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854A -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854A
KR20060056854A KR1020050107262A KR20050107262A KR20060056854A KR 20060056854 A KR20060056854 A KR 20060056854A KR 1020050107262 A KR1020050107262 A KR 1020050107262A KR 20050107262 A KR20050107262 A KR 20050107262A KR 20060056854 A KR20060056854 A KR 2006005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uncture
brewing chamber
brewing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네 쉬펄레
Original Assignee
레네 쉬펄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네 쉬펄레 filed Critical 레네 쉬펄레
Publication of KR2006005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에는 하부 양조 챔버부 및 폐쇄 요소를 포함하는 양조 챔버가 제공된다.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은 카트리지를 확실하게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하부 양조 챔버부와 폐쇄 요소 양자 모두 위에는, 천공 부재가 그 대향 측면에서 카트리지를 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양조 챔버 폐쇄시, 그 하부 부분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카트리지와 함께, 카트리지의 덮개가 하나의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될 정도로, 폐쇄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카트리지의 바닥은, 카트리지의 내부에 연결되는 다른 천공 부재에 제공되는 음료 출구 채널 없이, 천공 부재의 팁이 카트리지의 바닥을 관통할 정도로만, 다른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된다.
카트리지, 음료 기계, 폐쇄 요소, 양조 챔버, 천공 부재, 카트리지 덮개, 카트리지 바닥, 음료 출구 채널, 팁

Description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BEVERAGE MACHINE FOR PREPARING A HOT BEVERAGE BY BREWING AND EXTRACTING A SUBSTANCE RECEIVED IN A CARTRIDGE}
도1은 카트리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기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1a는 하부 천공 부재의 확대도.
도2는 양조 챔버의 폐쇄 동안 제1 상의 양조 챔버와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3은 양조수가 양조 챔버 내로 주입되기 전에 폐쇄된 양조 챔버와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4는 양조 챔버 내로 양조수를 주입하는 동안 폐쇄된 양조 챔버와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양조 챔버와 카트리지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조 챔버
2: 양조 챔버 하부
3: 폐쇄 요소
4: 카트리지
4a: 카트리지 덮개
4b: 카트리지 바닥
5: 물탱크
15: 천공 부재
16: 출구 채널
28: 팁
본 발명은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기계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지칭된 종류의 카트리지들은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에 적절한 기밀식으로 밀봉된 물질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들의 주요한 장점은 예를 들어 커피 파우더인 본원에 포함되는 물질이 장기간 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에 수용된 커피 파우더를 추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의 덮개를 갖는 카트리지 홀더 내로 하향으로 삽입되는 반자동 에스프레소 커피 메이커가 이용된다.
유럽 특허 EP-A-0,512,470호 문헌은 카트리지가 덮개를 갖는 카트리지 홀더 내로 하향으로 삽입되는 이러한 커피 메이커에 대해 개시한다. 카트리지 홀더는 바요넷 정착물(bayonet fixture)에 의해 수동으로 커피 메이커 내에 삽입된다. 커피 메이커는 카트리지 홀더용의 연결 수단 영역에 위치된 천공 부재를 구비한다. 천공 부재는 카트리지 내로 양조수를 공급하기 위한 반경방향 출구 개구를 갖는다. 카트리지 홀더가 커피 메이커에 연결되면, 천공 부재는 카트리지의 바닥을 천공한다. 카트리지 홀더 바닥 자체는 격자로 배열된 복수의 양각(embossment)을 갖는다. 이들 양각은 카트리지의 덮개를 관통하여 이를 파단 개방하여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된 양조수가 이러한 과압력을 갖도록 한다. 이후의 양조 작동 동안, 양조수는 천공 부재를 통해 카트리지 내로 공급되어, 커피 파우더를 통해 가압 하에서 유동하고, 덮개의 개구를 통해 방출된다. 신선한 양조 커피 음료는 격자를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카트리지 홀더 아래에 위치된 출구 수단을 통해 커피 메이커를 떠난다.
독일 특허 C-41,92,762호 문헌은 카트리지 내로 유체 및/또는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액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인출 부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용 챔버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내부 쪽으로 오목하게 굴곡된 바닥을 갖는다. 장치에서, 유체 채널을 구비한 천공 핀이 제공되며, 인출 부재의 바닥은 복수의 양각을 포함하여, 카트리지가 양조수의 압력의 영향 하에서 충분히 변형되면 카트리지의 바닥을 천공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인출 부재의 바닥은 일체화된 액체 토출 채널을 갖는 단일 천공 핀을 포함한다. 오목한 형상의 바닥을 갖는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바닥이 이러한 정도로 변형되고 카트리지의 내부 체적이 증가될 때에만 바닥이 천공되도록 실현된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 바닥이 제조된 음료가 유출되도록 파단 개방되기 전에,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된 양조수가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적신다.
유럽 특허 EP-A-1,295,554호 문헌은 카트리지 내로 포장된 커피 파우더를 양조하기 위한 커피 메이커를 개시한다. 커피 메이커는 가압 고온수 스프링클러와, 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분배 컵을 구비한다. 분배 컵은 개방 중공 공간, 즉 양조 챔버뿐만 아니라 양조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퍼큘레이터(perculator) 홈통(spout)과 연통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한다.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에, 상부측에 복수의 니들을 갖는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이들 니들 각각은 원추형 외부면뿐만 아니라, 제2 공간의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연통하는 수 개의 슬롯을 갖는다. 고온수 스프링클러는 다수의 스프링의 힘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컵형 전방면을 갖는다. 고온수 스프링클러의 강성 후방부에서, 복수의 니들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천공 요소가 제공된다. 컵형 전방부는 카트리지의 상부를 천공하도록 컵형 전방부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니들이 연장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단부벽을 구비한다. 고온수 스프링클러에 대해 분배 컵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이 제공된다. 분배 컵이 고온수 스프링클러 쪽으로 이동될 때, 카트리지의 상부는 고온수 스프링클러에 제공된 니들에 의해 천공되면서, 플레이트의 니들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중공 공간의 바닥에서 환형 견부와 전술한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환형 홈 사이의 거리보 다 크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바닥은 완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중공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의 플레이트의 니들의 높이는 니들이 카트리지의 바닥의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선택되지만, 양조 챔버가 폐쇄될 때 약화되거나 또는 천공되지 않는다. 양조수가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되어, 바닥은 카트리지의 바닥을 천공하여 이를 점차 천공하도록 열과 압력의 영향 하에서 외향으로 변형된다.
유럽 특허 EP-A-1,101,430호 문헌은 음료 필터 카트리지 시스템용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이러한 카트리지의 측벽은 필터 부재 또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수 개의 단차부를 구비하여, 필터 요소와 멤브레인 사이에 각각, 카트리지 덮개와 카트리지 바닥 사이에 각각 자유 공간을 유지한다. 이러한 자유 공간은 카트리지 내로 측벽을 통해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각각을 삽입하기 위해 이용된다.
국제 특허 WO 00/42891호 문헌은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기 위한 자동 양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양조 시스템은 액체 공급 탱크와 그 안에 위치된 적량(dosage) 챔버를 구비하고, 적량 챔버는 소정량의 액체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 펌프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시스템은 또한 가동식 덮개와 상호 작용하는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홀더의 덮개 및 바닥은 중공 천공 부재를 설비한다. 카트리지 홀더가 덮개에 의해 폐쇄되면, 카트리지 덮개와 카트리지 바닥은 각각의 천공 요소들에 의해 천공된다. 카트리지 홀더의 바닥에 위치한 천공 요소는 카트리지의 바닥이 천공되면 제조된 음료용 출구가 생성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량과 소정의 위치에서만 음료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각각 파단 개방되고 천공되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 형태로 카트리지를 떠나는 추출물에 의한 기계의 오염을 감소시키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내의 출구를 파단 개방하도록 요구되는 양조수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태양에 따라, 카트리지 덮개와 카트리지 바닥을 갖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기계를 제공한다. 음료 기계는 바닥 양조 챔버부와 폐쇄 요소를 갖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양조 챔버와, 양조 챔버 내로 가압 하의 양조수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와, 카트리지 덮개를 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기계는, 카트리지 바닥을 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천공 팁부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양조 챔버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요소에 대해 하부 양조 챔버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폐쇄 요소에 대한 하부 양조 챔버부의 축방향 이동 경로의 길이는 제1 천공 요소에 의해 카트리지 덮개가 천공되면서 제2 천공 요소가 제2 천공 요소의 출구 채널이 카트리지 내부와 연통하지 못하는 정도로 카트리지 바닥을 꿰뚫거나 천공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양조 챔버가 폐쇄되면, 그 내부에 수용된 카트리지와 함께 양조 챔버의 하부는 제2 천공 부재의 팁이 출구 채널이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 정도로만 카트리지의 바닥을 천공하는 정도로 폐쇄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는 카트리지의 바닥이 완전히 천공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양조수의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카트리지 내로 가압된 양조수를 이송하면서, 동시에 이에 의해서, 카트리지의 바닥의 천공이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오염의 위험이 사실상 감소된다.
양조 챔버의 폐쇄 중에 카트리지의 바닥이, 출구 채널이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 정도로만 양조 챔버의 하부에 위치된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되면,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균일하게 적시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내부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임의의 가스상 물질이 카트리지 내로 양조수를 이송하는 동안 탈출하는 것을 보장하고, 동시에 이에 의해, 액체 추출물이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카트리지의 내부에 소정의 과압력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카트리지 덮개와 카트리지 바닥을 갖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를 제공한다. 양조 기계는 하부 양조 챔버와 폐쇄 요소를 갖고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양조 챔버와, 양조 챔버 내로 가압 하의 양조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와, 카트리지 덮개를 천공하기 위해 폐쇄 요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부재와, 카트리지 바닥을 천공하기 위해 하부 양조 챔버부의 영역에 부착되고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를 포함한다.
양조 챔버가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된 후에 카트리지의 바닥이 천공되는 정도로 하부 양조 챔버부에 대해 하부 양조 챔버의 영역에 부착되고 위치된 제2 천공 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조 챔버의 폐쇄 작동과 독립적으로, 카트리지 내로의 양조수의 이송 운동과 독립적으로, 카트리지의 바닥은 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음료 기계에 이용되는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컵형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된 카트리지 덮개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고온의 물에 의해 추출 가능한 소정량의 물질을 수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체(sieve)형 부재가 카트리지 본체의 바닥과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 사이에 위치된다. 체형 부재는 카트리지의 내부쪽으로 지향되고, 카트리지의 바닥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 부재의 전방부가 만입부 내로 연장되어 중앙 만입부를 갖는다.
제2 체형 부재가 카트리지 본체의 덮개와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 사이에 위치되고, 카트리지의 내부쪽으로 지향되고 카트리지의 덮개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 부재의 전방부가 만입부 내로 연장되어 제2 체형 부재를 천공하지 않고 카트리지 덮개가 천공되도록 치수가 정해진 중앙 만입부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 태양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카트리지는 양조 챔버 내에 위치되고 카트리지의 제1측은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된다. 그 다음에, 카트리지는 제2 천공 요소의 음료 출구 채널이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결되지 않는 정도로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약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천공된다. 마지막으로, 양조수가 카트리지의 내부에 물의 과압력을 생성하도록 카트리지 내부로 제1 천공 부재의 양조수 이송 채널을 통해 이송되어, 제2 천공 부재의 음료 출구 채널에 카트리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대향측에서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완전히 천공되도록 카트리지가 팽창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커피 메이커로서 주어진 예로 설계된 음료 기계의 실시예의 정 개략도이다. 특히, 도1에는 양조 챔버(1), 신선한 물탱크(5), 펌프(6)뿐만 아니라 보일러(7)가 도시된다. 종단면도로 도시된 양조 챔버(1)는 하부(2)와 폐쇄 요소(3)를 포함한다.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도1에서 분쇄 커피(8)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가 도시된다.
커피 메이커와 폐쇄 요소(3)에 대해 양조 챔버(1)의 하부(2)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양조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양조 챔버(1)의 하부(2)와 폐쇄 요소(3) 사이의 축방향 상대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단 역시 도시되지 않는다.
양조 챔버(1)의 하부(2)는 외부 기부(10)와 내부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을 포함한다. 기부(10)와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은 모두 필수적으로 원형을 갖는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은 실제적으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스프링(12)에 의해 외부 기부(10)에 지지하는데 적합하다. 폐쇄 부재(3)와 대면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의 상부는 환형 견부(13)를 구비한다. 외부 기부(10)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의 견부(13)와 함께 양조 챔버(1)의 폐쇄 동안 축방향 제한 정지부를 구성하는 환형 플랜지(24)를 구비한다.
외부 기부(10)의 바닥은 중심 출구 채널(16)을 갖는 천공 부재(15)를 구비한다. 천공 부재(15)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의 바닥에 제공된 개구(17)를 통해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의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기부(10)의 바닥 아래에, Y형 음료 출구(18)가 위치되어 천공 부재(15)의 중심 출구 채널(16)과 연통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은 동시에 커피 메이커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지 위치에 있는 동안 천공 부재(15)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손가락 보호구로서 제공된다.
양조 챔버(1)의 하부(2)와 대면하는 폐쇄 부재(3)의 바닥은 천공 부재(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천공 부재(20)를 통해, 커피 파우더(8)를 양조하고 추출하기 위해 요구된 양조수는 카트리지(4)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 단부에서, 천공 부재(20)는 양조수가 천공 부재(20)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반경방향 출구 개구(21)를 구비한다. 폐쇄 부재(3)는 천공 부재(20)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고 카트리지(4)의 하부에 대해 카트리지(4)의 상부를 밀봉하도록 제공되는 환형 개스킷(23)을 포함한다.
카트리지(4)는 컵형 하부와 그에 용접된 덮개(4a)를 포함한다. 컵형 하부와 덮개(4a)는 플라스틱 물질의 산소 불투과성 다중층 포일로 제조되며, 특히 카트리지(4)의 컵형 하부를 구성하는 포일은 탄성이어야 한다.
이러한 카트리지(4)가 물에 의해 추출 가능한 임의의 물질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더라도, 다음에서, 분쇄 커피, 즉 커피 파우더로 충전되고 레귤러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데 이용하도록 가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4b)은 약간 보스 가공(bossed)되고, 즉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굴곡된다. 게다가, 카트리지(4)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체형 부재(25)와 하부 체형 부재(26)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부 부재(25)는 분배 체형 부재로서 기능하고, 하부 부재(26)는 수집 체형 부재로서 기능한다. 두 개의 체형 부재(25, 26)는 양조수가 카트리지(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커피 음료가 커피 파우더로 충전된 카트리지(4)의 내부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두 체형 부재(25, 26)는 각각 카트리지(4)의 덮개(4a)와 바닥(4b)이 체형 부재(25, 26)의 손상 없이 각각 천공된 후에 상응하는 천공 부재(15, 20)가 연장할 수 있는 카트리지(4)의 내부로 지시된 중심 만입부(33, 34)를 포함한다.
추출되는 커피 파우더(8)는 두 개의 체형 부재(25, 26)들 사이에 수용된다. 한편, 두 개의 강성으로 설계된 체형 부재(25, 26)들은 덮개(4a)와 바닥(4b)이 천공될 때 커피 파우더가 카트리지(4)로부터 탈출할 수 없도록 보장하도록 작용한다. 상부 분배 체형 부재(25)는 카트리지(4)의 전체 단면에 걸쳐 카트리지(4)로 진입하는 양조수를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작용하고, 하부 수집 체형 부재(26)는 액체 커피 추출물이 중심 천공 부재(15)로 유동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작용한다. 그 단부에 서, 상부와 바닥에서, 자유 공간(14, 19)이 상부 분배 체형 부재(25)와 카트리지 덮개(4a) 사이와, 하부 수집 체형 부재(26)와 카트리지 바닥(4b)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자유 공간(14, 19) 대신에, 체형 부재(25, 26)는 양조수가 카트리지(4)의 단면에 걸쳐 분배되도록 유동하고, 추출된 음료가 각각 수집되도록 채널형 만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형 부재(25, 26)는 채널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승부에서 각각 카트리지(4)의 덮개(4a)와 카트리지의 바닥(4b)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1a는 천공 부재(15)의 확대 측면도를 도시한다. 천공 부재(15)는 두 개의 두 개의 다단(tiered) 팁(28)을 구비하고, 제1 부분(28a)은 부드러운 재킷 표면을 갖고 예각의 팁 단부로 종료되는 원추형이고, 제2 부분(28b)은 큰 원추 각도를 갖는 절두형 원추 형상을 갖고 중심 출구 채널(16)로 개방되는 수 개의 반경방향 개구(29)를 구비한다. 천공 부재(15)의 하부는 양조 챔버(1)의 하부(2)의 바닥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쓰레드(31)를 구비한다. 반경방향 개구(29) 대신에, 제2 부분(28b)이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출구 홈, 채널 등을 갖고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쓰레드(31) 대신에, 가압 끼워 맞춤 연결이 양조 챔버(1)의 하부(2)의 바닥에 대한 천공 부재(15)의 부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출구 채널과 반경방향 출구 개구(29)는 각각 뒤에 또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팁(28)의 아래에 배치된다.
도2는 양조 챔버(1)의 폐쇄 동안 제1 상의 카트리지(4)와 양조 챔버(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내로 삽입되고, 양조 챔 버(1)의 하부(2)는 폐쇄 부재(3)쪽으로 화살표(P) 방향으로 축방향 상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은 스프링(12)의 힘에 대해 양조 챔버(1)의 하부(2)의 외부 기부(10) 내로 밀어 넣어진다. 동시에, 상부 천공 부재(20)는 카트리지(4)의 덮개(4a)를 천공하고, 하부 천공 부재(15)는 카트리지(4)의 바닥(4b)에 접하여 바닥(4b)을 상향으로 밀어내어 그 결과, 카트리지 바닥(4b)은 카트리지 덮개(4a)쪽으로 변형되고, 카트리지(4)의 내부 체적은 감소된다. 카트리지(4)의 컵형 하부가 탄성 물질로 제조되고 카트리지 바닥(4b)이 보스 가공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카트리지 바닥(4b)은 카트리지 덮개(4a) 쪽 방향으로 비교적 쉽게 편향될 수 있다.
도3은 양조수가 카트리지(4) 내로 주입되기 전에 카트리지(4)와 폐쇄된 양조 챔버(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양조 챔버(1)의 폐쇄 상태는 양조 챔버(1)의 하부(2)를 외부 기부(10)의 플랜지(24)에 대해 카트리지 리셉터클(11)의 견부(13)가 놓여지는 정도로 상향으로 기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동시에, 폐쇄 요소(3)의 바닥에 제공된 개스킷(23)이 외측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를 밀봉하도록 카트리지 덮개(4a)의 상부에 대해 가압한다는 사실 때문에, 카트리지 덮개(4a)는 외측에서 카트리지 바닥(4b)에 대해 수밀식으로 밀봉된다. 또한, 양조 챔버(1)의 하부(2)에 제공된 천공 부재(15)의 팁(28), 특히 그 제1 부분(28a)(도1a)이 카트리지(4)의 바닥(4b)을 천공한다는 것을 도3에서 알 수 있다. 제1 부분(28a)이 제2 부분(28b)보다 예각을 갖는다는 사실 때문에, 결과적으로 양조 챔버(1)가 폐쇄되지만 양조수가 카트리지(4)로 주입되기 전에, 카트리지 바닥(4b)은 제2 부분(28b)에 대해 놓여지고 이러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카트리지 바닥(4b)이 천공 부재(15)의 제2 부분(28b)에 대해 놓여지기 때문에, 카트리지 바닥(4b)이 이미 관통되었더라도 반경방향 개구(29)와 출구 채널(16)은 각각 카트리지(4)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다. 본원에 도시된 천공 부재(15)의 팁(28)에 의한 카트리지 바닥(4b)의 관통 대신에, 팁(28)에 의해 카트리지 바닥(4b)을 부분적으로 약하게 하지만 팁이 실제로 바닥(4b)을 관통하지 않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임의의 경우, 상부 천공 부재(20)가 카트리지 덮개(4A)를 관통하고 카트리지 바닥(4b)이 관련 천공 부재(15)의 팁(28)에 의해 대부분 관통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카트리지 덮개(4a)는 낮은 신장성을 갖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바닥(4b)을 제조하는 물질보다 낮은 전단 강도를 갖는 물질로 제조된다.
도4는 도3의 도면과 유사한 시선으로 소위 양조 및 추출 위상을 도시한다. 이러한 위상에서, 물은 신선한 물탱크(5)로부터 펌프(6)에 의해 보일러(7)로 공급된다. 보일러(7)에서, 물은 요구된 양조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되고 가압된 물은 카트리지(4)의 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하는 덮개(4a)와 상부 분배 체형 부재(25) 사이의 공간(14)으로 상부 천공 부재(20)를 경유하여 안내된다. 상부 분배 체형 부재(25)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양조수는 카트리지(4)의 내부로 들어가고 커피 파우더를 추출한다. 하부 수집 체형 부재(26)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액체 커피 추출물은 하부 수집 체형 부재(26)와 카트리지 바닥(4b) 사이의 공간(19)으로 유동한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1)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카트리지(4) 내로 가압된 물을 주입함으로써 발생된 과압력은 카트리지 덮 개(4a)가 폐쇄 부재(3)의 바닥에 대해 가압되고, 내부 체적이 그 이전 값에 사실상 도달하도록 카트리지 바닥(4b)이 하향으로 편향되는 결과를 갖는다. 카트리지(4) 내로 양조수의 주입 동안, 카트리지(4)의 내부에 존재하는 임의의 가스는 천공 팁(28)과 카트리지 바닥(4b) 사이의 반경방향 간극을 통해 탈출할 수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4)에 수용된 커피 파우더(8)가 균일하게 적셔지도록 보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바닥(4b)을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4)의 바닥(4b)의 개구는 반경방향 개구(29)의 정도로 증가하여, 출구 채널(16)은 카트리지(4)의 내부와 연통한다. 이제, 액체 커피 추출물이 하부 공간(19)으로부터 천공 부재(15)의 반경방향 개구(29)를 통해 출구 채널(16) 내로 유동할 수 있고, 그로부터 음료 출구(18)로, 또한 그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음료 용기로 분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바닥(4b)의 기계적인 약화 및 천공은 각각 다수의 중요한 장점을 갖는다.
- 카트리지 바닥(4b)은 명확한 방식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약화되거나 또는 천공된다.
- 양조수가 카트리지 내로 주입된 후에, 카트리지 바닥의 천공된 개구의 연속적인 확대는 카트리지 바닥이 가압되고 천공 부재의 하향쪽으로 편향되도록 카트리지 내부의 과도 수압의 점진적인 발생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그 반경방향 개구가 카트리지 바닥의 하향 가압 동안 연속적으로 점점 노출되기 때문에, 액체 커피 추출물은 하부 천공 부재의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출구 단면을 통해 하향으로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다. 한편, 그 결과는 가압된 양조수의 영향 하에서만 천공 되는 카트리지는 갖는 경우에 액체 커피 추출물이 카트리지로부터 갑자기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 위험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한편, 양조수가 상부로부터 카트리지 내로 주입되면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가스 매체, 예를 들어, 공기 및/또는 CO2는 천공 팁과 카트리지 바닥 사이의 좁은 반경방향 간극을 통해 하향으로 탈출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양조수가 상부로부터 카트리지 내로 유동할 때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쇄 커피가 카트리지의 전체 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적셔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 각각 카트리지 바닥을 천공하고 천공된 개구를 확대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양조수의 압력은 비교적 낮다.
- 각각 카트리지 바닥을 천공하고 천공된 개구를 확대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양조수의 압력은 보다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
- 카트리지는 양조 작동을 손상시킬 위험 없이 그 치수에 대한 높은 제조 공차를 나타낼 수 있다.
- 카트리지의 바닥은 강성이 아니고 오목한 기본 형상을 갖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 최대 10 bar의 요구되는 높은 수압의 과압력의 영향 하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서 카트리지를 파단 개방시킬 위험은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하부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바닥을 관통하는 대신에, 선택적으로, 바닥(4b)이 양조 챔버(1)를 기계적으로 폐쇄할 때, 하부 천공 부재(15)가 카트리지(4)의 바닥(4b)을 천공하지 않고 하부 천공 부재(15)에 의해서 약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기계적인 약화에 의해, 양조수가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카트리지 내에 주입되더라도 카트리지의 바닥이 명확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파단 개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와 독립적으로, 하부 천공 부재(15)는 출구 채널(16)을 해제시키기 위해 이러한 과압력에 도달한 후에만 개방되는 압력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도5는 도4와 유사한 시선에서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부 천공 부재(15a)는 양조 챔버(1)의 하부(2)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지 않지만, 양조 챔버(10)의 하부(2)에 대해 화살표(P1)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천공 부재(15a)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양조 챔버의 폐쇄 작동과 카트리지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압에 독립적으로 카트리지(4)의 바닥(4b)이 독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이동의 장점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바닥(4b)은 카트리지(4)의 상부로 양조수가 주입된 후에 짧게 천공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천공 작동은 두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첫 번째 단계에서, 카트리지 바닥(4b)은 천공 요소(15)의 내부의 출구 채널(16a)이 카트리지(4)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는 정도로 천공되어, 따라서, 카트리지(4)의 내부에 수용된 가스가 탈출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천공 부재(15a)는 천공 부재(15a)의 출구 채널(16a)과 반경방향 개구들이 액체 커피 추출물이 출구 채널(16a)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통할 때까지 카트리지 바닥(4b) 내로 밀어 넣어진다. 이러한 변형은 카트리지 바닥(4b)이 천공되는 이동이 양조 챔버의 폐쇄 작동과 카트리지 내로의 양조수의 주입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달리, 전술한 대체 실시예는 이전에 기술한 장점들의 대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사실상 모든 종류의 커피 메이커에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수동 삽입식 카트리지 홀더를 갖는 수동 커피 메이커뿐만 아니라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로 수동으로 삽입되고 자동적으로 제거되는 반자동 커피 메이커와,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로 자동으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자동으로 제거되는 완전 자동 커피 메이커에도 적절하다. 그러나, 양조 챔버 하부에 수용된 카트리지와 폐쇄 요소 사이의 이러한 상대 축방향 운동은, 한편으로 카트리지 덮개가 신뢰성있게 천공되고, 다른 한편으로, 카트리지 바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약화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양조 챔버의 폐쇄 후에 발생된다. 이러한 상대 운동은 일반적으로 수 밀리미터의 양을 갖고, 예를 들어 바요넷 고정, 편심 구동 기구, 레버 기구, 스핀들 구동 기구, 유압 구동 기구 또는 슬롯식 링크 기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소정량과 소정의 위치에서만 음료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파단 개방되고 천공되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하고 추출함으로써 고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8)

  1. 카트리지 덮개 및 카트리지 바닥부를 갖는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이며,
    하부 양조 챔버부 및 폐쇄 요소로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된 양조 챔버와, 상기 양조 챔버로 가압 하에 양조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카트리지 덮개를 천공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바닥부를 천공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팁부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기계에 있어서,
    상기 양조 챔버를 폐쇄하도록 상기 폐쇄 요소에 대해 상기 하부 양조 챔버부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폐쇄 요소에 대한 상기 하부 양조 챔버부의 축방향 이동 경로의 길이는 상기 카트리지 덮개가 상기 제1 천공 요소에 의해 천공되도록 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요소는 최대한으로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요소의 상기 출구 채널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통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카트리지 바닥을 관통 또는 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2. 카트리지 덮개 및 카트리지 바닥부를 갖는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로서,
    하부 양조 챔버부 및 폐쇄 요소로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된 양조 챔버와, 상기 양조 챔버로 가압 하에 양조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카트리지 덮개를 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폐쇄 요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바닥부를 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양조 챔버부의 구역에 부착 또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기계에 있어서,
    양조 챔버가 폐쇄 부재에 의해 폐쇄된 후에 상기 카트리지의 바닥이 천공될 정로로, 상기 하부 양조 챔버에 대해 상기 하부 양조 챔버부의 구역에 부착 또는 위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천공 부재는 상기 폐쇄 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는 상기 양조 챔버의 상기 하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에 제공된 출구 채널은,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천공 부재의 상기 천공 팁의 아래와 뒤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에 양조수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바닥은,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천공 부재의 출구 채널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와 연통할 정도로 개방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5. 제3항에 있어서,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2단 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단은 관통 팁으로서 설계되고, 제2 단에는 상기 출구 채널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6. 제3항에 있어서,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2단 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단은 천공 팁으로서 설계되고, 제2 단에는 본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출구 만입부, 출구 채널 또는 출구 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의 상기 제1 단은 원추 형상과 매끄러운 재킷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조 챔버의 상기 하부 부분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견고하게 둘러싸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제공됨으로써, 카트리지의 바닥은, 카트리지에 압축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제공된 출구 채널이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연결될 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 부재는 폐쇄 부재의 중심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의 중심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천공 부재 모두에는 양조수를 공급하고 액체 음료 추출물을 분배하기 위한 반경방향 개구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에는 상기 제1 천공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포위하는 가스킷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가스킷 부재는 상기 양조 챔버의 폐쇄시 상기 카트리지의 외측에서 카트리지 바닥에 대해 카트리지 덮개를 수압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조 챔버의 상기 하부 부분은 기부 부분과, 스프링에 의해 상기 기부 부분 상에 지지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에는, 양조 챔버의 폐쇄시 상기 폐쇄 부재가 안착하는 상기 폐쇄 부재와 대면하고 양조 챔버의 폐쇄시 기부 부분 상에 제공되는 플랜지 부재와 함께 축방향 정지 부재를 구성하는 견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상기 기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바닥에는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의 위치는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폐쇄 요소에 의해 양조 챔버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상기 기부 부분으로 가압되면 제2 천공 부재가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 천 공 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연결되는 도관 또는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천공 부재에는 압력 제어 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4. 제2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로의 양조수의 공급을 개시한 후에, 카트리지의 바닥은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또는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의 구역에 위치된 천공 부재에 의해, 액체 추출물이 천공 부재를 통해 또는 천공 부재에 제공되는 출구 채널을 통해 카트리지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을 정도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에는 상기 제1 천공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포위하는 가스킷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가스킷 부재는 상기 양조 챔버의 폐쇄시 상기 카트리지의 외측에서 카트리지 바닥에 대해 카트리지 덮개를 수압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상기 기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바닥에는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의 위치는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폐쇄 요소에 의해 양조 챔버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 리셉터클 이 상기 기부 부분으로 가압되면 제2 천공 부재가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 천공 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는 상기 기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바닥에는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의 위치는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폐쇄 요소에 의해 양조 챔버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상기 기부 부분으로 가압되면 제2 천공 부재가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 천공 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연결되는 도관 또는 양조 챔버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천공 부재에는 압력 제어 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기계.
  1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기계에 사용되도록 된 카트리지이며,
    본질적으로 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되는 카트리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온수에 의해 추출가능한 소정량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바닥과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상기 물질 사이에 위치된 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체형 부재는 카트리지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중심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는 카트리지 바닥이 상기 체형 부재를 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천공될 때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기 바닥을 천공하도록 된 천공 부재의 전방부가 상기 리세스로 연장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덮개와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물질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체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형 부재는 카트리지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 중심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리세스는 카트리지 덮개가 상기 제2 체형 부재를 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천공될 때,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덮개를 천공하도록 된 천공 부재의 전방부가 상기 리세스로 연장될 수 있도록 크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1. 제19항에 있어서, 자유 공간 또는 유체 채널이 액체 추출물이 수집되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바닥과 상기 체형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2. 제20항에 있어서, 자유 공간 또는 유체 채널이 액체 추출물이 수집되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바닥과 상기 제1 체형 부재 사이에 제공되고, 자유 공간 또는 유체 채널이 양조수가 카트리지의 단면 위로 분배되는 상기 카트리지의 덮개와 상기 제2 체형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바닥에는 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덮개는 상기 카트리지의 바닥 보다 낮은 연성 및/또는 인열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5.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상기 바닥은 양조 챔버가 폐쇄될 때 적어도 천공 부재의 천공 팁이 카트리지 바닥을 관통하도록 크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6.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양조수 공급 채널과 합체된 제1 천공 부재와 음료 출구 채널과 합체된 제2 천공 부재를 갖도록 된 양조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조 챔버 내에 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상기 제1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제1 측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대향 측면을 부분적으로 약화시키는 단계와,
    카트리지의 내부에 과수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천공 부재의 상기 양조수 공급 채널을 통해 양조수를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하여, 카트리지의 내부를 상기 제2 천공 부재의 상기 음료 출구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기계적으로 약화된 측면에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되도록 카트리지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양조수 공급 채널을 합체한 제1 천공 부재와 음료 출구 채널을 합체한 제2 천공 부재를 갖도록 된 양조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조 챔버 내에 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상기 제1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제1 측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천공 요소의 상기 출구 채널이 카트리지의 내부에 연결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대향 측면에서 카트리지를 부분적으로 천공하는 단계와,
    카트리지의 내부에 과수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천공 부재의 상기 양조수 공급 채널을 통해 양조수를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하여, 카트리지의 내부를 상기 제2 천공 부재의 상기 음료 출구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대향 측면에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완전히 천공되도록 카트리지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카트리지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 한 방법에 있어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양조수 공급 채널을 합체한 제1 천공 부재와 음료 출구 채널을 합체한 제2 천공 부재를 갖도록 된 양조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조 챔버 내에 카트리지를 수납하고, 상기 제1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의 제1 측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카트리지의 내부에 과수압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천공 부재의 상기 양조수 공급 채널을 통해 양조수를 카트리지의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카트리지의 내부를 상기 제2 천공 부재의 상기 음료 출구 채널에 연결하도록 상기 대향 측면에서 상기 제2 천공 부재에 의해 카트리지를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07262A 2004-11-22 2005-11-10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 KR20060056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6317.9 2004-11-22
DE102004056317A DE102004056317A1 (de) 2004-11-22 2004-11-22 Getränke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Heissgetränks durch Aufbrühen und Extrahier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n Substanz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854A true KR20060056854A (ko) 2006-05-25

Family

ID=3552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262A KR20060056854A (ko) 2004-11-22 2005-11-10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60107841A1 (ko)
EP (1) EP1674007A1 (ko)
JP (1) JP2006142015A (ko)
KR (1) KR20060056854A (ko)
CN (1) CN1781420A (ko)
AR (1) AR055533A1 (ko)
AU (1) AU2005227389A1 (ko)
BR (1) BRPI0505327A (ko)
CA (1) CA2526785A1 (ko)
DE (1) DE102004056317A1 (ko)
IL (1) IL171884A0 (ko)
MX (1) MXPA05012530A (ko)
NO (1) NO20055427L (ko)
NZ (1) NZ543576A (ko)
RU (1) RU2005136208A (ko)
SG (1) SG122906A1 (ko)
TW (1) TW200618763A (ko)
ZA (1) ZA20050901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88B1 (ko) * 2010-03-25 2013-06-20 (주)낙원 커피머신용 캡슐 천공장치
KR101323361B1 (ko) * 2011-12-29 2013-10-30 컨벡스코리아(주)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20170040026A (ko) *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커피 추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843B2 (en) 2003-01-24 2010-01-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1704803A1 (en) * 2005-03-22 2006-09-27 Tuttoespresso S.p.a.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US9844292B2 (en) 2009-10-30 2017-12-19 Adrian Rivera Coffee maker with multi and single cup modes
EP1792849A1 (en) * 2005-12-02 2007-06-06 Tuttoespresso S.p.a. Pressure beverage cartridge and preparation method
ITMI20060945A1 (it) * 2006-05-12 2007-11-13 Illycaffe Spa Procedimento di estrazione di caffe' espresso particolarmente da una cartuccia con setto generatore di crema e bevanda ottenibile dal procedimento.
ATE556630T1 (de) 2006-05-24 2012-05-15 Nestec Sa Brühvorrichtung für kapsel mit verschlussmechanismus mit variablem übersetzungsverhältnis
DK2033551T3 (da) 2006-05-24 2011-04-18 Nestec Sa Kapselperforeringsmodul
WO2008023057A2 (de) 2006-08-25 2008-02-28 Delica Ag Mittel zum penetrieren einer ein extraktionsgut enthaltenden portionsverpackung, vorrichtung zum extrahieren des in der portionsverpackung enthaltenen extraktionsgut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ittels
US8573114B2 (en) 2006-09-07 2013-11-05 Keuri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formation with liquid delivery control
ITTO20060661A1 (it) * 2006-09-18 2008-03-19 Nicoletta Francovicchio Capsula sigillata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WO2008130221A1 (en) * 2007-04-24 2008-10-30 N.V. Nutricia A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ready to use liquid product
FR2916336A1 (fr) * 2007-05-21 2008-11-2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ystem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PT2243405E (pt) * 2007-06-05 2012-12-06 Criali Invest Sa Cápsula para preparar uma bebida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usando tal cápsula
ES2387261T3 (es) * 2007-06-05 2012-09-19 Nestec S.A.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líquido alimenticio contenido a partir de una sustancia alimenticia contenida en un receptáculo por centrifugación
US8180204B2 (en) * 2007-07-02 2012-05-15 Brewl Technologies, Inc.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9271597B2 (en) * 2007-07-13 2016-03-01 ARM Enterprises Single serving reusable brewing material holder
US11337543B2 (en) * 2007-07-13 2022-05-24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holder
US10722066B2 (en) * 2010-12-04 2020-07-28 Adrian Rivera Windowed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holder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DE102007049601B4 (de) * 2007-10-16 2013-05-23 Kraft Foods R & D, Inc. Getränkeautomat mit Dichtbauteil an der Ansticheinrichtung
DE602008001614D1 (de) * 2008-01-29 2010-08-05 Sara Lee De Nv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PT2330953E (pt) * 2008-09-02 2015-09-09 Nestec Sa Método para preparar um líquido alimentar contido numa cápsula por centrifugação e sistema adaptado para esse método
US9750370B2 (en) 2009-05-29 2017-09-05 Keurig Green Mountain, Inc. Cartridge with filter guard
CA3070698C (en) 2009-06-17 2021-10-26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GB2474679B (en) * 2009-10-22 2011-10-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2506745B1 (en) * 2009-12-01 2013-10-23 Nestec S.A. Cartridge extraction device
DE202010006556U1 (de) * 2010-05-06 2010-08-05 Mahlich, Gotthard Brüh- oder Zubereitungskammer für ein Getränkezubereitungsgerät
IT1401898B1 (it) 2010-05-25 2013-08-28 Brasilia Spa Gruppo di infusione di un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e metodo per il controllo dell erogazione di detto gruppo di infusione
DE102010044945A1 (de) 2010-05-28 2011-12-01 Eugster/Frismag Ag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CA2800918C (en) * 2010-05-28 2017-10-17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producing a beverage
PT2404844E (pt) 2010-07-07 2012-10-11 Nestec Sa Uma cápsula para preparação de um produto alimentar a partir de um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alimentos
KR20190100427A (ko) 2010-07-22 2019-08-2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음료수 제조를 위한 1인용 캡슐
SI2409609T1 (sl) * 2010-07-22 2013-01-31 Nestec S.A. DrĹľalo za kapsule ali prilagodilni kos za prilagoditev kapsule v drĹľalu za kapsule v stroju za pripravo napitkov
EP2412646A1 (en) * 2010-07-28 2012-02-01 Nestec S.A. A capsule for food preparation
USD637484S1 (en) 2010-09-02 2011-05-10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8361527B2 (en) 2010-09-02 2013-01-29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D647398S1 (en) 2010-09-02 2011-10-25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D647399S1 (en) 2010-09-02 2011-10-25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DE102011012881A1 (de) * 2010-09-22 2012-03-22 Krüger Gmbh & Co. Kg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CN102028409B (zh) * 2010-09-26 2013-03-13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的冲泡机构
JP2014501164A (ja) * 2010-12-28 2014-01-20 スターバッ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IT1403541B1 (it) * 2011-01-31 2013-10-31 Sarong Spa Macchina erogatrice per bevande
USD694620S1 (en) 2011-03-08 2013-12-03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GB2488799A (en) 2011-03-08 2012-09-12 Kraft Foods R & D Inc Drinks Pod without Piercing of Outer Shell
EP2683276A2 (en) * 2011-03-11 2014-01-15 Richards Corporation Variable-height injector brewhead for aircraft beverage maker
GB2489409B (en) 2011-03-23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 capsule and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WO2012130926A1 (en) * 2011-04-01 2012-10-04 Nestec S.A. Kit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in a centrifugal brewing device
US8707855B2 (en) 2011-05-09 2014-04-29 Eko Brands, Llc Beverage Brewing Device
US20130045307A1 (en) * 2011-08-17 2013-02-21 Medora Safai Brew Cartridge
US10034570B2 (en) *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ITMI20120247A1 (it) 2012-02-20 2013-08-21 Illycaffe Spa Cartuccia per l'ottenimento di una bevanda.
US20150151903A1 (en) * 2012-03-26 2015-06-04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apsule
WO2013153526A1 (en) * 2012-04-11 2013-10-17 Koninklijke Philips N.V. Capsule adapter and system using said capsule adapter
US9737166B2 (en) * 2012-04-11 2017-08-22 Koninklijke Philips N.V. Beverage producing system and capsule
NL2008804C2 (nl) * 2012-05-11 2013-11-12 4Sight Innovation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dranken door gebruikmaking van een capsule.
ITVR20120093A1 (it) * 2012-05-15 2013-11-16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ade
CN103565277B (zh) * 2012-07-25 2016-03-09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咖啡机及其工作方法
USD708057S1 (en) 2012-09-10 2014-07-01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cartridge
USD697797S1 (en) 2012-09-12 2014-01-21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DE102012223291A1 (de) 2012-12-14 2014-06-1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US20140208951A1 (en) * 2013-01-28 2014-07-31 George M. Yui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single-serve coffee brewing features
US8906436B2 (en) * 2013-03-15 2014-12-09 Ptc-Innovations, Llc Single serve beverage additive cartridge
JP6416211B2 (ja) * 2013-04-11 2018-10-31 オーエックスエックス インク 携帯型コーヒーメーカー
US20140318378A1 (en) * 2013-04-26 2014-10-30 Sunbeam Products, Inc. Content cartridge
CN104433811B (zh) 2013-09-16 2018-03-1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咖啡饮水机
HUE031230T2 (hu) * 2013-10-29 2017-07-28 Mitaca Srl Egyadagos kiszerelés, rendszer és eljárás folyadék állagú termékek elõállítására egyadagos kiszerelés alkalmazásával
ITTO20131039A1 (it) * 2013-12-18 2015-06-19 Lavazza Luigi Spa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S10188238B2 (en) 2014-03-11 2019-01-29 Starbucks Corporatio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and methods with tamping assembly
WO2015162468A1 (en) 2014-04-23 2015-10-29 Caffitaly System S.P.A.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using a powdered food substance contained in a capsule
US10450131B2 (en) 2014-10-01 2019-10-22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ffee pod
USD757536S1 (en) 2014-10-01 2016-05-31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ntainer
CN105662138B (zh) * 2014-11-18 2018-06-12 宁波金阳光电热科技有限公司 无缩程按压式饮品机酿制装置
FI3261957T4 (en) 2015-02-27 2023-01-13 Capsule with a sealed filter element
US10314320B2 (en) 2015-03-20 2019-06-11 Meltz, LLC Systems for controlled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US9346611B1 (en) 2015-03-20 2016-05-24 Meltz, LLC Apparatus and processes for creating a consumable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from frozen contents
US9487348B2 (en) 2015-03-20 2016-11-08 Meltz,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support for displaceable frozen contents in beverage and food receptacles
US10111554B2 (en) 2015-03-20 2018-10-30 Meltz, LLC Systems for and methods of controlled liquid food or beverage product creation
EP3282902B1 (en) * 2015-04-13 2024-02-14 The Richards Corporation Method for puncturing a beverage capsule prior to its insertion into a brewing machine
CN106136886B (zh) * 2015-04-23 2019-11-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饮料酿造系统
CN106136902A (zh) * 2015-04-23 2016-11-2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酿造系统
JP6580714B2 (ja) 2015-06-10 2019-09-25 ケイ‐フィー システム ゲーエムベーハー 3層不織布を用いたポーションカプセル
US10737876B2 (en) 2015-07-13 2020-08-11 K-Fee System Gmbh Filter element having a cut-out
SG11201801893RA (en) 2015-09-18 2018-04-27 K Fee System Gmbh Adapter for a single serve capsule
EP3205244A1 (de) 2016-02-12 2017-08-16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NL2017278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4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ield and background
NL2017283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5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7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NL2017279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9218B1 (en) * 2016-08-03 2018-07-06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use of the system for preparing double beverages like a double espresso, a double lungo and a double ristretto
NL2017281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US10786109B2 (en) 2016-09-28 2020-09-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er for an appliance
KR20200126887A (ko) 2017-04-27 2020-11-09 코메티어 인크. 원심 추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장치
CN109452864B (zh) * 2019-01-24 2024-04-05 广州煌牌自动设备有限公司 一种蒸汽冲泡咖啡装置及方法
USD1003713S1 (en) * 2019-05-28 2023-11-07 Constantia Teich Gmbh Food container lid
US11724849B2 (en) 2019-06-07 2023-08-15 Cometeer, Inc. Packaging and method for single serve beverage product
USD927250S1 (en) 2020-03-23 2021-08-10 Eko Brands, Llc Reusable filter cartridge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US20230397753A1 (en) * 2022-06-08 2023-12-14 Bartesian Corp. Capsule holders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2202A (en) * 1956-03-05 1960-09-13 Frank J Renner Apparatus for making coffee
ES2043196T3 (es) * 1990-07-27 1993-12-16 Nestle Sa Procedimiento de extraccion de cartuchos cerrados y dispositivo para su puesta en practica.
DE4192762T (ko) * 1990-10-31 1993-01-28
TW199884B (ko) * 1991-05-08 1993-02-11 Sociere Des Produits Nestle S A
EP0512142A1 (fr) * 1991-05-08 1992-11-1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d'extraction de cartouches fermé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DE69114278T2 (de) * 1991-07-05 1996-06-27 Nestle Sa Gerät zum Extrahieren von Kartuschen.
ATE171352T1 (de) * 1992-07-20 1998-10-15 Nestle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xtraktion undurchlässiger, verformbarer portionspackungen
WO2000042891A1 (en) 1999-01-19 2000-07-27 Keurig, Inc. Automated beverage brewing system
CA2325978A1 (en) 1999-11-16 2001-05-16 Robert Hale Beverage filter cartridge system
US6499388B2 (en) * 2000-06-14 2002-12-31 Fianara Interational B. V. Coffee machine for brewing coffee power pre-packed in a cartridge
CZ20012835A3 (cs) * 2000-08-30 2002-04-17 Fianara International B. V. Kávovar k vaření kávového práąku předbaleného v zásobníku
CH694265A5 (fr) * 2001-01-24 2004-10-29 Monodor Sa Dispositif d'injection d'eau pour un appareil pour la confection d'une boisson à partir d'une capsule contenant le produit à extraire.
ITTO20010902A1 (it) 2001-09-21 2003-03-21 Sgl Italia Srl Macchina da caffe'.
DE10211327B4 (de) * 2002-03-14 2015-09-24 Caffitaly System S.P.A. Portionenkapsel mit einer partikelförmigen mittels Wasser extrahierbaren Substanz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ITMI20021087A1 (it) * 2002-05-21 2003-11-21 Sergio Tonon Cartuccia per caffe' e prodotti solubili apparato per l'estrazione dibevande da detta cartucci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di una beve
EP1500357B1 (fr) * 2003-07-23 2006-02-22 Monodor S.A.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boisson à partir d'une capsu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GB2406329A (en) * 2003-09-29 2005-03-30 Mars Inc Apparatus for making multiple beverages with reduced cross-contamination
DE102004002004A1 (de) *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Kaffeemaschine zum Aufbrüh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m Pulverkaffe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88B1 (ko) * 2010-03-25 2013-06-20 (주)낙원 커피머신용 캡슐 천공장치
KR101323361B1 (ko) * 2011-12-29 2013-10-30 컨벡스코리아(주)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20170040026A (ko) * 2015-10-02 2017-04-12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05327A (pt) 2006-07-11
TW200618763A (en) 2006-06-16
DE102004056317A1 (de) 2006-05-24
AR055533A1 (es) 2007-08-22
NO20055427D0 (no) 2005-11-16
RU2005136208A (ru) 2007-05-27
IL171884A0 (en) 2006-04-10
JP2006142015A (ja) 2006-06-08
US20060107841A1 (en) 2006-05-25
CN1781420A (zh) 2006-06-07
NO20055427L (no) 2006-05-23
ZA200509015B (en) 2006-07-26
NZ543576A (en) 2007-04-27
MXPA05012530A (es) 2006-05-24
EP1674007A1 (de) 2006-06-28
SG122906A1 (en) 2006-06-29
CA2526785A1 (en) 2006-05-22
AU2005227389A1 (en)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6854A (ko)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물질을 양조 및 추출함으로써 고온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기계
EP3237307B1 (en) Capsule for producing beverages
JP5073684B2 (ja) 飲料原料カプセル
RU270199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данного количества напитка
RU2615950C2 (ru) Капсула для экстрагиру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кофе
EP2166903B1 (en) Infusible material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JP6174153B2 (ja) 飛散防止手段を有する飲料カプセル。
US9079706B2 (en) Infusible material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EP2210827B1 (en) Capsule with delaminatable injection means
KR20090079832A (ko) 음료 기계 및 음료 기계의 개방 장치용 천공 부재
EP2452893B1 (en) Capsule for containing a preparation for a hot drink
JP2010519990A (ja) カートリッジから液体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
JP2002028080A (ja) カートリッジに予めパック詰めされたコーヒー粉末からコーヒー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コーヒーマシン
JP2014527441A (ja) 抽出システムのカートリッジチャンバ
JP2007501031A (ja) コーヒーをベースとした飲料を淹れるための装置
JP2014524320A (ja)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KR20130121182A (ko) 음식료 제품 준비 시스템
JP2014524319A (ja) 長持ちするカートリッジ穿孔器
JP2014524318A (ja) カートリッジ除去システム
EP3568362B1 (en) Cartridge and machine for multi-component beverage preparation
KR20160059199A (ko) 잔수 제거 수단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