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128A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128A
KR20060053128A KR1020050075971A KR20050075971A KR20060053128A KR 20060053128 A KR20060053128 A KR 20060053128A KR 1020050075971 A KR1020050075971 A KR 1020050075971A KR 20050075971 A KR20050075971 A KR 20050075971A KR 20060053128 A KR20060053128 A KR 2006005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plate
refrigerator
spring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320B1 (ko
Inventor
다이찌로오 야마시따
도시히꼬 나가모리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05Y2201/41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를 세게 닫은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에 제동을 걸어 감속하는 동시에, 도어를 확실하게 냉장고 본체에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개폐 가능한 도어(2R)와, 도어에 설치된 인입 부재(22, 23)와,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도어 폐쇄 수단(10)을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이며, 도어 폐쇄 수단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판(12)과, 회전판에 토글 동작을 시키는 스프링(15)과, 회전판에 결합된 회전 감쇠 수단(70)을 갖고, 회전판(12)은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오목부(24)를 갖고, 스프링(15)은 회전판을 토글 동작시키도록 걸쳐져 도어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폐쇄 동작에 따라서 인입 부재(23)가 오목부(24)와 접촉하여 회전판(12)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 감쇠 수단의 저항을 받아 도어의 폐쇄 동작에 감속을 부여하고, 도어의 폐쇄 위치의 근방에서는 스프링의 토글 동작에 의해 도어를 폐쇄 위치로 보유 지지한다.
회전판, 스프링, 오목부, 인입 부재, 도어, 도어 폐쇄 수단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REFRIGERATOR AND DOOR CLOSURE DEVICE FOR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하는 시사도.
도2는 도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도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 중립 위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 중립 위치 근방에서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지지점 주위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스프링과 회전판과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스프링과 회전판과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와 커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와 커버의 다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폐쇄 위치).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개방 위치).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폐쇄 위치).
도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개방 위치).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한쪽 개방식의 1도어식 냉장고에 적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하우징
2 : 냉장실
2R, 2L : 도어
3 : 회전 지지점
4 : 야채실
5 : 제빙실
6 : 기능 선택실
7 : 냉동실
8 : 베이스 부재
10 : 도어 폐쇄 수단
11 : 회전 지지점
12 : 회전판
13 : 스프링 걸이부
14 : 고정 스프링 걸이부
15 : 스프링
22 : 블래킷
23 : 핀
24 : 오목부
25 : 외측변
26 : 내측변
27 : 개방 위치 스토퍼
28 : 인입 위치 스토퍼
30 : 복귀용 레버
31 : 도어 폐쇄 수단용 커버
70 : 회전 감쇠 수단
71 : 기어
72 : 기어
145 : 인출 도어
146 : 가이드 레일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774호 공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를 정숙하게 닫는 동시에 반도어 상태를 없앨 수 있는 도어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생활이 변화하고 있어, 매일 식품 재료를 자주 가까운 식품점에서 구입하여 조리하는 식생활에서, 교외형의 대형 슈퍼마켓 등에서 식품을 예를 들어 일주일분을 한번에 구입하여 냉장고에 저장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냉동 식품의 이용이 증가한 것에 대응하여 가정에서도 400 리터를 넘는 용량의 대형 냉장고가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냉장고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도어도 대형화되므로, 도어 자체와 함께 도어에 수납되는 식품의 양도 증가하므로,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가 냉장고 본체에 충돌하였을 때에 큰 충돌음이 발생한다.
또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도어를 닫을 때에 닫는 방법이 불충분하면, 이른바 반도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래서,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 반도어 상태를 방지하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 닫힘 부재가 도어에 설치된 수동부를 인입하여 도어가 닫는 구성으로, 필요 최소한의 동작으로 확실하게 도어를 닫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774호 공보
그런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도어의 대형화에 수반하는 수납 식품의 중량화에 따라서 도어 폐쇄시의 충돌음이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도어에 수납된 식품이 도어나 식품끼리 충돌하여 표면에 흠집이 생기거나 압흔이 생겨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어의 반도어 상태에서는, 냉기가 외부로 새어 냉장 기능을 잃게 되어 보존되어 있는 식품의 품질이 열화되고, 또는 냉장고 밖의 외기가 냉장고 내로 침입하여 결로하여 고내에 물방울이 맺히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도어가 반개방 상태일 때에 강제적으로 도어를 닫는 구성이 주로 개시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닫힘을 모터 동력으로 실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도어 폐쇄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배려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세게 닫은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에 제동을 걸어 감속하는 동시에, 도어를 확실하게 냉장고 본체에 폐쇄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개폐 가능하게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인입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도어 폐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폐쇄 기구는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가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받침부가 상기 인입 부재와 이탈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판과, 일단부를 상기 회전판에 타단부를 상기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 장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존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의 근방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인입 부재를 거쳐서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냉장고.
또한, 개폐 가능하게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인입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도어 폐쇄 수단을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이며,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판과, 일단부를 상기 회전판에 타단부를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우징에 지지한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부하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가 수단을 갖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토글 동작시키도록 걸쳐지고,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폐쇄 동작에 따라서, 상기 인입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항 부가 수단의 저항 을 받아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에 감속을 부여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의 근방에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토글 동작으로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인입 부재를 거쳐서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또한, 상기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가 수단은 상기 회전판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판에 대해 회전 부하 저항을 부가하지 않는 일방향 동작의 저항 부가 수단인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 내지 도8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 중립 위치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 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 중립 위치 근방에서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어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1은 냉장고의 본체 하우징이고, 냉장실(2)의 도어(2R, 2L)는 좌우 양 개방의 이른바 여닫이 방식의 도어이고, 커버로 덮인 회전 지지점(3)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하는 구성이다. 냉장실(2)의 하측은 앞으로 인출하는 식의 야채실(4)로 되어 있고, 야채의 저장에 적합한 온도 설정이 되어 있다. 야채실의 하부 좌측에는 제빙실(5)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제빙 수단에 의해 제빙이 행해져 제빙실 내에 축적된다. 제빙실 내의 얼음이 취출되면 도시하지 않은 얼음량 검출 수단에 의해 얼음의 양이 줄어든 것이 검지되어, 자동적으로 제빙이 행해져 제빙실 내의 얼음이 보충되는 구성이다. 제빙실의 우측은, 예를 들어 기능 선택실(6)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프리저, 냉장실, 또는 빙온에 가까운 냉장실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최하단에는 냉동실(7)이 배치되어 있어 냉동 식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이들 각 도어는 회전 지지점의 주위로 회전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앞으로 대략 병행으로 인출하여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식품을 취출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냉장실(2), 야채실(4), 제빙실(5), 기능 선택실(6), 프리저(7)의 각 실의 도어가 하우징과 접하는 주위 전체에 걸쳐서 각 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가 돌출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는 도어측에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면 형상의 마그넷이 포함된 마그넷 밀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마그넷이 하우징(1)을 구성하는 철판에 흡착됨으로써 하우징(1)에 대해 전면이 균일하게 접하여 밀봉성을 얻고 있다.
냉장고 하우징(1)의 상면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도어(2)에 설치된 핀(23)과 끼워 맞춤(접촉) 또는 이반(이탈)할 수 있어,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핀을 인입하여 도어(2)를 폐쇄하는 도어 폐쇄 수단(10)이 마련되어 있고, 특히 도어(2)를 폐쇄할 때에는 감쇠 수단(70)에 의해 핀(23)에 감속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도어(2)를 폐쇄할 때에는 도어는 감속되고, 도어(2)에 설치된 밀봉 부재가 본체(1)에 접할 때에는 도어(2)는 저속으로 되어 있으므로,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정숙하고, 또한 충격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 내부에 보관된 식품이나 음료가 서로 닿아 흠집이 생길 일이 없어 적합하다.
다음에, 상술한 도어 폐쇄 수단(10)의 구성예에 대해 도2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와 도3은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 폐쇄 수단(10)을 덮고 있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도어 폐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 내지 도8은 평면도이다. 이하, 우측 도어(2R)를 폐쇄하는 우측 도어 폐쇄 수단(10R)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좌측 도어 폐쇄 수단(10L)에 대해서도 좌우 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는 점이 다를 뿐, 구성이나 동작은 동일이다.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도어(2R)는 하우징(1)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 지지점(3)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어 폐쇄 수단(10)에는 베이스 부재(8)에 적재되어 회전 지지점(11)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왕복 회전하는 회전판 (12)이 구비되어 있고, 이 회전판(12)에는 도어(2R)에 고정된 브래킷(22)의 인입핀(23)과 접촉 또는 이탈하는 외부에 개방된 개구부로 되어 있는 오목부(24)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회전판(12)에는 스프링 핀(13)이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 부재(8)에 설치된 고정핀(14) 사이에 인장 스프링(15)이 걸쳐져 있다.
도어(2R)에 고정된 브래킷(22)에는 인입핀(23)이 설치되어 있고, 어느 일정한 도어의 개방 각도(θ)로 이 인입핀(23)은 회전판(12)에 설치된 오목부(24)에 대해 이 일단부의 개구부로부터 진입 또는 이탈할 수 있는 위치 관계에 설치되어 있다(도6 참조). 인입핀(23)은 도어(2R) 및 회전판(12)의 개폐에 수반하여 오목부(24)의 일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오목부(24)의 내부에 침입하거나, 반대로 개구부를 통해 오목부(24)로부터 빠지는 구성이다. 오목부(24)에는 오목부(24)의 주변부이며, 또한 인입핀(23)에 접촉하는 변 중, 도어(2)에 가까운 측을 외측변(25), 도어(2)로부터 먼 측을 내측변(26)이라 부른다. 인입핀(23)과 외측변(25) 및 내측변(26)을 갖는 오목부(24) 사이의 동작과 작용에 대해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2(사시도)와 도4(평면도)는 도어(2R)가 닫힌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회전판(12)은 화살표(CCW)로 나타낸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도어(2R)에 설치된 핀(23)은 회전판(12)에 설치된 오목부(24)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핀(23)은 오목부(24)의 외측변(25)과 접촉하여 도어(2R)를 닫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베이스판(8)에 구비된 인입 위치 스토퍼(28)와 개방 위치 스토퍼(27)는 회전판의 개방 위치(도8 참조)와 인입 위치(도4 참조)의 회전 각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이고, 그 높이는 회전판(12)과 접촉할 수 있을 만 큼의 높이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2R)를 닫아 핀(23)이 회전판(12)의 오목부(24)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회전판(12)은 인입 위치 스토퍼(28)와는 접촉하지 않고 간극이 있는 상태이다. 스프링(15)의 일단부는 회전판(12)에 설치된 스프링 걸이부(13)에 걸리고, 스프링의 타단부는 하우징에 설치된 고정 스프링 걸이부(14)에 걸려 있고, 소정의 장력(F1)으로 걸쳐져 있다(도4 참조).
여기서, 스프링(15)은 일단부가 회전판(12)에 설치된 스프링 걸이부(1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하우징(1)에 설치된 고정 스프링 걸이부(14)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판(12)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스프링(15)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위치 관계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판(12)을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고,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15)에 의해 회전판(12)이 토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감쇠 수단(70)은 회전판의 회전에 부하 저항을 가하는 저항 부가 수단으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CW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감쇠력이 작용하고, CCW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감쇠력이 작용하지 않고 공전하는 일방향 감쇠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일방향 동작은 도어를 닫을 때에는 감쇠력이 작용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감쇠력이 작용하지 않고 공전하는 동작이 된다. 이 회전 감쇠 수단(70)으로서는, 공지의 일방향 감쇠 동작 가능한 수단을 채용하면 된다.
회전판(12)의 일부에 부채꼴 형상의 기어(72)를 설치하고, 회전 감쇠 수단(70)에도 기어(71)를 설치하고, 이들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회전판(12)이 회전하면 회전 감쇠 수단(70)도 회전시키도록 하고, 또한 회전판(12)의 일부에 설치한 기어(72)의 치수(齒數)를 회전 감쇠 수단(70)에 설치한 기어(71)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치수의 비를 1 : N(N > 1)이라 하면, 회전 감쇠 수단(70)은 회전판(12)보다도 N배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감쇠 수단(70)은 그 감쇠력이 1/N이 되는 소형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2R)가 폐쇄될 때에 회전판(12)이 인입핀(23)으로부터 받는 힘은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이 받게 되고, 회전 감쇠 수단(70)에는 회전력만이 전해지게 되므로, 회전 감쇠 수단(70)의 축에 필요 이상의 강도를 갖게 할 필요는 없이, 저렴하고 간소한 회전 감쇠 수단(7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저가격화에 적합하다.
또한, 레버(30)는 그 상세함을 후술하지만, 도어(2R)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판(12)이 잘못해서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회전판(12)을 개방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레버이다.
도4 내지 도8은 도어의 개폐 동작시의 회전판(12)과 인입핀(23)의 위치 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4는 회전판(12)이 CCW 방향으로 회전하여 핀(23)에 힘(P1)[스프링(15)에 의한 토글 동작으로]을 가하여 도어(2R)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5에 있어서는, 도어(2R)를 CCW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핀(23)은 도어(2R)와 함께 P2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핀(23)은 회전판(12)에 설치된 오목부(24)의 외측변(25)과 접촉하여 회전판(12)을 CW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6에 있어서는, 도어(2R)는 각도(θ)까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스프링(15)은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는, 스프링(15)에 의한 인장력(F1)은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 주위의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개방하는 방향으로도 폐쇄하는 방향으로도 회전하는 일 없이 중립의 위치에 있는 중성점이다. 이와 같이, 스프링(15)의 탄성 부재는 도어(2R)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오목부(24)의 받침부가 인입핀(23)과 이탈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장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존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중성점보다도 더욱 도어(2R)를 개방하면, 회전판(12)은 CW측으로 회전하고, 스프링(15)이 회전 지지점(11)을 넘어 회전판에 CW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부여하므로 회전판은 CW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3)이 오목부(24)와 접하는 것은 외측변(25)으로부터 내측변(26)으로 이동한다. 도어(2R)를 또한 계속 개방하면 핀(23)은 회전판(12)의 오목부(24)로부터 빠져, 회전판(12)은 그 일부가 개방 위치 스토퍼(27)와 접촉하여 정지하고, 도어(2R)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는 그 위치에서 대기한다. 그 도어 개방의 상태를 도8에 도시한다.
다음에, 도어(2R)를 폐쇄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닫을 때에는, 도8과 같이 도어(2R)를 개방 상태로부터 도7, 도6, 도5, 도4의 순서로 사용자가 화살표(CW) 방향으로 도어(2R)가 회전하여 도어를 닫는 동작을 행하지만, 도어를 매우 천천히 닫은 경우와, 도어를 급격히 닫은 경우에는 동작이 다르므로, 각각의 동작 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어를 매우 천천히 닫은 경우이지만, 이것은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까지 도달하기 이전에 정지하여, 소위 반도어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상태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23)은 오목부(24)의 내측변(26)에 접촉하여 회전판(12)을 화살표(CCW)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이 때, 핀(23)과 오목부(24)의 외측변(25)은 접촉하지 않고, 또한 핀(23)과 내측변(26)만은 확실히 접촉하는 위치에 회전판(12)이 대기하고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도어(2R)를 더욱 폐쇄하면 도5의 상태에 이르러 스프링(15)이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의 위치를 넘으므로, 회전판(12)은 도시 화살표(CCW)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므로 CCW 방향으로 회전하여 오목부(24)의 외측변(25)이 핀(23)과 접촉한다. 이 때, 회전판(12)은 스프링(15)에 의해 화살표(CCW)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핀(23)을 통해 도어에는 화살표(P1)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있고, 이는 도어(2R)를 닫는 방향이므로, 도어(2R)는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최종적으로는 도4에 도시한 도어(2R)가 닫힌 상태에 이른다(반도어 상태가 되지 않음). 이 때의 폐쇄 동작시에는 회전 감쇠 수단(70)으로부터의 감쇠력이 가해지므로, 도어는 천천히 닫히기 때문에 마그넷 밀봉이 본체 하우징(1)에 접촉할 때의 속도는 저속이고, 폐쇄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소리가 적어 정숙히 닫을 수 있다.
다음에, 도어(2R)를 급격하게 닫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2R)가 급격하게 닫힌 경우에는, 도7로부터 도5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회전 감쇠 수단(70)이 발생하는 감쇠력에 의해 도어(2R)는 감속되지만, 도5의 시점에서도 아직 충분한 속 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핀(23)은 스프링(15)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판(12)의 CCW 방향의 회전에 의한 오목부(24)의 인입 속도보다 커지는 속도로 폐쇄 방향으로 계속 이동한다. 그로 인해, 핀(23)은 오목부(24)의 내측변(26)을 P1 방향으로 계속 누르고, 회전판(12)은 핀(23)으로 눌려서 CCW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동안, 회전 감쇠 수단(70)에 의한 감쇠력은 계속 가해지므로, 핀(23)은 P2 방향의 힘(소위 반력)을 계속 받아 감속한다. 회전 감쇠 수단(70)이 발생하는 회전 감쇠력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도어(2R)가 도4에 도시한 폐쇄 위치에 이르기 이전에 충분히 감속할 수 있으므로(도어를 급격히 폐쇄하는 힘과 회전 감쇠력을 적당히 선정 설계하면), 도어(2R)가 본체에 접촉할 때의 속도를 저속으로 하여, 폐쇄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소리가 적어 정숙하게 닫을 수 있다.
또, 사용자가 급격히 도어(2R)를 닫은 경우에는, 핀(23)은 오목부(24)의 내측변(26)에 급격하게 닿으므로 충격음이 발생한다. 그와 같은 충격음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오목부(24)의 내측변(26)에는 예를 들어 고무판 등의 완충재를 부착해 둠으로써 상술한 충격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회전 감쇠력이 부가되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도어의 개방력이 증대하므로, 조작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로 인해, 회전 감쇠력은 도어가 닫힐 때에만 동작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공전하는 일방향 동작의 회전 감쇠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도9 내지 도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단 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지지점 주위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스프링과 회전판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스프링과 회전판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는 냉장고의 상면에 실장되어 있으므로, 도어 폐쇄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서는 그 박형화를 실현하는 구성에 대해 도9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스프링(15)은 도어 개폐 동작 사이에 회전판(12)의 회전 지지점(11)을 가로지르므로, 스프링(15)은 회전판(12) 및 회전판 지지점(11)과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회전판(12)의 상방에 실장되어야만 한다. 또한, 핀(23)은 오목부(24)에 출입하므로, 핀(23)과 오목부(24)는 도어 개폐의 동작 범위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스프링(15)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도어 폐쇄 수단(10)을 박형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5)과 회전 감쇠 수단(70)과의 배치 구조에 있어서 양자가 서로 상하로 포개어지는 일이 없도록 가로로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감쇠 수단(70)은 본래 그 배치에 대해 제약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서 회전판 지지점(11)과 동축 형상으로 포개어져 배치될 수 있지만, 그와 같게 배치하지 않고[회전판(12) 주위에 설치된 기어부(72)와 회전 감쇠 수단(70)에 마련된 기어(71)가 맞물리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감쇠 수단(70)을 스프링(15)과 가로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도어 폐쇄 장치(10)를 박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10은 도9의 구성에 있어서의 스프링(15)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로, 스프링(15)의 코일 부분이 회전판(12)에 대해 간극(Gap)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있어서는, 스프링(15)으로부터의 인장력을 F라 하면, 스프링 핀(13)에 있어서의 스프링(15)의 역점(力点)의 높이는 H1이 되고, 회전판(12)에 가해지는 CCW 방향의 회전 토크(T)는 T = F × H1이 된다. 이 회전 토크에 의해, 회전판(12)은 도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2'의 위치로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회전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성예에 대해 도11와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1 및 도12의 구성예가 도10의 그것과 다른 점은 스프링(15)의 후크부를 연장하고, 스프링(15)의 코일 부분이 회전판(12)과는 포개어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의 길이(L)를 회전판(12)에 설치된 기어부(72)의 치끝 원보다도 크게 하여 스프링(15)의 코일부가 기어부(72)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으로 하면, 회전판(12)의 상방향에 포개어지는 것은 스프링(15)의 후크부(15a)로만 되므로, 스프링 걸이부(핀)(13)에 있어서의 스프링(15)을 거는 위치의 높이를 회전판(12)의 상면과 매우 근접시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5)의 역점의 높이를 H2(< H1)로 할 수 있다. 이 때 회전판(12)에 가해지는 CCW 방향의 회전 토크(T')는 T' = F × H2(< F × H1)가 되므 로, 도10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판(1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1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다. 제3 실시 형태는 스프링 장력에 의한 회전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 외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3에 있어서, 12'는 스프링(15)의 상방에 있는 제2 회전판이고, 회전판(12)과 접속시켜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면 베이스(8')는 접속 부재(19)에 의해 베이스(8)와 접속되어 있고, 제2 회전 지지점(11')은 상면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 지지점(11)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회전판에 설치된 구멍과 끼워 맞추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스프링(15)의 상하에 회전판(12, 12')과 회전 지지점(11, 11')이 배치되어, 스프링(15)에 의한 힘을 스프링(15)의 상하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도10에 도시한 회전판(12)을 파선의 상태(12')로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14 내지 도1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와 커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에 있 어서의 회전판 복귀용 레버와 커버의 다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2)은 개방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도어가 닫혔을 때에는 핀(23)이 오목부(24)의 내부에 인입할 수 있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전판(12)에 실수로 닿거나, 물건이 접촉하여 회전판(12)이 회전하면, 스프링(15)의 장력에 의해 인입되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2)만이 인입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회전판(12)은 인입하여 스토퍼(28)에 접촉하여 정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대로의 상태에서 도어(2R)를 폐쇄하였다 해도 핀(23)은 오목부(24)의 내부로 진입할 수는 없고, 도어(2R)를 폐쇄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회전판(12)의 일부를 연장하여 복귀용 레버(30)를 설치하고, 이 레버(30)가 도14와 같이 회전판(12)이 인입 위치까지 회전하였을 때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자가 도시 A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어(2R)가 개방 위치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복귀용 레버(30)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입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상 사태이지만, 이 복귀용 레버(30)가 이상 위치에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기 쉽게 통보하기 위해 복귀용 레버의 선단부를 눈에 띄는 색으로 해 두는 것 등이 유효하다.
사용자가 도시 A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회전판(12)을 개방 위치 스토퍼(27)에 접촉할 때까지 도시 CW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8에 도시한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켜 개방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스프링(15)은 회전 동작 동안에 회전판(12) 의 회전 지지점(11)의 위치를 넘을 수 있으므로, 회전판(12)은 도8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를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음에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도7로부터 도4에 이를 때까지의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복귀용 레버(30)를 회전판(12)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저가격화에 유효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폐쇄 장치(10)를 덮는 커버(31)와 복귀용 레버(30)와의 위치 관계에 관한 일예를 도15와 도16에 나타낸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어(2R)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어 폐쇄 장치용 커버(31)는 복귀용 레버(30)가 회전하기 위한 슬릿(32)을 전방면에 구비하고, 상면에는 핀(23)이 회전하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도15는 회전판(12)이 인입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어가 정상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경우, 혹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2)만이 잘못해서 인입 위치로 회전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15에 있어서, 복귀용 레버(30)는 커버(3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레버(30)의 선단부에 도시 A 방향으로 손끝에서 힘을 가하여 회전판(12)을 인입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레버(30) 선단부의 궤적(30a)은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시에 커버(31)의 표면으로부터의 볼록량이 감소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레버(30)는 커버(31)의 표면보다도 인입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30) 선단부가 인입하는 것보다 이전에 도6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프링(15)이 회전 지지점(11)의 위치를 넘어, 회전판 (12)에 CW 방향의 토크가 발생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 후에는, 스프링(15)에 의해 발생하는 CW 방향의 토크에 의해 회전판(12)은 개방 위치 스토퍼(27)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하여 대기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도어(2R)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판(12)이 잘못해서 인입 위치로 이동한 경우라도 복귀용 레버(30)를 손가락으로 눌러 회전판(12)을 개방 위치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어(2R)를 정상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회전판(12)이 정규 위치인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레버(30)는 커버(31)의 표면보다도 인입한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는 회전판(12)을 개방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장난이나 잘못된 조작에 의해 회전판(12)이 인입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2R)가 닫히지 않게 되는 일은 생길 수 없다.
「제5 실시 형태」
도17 내지 도20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를 도시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폐쇄 위치)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개방 위치)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폐쇄 위치)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이며 인출식 도어에 적용한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도어 개방 위치) 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식 도어에 도어 폐쇄 장치를 설치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도어 폐쇄 장치는 야채실 등의 인출식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의 제5 실시 형태를 도17 내지 도20에 의해 설명한다.
도17은 인출 도어(145)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도18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어 폐쇄 장치(10)의 구성은 도2 내지 도8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인출 도어(145)는 가이드 레일(14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출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인입핀(23)은 인출 도어(145)의 바닥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인출 도어(145)가 개방 위치로부터 148 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쇄되었을 때에는 도어 폐쇄 장치(10)에 설치된 회전판(12)의 오목부(24)에 끼워 맞추어 회전 감쇠 수단(70)에 의한 감쇠력을 받아 감속하면서 스프링(15)에 의해 인입되어 폐쇄된다. 또한, 인출 도어(145)가 폐쇄 위치로부터 147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하기 시작하였을 때에는, 인입핀(23)이 이동함으로써 도어 폐쇄 장치(10)에 설치된 회전판(12)이 회전하고, 인출 도어가 거리(S)만큼 인출된 위치에서 스프링(15)이 회전판(12)의 회전 중심(11)을 넘는 중성점에 이르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도6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인출 도어(145)를 앞으로 개방할 때에, 인입핀(23)이 회전판(23)을 회전시켜 스프링(15)을 인장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고, 개방 위치에서 회전판(12)은 스프링(15)이 중성점을 넘는 위치까지 회전하므로,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2)은 개방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인출 도어(145)를 폐쇄할 때는 개방량(S)이 될 때까지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폐쇄할 수 있고, 개방량(S)이 된 후에는 인입핀(23)이 회전판(12)에 설치된 오목부(24)의 내부로 진입하여, 회전판(12)을 회전시켜, 스프링(15)이 중성점을 넘을 때까지 회전시키면, 스프링(15)에 축적된 에너지를 개방하여 인출 도어(145)를 인입하고, 그 때에 회전 감쇠 수단(70)은 회전판(12)과 함께 회전하므로, 제동력이 발생하여 회전판(12)은 감속하고, 인출 도어(145)의 화살표(148) 방향으로의 속도를 감속한다. 인출 도어(145)는 스프링(15)에 인장되고, 또한 감속하면서 폐쇄되므로, 인출 도어(145)가 폐쇄되었을 때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출 도어(145)를 세게 급격히 폐쇄한 경우에도 충격음을 억제하여 정숙한 인출 도어로 할 수 있다.
도19와 도20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 폐쇄 장치를 인출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좌우의 가이드 레일(146)에 각각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구성예에 있어서는 도어 폐쇄 장치(10)가 2식 구비되어 있으므로, 인출 도어(145)를 좌우의 가이드 레일 근방의 양측으로부터 인입하므로 인출 도어의 인입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2도어식의 이른바 여닫이 형태의 냉장실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2도어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측 개방식 1도어식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작용 및 효과는 2도어식과 동등하다. 단, 도어의 질량이 2도어식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어 폐쇄 장치의 스프링이나 회전 감쇠 수단은 보다 강력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가정용 냉장고에 적용한 예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가정용 냉장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업무용 냉장고라도 같은 구성에 의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혹은 또한, 조리된 식품을 따뜻한 상태로 일시 보관하는 냉장고와 같이 개폐 도어를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된 식품 등을 출납하는 장치의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어, 같은 구성으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의 특징은 인입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또는 복귀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에 의해 인입 위치와 개방 위치의 쌍방에 있어서 그 위치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회전판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부는 개구부로 되어 있고, 도어에는 인입핀을 구비하고, 상기 인입핀은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는 회전판의 오목부의 회전 지지점의 근방까지 진입하여 하우징에 소정의 압박력으로 압박되고 있고,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면 인입핀이 도어와 함께 이동하여 회전판은 개방 위치까지 회전하여 위치를 보유 지지하고, 도어는 회전판과 핀과의 결합은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도어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에 맞물려 회전하는 감쇠 수단을 구비하고, 도어를 폐쇄할 때에는 도어가 하우징에 접하는 것보다 앞에서 일단 도어를 감속하여, 도어를 닫을 때의 충 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동작하였을 때에는 일방향 동작 덤퍼에 의한 감쇠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도어가 본체에 접촉하기 이전에는 감속하여 천천히 닫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이 적고, 정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 내에 수용된 식품끼리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힐 때는 스프링에 의해 도어를 닫는 방향의 힘이 가해져,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도어를 닫은 후에도 계속적으로 가해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반도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폐쇄할 때에 일방향성 동작 덤퍼에 의한 감쇠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될 때의 충격이 적어 정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 내에 수용된 식품끼리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을 때에, 스프링에 의해 도어를 닫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또한 도어 폐쇄 후에도 계속적으로 도어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반도어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개폐 가능하게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인입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도어 폐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폐쇄 기구는,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가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받침부가 상기 인입 부재와 이탈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판과,
    일단부를 상기 회전판에 타단부를 상기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 장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존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의 근방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받침부와 상기 인입 부재를 거쳐서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개폐 가능하게 냉장고 본체에 지지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인입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도어 폐쇄 수단을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이며,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회전판과, 일단부를 상기 회전판에, 타단부를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우징에 지지된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부하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가 수단을 갖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 가능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토글 동작시키도록 걸쳐지고,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로부터의 폐쇄 동작에 따라서 상기 인입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저항 부가 수단의 저항을 받아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에 감속을 부여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의 근방에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토글 동작으로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인입 부재를 거쳐서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가 수단은 상기 회전판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판에 대해 회전 부하 저항을 부가하지 않는 일방향 동작의 저항 부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저항 부가 수단은 상기 냉 장고 본체의 상면 하우징 상에서 서로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후크 부분과 코일 부분을 가진 코일 인장 스프링으로, 한쪽의 후크 부분이 상기 회전판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부분이 상기 회전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회전판을 그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 조작시키는 회전판 복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복귀 수단은 회전판의 일부를 돌출시킨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을 덮는 커버를 상기 냉장고 본체의 하우징에 설치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회전판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이 그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커버로부터 인입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부재와 접촉 또는 이탈하는 상기 오목부의 내주측에는 상기 도어에 가까운 측의 외측변과 상기 도어에 먼 측의 내측변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동작에 따라서 상기 인입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최초로 접촉하는 상기 내측변에 충격 완충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10.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폐쇄 수단은 상기 회전판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범위로 규제하는 개방 위치 스토퍼와 폐쇄 위치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상기 회전판의 일부는 상기 개방 스토퍼와 접촉하고, 상기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상기 인입 부재와 상기 오목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의 다른 부분은 상기 폐쇄 위치 스토퍼와 간극을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폐쇄 장치.
KR1020050075971A 2004-08-30 2005-08-19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KR100726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0304 2004-08-30
JP2004250304A JP4076528B2 (ja) 2004-08-30 2004-08-30 冷蔵庫扉閉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28A true KR20060053128A (ko) 2006-05-19
KR100726320B1 KR100726320B1 (ko) 2007-06-11

Family

ID=3611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971A KR100726320B1 (ko) 2004-08-30 2005-08-19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6528B2 (ko)
KR (1) KR100726320B1 (ko)
CN (1) CN1743774B (ko)
TW (1) TW2006079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114A (ko) * 2014-02-13 2016-10-26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도어용 베어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4191B2 (ja) * 2007-02-09 2009-12-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384189B2 (ja) * 2007-02-09 2009-12-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861926B2 (ja) * 2007-08-02 2012-01-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200463723Y1 (ko) * 2007-11-06 201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269720B2 (ja) * 2009-03-26 2013-08-2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8888203B2 (en) 2011-05-23 2014-11-18 Hefei Midea Refrigerator Co., Ltd. Door closure structure for rotary door and side-by-side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CN104329902A (zh) * 2014-06-30 2015-02-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JPWO2018143261A1 (ja) * 2017-02-01 2019-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EP3853539A1 (en) * 2018-09-18 2021-07-28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having a doo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CN109160095B (zh) * 2018-10-15 2023-12-01 江苏日升环保工程有限公司 畜禽收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62A (ko) * 1994-10-26 1996-05-22 배순훈 냉장고의 도어개방시 자동경보/폐쇄장치
KR19990049652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도어자동폐쇄장치및그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114A (ko) * 2014-02-13 2016-10-26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도어용 베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7968A (en) 2006-03-01
KR100726320B1 (ko) 2007-06-11
JP4076528B2 (ja) 2008-04-16
CN1743774A (zh) 2006-03-08
TWI301882B (ko) 2008-10-11
CN1743774B (zh) 2010-05-05
JP2006064341A (ja)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32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KR100753731B1 (ko) 냉장고
JP2007132605A (ja) 冷蔵庫及び扉閉鎖装置
EP3382304B1 (en) Refrigerator
US6135173A (en) Ice dispenser for refrigerator
JP4143568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または扉閉鎖装置
EP3604990B1 (en) Refrigerator
CN114370739B (zh) 冰箱
JP4215805B2 (ja) 冷蔵庫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JPWO2006006707A1 (ja) 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20210046859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4384187B2 (ja) 冷蔵庫
WO2009061092A2 (en) Container of refrigerator
JP2005127527A (ja) 扉開閉装置
KR101275945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100610505B1 (ko) 냉장고
JP2006118859A (ja) 冷蔵庫
CN108991943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门体缓冲装置
JP4366410B2 (ja) 冷蔵庫
JP2006118858A (ja) 冷蔵庫
JP2006118858A5 (ko)
JP2006057904A (ja) 冷蔵庫
KR100848992B1 (ko) 냉장고
KR20090080346A (ko)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