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612A -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612A
KR20060057612A KR1020067003080A KR20067003080A KR20060057612A KR 20060057612 A KR20060057612 A KR 20060057612A KR 1020067003080 A KR1020067003080 A KR 1020067003080A KR 20067003080 A KR20067003080 A KR 20067003080A KR 20060057612 A KR20060057612 A KR 2006005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ulb
reflector
lens structur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쿠퍼
베노 스핑거
조세퍼스 크리스찬 마리아 헨드릭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5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3Special shape of cross-section, e.g. for producing cool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25Associated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28Envelopes; Vessels
    • H01K1/30Envelopes; Vessels incorporatin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7/00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 H01K7/02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for producing a narrow beam of light; for approximating a point-like source of light, e.g. for searchlight, for cinematographic proj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9/00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 H01K9/08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to provide selectively different light effects, e.g. for automobile head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1, 11, 14, 17)가 설명된다. 램프(1, 11, 14, 17)는 광원(4)을 둘러싸는 전구(3), 그리고 전구(3)의 단부에 배열되어, 헤드라이트의 반사기(20) 내에서 램프(1, 11, 14, 17)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램프 베이스(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구조(6, 12, 15, 18)가 전구(3)의 상단부(O) 및/또는 하단부(U)에 존재한다. 이 렌즈 구조(6, 12, 15, 18)는,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20)의 영역 방향으로 광원(4)에 의해 방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더 앞에 위치하는 반사기의 영역으로 재배향되도록 구성된다.
자동차 헤드라이트, 램프, 반사기, 렌즈 구조, 전구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LAMP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및 이러한 램프를 구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모든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한 편으로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좋은 시야를 제공하도록 교통 공간(traffic space)의 조명을 가능한 좋게 해야 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접근해 오는 자동차가 위험하지 않도록 눈부심을 방지해야 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접근해 오는 자동차의 눈부심을 확실하게 배제하기 위하여, 각 기준에서 하향 조명 기능(low-beam function)에 대하여 소위 명암 경계(bright-dark boundary) 또는 차단(cut-off)이 정의되어 있다. 램프 및 헤드라이트의 구성, 그리고 자동차에 헤드라이트의 설치 및 조정에서, 이 명암 차단 이하의 교통 공간만이 조명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명암 차단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램프 자체 또는 헤드라이트에 적절하게 위치하고 모양을 갖춘 스크린 캡(screen caps) 또는 칸막이(diaphragms)에 의한 어두운 영역의 적절한 음영에 의해 준수된다. 나아가, 명암 차단 위의 어두운 영역으로 광선이 방사되지 않도록, 헤드라이트 유리 내 광학 소자에 의해서도 광선의 재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두 시스템 모두, 램프로부터 측면으로 방사되는 광선, 즉 램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상 호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은, 보통 명암 차단의 바로 아래 영역을 비춘다. 그러나 램프로부터 위로 방사되는 광선은 하향 광선 영역으로 아래로 반사되며, 램프로부터 아래로 방사되는 광선은 측면 영역으로(오른편 자동차(right-hand traffic)용 헤드라이트인 경우에는 주로 왼편으로) 방사되는데, 이는 헤드라이트 반사기와 헤드라이트 유리 내 보통의 광학 소자 간의 협동 작용을 통한 것이다.
명암 차단에 의해 주어진 한계 내에서 가능한 한 양호하게, 특히 가능한 한 자동차 전방으로 멀리 교통 공간을 조명하도록, 램프 및 헤드라이트는 가능한 많은 광선이 명암 차단선 아래에 매우 인접한 허용 영역으로 비추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헤드라이트 반사기 및/또는 헤드라이트 유리의 특별한 구성은, 특히 각각의 헤드라이트를 위하여 특별하게 구성된 램프와 관련하여, 명암 차단 바로 아래 영역에 더 강하게 조명되도록 광선의 재분배 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헤드라이트의 방사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추가 조건은, 헤드라이트의 설계 및 주어진 자동차 전면 설계에 대한 헤드라이트의 통합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경계 조건을 또한 부과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최적화 전략은 다수의 상이한 헤드라이트에 대하여 상이한 램프 유형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갖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공급자에게 교환 램프를 위한 더 많은 저장 비용을 지불하게 하고, 적합한 교환 램프가 항상 빠르게 이용가능할 것인지 더 이상 동일한 정도로 보장할 수 없다는 추가 결과를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가 결합되는 헤드라이트의 엄밀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무관하게, 명암 차단 바로 아래 허용 영역의 교통 공간에 더 나은 조명이 달성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광원을 둘러싼 전구, 헤드라이트의 반사기 내에 램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구의 일 단부에 배열된 램프 베이스(lamp base) 및 전구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구조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렌즈 구조는,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의 영역 방향으로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원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더 앞에 있는 반사기 영역으로 재배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램프의 "상단부(upper side)" 및 "하단부(lower side)"라는 용어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와 통합될 때 램프의 일반적 위치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앞(front)" 및 "뒤(rear") 등의 방향 표시는 이러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의 영역으로부터 교통 공간으로 반사된 광원의 상은, 반사기에서 더 앞에 있는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상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는 것이 이용된다.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 표면 방향으로 방사된 광선을 반사기 앞 영역으로 재분배함으로써, 광선의 많은 부분이 명암 차단에 인접한 중심 영역으로 도달하여, 여기서 발광 강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전방 가장 바깥쪽의 반사기 부분으로 재배향된 광선은, 명암 차단에 인접한, 운전자에게 더욱 중요한 교통 영역 상의 교통 공간으로 투사된다. 이러한 렌즈 구조의 재배향 동작 없이, 광선은 자동차에 인접한 교통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상을 맺을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에 인접한 교통 공간에서의 광선은 운전자의 안전과 그다지 관련이 없는데, 이 교통 영역에서 시각적으로 인지된 위험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한 반응 시간이 보통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더 멀리 이동한 교통 영역에 더 많은 광선이 비추어지는 경우, 가능한 위험을 더 쉽고 더 빨리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에게 더 긴 반응 시간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총량의 광선이 주어진다면, 교통 공간에 더 나은 조명이 달성되며, 동시에 명암 차단이 준수된다는 점에서 눈부심 방지 조건에 따르게 된다. 여기서 헤드라이트 그 자체, 특히 반사기, 헤드라이트 유리, 램프 홀더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특정 기준에 의해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는 관용 헤드라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램프를 삽입하는 것을 만족시켜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독립항들은 각각 특히 유리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에 관한 것이다.
렌즈 구조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렌즈 구조는 광선을 원하는 반사기 영역으로 우회시키는 오목 렌즈를 포함한다.
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렌즈 구조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렌즈 구조는 프리즘 배열을 포함하는데, 이 프리즘은, 예컨대 일종의 프레넬(Fresnel) 렌즈 구조를 형성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을 원하는 반사기 영역으로 재배향하는 것이 달성된다.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 영역의 광선을 더 앞에 있는 반사기 영역으로 재분배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 구조는, 전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배열되어 램프 베이스 방향으로 뒤를 향하여 기울어진 외부 경계 표면을 적어도 포함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전구를 투과하는 광선은 이 경계 표면에서 적절하게 분산되어, 광선은 램프 베이스로부터 앞 방향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렌즈 구조는 램프의 상단부에 정렬될 수 있으며, 반사기의 상단 방향으로 방사된 광선만이 재배향되어, 광선은 반사기에 의해 교통 공간 바로 아래에 상을 맺게 된다. 그러나 택일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방사된 광선을 교통 공간의 측면 영역에도 더욱 강하게 집중시키도록 렌즈의 하단부에 적합한 렌즈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명암 차단 아래의 영역에 밝기를 또한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조는 램프의 표면 및/또는 하단부에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단 및 상단 모두에 존재한다. 다른 변형에서, 램프는 다른 표면에, 예컨대 상향 또는 하향으로 기울어져 또는 측면으로 렌즈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구조는, 광원으로부터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램프 베이스 측 전구의 영역에 배열되어야 하며, 램프 베이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램프 베이스 방향으로 뒤로 반사기에 방사된 광선만이 주로 렌즈 구조를 관통하며, 반면에 광원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방사된 광선은 렌즈 구조에 의해 재배향되지 않게 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렌즈 구조는 램프 베이스 측 전구의 후단부로부터 전구 세로축을 따라 전구의 전단부 방향으로 적어도 광원의 중심 영역까지 연장한다. 이는, 예컨대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전구 세로축을 따라 뒤쪽으로 방사된 광선의 모든 양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렌즈 구조를 관통함으로써, 재배향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구조는 적합한 전구 벽의 형성에 의해 전구에 통합된다. 이들은 전구의 제조와 함께 동시에(예컨대, 물질이 아직 액체 또는 플라스틱 상태인 때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구 제조 후에(예컨대, 전구 외측의 적절한 연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별도로 제조된 렌즈 또는 렌즈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부착 공정에서 전구 벽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폭 넓은 다양한 램프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램프는 광원으로서 필라멘트, 예컨대 백열 코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램프의 전형적인 예는, 친숙한 H4 램프와 같은 할로겐 램프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램프는 하나의 전구(보통 석영 전구)만을 포함하는데, 이는 필라멘트를 직접 둘러싸지만, 필라멘트에 일정 거리를 두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구조는 이 전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램프는 가스 방전 램프이다. 전형적인 가스 방전 램프는, 예컨대 고압 소듐 램프 또는 소위 MPXL(Micro Power Xenon Light) 램프와 같은, 소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이다. 이러한 램프는 일반적으로 비활성 가스로 충전된 내부 전구(보통 석영 전구)로 구성된 방전관(discharge vessel)을 포함한다. 램프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들은, 서로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끝나도록,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내부 전구로 돌출한다. 전극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점화된 후, 방전 아크 또는 발광 아크는 전극들 간에 설정되어,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보통, 내부에 광원이 존재하는 가스 방전 램프의 내부 전구는, 외부 전구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 또한 보통 석영 유리로 만들어져 있고, 특히 UV 복사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그 자체로 이러한 가스 방전 램프에서 외부 전구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렌즈 구조를 통합할 것과 이들을 이 전구에 대하여 배열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택일적으로, 내부 전구에 관련 렌즈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렌즈 구조가 광원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고, 따라서 더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내부 전구에 이러한 렌즈 구조의 도입은 기술적으로 더 복잡하고 더 비싸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에 더하여 내부 전구의 외형을 각각 변경할 때마다, 예컨대 내부 전구의 온도 분포와 같은, 다른 램프 파라미터에도 동시에 변경을 가한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이는 또한 방전 아크의 형성 및 광선 분포에 영향을 준다. 대조적으로, 외부 전구에 렌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광원 자체의 효율 및 복사에 영향이 없다.
사실상 본 발명은 단일 전구만을 갖는 가스 방전 램프 또는 추가적인 외부 전구를 갖는 필라멘트 램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내부 및 외부 전구를 갖는 램프의 경우에는 내부 전구 및 외부 전구에 적절하게 협력하는 렌즈 구조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향 조명 기능을 갖는 램프의 사용에 특히 적합한데, 이는 특히 하향 조명에 있어서, 주어진 명암 차단 아래 조명을 가능한 강하게 달성하고자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램프가 다른 자동차 조명에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램프는 원칙적으로 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의 영역 방향으로 광원들 중 하나에 의해 방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더 앞에 있는 반사기의 영역으로 재배향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로는 보통의 H4 램프가 있으며, 이는 두 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하나의 필라멘트는 하향 조명 기능을 위하여 작용하고, 다른 필라멘트는 상향 조명 기능을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렌즈 구조는, 예컨대 하향 조명 광원으로부터의 광선만이 명암 차단에 인접한 원하는 조명을 얻을 수 있게 적절하게 재배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는, 오른편 또는 왼편 자동차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다른 추가 요소를 제공하지 않는 한, 오른편 자동차용 및 왼편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모두에서 변형 없이도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교통 공간의 조명에 대한 렌즈 구조의 영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으로만 나타낸) 반사기 내의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렌즈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2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종단면도.
도 4는 제3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종단면도.
도 5는 제4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램프에 의한 교통 공간의 조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 의한 교통 공간의 조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램프는 모두 현재 자동차 헤드라이트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필라멘트 램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램프 유형, 특히 가스 방전 램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석영 유리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지고, 후단부(rear end)(9)에서 램프 베이스(lamp base)(2)에 고정된 전구(3)를 포함하는 필라멘트 램프(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내부에 코일(4)이 광원(4)으로서 배열되어 있는 속이 빈 홀로우 공간(hollow space)(5)이 전구(3) 내에 존재한다. 램프 베이스(2)는 일반적 방식으로 그 후단부에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어, 이를 통하여 자동차 회로로부터 획득된 전압이 코일(4)에 인가되어 빛을 내게 한다.
전구(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전구(3)이며, 전구 세로축(L)을 따라서 그 주위로 연장되고, 매우 둔각인 원뿔 각을 갖는 원뿔형 외부 형상으로 된 단부 벽(end wall)에 의해 베이스 단부(9)에 대향하는 전단부(front end)(10)에서 마감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구(3)는 실질적으로 희망에 따라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렌즈 구조(6)는 램프(1)의 전구(3)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복수의 개별 프리즘(7)을 포함하는 프리즘 배열을 구비한 일종의 프레넬(Fresnel) 렌즈 구조(6)이다. 개별 프리즘(7) 각각은 램프 베이스(2)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외부로 연장되는 경계 표면(boundary surface)(8)을 갖는다. 따라서 프레넬 렌즈 구조(6)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효과를 갖는데, 즉 광원(4)으로부터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20)의 영역으로 향하는 광선 S는 프리즘의 경계 표면(8)에서 우회되어, 우회된 광선 SA는 더 앞 부분에 위치한 반사기(20)의 영역에 투사된다. 프리즘(7) 없이, 영향받지 않은 광선 SU는 파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를 것이며, 반사기(20)의 더 뒷부분으로 투사될 것이다.
도 2는 프레넬 렌즈 구조(6)의 효과를 한번 더 확대하여 도시한다. 여기서는 렌즈 구조(6)를 포함하는 전구(3)의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명암 차단의 확실한 준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컨대 H4 루미네어(luminaire)에서 일반적인 것과 같은 스크린 캡(25) 및 필라멘트(4)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 스크린 캡(25)은 명암 차단이 원하는 형상을 따르도록(오른편 자동차의 경우에는 왼쪽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왼편 자동차의 경우에는 오른쪽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코일(4)의 뒷 영역으로부터 뒷부분을 향하여 방사된 광선 S는 렌즈 구조(6)의 개별 프리즘(7)의 경계 표면(8)에서 앞으로 분산 되어, 광선 SA는 전구(3) 외부의 실선 경로를 따른다. 상기 프리즘(7) 없이, 광선 SA는 파선을 따를 것이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광선의 우회(A)는 반사기(20) 외부에 연장되어 있는 화살표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또한, 도 1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보통의 반사기(20) 내 상기 램프(1)의 정렬과 함께, 램프(1), 즉 그 광원(4)으로부터 발생한 광선 SA가 반사기(20)에 의해 교통 공간(21)으로 재배향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교통 공간(21)은 반사기(20)의 앞에 일정 거리를 두고 구획 평면(sectional plane)에 도시되어 있다. 조명되는 교통 공간(21)은 윗 방향으로 명암 차단(22)에 의해 제한되어 있고, 그 위로는 접근해 오는 자동차의 눈부심을 막기 위하여 광선이 방사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명암 차단은 왼쪽 상향으로 기울어져 확장하는데, 이것은 오른편 자동차를 위한 램프 또는 헤드라이트이기 때문이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 비우회 광선 SU의 경우보다, 재배향된 광선 SA가 명암 차단(22)을 따라 중심 영역(23)으로 더욱 강하게 유도된다.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20)의 영역으로 방사되는 광원(4)의 광선이 교통 공간(21)으로 더 멀리 분배되고, 램프 베이스(2)로부터 멀리 떨어진 반사기 영역으로 반사된 광선이 명암 차단(22) 아래 중심 영역으로 더욱 집중되는 효과는, 객체 거리, 즉 광원(4) 및 교통 공간(21)으로 입사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기 표면의 관련 부분 간의 거리가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영역에서보다 더 앞에 있는 반사기 영역에서 더 크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광원(4)의 상은 객체 거리가 증가할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램프 베이스로부터 먼 반사기(2)의 앞 영역은 교통 공간(21)에 광원(4)의 상을 더 작게 비추며, 따라서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영역보다 광선을 더욱 강하게 집중시키는 결과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5는 예견된 효과를 달성하도록 램프(1)의 전구(3)를 구성하기 위한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램프(11)의 렌즈 구조(12)는 하나의 큰 프리즘(13)에 의해서 단순히 형성된다. 이 프리즘은 전구 벽의 상단부(O) 및 하단부(U)가 각각 기울어진 경계 표면(8)의 형성하에 뒤쪽으로 향하면서 서로 원뿔형으로 접근함으로써 획득된다.
도 4는 전구(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공된 조금 오목한 렌즈(16)에 의해 형성된 렌즈 구조(15)를 구비한 램프(1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구(3)의 상단부(O) 및 하단부(U)는 전구(3)가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뒷 영역보다 앞 영역에서 더 두꺼운 벽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이한 벽 두께를 가진 두 영역 간의 전환부(transition)는 대략 코일(4)의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데, 즉 전구(3)의 앞에서 보았을 때, 전구의 세로축(L)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코일(4)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M)의 바로 뒤에 있다. 이 전환부는 뒤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전구(3)의 조금 오목한 외부 경계 표면(8)으로 형성된다.
도 5는 필라멘트(4)가 중심 평면(M)의 조금 뒤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 에서 단순히 오목한 렌즈를 구비한 더 단순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실시예에서, 램프 베이스(2)를 향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경계 표면(8)을 갖는 것이 공통적이다. 실질적으로 필라멘트(4)의 중심 평면(M) 뒤에 있는 렌즈 구조(6, 12, 15, 18)의 배열은, 직접 앞으로 향하는 광선이 렌즈 구조(6, 12, 15, 18)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6 및 도 7은 비교를 위하여, 종래 기술 램프(도 6)에 의한 것과 본 발명에 따른 램프(도 7)에 의한 교통 공간(21)의 조명을 한번 더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반사기 영역으로부터 램프 베이스에서 먼 반사기 영역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선의 재배향은, 동일한 양의 광선이 주어진 경우, 명암 차단(22)에 인접한 중요한 교통 영역에 더 나은 조명을 달성한다.
마지막으로, 상세한 설명에서 논의되고 도면에 도시된 램프들(1, 11, 14, 17)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폭 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한번 더 지적한다. 따라서, 특히 렌즈 구조는 원하는 효과를 얻도록 세부적으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다양한 실시예의 개별 특징은 새로운 실시예, 예컨대 프리즘 및 오목 렌즈 및/또는 다른 적합한 렌즈 요소의 결합을 가진 렌즈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단수 표현의 사용은 복수의 개별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Claims (13)

  1.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1, 11, 14, 17)로서,
    광원(4)을 둘러싸는 전구(3);
    상기 헤드라이트의 반사기(20) 내에 상기 램프(1, 11, 14, 17)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구(3)의 단부에 배열된 램프 베이스(lamp base)(2); 및
    상기 전구(3)에 또는 상기 전구(3)의 상단부(O) 및/또는 하단부(U)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구조(6, 12, 15, 18)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는, 상기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상기 반사기(20)의 영역 방향으로 상기 광원(4)에 의해 방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더 앞에 있는 반사기 영역으로 재배향되도록 배열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15, 18)는 오목 렌즈(16, 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 12)는 프리즘(prism)(7,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는 프리즘의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 12, 15, 18)는, 상기 전구(3)의 상기 상단부(O) 또는 하단부(U)에 배열되고, 상기 램프 베이스(2)의 방향으로 뒤로 기울어져 향해 있는 외부 경계 표면(8)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 12, 15, 18)는, 상기 광원(4)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램프 베이스 측의 상기 전구(3)의 영역 내에 본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 12, 15)는, 상기 램프 베이스 측에 상기 전구(3)의 후단부(9)로부터 전구 세로축(longitudinal bulb axis)(L)을 따라 상기 전구(3)의 전단부(10)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광원(4)의 중심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조(6, 12, 15, 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전구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 11, 14, 17)는 그 광원(4)으로서 필라멘트(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그 광원으로서 방전 아크(discharge ar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구조는, 상기 램프 베이스에 인접한 상기 반사기의 영역 방향으로 상기 광원들 중 하나에 의해 방사된 광선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더 앞에 있는 상기 반사기의 영역으로 재배향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 11, 14, 17)는 하향 조명 기능(low-beam func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13. 반사기(20) 및 그 안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램프를 구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20067003080A 2003-08-15 2004-08-04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KR20060057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2556.2 2003-08-15
EP03102556 2003-08-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612A true KR20060057612A (ko) 2006-05-26

Family

ID=3417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080A KR20060057612A (ko) 2003-08-15 2004-08-04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18580A1 (ko)
EP (1) EP1656691A2 (ko)
JP (1) JP2007517357A (ko)
KR (1) KR20060057612A (ko)
CN (1) CN1957441A (ko)
TW (1) TW200519318A (ko)
WO (1) WO20050179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1144B2 (en) * 2003-05-12 2011-03-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al halide lamp and vehicle headlamp
JP2010525517A (ja) * 2007-04-19 2010-07-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側面放射電球及び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WO2009001284A2 (en) * 2007-06-28 2008-12-3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amp for motor vehicles
CN101387789B (zh) * 2007-09-13 2010-10-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背光灯和背光模组
KR101405384B1 (ko) * 2011-12-21 2014-06-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램프 장치
CN102683159A (zh) * 2012-04-01 2012-09-19 毛必文 一种带凸镜的汽车氙气灯
WO2015191031A1 (en) * 2014-06-09 2015-12-1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ungsten-halogen electromagnetic radiation optical systems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46100A (en) * 1934-10-23 1936-04-23 Lucas Ltd Joseph Improvements relating to road vehicle electric lamps
GB946552A (en) * 1960-04-25 1964-01-15 Joachim Friedrich Drei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head-lamps and light sources therefor
AT288889B (de) * 1968-06-10 1971-03-25 Sassmannshausen Knut Leuchte, insbesondere Rück- oder Sicherungsleuchte
US3653892A (en) * 1969-07-01 1972-04-04 Xerox Corp Manifold imaging process wherein the imaged elements may be recombined and reused
DE2829677A1 (de) * 1978-07-06 1980-01-17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ische strahlerlampe, insbesondere fuer den einsatz als fahrzeugscheinwerf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A2076090A1 (en) * 1991-08-29 1993-03-01 Paul G. Mathews Electric lamps having a lens shaped arc or filament chamber
US5471110A (en) * 1991-12-23 1995-11-2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filament electrodes
JP3256931B2 (ja) * 1997-05-23 2002-02-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車用放電ランプ
JPH11238488A (ja) * 1997-06-06 1999-08-3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メタルハライド放電ランプ、メタルハライド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6198213B1 (en) * 1997-07-23 2001-03-06 Corning Incorporated Lamp envelope with integrated optics
US6630770B1 (en) * 1998-11-20 2003-10-07 Ichikoh Industries, Ltd. Automotive headlamp with support wire positioning
JP2002109915A (ja) * 2000-09-27 2002-04-1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7947A3 (en) 2006-12-28
JP2007517357A (ja) 2007-06-28
EP1656691A2 (en) 2006-05-17
CN1957441A (zh) 2007-05-02
US20070018580A1 (en) 2007-01-25
TW200519318A (en) 2005-06-16
WO2005017947A2 (en)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2355B1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low-beam illumination
US5725298A (en) Vehicular headlight providing high-beam and depressed-beam illumination, and light source therefor
US7093966B2 (en) Vehicle headlamp
US8851726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4681370B2 (ja) 自動車の照明装置または信号装置
US20010019483A1 (en) Vehicular headlamp
CN101235950B (zh) 车辆前照灯
JP2003123517A (ja) 投光ユニットおよび該投光ユニットを具備するled車両用照明灯具
US6439739B1 (en) Incandescent lamp
JPH11306802A (ja) 灯 具
US20040170028A1 (en) Multiple-filament motor vehicle headlight lamp
JP2004207245A (ja) 横方向光源を備えた自動車両用ヘッドライト
US4760501A (en) Headlamp system
JP4536859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ヘッドライト
JP2004241388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ダイオードを有する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装置
EP2141732B1 (en) Automotive lamp and reflector for low beam and advanced forward lighting system
KR20060057612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램프
JP2005044807A (ja) 車両前照灯のための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前照灯
US7753574B2 (en) Optical module for an elliptical lighting device adapted to a given volume for a motor vehicle
US7775699B2 (en) Projector lamp having enhanced low to high beam contrast ratio
US3048734A (en) Non-glaring head lamps
JP7058166B2 (ja) 車両用前照灯
KR20060017784A (ko) 동력차 전조등을 위한 램프
JPH0741045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WO2022236177A9 (en) Led retrofit for vehicle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