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99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997A
KR20060057997A KR1020050075820A KR20050075820A KR20060057997A KR 20060057997 A KR20060057997 A KR 20060057997A KR 1020050075820 A KR1020050075820 A KR 1020050075820A KR 20050075820 A KR20050075820 A KR 20050075820A KR 20060057997 A KR20060057997 A KR 2006005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m
housing
hold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934B1 (ko
Inventor
타카시 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10)에 조립된 콘택트(11)를, 캠부(24)를 갖는 조작부재(13)에 의해 조작한다. 콘택트는, 하우징에 유지된 유지부(22), 플랫 케이블(17)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18), 접점부를 유지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킨 축부(16), 축부로부터 접점부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캠부에 의해 조작되어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점부를 플랫 케이블을 향해 압접시키기 위한 조작부(19),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23), 및 프린트 회로판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21)를 가진다. 유지부 및 캠 수용부는 조작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는, 하우징의 바닥벽(25)을 끼워 유지하는 끼움유지부(26)를 가지며, 접점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플랫 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미접속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플랫 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미접속시의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12 : 콘택트
13 : 조작부재 16 : 축부
17 : 플랫 케이블 18 : 접점부
19 : 조작부 21 : 단자부
22 : 유지부 23 : 캠 수용부
24 : 캠부 25 : 바닥벽
26 : 끼움유지부
본 발명은,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접속대상물의 접속 및 이탈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의 고기능화가 진행되면서 커넥터에도 우수한 고속전송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속전송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에 접속가능한 커넥터가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90360호에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조립된 제 1 콘택트(contact)와, 제 1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콘택트는 고정편부, 가동편부, 및 이것들을 연결한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고정편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편부는, 일단에 접점부를 가지며, 타단이 조작부재에 결합되어 있다.
접점부에 대향하도록 프린트 배선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가동편이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접점부를 프린트 배선판의 일면에 압접시킨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에 프린트 배선판이 접속된다. 또한, 프린트 배선판의 반대면에는 제 2 콘택트의 접점부가 압접된다.
제 1 콘택트는 프린트 배선판에 일측으로부터만 압접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속시에는 제 1 콘택트에 항상 일방향의 반력이 가해진다. 상기 반력을 받기 때문에, 고정편부와 하우징 간의 고정구조를 튼튼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린트 배선판의 반대면에 제 2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고정구조가 제한되어, 제 1 콘택트의 고정에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10(1998)-154556호에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조립된 콘택트와,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편평한 전선의 양면에 각각 접촉하는 가동부분 및 고정부분을 가지고 있다. 고정부분은 그 일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을 삽입통과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분은 조작레버에 대해 결합/이탈되는 부분이다.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동부분에 결합되면, 가동부분의 단부가 고정부분의 단부로부터 멀어진다. 가동부분 및 고정부분의 사이에 편평한 전선을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조작부재를 가동부분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콘택트의 탄력복원력에 의해 가동부분 및 고정부분의 단부가 편평한 전선의 양면에 각각 압접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고정부분의 단부를 편평한 전선에 충분한 스프링성을 가지고 압접시킬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콘택트의 고정부분은 하우징에 확실히 고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가 견고히 고정되며, 충분한 스프링성을 가지고 접속대상물에 압접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대상물의 양면에 콘택트가 압접되는, 상술한 커 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 제 1 콘택트, 상기 제 1 콘택트와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 제 2 콘택트, 및 상기 제 1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캠부를 갖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유지부, 제 1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 상기 접점부를 상기 유지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킨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상기 접점부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캠부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을 향해 압접시키기 위한 조작부,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 및 제 2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캠 수용부는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끼워 유지하는 끼움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와, 상기 제 2 콘택트의 캠 수용부 근방의 단자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 2 콘택트의 캠 수용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콘택트의 접점부는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의 일면에 압접되는 것이며,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의 반대면에 압접되는 접점부를 가 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 1 방향으로 병설된 제 1 및 제 2 콘택트,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유지시킨 하우징, 및 상기 제 1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캠부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에서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 2 및 제 3 방향으로 넓어진 평면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제 1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를 가지고 타측에 상기 캠부에 결합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제 2 접속대상물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지고 타측에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커넥터는, 제 1 방향(좌우방향; A1)으로 길다란 대략 판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유지된 복수의 제 1 콘택트(11) 및 복수의 제 2 콘택트(12)와, 하우징(10)의 뒷부분에 구비된 절연성 액추에이터, 즉 조작부재(13)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콘택트(11, 12)는 제 1 방향(A1)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물론, 각각의 콘택트(11, 12)는 도전성 판에 펀칭가공을 실시하여 만들어진다.
도 3 및 도 4도 함께 참조하여, 커넥터의 세부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11)는, 하우징(10)에 고정되며, 제 1 방향(A1)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전후방향; A2)으로 연장된 고정부(14)와, 제 1 및 제 2 방향(A1, A2)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상하방향; A3)에서 고정부(14)에 간격을 두고 대향된 가동부(15)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부(15)는, 고정부(14)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 2 방향(A2)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부(15)와 고정부(14)는, 제 2 방향(A2)에 있어서의 중간부에서 제 3 방향으로 연장된 짧은 축부(16)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축부(16)는 그 탄력성에 의해 가동부(15)를 제 2 방향(A2) 및 제 3 방향(A3)으로 넓어진 평면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커넥터에서는, 가동부(15)와 고정부(14)가 평행하게 되어 있으나,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가동부(15)는, 축부(16)의 일측(즉, 앞쪽)의 하면에 제 1 접속대상물로서의 플랫 케이블(17)의 일면(즉, 상면)에 압접하기 위한 접점부(18)를 가지며, 타측(즉, 뒤쪽)에는 조작부재(13)에 결합하는 조작부(19)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4)는, 축부(16)의 앞쪽에 제 2 접속대상물로서의 프린트 회로판(미도시)에 접속되는 단자부(21)를 가지며, 뒤쪽에는 하우징(10)에 압입되는 유지부(22)와, 조작부재(13)를 수용하는 상측을 향한 캠 수용부(23)를 가진다. 유지부(22) 및 캠 수용부(23)는 조작부(19)에 제 3 방향(A3)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17)은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를 가지며, 표면과 이면에 각각 노출된 다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플랫 케이블(17)이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조작부재(13)는, 제 1 방향(A1)으로 연장된 축심에 관하여 회동가능한 캠부(24)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는, 캠부(24)가 가동부(15)의 조작부(19)에 결합되어, 고정부(14)의 캠 수용부(23)에 수용되어 있다. 즉, 캠부(24)는 조작부(19)와 캠 수용부(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21)는 접점부(18)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의 앞부분 하면에 노출되어, 프린트 회로판의 표면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단자부(21)에는, 하우징(10)의 일부 즉 바닥벽(25)을 끼워 유지하는 끼움유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콘택트(11)의 축부(16)의 앞쪽에는, 플랫 케이블(17)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27)는, 고정부(14)로부터 가동부(15)를 향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단자부(21)와 접점부(18) 사이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7)의 단부와 맞닿아, 이것을 위치결정한다. 이에 따르면, 플랫 케이블(17)이 축부(16)에 맞닿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랫 케이블(17)이 축부(16)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부(40)를 하우징(10)에 설치해도 좋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12)는 제 1 콘택트(11)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 2 콘택트(12)는 제 1 콘택트(11)의 근방에서 제 2 방향(A2)으로 연장되며, 그 중간부에, 하우징(10)에 압입되는 유지부(31)를 가지고 있다. 제 2 콘택트(12)의 앞부분에는, 그 상면에 접점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12)의 접점부(32)는, 플랫 케이블(17)의 반대면(즉, 하면)에 압접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 2 콘택트(12)의 뒷부분에는, 제 2 접속대상물 즉 프린트 회로판(미도시)에 접속되는 단자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33)는, 하우징(10)의 뒷부분 하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2 콘택트(12)의 유지부(31)와 단자부(33) 사이에는, 단자부(33)의 근방에 상방을 향하는 캠 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택트(12)의 캠 수용부(34)도, 제 1 콘택트(11)의 캠 수용부(23)와 마찬가지로, 조작부재(13)의 캠부(24)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제 2 콘택트(12)의 단자부(33)와 캠 수용부(34) 사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5)는 조작부재(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상술한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랫 케이블(17)을 하우징(10)의 삽입구(36)에 삽입한다. 그 결과, 플랫 케이블(17)의 단부는 제 1 콘택트(11)의 접점부(18)와 단자부(21)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콘택트(11)의 접점부(18)는 플랫 케이블(17)의 상면에 대향되고, 제 2 콘택트(12)의 접점부(32)는 플랫 케이블(17)의 하면에 대향된다. 플랫 케이블(17)의 삽입시에는 그 단부가 위치결정부(27)에 결합되므로, 플랫 케이블(17)의 축부(16)에 대한 접촉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조작부재(13)가 속이 빈 화살표(37)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눌려지면, 조작부(13)의 캠부(24)에 의해 제 1 콘택트(11)가 조작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상태가 얻어진다. 즉, 조작부(19)가 캠부(24)의 회동에 따라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제 1 콘택트(11)의 접점부(18)가 플랫 케이블(17)을 눌러내려 단자부(21)에 꽉 누른다. 즉, 제 1 콘택트(11)의 접점부(18)가 플랫 케이블(17)의 상면에 압접된다. 동시에, 플랫 케이블(17)의 이면은 제 2 콘택트(12)의 접점부(32)에 압접된다. 제 2 콘택트(12)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접점부(32)가 하우징(10)의 바닥벽(25)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 2 콘택트(12)의 탄성복원력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17)은 제 1 및 제 2 콘택트(11, 12)에 양호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캠부(24)가 회동할 때에도, 스토퍼부(35)에 의해 조작부재(13)의 이탈은 방지된다.
제 1 및 제 2 콘택트(11, 12)는 제 1 방향(A1)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접점부(18, 32)는 플랫 케이블(17)에 대해 제 1 방향(A1)에 있어서 위치가 어긋난 부분에 접촉한다. 이것은, 접점부(18, 32)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플랫 케이블(17)의 접촉부의 피치를 콘택트의 피치와 맞출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17)의 접촉 폭을 넓게 하여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택트(11, 12)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모두 스프링성을 가지므로, 각 부품의 사이즈나 조립시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불량을 잘 일으키지 않는다.
플랫 케이블(17)을 접속한 상태에서는 제 1 콘택트(11)의 접점부(18)가 하중을 받아, 제 2 콘택트(12)의 접점부(32)로부터 멀어지려 하지만, 유지부(22)가 하우징(10)의 특정부분에 압입되고 그 특정부분은 인접한 제 2 콘택트(12)의 하중에 의해 꽉 눌려있기 때문에, 접촉압력의 완화(relief)는 생기지 않는다.
조작부재(13)를 조작하였을 때, 제 1 콘택트(11)는 끼움유지부(26)에 의해 부상(浮上)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방향(A2)에 있어서 단자부(21) 및 끼움유지부(26)를 캠부(24)와는 반대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 2 접속대상물로부터의 커넥터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콘택트(12)의 단자부(33)는 캠부(2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도 커넥터의 부상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도시한 커넥터는 제 1 콘택트(11) 및 제 2 콘택트(12)를 각각 복수 개 설치하였으나, 이것들을 적어도 한 개씩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커넥터는, 예를 들면 휴대용 기기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의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가 견고히 고정되며, 충분한 스프링성을 가지고 접속대상물에 압접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대상물의 양면에 콘택트가 압접되는, 상술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 제 1 콘택트, 상기 제 1 콘택트와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 제 2 콘택트, 및 상기 제 1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캠부를 갖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유지부, 제 1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 상기 접점부를 상기 유지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시킨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상기 접점부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캠부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을 향해 압접시키기 위한 조작부,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 및 제 2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캠 수용부는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끼워 유지하는 끼움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와, 상기 제 2 콘택트의 캠 수용부 근방의 단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의 캠 수용부는, 상기 조작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의 접점부는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의 일면에 압접되는 것이며, 상기 제 2 콘택트는, 상기 제 1 접속대상물의 반대면에 압접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방향으로 병설된 제 1 및 제 2 콘택트,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유지시킨 하우징, 및 상기 제 1 콘택트를 조작하기 위한 캠부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에서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가동부를 상기 제 2 및 제 3 방향으로 넓어진 평면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제 1 접속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를 가지고 타측에 상기 캠부에 결합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부의 일측에 제 2 접속대상물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지고 타측에 상기 캠부를 수용하는 캠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50075820A 2004-11-24 2005-08-18 커넥터 KR100739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9388A JP4528605B2 (ja) 2004-11-24 2004-11-24 コネクタ
JPJP-P-2004-00339388 200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997A true KR20060057997A (ko) 2006-05-29
KR100739934B1 KR100739934B1 (ko) 2007-07-16

Family

ID=3662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20A KR100739934B1 (ko) 2004-11-24 2005-08-18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8605B2 (ko)
KR (1) KR100739934B1 (ko)
CN (1) CN100435429C (ko)
TW (1) TWI2762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085B2 (ja) 2010-04-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44445A1 (de) * 1985-11-07 1987-04-01 Mikroelektronik Zt Forsch Tech Klemm- und positioniervorrichtung fuer kontaktelemente
JP3472666B2 (ja) 1996-07-24 2003-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2190360A (ja) * 2000-12-20 2002-07-05 Smk Corp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28605B2 (ja) 2010-08-18
CN1780068A (zh) 2006-05-31
KR100739934B1 (ko) 2007-07-16
JP2006147487A (ja) 2006-06-08
CN100435429C (zh) 2008-11-19
TWI276264B (en) 2007-03-11
TW200618421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5695B1 (en)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JP3451393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KR100739916B1 (ko) 접속시 인가된 응력이 컨택에 의해 수용되는 커넥터
JP3109493U (ja) 電気コネクタ
EP2553768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40660B1 (en) Electric connector
JP3378983B2 (ja) コネクタ装置
CN101657939A (zh) 电气转接模块
WO2007130260A1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KR101502477B1 (ko) 커넥터 장치
KR100739934B1 (ko) 커넥터
KR20080086824A (ko) 전기 커넥터
US11799222B2 (en) Connector having a fitting, a housing, and a conductive component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WO2018042930A1 (ja) 電気コネクタ
JP6687260B1 (ja) コネクタ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JP4070988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KR101029379B1 (ko) 커넥터
JP4776371B2 (ja) Fpc接続端子及びfpcと基板との接続構造
JP5045931B2 (ja) コネクタ装置
JP3527656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845116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