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747A - 커넥팅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747A
KR20060053747A KR1020040094183A KR20040094183A KR20060053747A KR 20060053747 A KR20060053747 A KR 20060053747A KR 1020040094183 A KR1020040094183 A KR 1020040094183A KR 20040094183 A KR20040094183 A KR 20040094183A KR 20060053747 A KR20060053747 A KR 2006005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base ring
holder
r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3747A/ko
Publication of KR2006005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정 제품이 장착되는 어뎁터와; 상기 어뎁터를 소정 장착부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링과; 상기 베이스링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고 그 일측에는 베이스링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내측으로 오므라져 상기 어뎁터를 죄어 지지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어뎁터를 놓는 두 개 이상의 후크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커넥팅장치는,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특히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 및 분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팅장치{Conn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어뎁터를 카메라에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커넥팅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3b,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커넥팅장치 13:베이스링
13a:고정부 13b:암나사부
13c:걸림턱 15:홀더
15a:후크 15b:죠오
15c:수나사부 15d:암나사부
15e:안착홈 17:장착볼트
19:어뎁터 19a:걸림홈
19b:끼움돌기 19c:암나사부
21:스토퍼 21a:수나사부
21b:스토핑돌기
본 발명은 소정 제품을 장착부에 대해 장착시키는 커넥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고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는 커넥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출시되는 디지털카메라는 과거 전문가용 카메라에서나 가능하던 렌즈 컨버팅(converting)이 가능하다. 즉 카메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기본 렌즈 이외에, 기본렌즈가 가지지 못하는 확장된 효과와 사용이 가능한 망원렌즈, 광각렌즈, 줌렌즈, 매크로렌즈 등의 다양한 기능의 렌즈를 필요에 따라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망원렌즈, 광각렌즈, 줌렌즈, 매크로렌즈로 구성된 경통(렌즈컨버터)는 어뎁터에 끼워진 상태로 커넥팅장치를 통해 카메라본체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커넥팅장치는 카메라의 장착부에 미리 고정 설치된 것으로서 끼워진 어뎁터를 지지한다.
상기 커넥팅장치는 어뎁터 및 렌즈컨버터를 카메라본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야 함은 물론 장착부에 대한 어뎁터의 결합 및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본체의 장착부에 대한 어뎁터의 결합방식으로 스크류방식과 바이오넷(bayonet)방식이 있다.
상기 스크류방식은 카메라의 장착부와 어뎁터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 암사나산과 수나사산을 맞추어 나사 결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어뎁터를 수회 회전시켜야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피치가 작기 때문에 처음에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의 이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상기 바이오넷방식은, 카메라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의 사이 사이로 어뎁터의 걸림턱을 밀어넣고 어뎁터를 소정각도 축회전시켜 본체의 걸림턱 뒤로 어뎁터의 걸림턱을 위치시켜 거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장착 및 분리가 스크류방식에 비해 간단하기는 하지만 외부의 충격에 의해 어뎁터가 카메라본체로부터 분리될 위험성이 크다.
결국 종래의 커넥팅장치는 장착부와 제품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치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특히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 및 분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제품이 장착되어 있는 어뎁터를 소정 장착부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링형 부재로서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링과; 상기 베이스링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고 그 일측에는 베이스링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내측으로 오므라져 상기 어뎁터를 죄어 지지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어뎁터를 놓는 두 개 이상의 후크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링형부재이며, 상기 후크는 어뎁터측으로 연장되면서 외부로 벌어지고 베이스링에 홀더가 나사결합하며 삽입될 때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밀려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는 베이스링에 대한 홀더의 나사결합에 따른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베이스링에 나사 결합된 상태의 홀더를 베이스링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베이스링을 사이에 두고 홀더의 반대측에 위치한 상태로 홀더에 결합하되 그 테두리부에 베이스링에 걸리는 플렌지형태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어뎁터 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뎁터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홈내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단부에는 후크가 오므라질 때 상기 걸림 홈에 삽입되어 어뎁터를 걸어 지지하는 죠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어뎁터를 카메라에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장치(11)는, 카메라본체(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B)에 설치되어 어뎁터(19)에 장착된 제품(예컨대 컨버젼렌즈(도 2의 CL))을 카메라의 전방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장치(11)는, 일정직경의 링의 형태를 취하는 베이스링(13)과, 상기 베이스링(13)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며 베이스링(13)에 대한 상대위치가 조절되는 홀더(15)와, 상기 베이스링(13)을 사이에 두고 홀더(15)의 반대측에서 홀더(15)에 나사 결합하는 스토퍼(21)와, 상기 홀더(15)에 대해 결합 및 분리되는 어뎁터(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15)와 스토퍼(21)의 고정방식은 경우에 따라 변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링(13)은 다수의 장착볼트(17)를 통해 장착부(B)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링(13)의 외주부에는 장착볼트(17)가 통과하는 고정부(1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3a)에는 장착부(B)에 나사 결합할 체결용 장착볼트(17)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링(13)을 장착볼트(17)로 카메라에 고정시키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링(13)을 카메라본체(A)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고정부(13a)와 장착볼트(17)는 불필요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링(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3b) 및 걸림턱(1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부(13b)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로서 내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걸림턱(13c)은 상기 암나사부(13b)의 측부에 형성된 링형 돌기로서 도 2에 도시한 홀더(15)의 화살표 f1방향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홀더(15)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15c)가 형성된 링형 부재로서 일측부에 네 개의 후크(15a)를 갖는다. 상기 수나사부(15c)는 베이스링(13)의 암나사부(13b)에 나사 결합하는 부위로서 암나사부(13b)에 대한 결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홀더(15)에 대한 어뎁터(19)의 결합 분리를 결정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상기 홀더(15)의 내주면에는 네 개의 안착홈(15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5e)은 베이스링(13)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홈으로서 어뎁터(19)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기(19b)를 수용하여 어뎁터(19)가 축회전 할 때 종동한다.
상기 안착홈(15e)의 측부에는 암나사부(15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부(15d)는 스토퍼(2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부(21a)와 결합한다.
상기 네 개의 후크(15a)는 상기 어뎁터(19)측으로 연장되며 벌어진 부위로서 그 내향면은 후술할 어뎁터(19) 외주면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 후크(15a) 내향면의 선단에는 죠오(1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크(15a)는 홀더(15)가 베이스링(13)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므라진다.
상기 죠오(15b)는 후크(15a)가 오므라질 때 어뎁터(1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9a)에 삽입되어 어뎁터(19)를 걸어 베이스링(13)측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크(15a)는 두 개씩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어뎁터(19)는 소정 제품(미도시)을 끼우는 부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어뎁터(19)는 제품을 지지한 상태로 홀더(15)에 결합함으로써 결국 제품이 장착부(B)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어뎁터(19)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9c)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9c)는 어뎁터에 대해 제품을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뎁터(19)의 홀더(15)를 향하는 단부 외주면에는 일정폭 및 깊이의 걸림홈(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9a)은 상기한 후크(15a)의 죠오(15b)가 끼워지는 홈이다. 또한 상기 걸림홈(19a)의 측부에는 끼움돌기(1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기(19b)는 어뎁터(19) 단부 두께면에 형성된 돌기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홀더(15)의 안착홈(15e)내에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21)는 베이스링(13)을 사이에 두고 홀더(15)의 반대편에서 홀더(15)의 암나사부(15d)에 나사결합하는 링형 부재이다. 상기 스토퍼(21)는 홀더(15)에 결합한 상태로, 도 3d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더(15)가 베이스링(13)으로부터 화살표 e방향으로 풀려 나갈 때 베이스링(13)의 걸림턱(13c)에 걸림으로써, 홀더(15)가 베이스링(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21)의 외주면에는 플렌지형태의 스토핑돌기(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커넥팅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15)가 어뎁터(19)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링(13)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베이스링(1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c)이 어뎁터(19)가 화살표 f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홀더(15)의 암나사부(도 1의 15d)에는 스토퍼(21)가 결합하고 있다. 특히 상기 스토퍼(21)의 스토핑돌기(21b)는 걸림턱(13c)으로부터 폭 w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와같이 걸림턱(13c)과 스토핑돌기(21b)를 이격시킨 것은 홀더(15)를 도 3d의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시켜 어뎁터(19)를 분리하기 위해 감안된 것이다.
도 3a,3b,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의 동작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홀더(15)의 후크(15a)가 외측으로 벌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후크(15a)는 탄성 변형 가능한 것으로서 외력을 받아 화살표 a방향으로 숙여졌다가 외력이 없어지면 처음의 상태로 다시 벌어진다.
상기 후크(15a)는 베이스링(13) 내에 홀더(15)가 완전히 삽입될 때 베이스링(13)의 내주면에 밀리며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후크(15a)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죠오(15b)가 걸림홈(19a)의 내부에 삽입됨은 물론이다.
여하튼 상기 홀더(15)는 베이스링(13)에 나사 결합하되 어느 정도 느슨하게 결합하여 상기 후크(15a)가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다.
또한 상기 홀더(15)에 스토퍼(21)가 결합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21)의 수나 사부(21a)는 홀더(15)의 암나사부(15d)에 완전히 결합하고 있으며 이 때 스토핑돌기(21b)가 걸림턱(13c)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15)를 베이스링(13)으로부터 풀더라도 상기 스토핑돌기(21b)가 걸림턱(13c) 걸려 있는 한 홀더(15)는 더 이상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이 상태로 어뎁터(19)를 홀더(15)에 끼우되 어뎁터(19)의 끼움돌기(도 1의 19b)를 안착홈(도 1의 15e)에 삽입하고 어뎁터(19)를 회전시켜 홀더(15)를 베이스링(13) 내부로 더욱 삽입하면, 상기 후크(15a)가 베이스링(13)의 내주면 측으로 끌려 들어가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도 3b와 같이 걸림홈(19a)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홀더(15)가 후크(15a)를 통해 어뎁터(19)를 문 상태로 베이스링(13)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홀더(15)와 베이스링(13)과의 나사결합에 따라 스토퍼(21)의 스토핑돌기(21b)는 홀더(15)의 진행거리 만큼 걸림턱(13c)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어뎁터(19)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어뎁터(19)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어뎁터(19)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더(15)가 화살표 e방향으로 서서히 나오고 그와 동시에 후크(15a)가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복원되기 시작한다.
상기 홀더(15)가 화살표 e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죠오(15b)는 걸림홈(19a)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홀더(15)로부터 어뎁터(19)를 빼낼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토핑돌기(21b)도 걸림턱(13c)측으로 근접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도 1에는 장착부로 카메라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장치의 적용예는 카메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커넥팅장치는 이를테면 파이프를 축이음 하거나 또는 컴퓨터용 전송라인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커넥팅장치는,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특히 장착부에 대한 제품의 결합 및 분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정 제품이 장착되는 어뎁터와;
    상기 어뎁터를 소정 장착부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링과;
    상기 베이스링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고 그 일측에는 베이스링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내측으로 오므라져 상기 어뎁터를 죄어 지지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어뎁터를 놓는 두 개 이상의 후크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링형부재이며,
    상기 후크는 어뎁터측으로 연장되면서 외부로 벌어지고 베이스링에 홀더가 나사결합하며 삽입될 때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밀려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는 베이스링에 대한 홀더의 나사결합에 따른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베이스링에 나사 결합된 상태의 홀더를 베이스링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베이스링을 사이에 두고 홀더의 반대측에 위치한 상태로 홀더에 결합하되 그 테두리부에 베이스링에 걸리는 플렌지형태의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어뎁터 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뎁터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홈내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단부에는 후크가 오므라질 때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어뎁터를 걸어 지지하는 죠오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장치.
KR1020040094183A 2004-11-17 2004-11-17 커넥팅장치 KR20060053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83A KR20060053747A (ko) 2004-11-17 2004-11-17 커넥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83A KR20060053747A (ko) 2004-11-17 2004-11-17 커넥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47A true KR20060053747A (ko) 2006-05-22

Family

ID=3715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183A KR20060053747A (ko) 2004-11-17 2004-11-17 커넥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37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696A (zh) * 2011-10-06 2013-04-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平衡器的洗衣机
CN107748447A (zh) * 2017-11-28 2018-03-0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镜头安装工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696A (zh) * 2011-10-06 2013-04-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平衡器的洗衣机
WO2013051833A1 (en) * 2011-10-06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balancer
US9353471B2 (en) 2011-10-06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having balancer
CN107748447A (zh) * 2017-11-28 2018-03-02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镜头安装工装
CN107748447B (zh) * 2017-11-28 2020-11-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镜头安装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340B1 (en) Connection fitting with an attachment projection
US10203050B2 (en) Bracket for fixing reducer in fire sprinkler
US20180003202A1 (en) Swagless turnbuckle assembly
US9810973B2 (en) Omnidirectional bracket for cameras and accessories
US8910914B2 (en) Mount for electronics equipment
US9464650B2 (en) Fastening device having a tubular sleeve member for mounting on a tube or immobilizing two telescopically connected tubes
EA016709B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US20170321399A1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JP2017529472A (ja) 水栓スプレイヘッド用の自動退避機構
KR20060053747A (ko) 커넥팅장치
US5141263A (en) Fluid line connector fitting with longitudinal release mechanism
US20100132516A1 (en) Plumbing tool
JP2011089381A (ja) 水栓装置
CN104214177B (zh) 锁紧装置及伸缩杆
WO2016110684A1 (en) Telescopic tube assembly
CN214833152U (zh) 一种花洒升降座
EP37262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ocular tripod adapter with automatic locking engagement
US6368135B1 (en) Coupl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slender members
US20110163539A1 (en) Connector for pipe-line
TW201200770A (en) Pipe fitting
CA2663867C (en)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DK2100070T3 (da) Forbindelsesindretning for tilslutning af en cylindrisk plastrørsforgrening, samt en fremgangsmåde til at forbinde en cylindrisk forgrening til et plastrør
KR200478333Y1 (ko) 클램프
KR101333283B1 (ko) 광학장치 연결용 스마트폰 어댑터
JP4468722B2 (ja) 内視鏡装置及び光学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