 20057022658A KR 20060058673 A KR20060058673 A KR 2006005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mory
count
source
al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에이. 시에라우스키
마크 에이. 바로스
존 에이치. 부졸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100)는 호출을 수신하는 송수신기(115), 호출 소스(300)를 저장하고 각각의 호출 소스(300)에 대해 연관된 호출 카운트(305)를 저장하는 수신 호출 메모리(145),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수신 호출의 호출 소스를 식별하고, 경보 회로(130)에 호출 카운트와 연관된 고유 경보를 식별하는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고, 호출 카운트를 증분한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또한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된 고유 경보를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는 경보 회로(130)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 호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고유 경보, 경보 회로

Description

히스토리 기반 경보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COMMUNICATION DEVICE WITH HISTORY BASED ALERT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보 개인화 능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셀룰러 전화들 및 쌍방향 메시징 디바이스들 등의 통신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또는 음성메시지들을 수신하고, 메시지 또는 호출 수신에 응답하여, 메시지를 저장하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신 또는 인입 호출을 경보하는 등의 표준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을 가져왔다. 사용자는 청각적, 시각적 또는 진동 경보에 의해 새로운 메시지, 인입 호출 또는 누락된 인입 호출의 수신을 알게 된다. 오늘날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은 호출이 수신되었을 때 호출 당사자의 식별이 표시되는 호출자 식별 능력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호출자 식별은 인입 호출 소스의 전화번호이다. 몇몇 통신 디바이스들은 인입 호출자 식별 전화번호들을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연결시켜,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그 전화번호에 관련된 식별(호출자 성명 등)을 표시하는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현재 사용가능한 기술의 한 가지 단점은 인입 호출의 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보아야 한다는 불편함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사용자가 자동차에서 운전을 하고 있을 때, 호출에 응답하기 이전에 셀룰러 전화 또는 메시징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고 잠재적으로는 위험하다.
오늘날 몇몇 통신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의 개별 엔트리들에 고유한 경보를 할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사용자는 각각의 호출자 식별에 서로 다른 경보를 수동으로 할당하여 정보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한다. 이는 시간 소비적이고 지루하며, 특히 전화번호부 사이즈가 클 것과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을 요구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동일 참조 번호들은 개별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참조하고 첨부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도시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들과 이점들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통신 디바이스의 전자적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 내에 사용되는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 내에 사용되는 수신 호출 메모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기반으로서 및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을 가상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상세한 구조에 채택하도록 교시하는 대표적인 기반으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 및 문장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일 또는 하나(a or an)"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복수의(plurality)"라는 용어는 둘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다른(another)"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2번째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및/또는(and/or)"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comprising)[예를 들어, 개방형 언어(open language) 등]"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접속된(connected)이라는 의미로서 정의되며, 반드시 직접적일 필요는 없고, 반드시 기계적인 것일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program)",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 등의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일련의 명령어들로서 정의된다.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서브루틴(subroutine), 펑션(function), 프로시져 (procedure), 오브젝트 메소드(object method), 오브젝트 임플리멘테이션(object implementation),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executable application), 애플릿(applet), 서브렛(servlet), 소스 코드(source code), 오브젝트 코드(object code), 공유 라이브러리/다이다믹 로드 라이브러리(shared library/dynamic load library) 및/또는(and/or)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다른 일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도 1은 통신 디바이스의 전자적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수신기(115), 프로세서(120), 메모리(125), 경보 회로(130) 및 디스플레이(135)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통신 디바이스(100)가 휴대형 셀룰러 전화, 휴대형 무선 데이터 단말기, 첨부된 데이터 단말기를 갖는 휴대형 무선 전화 또는 쌍방향 메시징 디바이스 등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통신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이들의 조합 상에서 동작하는 고정형 네트워크 디바이스 일 수 있다. 고정형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방, 건물 또는 학교 건물 내에 위치하고 공통적인 리소스들을 공유하며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 통신하는 복수의 공간적으로 함께 위치된 컴퓨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라는 용어는 위에 언급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등가물을 지칭한다.
송수신기(115)는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105)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 (110)을 인터셉트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신호(110)가 신호(110)과 관련되는 호출의 소스를 식별하는 호출자 식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호출자 식별은 호출이 발원된 것으로부터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송수신기(115)가 바람직하게는 신호들(110)을 수신하기 위해 종래의 복조 기술들을 포함한다. 송수신기(115)는 프로세서(120)에 결합되고 프로세서(120)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15)가 프로세서(115)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 때, 송수신기(115)는 통신 시스템(105)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시, 송수신기(115)는 하나 이상의 통신 호출들 내에서 통신하기 위한 수신 및 송신 기능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통신 디바이스(100)는 송수신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동일한 또는 대안적인 타입의 다른 유사한 전자적 블럭도가 통신 디바이스(10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송수신기(115)에는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종래의 신호 처리 기술들을 사용하는 프로세서(120)가 결합된다.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처리 요건들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프로세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수신 신호의 복조된 신호에서 어드레스를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어드레스를 메모리(125)의 어드레스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들과 비교하여, 일치된다고 검출되면, 수신 신호의 나머지 부분을 처리하도록 진행한다.
메시지의 수신 및 처리시, 프로세서(120)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35)에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110)의 수신에 대한 시각적 통지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35)가 프로세서(120)로부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때, 호출 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 호출 표시는 예를 들어 신호(110)가 전화 호출일 때 호출 소스와 연관된 호출자 식별일 수 있다. 호출 표시는, 대안적으로, 신호(110) 내에 수신 호출자 식별과 관련된 이름 또는 이미지일 수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 차후 사용을 위해 메모리(125)에 저장된 것이다. 디스플레이(135)는, 예를 들어, 텍스트와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음극선관 디스플리에 등 다른 유사한 디스플레이들이 디스플레이(135)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메시지 또는 호출의 수신과 처리시, 프로세서(120)는 신호(110)가 수신되었다는 통지로서의 커맨드 신호를 경보 회로(130)에 생성한다. 경보 회로(130)는 멜로디들 및 다른 청각적 경보들을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 구동 회로와 관련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기 구동 회로와 관련된 진동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시각적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된 청각적, 진동 및 시각적 경보 출력들의 임의의 조합 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경보 수단이 경보 회로(130)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보 회로(130)는 수신 호출의 경보 통지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메 모리(125)에 결합된다. 메모리(125)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와 수신 호출 메모리(145)를 포함한다. 메모리(125)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5) 이외에, 통신 디바이스(100)는 또한 사용자 선호도 스토리지(140) 및 수신 호출 스토리지(145)의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150)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150)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 등의 무선 접속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150)는, 예를 들어,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일 수 있다. SIM 카드는 소형 플렉서블 플라스틱 카드 내에서 캡슐화에 적합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및 메모리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SIM 카드는 또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몇몇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SIM 카드는 통신 디바이스(100) 및/또는 임의의 다른 호환성 디바이스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 내에 사용되는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를 도시한다.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는, 예를 들어, 메모리(125) 내의 메모리 스토리지 스페이스 또는 대안적으로는 외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150) 내의 메모리 스토리지 스페이스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수신 호출량(200)과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205)를 저장한다. 복수의 관련 경보(210)들이 또한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다. 각각의 호출량 카테고리(215)는 관련 경보(220)를 갖는다. 각각의 호출량 카테고리에 대한 특정 경보의 관련성은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임의의 수동 셋업 또는 최적화를 요구하지 않고도 호출자의 타입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도 3은 도 1의 통신 디바이스 내에 사용되는 수신 호출 메모리(14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수신 호출 메모리(145)는, 예를 들어, 메모리(125) 내의 메모리 스토리지 스페이스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외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150) 내의 메모리 스토리지 스페이스일 수 있다. 수신 호출 메모리(145)가 바람직하게는 통신 디바이스(100)에 대해 모든 수신 호출들의 호출 소스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호출 소스(300)를 저장한다. 수신 호출 메모리(145)는 또한 복수의 호출 카운트(305)를 저장한다. 각각의 호출 소스(310)는 그 호출 소스(310)로부터 수신되는 호출들 및/또는 메시지들의 양을 말하여 주는 관련 호출 카운트(315)를 갖는다. 호출 소스(310)로부터 새로운 호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그 호출 소스(310)에 대한 관련 호출 카운트(315)가 증분된다. 프로세서(120)가 바람직하게는 호출 소스(310)로부터 호출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관련 호출 카운트(315)를 이용하여 호출 소스(310)를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205) 중 하나로 카테고리화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2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 및 수신 호출 메모리(145)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인입 메시지 또 는 호출의 수신시 적절한 경보를 이용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도 4는 사용될 경보를 식별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의 프로세스는 통신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단계 400에서 시작한다. 대기 모드는 배터리 수명을 절약하도록 통신 디바이스(100)를 최소 전원으로 동작시킨다. 다음에, 단계 405에서, 프로세스는 수신 호출에 대해 체크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시지 및/또는 음성 호출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110)이 하나 이상의 시스템(105)으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호출이 전혀 수신되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사이클을 되돌려 단계 405에서 수신 호출에 대GO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호출이 수신되었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410으로 진행하여 수신 호출의 소스가 저장된 소스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신 호출의 호출 소스의 호출자 식별을 수신 호출 메모리(145)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소스들(300)과 비교한다. 단계 415에서, 수신 호출의 소스가 복수의 호출 소스들(300)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호출 소스에 대한 호출량은 제로로 설정된다. 다음에, 단계 420에서, 수신 호출 소스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00)는 새로이 수신된 호출을 수신 호출 메모리(145) 내에 저장한다. 단계 425에서는, 단계 410에서 수신 호출 소스가 저장된 호출 소스인 경우, 호출량은 그 호출 소스와 연관된 호출 카운트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호출 소스(310)가 수신 신호(110)의 소스인 경우 호출 소스(310)에 대한 호출 카운트(315)를 복원한다. 다음에, 단계 420 이후, 경보는 호출량과 관련된 경보로 설정된다(430).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호출 카운트(315)를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140)에 저장된 호출량 카테고리들 각각의 호출량 범위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호출량 카테고리(215)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호출량 카테고리(215)에 대한 관련 경보(220)를 식별한다. 다음에, 단계 435에서, 수신 호출의 호출 소스에 대한 호출 카운트가 증분된다. 그리고, 프로세스는 통신 디바이스(100)가 대기상태로 복귀되는 단계 400으로 되돌아간다. 당업자들에게는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세스 완료시 통신 디바이스(100)가 통신 호출을 경보하고, 디스플레이하고, 참여하는 것에 의해 더욱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의 예시적인 시나리오가 이하 설명된다. 프로세스를 시작하면,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호출 소스의 제1 호출자 식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호출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호출은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프로세서는 제1 호출자 식별을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과 비교한다. 제1 호출자 식별이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중 하나 이상과 일치하지 않으면, 프로세서는 제1 호출 카운트를 제로로 설정하고, 제1 호출 소스 및 제1 호출 카운트를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수신 호출 메모리로부터 제1 호출 소스와 관련된 제1 호출 카운트를 복원한다. 다음에, 프로세서는 제1 호출 카운트를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 각각과 연관된 각각의 호출량 범위와 비교하여 제1 호출량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사용하기에 적절한 경보를 식별하는 커맨드를 경보 회로에 전송하고, 경보 회로에 응답하여 제1 호출량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경보를 사용하여 경보한다. 바람직하게 는, 그 후 프로세서가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제1 호출 카운트의 값을 증분한다.
이와 유사하게, 통신 디바이스는 그 후 제2 호출 소스의 제2 호출 식별자 식별을 포함하는 제2 통신 호출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호출은 송수신기에 의해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다. 프로세서는 제2 호출자 식별을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과 비교한다. 제2 호출자 식별이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중 하나 이상과 일치하지 않으면, 프로세서는 제2 호출 카운트를 제로로 설정하고, 제2 호출 소스 및 제2 호출 카운트를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수신 호출 메모리로부터 제2 호출 소스와 연관된 제2 호출 카운트를 복원한다. 다음에, 프로세서는 제2 호출 카운트를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카테고리들 각각과 연관된 각각의 호출량 범위와 비교하여 제2 호출량 카테고리를 식별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사용하기에 적절한 경보를 식별하는 커맨드를 경보 회로에 전송하고, 경보 회로에 응답하여 제2 호출량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경보를 이용하여 경보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후 프로세서가 수신 호출 메모리에 저장된 제2 호출 카운트의 값을 증분한다. 당업자들에게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복수의 통신 호출들 및 복수의 통신 소스들에 대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들에게는 또한 제2 호출량 카테고리가 제1 호출량 카테고리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제1 호출량 카테고리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2 경보는 제1 경보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제1 경보와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형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의도된 것으로, 본 발명의 진정 의도된 공정한 범위 및 사상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배타적이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상세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시사점의 견지에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 실제 응용을 가장 잘 제공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고려되는 특정 용도들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다양한 변경예들에 이용하도록 선택되어 개시된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들 및 변경예들은 모두 공정하고도 합법적으로 공평하게 부여되는 범위에 따라 해석될 때 본 특허 출원의 계류 중에 보정될 수 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호출을 수신하고 수신된 호출에 통신하는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수신 호출의 호출 소스들을 식별하는 복수의 호출 소스들을 저장하고, 또한 각각의 호출 소스에 대해 연관된 호출 카운트를 저장하는 수신 호출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송수신기, 경보 회로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호출의 호출 소스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신 호출을 처리하고, 상기 호출 카운트와 연관된 고유 경보를 식별하는 커맨드 신호를 경보 회로에 생성하며, 상기 호출 카운트를 증분하도록 프로그램됨 -;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고유 경보를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는 경보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들 및 복수의 연관된 경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선호도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호출량 카테고리는 연관된 경보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맨드 신호 생성 단계 이전에 상기 호출 소스를 호출량 카테고리로 카 테고리화하고,
    상기 호출량 카테고리와 연관된 경보로서 상기 고유 경보를 식별하도록 더 프로그램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어 호출 수신의 시각적 통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히스토리-기반 경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 소스로부터 통신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 소스에 대한 호출 카운트를 복원(retrieving)하는 단계- 상기 호출 카운트는 상기 호출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호출들의 양(quntity)임 -; 및
    상기 호출 카운트와 연관된 경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카운트 복원 단계 이전에 상기 호출 소스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소스가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호출 소스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소스와 연관된 상기 호출 카운트를 증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히스토리-기반 경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호출 소스의 제1 호출자 식별을 포함하는 제1 통신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호출자 식별을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소스들 저장소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각각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호출자 식별이 상기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중 하나 이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호출 카운트를 제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호출 소스 및 상기 제1 호출 카운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호출 소스와 연관된 상기 제1 호출 카운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복원하는 단계;
    상기 제1 호출 카운트를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들 각각과 연관된 각각의 호출량 범위와 비교하여 제1 호출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호출량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1 경보를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출 카운트를 증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2 호출 소스의 제2 호출자 식별을 포함하는 제2 통신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호출자 식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 소스들 저장소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각각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호출자 식별이 상기 저장된 복수의 호출자 식별들 중 하나 이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호출 카운트를 제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호출 소스 및 상기 제2 호출 카운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호출과 연관된 상기 제2 호출 카운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복원하는 단계;
    상기 제2 호출 카운트를 상기 복수의 호출량 카테고리들 각각과 연관된 각각의 호출량 범위와 비교하여 제2 호출량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호출량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경보를 이용하여 경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출 카운트를 증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22658A 2003-05-29 2004-05-24 히스토리 기반 경보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60058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47,633 2003-05-29
US10/447,633 US6993364B2 (en) 2003-05-29 2003-05-29 Communication device with history based alerts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73A true KR20060058673A (ko) 2006-05-30

Family

ID=3345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658A KR20060058673A (ko) 2003-05-29 2004-05-24 히스토리 기반 경보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93364B2 (ko)
EP (1) EP1627536A4 (ko)
JP (2) JP2007501588A (ko)
KR (1) KR20060058673A (ko)
CN (1) CN1799204B (ko)
BR (1) BRPI0409813A (ko)
MX (1) MXPA05012822A (ko)
RU (1) RU2355109C2 (ko)
WO (1) WO20041077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117B (en) * 2003-06-11 2005-10-01 Benq Corp Method for managing a calling in on a cellular phone
US8068815B2 (en) * 2003-07-21 2011-11-29 Nokia Corporation Subscriber terminal for a radio system and an arrangement,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presenting contact attempts to a subscriber terminal of a radio system
US7373181B2 (en) * 2003-10-24 2008-05-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er controllable modalities
US8868045B2 (en) * 2004-09-08 2014-10-2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to communications messages
CN101018249A (zh) * 2006-02-11 2007-08-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设备及其通话记录的显示方法
US20080102783A1 (en) * 2006-10-31 2008-05-01 Motorola, Inc. Method and communication unit for inidicating urgency of a communication
CN101374297B (zh) * 2007-08-22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和短信发送方法
US20090312067A1 (en) * 2008-06-13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Escalating Call Alert Indications
US20110197134A1 (en) * 2010-02-11 2011-08-11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tting the most played items of media data as ringtone alerts
WO2012006171A2 (en) 2010-06-29 2012-01-1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all provenance from call audio
US9008301B2 (en) 2012-03-27 2015-04-14 Boaz APT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or disabling the ringtone for an incoming call based on the existence of nonexistence of previous calls from the same caller
US8634877B2 (en) * 2012-04-09 2014-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escalation/degradation of notifications of repetitive calls
CN102685327A (zh) * 2012-05-04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消息强度的响铃方法、装置及移动终端
EA201501096A1 (ru) * 2013-02-20 2016-05-31 Михаил Владимирович ЯНЮШКИН Комплекс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о событиях поведения абонентов в сетях сотовой связи
CN104754107A (zh) * 2013-12-30 2015-07-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终端及其来电铃声调节方法
CN107479518A (zh) * 2017-08-16 2017-12-15 南京联成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生成告警关联规则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1204A (en) * 1988-04-09 1995-11-28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notifying reception of a call signal in a perceptual mode determined by counting a number of times of the reception
JPH09186744A (ja) * 1995-12-29 1997-07-15 Nec Corp 無線通信機
US6005927A (en) * 1996-12-16 1999-12-21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directory apparatus and method
JP3243194B2 (ja) * 1997-01-10 2002-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呼出受信機
JPH11177675A (ja) * 1997-12-15 1999-07-02 Sony Corp 電話端末および発信者番号利用方法
JP2001094637A (ja) * 1999-09-20 2001-04-06 Nec Shizuoka Ltd 着信報知方法及び携帯端末
JP4167785B2 (ja) * 2000-01-07 200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2001358824A (ja) * 2000-06-12 2001-12-26 Yozan Inc 電話装置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3051864A (ja) * 2001-08-06 2003-02-21 Nec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9204A (zh) 2006-07-05
WO2004107772B1 (en) 2006-05-26
EP1627536A4 (en) 2009-03-04
JP2010252373A (ja) 2010-11-04
CN1799204B (zh) 2010-04-28
EP1627536A2 (en) 2006-02-22
BRPI0409813A (pt) 2006-05-09
JP2007501588A (ja) 2007-01-25
RU2355109C2 (ru) 2009-05-10
WO2004107772A2 (en) 2004-12-09
WO2004107772A3 (en) 2006-02-16
MXPA05012822A (es) 2006-02-22
US20040242284A1 (en) 2004-12-02
RU2005141410A (ru) 2006-05-27
US6993364B2 (en)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52373A (ja) 履歴ベースの報知を備えた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7043552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identifying, storing, managing and updating application and data information with respect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contacts
RU236998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связью
US20040207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ynamically customizable smart phonebook
KR20150062686A (ko) 전자 장치의 스팸 필터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5212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request
US20060192654A1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notifying method and its program
KR20040034865A (ko) 착신측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CN107797650B (zh) 事件通知方法、系统及电子装置
KR101085740B1 (ko)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JP3262062B2 (ja) 通信装置
JP2000069561A (ja) 無線通信端末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7427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20010026672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4932B1 (ko) 통화목록을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통화목록 디스플레이방법
KR1005662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형태에 따른 착신음 발생방법
KR1007933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실 통지 방법 및 장치
KR0174618B1 (ko) 무선 호출기의 개선된 수신정보 확인회로 및 방법
KR1009095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JP2003018279A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0170330B1 (ko) 무선호출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방법
KR20070048038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메시지 저장방법
JP2001274871A (ja) 携帯通信装置
JP2001298533A (ja) 携帯型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