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949A -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949A
KR20060052949A KR1020067002093A KR20067002093A KR20060052949A KR 20060052949 A KR20060052949 A KR 20060052949A KR 1020067002093 A KR1020067002093 A KR 1020067002093A KR 20067002093 A KR20067002093 A KR 20067002093A KR 20060052949 A KR20060052949 A KR 2006005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primer composition
compound
silane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프헬 테이세이레
Original Assignee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filed Critical 시카 테크놀러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5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61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8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8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A1)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A1)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 아래 화학식(Ⅰ)의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7
적어도 하나의 실란(B),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들을 갖는 교차결합제(C)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접착제, 밀봉 화합물 또는 바닥 커버링재,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실란 하이브리드에 기초한 폴리우레탄 밀봉재 또는 1성분의 습윤 경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특히 연장된 오픈 타임과 함께 유리와 유리 세라믹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제, 프라이머 조성물

Description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 조성물{ISOCYANATE-FREE PRIMER COMPOSITION FOR GLASS AND GLASS CERAMICS}
본 발명은 접착제 또는 밀봉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 코팅물, 밀봉제, 바닥재등은 반응성 결합제를 기초로 한다. 일부 기판들에 대한 이들 반응성 결합제들의 접착력은 종종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러므로, 소위 "프라이머(primers)"를 사용한다. 프라이머는 기판과 사용되는 결합제들 사이에서 접착 가교 역할을 한다. 프라이머는 또한 화학적으로 반응계로서 기판에 도포된다.
기판과 프라이머의 설정된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프라이머에는 접착제 또는 다른 반응성계가 도포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결합되고 필름을 형성하도록, 소위 "플래시 오프 타임(flash off time)"의 한정된 시간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제의 이용은 프라이머에 대한 접착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소위 "오픈 타임(open time)" 동안의 제약을 받게 된다. 오픈 시간을 초과할 때에는 프라이머에 대한 접착력이 확보되지 않는다. 이러한 오픈 타임은, 프라이머와 접착제의 도포들 사이의 가변적으로 긴 기간이 유지되고 접착제의 경화후 접합물들의 접착력이 결정되는 시험들에서 결정된다. 프라이머와 접착제 또는 다른 반응기제 사이의 접착 모델은 이들 재료들 사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산업 현장에서 보다 신속히 그리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통풍 시간이 가능한 짧아야 한다. 이것은 기판과 프라이머의 접착 고정이 가능한 신속히 이루어져서 접착제 또는 다른 어떤 반응 기제의 도포가 가능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기술적인 결함이나, 이동의 말기 또는 주말인 때문에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되어서, 프라이머의 도포와 접착제 또는 다른 어떤 반응 기제의 도포 사이에 수시간 이상에서 수일 또는 수주일이 경과될 수도 있다. 이것은 연속적으로 시행되는 산업 이용에 특히 장애가 된다. 더욱이, 자동차 공업에서의 경향이 조립라인에서 공급자의 공장으로 전처리된 것을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공급자의 공장에서의 프라이머 도포와 제조 공장에서의 접착제 도포 사이에 수주일에 이르는 오픈 타임이 경과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양호한 접착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프라이머가 장기의 오픈 타임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유리와 유리 세라믹들은 접합기술분야,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극히 중요한 기판이다. 이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기반의 프라이머가 사용된다. 한편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독성에 대한 논쟁의 주제가 되는 한편, 반응성 물질ㄹ이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는 대기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프라이머의 도포후 단기간내에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의 수가 매우 크게 감소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반의 프라이머는 짧은 오픈 타임의 경우에만 적 당하다.
미국 특허 제 4,963,614호는 카본 블랙과 함께 필름 형성 성분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실란을 함유하는 유리용 프라이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란-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반응 생성물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제공되지 않아서, 특히 가습 상태의 보관후 사용하는 경우에 도포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접합 특성이 매우 약한 문제가 있다. 이들 프라이머들의 오픈 타임에 대한 데이타는 제공되지 않았다.
미국 특허 제 5,109,057호는 NCO-반응성 관능기들을 구성하는 실란과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을 수반하는 폴리우레탄 전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프라이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는 개선된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 프라이머의 오픈 타임에 대한 데이타는 제공되지 않았다.
WO 02/059224 A1에는 2성분 프라이머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프라이머는 알콕시 실란과 2.5 내지 5.0의 평균 NCO-관능성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와 8 - 27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제 2 성분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들에 반응성인 라커수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알콕시 실란으로서 주요한 아미노 실란이 개시되지 않았다.
본 기술분야에서 장기간의 오픈 타임과 유리 및 유리 세라믹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유리 프라이머를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유리용 프라이머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기의 오픈 타임을 갖고 유리와 유리 세라믹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갖는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예상외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프라이머 도포와 접착제의 도포들 사이에 짧은 대기 시간에도 양호한 접착력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A1)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화학식(Ⅰ)의 적어도 하나의 실란(B),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들을 갖는 교차결합제(C)와 함께 화합물(A1)을 생성하도록 사용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능기들을 각각 갖는 분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등의 접두사 "폴리"로 표시된다.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들"이란 용어에서, 필요한 경우 적당한 촉매의 제공하에 실온 또는 100℃ 까지의 온도에서 알리패틱 또는 아로마틱 이소시아네이트기들과 반응하는 화학적 관능기들로 이해된다.
화합물(A1)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을 갖는다. 특히, 3, 4, 5 또는 6, 특히 3 또는 4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존재한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들은 2000g/mol 미만, 특히 1000g/mol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은 특히 400 내지 9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저분자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들은, 3개 이상의 NCO-관응성으로 되는 디 이소시아네이트를 초과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들과 저분자량의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 첨가물이다.
한편으로는, 그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올-첨가물들의 예는 후술하는 교차결합제(C)로서의 폴리올과 알리패틱 또는 아로마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의 첨가물이다. 특히 언급되는 첨가물은 폴리올로서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롤프로판으로부터의 첨가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의 HDI 또는 IPDI 등이다.
다른 한편으로, 첨가물들은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저분자량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들이다. 예를들어, (Dow의) Voranate M-580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과 같은 MDI 폴리머 (4, 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등이 있다.
특히 적당한 저분자량 폴리머 단량체들은
- 예를들어 Desmodur N-3300(Bayer), Desmodur N-3600(Bayer), Luxate HT 2200 (Lyondell) 또는 Desmodur N-100 (Bayer), Luxate HDB 9000(Lyondell)등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HDI;
- 예를들어 Desmodur Z 4470 (Bayer), Vestanat T 1890/100 (Huls), Luxate IT 1070 (Lyondell)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IPDI;
- 예를들어 Desmodur IR (Bayer)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TDI;
- TDI/HDI
등이다.
특히, 그러한 단량체들은 저분자량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레트들과 이소시 안우레이트들이 바람직하다. 이에 적당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2,4- 및 2,6-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이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와 그 위치적 이소머들,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2,2,4- 및 2,4,4-트리메틸-1,6-헥사메틸렌오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톡시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부탄-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사아나토-3,3,5-트리메틸-5-이소시나토메틸시콜로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 및 상기 아로마틱 화합물의 수소화 화합물등이다. 디이소시아네이트들의 혼합물들 또한 비우레트들과 이소시아네이트들을 생성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HDI, IPDI, TDI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단량체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비우레트(biuret)이다. 특히 HDI의 이소시안우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화합물(A1)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실란(B)은 아래 화학식(Ⅰ)을 갖는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1
상기 화학식(Ⅰ)에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낸다. 또한, R2는 H, C1-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내고, R3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낸다. X(1)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들을 수반하는 유 기 잔류물을 나타내며, 적어도 1차 아미노기를 갖는 유기 잔류물 또는 1차 아미노기이다. 바람직한 것은 X(1)은 NH2이다.
R1은 메틸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것은 R3=OR1이며,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은 R3=R2=OR1인 것이다.
화학식(Ⅰ)의 실란(B)로서 적당한 예들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로서, 화합물(A1)의 생성을 위하여 화학식(Ⅰ)의 실란에 더하여 아래 화학식(Ⅰ')의 적어도 다른 실란이 사용된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2
화학식(Ⅰ')에서, R4는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낸다. 또한, R5는 H, C1-내지 C4-알킬 또는 OR4을 나타내고, R6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을 나타낸다. X(2)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을 수반하는 유기 잔류물을 나타내며, 1차 아미노, 머캅토 또는 하이드록실기 또는 1차 아미노, 머캅토 또는 하이드록실기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잔류물을 나타낸다. X(2)는 SH 또는 NH2인 것이 바람직하다.
R4는 메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5= OR4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R6 =R5= OR4인 것이다.
화학식(Ⅰ')의 적당한 실란(B)의 예들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머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등이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여러가지의 실란들이 이용되는 경우에, 이들은 혼합물로서 사용되거나 화합물(A1)의 제조중에 다른 시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다른 실란(B)들이다. 두가지의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등이 화합물(A1)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1)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교차결합제(C)는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을 갖는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은 모두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것으로 될 수도 있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은 1차 아미노기(NH2) 2차 아미노기(NH), 머캅토기(SH) 또는 하이드록실기(OH)에서 선택된다. 머캅토기 또는 하이드록실기가 바람직하다.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존재하지만, 그러나 더 많이, 특히 3, 4, 5 또는 6이 될 수도 있으며, 3 또는 4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교차결합제(C)는 폴리올, 특히 트리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결합제(C)는 90 - 1000g/mol, 특히 90-500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50g/mol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폴리올의 경우에 OH-등가량인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와 관련하여, 30-350g/eq의 등가량, 특히 30-170g/eq,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5g/eq의 등가량을 갖는 것이다.
보다 높은 분자량과 각각의 등가량들은 덜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흔히 프라이머의 필름 특성이 약화되고, 높은 점도와 약한 내구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교차결합제의 예로는, 펜타에리트리트(pentaerythrite) (=2,2-비스-하이드록 시메틸-1,3-프로판디올), 디펜타에리트리트 (=3-(3-하이드록시-2,2-비스 하이드록시메틸-프로폭시)-2,2-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올), 글리세롤 (=1,2,3-프로판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에탄 (=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1,3-프로판디올, 디(트리메틸올프로판) (=3-(2,2-비스-하이드록시메틸-부톡시)-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1-올), 디(트리메틸올에탄) (=3(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롭시)-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판-1-올), 디글리세리 (= 비스-(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에테르), 트리글리레린 (= 1,3-비스-(2,3-디하이드록시프로필)-2-프로파놀; 티오글리세린 (=머캅토-1,2-프로판디올), 2,3-디머캅토-1-프로파놀;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민) 또는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트리스-(2-하이드록시프로필)-아민).
교차결합제(C)는 트리메틸프로판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A1)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화합물(A1)은, 실란(B)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에 관련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의 화학량론적으로 잉여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에서 화학식(Ⅰ)의 적어도 하나의 실란(B)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로부터 미리 형성된 중간 생성물(AB)와 교차결합제(C)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제조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경우에 대하여 단순화된 아래 반응 도식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것은 예시적인 목적일뿐이며, 여러가지의 반응 상대물과 화학량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변형예를 포함 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3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4
본 예에서는 두가지의 분자(B)들이 도시되어 있다. 잔류물에 대한 여러 기호들의 이용은 잔류물이 화학식(Ⅰ)에서 변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X(1)과 X(2)는 화학식(Ⅰ)과 (Ⅰ')에 따라 가능한 잔류물에 해당한다.
여기서 R은 모든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의 제거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를 나 타낸다. Y는 교차결합제(C)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를 나타내고, R'는 모든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이 제거된 후 교차결합제(C)를 나타낸다. X1, 각각의 X2, 각각의 Y1 는 각각 이소시아네이트, 즉 특히 바람직한 우레아, 우레탄 또는 티오카바메이트 기들과 X(1), X(2), Y들과 각각 반응함으로써 생성된 관능기를 나타낸다.
지수 n과, q 각각은 이에 대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된 값들과 일치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과 교차결합제(C)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을 표시한다.
더욱이, p와, n-p-1은 각각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의 얼마나 많은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중간 생성물(AB)를 형성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실란(B)과 결합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숫자 p는 0과 n-1 사이의 값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란(B)들중 하나는 p=0과 p=n-1의 경우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에 단순히 결합된다.
중간 생성물(AB)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반응하지 않은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생성물(AB)은 오직 하나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는 상기한 반응 도식에서 나타나 있다. 만일 여러개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일반적인 경향과 같이 중간생성물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분자가 좀더 커지게 되고 점도도 커지게 된다.
끝으로, 지수 m은 화합물(A1)이 얼마나 많은 유리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를 갖는지를 표시한다. 지수 m은 특히 q - m ≥2인 q에 따라 값 1, 2, 3 또는 4를 갖는다. m이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중 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생성물(AB)은 적어도 하나의 실란(B)의 참여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의 실란(B)도 특히 2 또는 3개의 실란이 참여할 수도 있다. 중간생성물(AB)는 두가지 다른 실란(B)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학식(Ⅰ)의 두가지 실란들은 다른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 X(1)와 X(2)들을 갖는다.
여러가지의 실란(B)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들 실란들은 제조시 혼합물로서 직접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먼저 하나의 실란이 첨가되고, 두번째 또는 다른 실란이 다른 공정 단계에서 반응 대상물에 첨가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합물(A1)은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를 갖는다. 그러한 반응기는 여러 개일 수도 있다. 특히, 그러한 반응기는 1, 2, 3 또는 4개, 특히 1 또는 2개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1개의 반응기를 갖는 것이다. 이소시안이트-반응기는 특히 1차 아미노기(NH2), 2차 아미노기(NH), 머캅토기(SH) 또는 하이드록실기(OH)이다. 그러한 반응기는 머캅토기 또는 하이드록실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1)은 그러한 반응기를 여러개 갖는 경우, 이들 반응기들은 모두 같거나 도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화합물은 교차결합제(C)에 의해 교차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프라이머 화합물 뿐만 아니라 화합물(A1)도 어떠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기본적으로 더이상 함유하지 않는, 즉 유리 NCO가 바람직하다.
교차결합제(C)와 중간 생성물(AB)의 반응에서 화합물들은 화학양론적 비율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차결합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이 중간생성물(AB)의 이소시아네이트기들에 대하여 화학양론적으로 과잉인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비율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5
비율 r은 100% 보다 큰 값으로 된다. 상한값은 중간생성물(AB)와 교차결합제(C) 사이에 1:1 첨가물이 형성되는, 즉 교차결합제가 더 이상 교차결합기능을 하지 않는 값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r의 값은 교차결합된 화합물의 기본 성분들이 존재하도록 명백히 상한값 보다 낮아야 한다. 너무 많은 1:1 첨가물 분자가 존재하게 되면, 프라이머의 안정성이 현저히 약화된다. 1;1 첨가물들의 성분은 화합물(A1)에 대하여 20% 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r의 값은 또한 최종 생성물(A1)의 유리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들의 수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화합물(A1)에 더하여,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생성물이 형성되는 한편, 비-가교반응 생성물, 즉 교차결합제(C)와 중간 생성물(AB)의 1:1 첨가물들이 형성되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해될 것이다.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들의 량은 가능한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r의 값들은 특히 교차결합제(C)가 3 관능성 분자이고 중간 생성물(AB)들이 하나의 NCO-기를 함유하는 경우에 100%와 300% 사이에 있게 된다.
여기서, 105% - 200%, 바람지하게는 105% - 150%의 값이 찜질 상태에서 안정 성있는 프라이머를 얻도록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화학식(Ⅱ)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화학식(Ⅱa)의 비우레트, 화학식(Ⅲ) 및 (Ⅳ)의 두가지 실란들, 및 화학식(Ⅴ)의 트리메틸올프로판들로부터 생성되는 화합물(A1)을 포함하는 것이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6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7
여기서, 잔류물(R1, R2, R3, R4, R5, R6)들은 앞에서 정의된 잔류물들을 나타낸다. R"은 2가의 잔류물이며, 특히 알리패틱 알켄 잔류물,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잔류물을 나타낸다.
중간 생성물(AB)은 2단계 공정, 특히 머캅토실란이 제 1단계에서 먼저 사용되고 아미노 실란이 2단계에서 사용되는 2단계 공정에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화합물(A1)은 화학식(Ⅴ) 및 화학식(Ⅶ)로 나타내질 수 있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8
Figure 112006007113080-PCT00009
화합물(A1)은 적어도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를 갖는다. 그러한 관능기를 여러개 가질 수도 있다. 특히, 1, 2, 3 또는 4의 관능기들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다. 이 소시아네이트 반응기는 1차 아미노기(NH2), 2차 아미노기(NH), 머캅토기(SH) 또는 하이드록실기(OH)이다. 그러한 반응기는 머캅토기(SH) 또는 하이드록실기(OH)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A1)은 그러한 반응기를 여러개 갖는 경우, 이들 반응기들은 모두 같거나 도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화합물(A1)에 더하여,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생성물이 형성되는 한편, 비-가교반응 생성물, 즉 교차결합제(C)와 중간 생성물(AB)의 1:1 첨가물들이 형성되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해될 것이다.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들의 량은 가능한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 1차 프라이머 조성물은 실온에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불활성인 적어도 하나의 솔벤트(LM1)를 포함한다. 이 솔벤트는 화합물(A1)와 각각의 중간 생성물(AB)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벤트는 프라이머 형성에, 필요한 경우 화합물(A1)의 생성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솔벤트는 휘발성 솔벤트로서 크실렌, 톨루엔, 메시틸렌과 같은 아로마틱 솔벤트에 첨가되며, 에스테르, 특히 아세테이트와 케톤들을 포함한다. 상기 솔벤트는 크실렌, 톨루엔, 아세톤, 헥산, 헵탄, 옥탄, 메틸에틸 케톤, 메틸프로필 케톤, 메틸이소프로필 케톤, 메틸부틸 케톤, 디에틸 케톤, 디이소프로필 케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2-(2-메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이들 솔벤트들은 혼합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솔벤트(LM2)가 화합물(A1)의 생성후에 프라이머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들 솔벤트들은 이소시아네이트들에 반응될 수 있다. 이들 솔벤트들은 100℃ 미만의 비등점을 갖는 약간 휘발성인 솔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놀, 에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2차 부타놀과 같은 알콜들이 이에 적합하다. 이소프로파놀이 특히 적합하다.
솔벤트들은 주로 플래시 오프 태양의 최적화와 함께 점도의 감소를 위하여 사용된다.
더욱이, 프라이머 조성물은 결합제(coupling agent)(HV)를 포함할 수 있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또는 실란등이 그러한 결합제의 예이다. 특히, 결합제들은 실리콘-유기 화합물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알콕시 실란, 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알콕시 실란, 비닐트리알콕시 실란과 같은 실란(B)들은 바람직한 실리콘-유기 화합물이다.
트리알콕시 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결합제는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트리알콕시 실란, 특히 1차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비닐기로 이루어진 트리알콕시 실란등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프라이머 조성물은 촉매(KAT), 특히 틴(tin)-유기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촉매들은 통상 폴리우레탄 촉매들이다. 틴-유기 촉매는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클로라이드, 틴티오에스테르 복합물, 모노-n-부틸틴트리클로라이드, 디-n-부틸틴 옥사이드, 디-n-부틸틴디아세테이트 및 디부틸틴카복실레이트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프라이머 조성물은 예를들어 실리카, 탈크(talc), 초크(chalks) 및 카본 블랙등과 같은 필러(F)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중 바람직한 필러는 카본 블랙이다.
더욱이, 프라이머 화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첨가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로는 자외선 및 열 안정제, 유동성 조절제, 필름 형성제, 틱소트로핑제와 화학적 및 물리적 건조제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프라이머 조성물은 화합물(A1)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솔벤트(LM1),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HV), 촉매(KAT) 및 필러(F)로서 카본 블랙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조성물은 습기를 배제시킨 상태로 생산 및 보관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여러가지의 기판들용으로 적합하며, 특히 유리, 유리 세라믹, 여러가지의 플라스틱과 함께 금속 및 합금의 기판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특히 자동차 산업에 사용되는, 유리와 유리 세라믹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프라이머를 도포하기전에 기판들을 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전처리방법은 예를들어 폴리싱, 샌드블라스팅, 브러싱등에 의한 물리적 전처리와 청정제, 솔벤트, 결합제, 결합제의 용해제등에 의한 화학적 전처리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는 브러시, 펠트, 천 또는 스폰지에 의해 기판에 도포된다. 이러한 도포는 수동으로 수행하거나 특히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프라이머 조성물의 여러 층이 도포될 수 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1성분의 습윤 경화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 폴 리우레탄 도는 폴리우레탄-실란-하이드라이드에 기반한 밀봉재, 바닥재용의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프라이머의 바람직한 이용분야는 산업적으로 미리 준비된 요소들을 결합하는 분야이다. 특히 공급자의 공장에서 프라이머가 도포되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70에서 100%의 상대 대기습도에서 7일간의 보관의) 찜질식 테스트에 의한 심한 스트레스 후에도 본래 접합상태로 남아 있는 유리 및 유리 세라믹들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으로 특징된다. 더욱이, 프라이머는 한달 이상의 장기간에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것으로 특징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가 통상 30초의 짧은 플래시 오프 타임 뒤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주목할만 하다.
원료 출처
메틸-에틸케톤("MEK") Scheller, Thommen
4-톨루엔설포닐이소시아네이트("TI") Bayer
Desmodur N100("N100")(NCO-함유량 22%) Bayer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Silquest A-1110) ("아미노실란") Osi Crompton
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Dynasilan A-1189) ("이차 아미노실란") Dehussa-Huls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Silquest A-189) ("머캅토실란") Osi Crompton
비닐트리메톡시실란 (Silquest A-171) ("비닐실란") Osi Crompton
트리메틸올프로판 BASF
디부틸틴디라우레트 Rohm & Haas
프라이머 조성물
프라이머 조성물의 생성예 : P-01
예비적 단계로서, Desmodur N100 161.8g을 54.2g의 머캅토 실란과, 크실렌과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의 1:1-솔벤트 혼합물에서 불활성 분위기에서 4시간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반응시킨다. 이때 머캅토 실란은 서서히 첨가된다.
후속적인 단계에서, 아미노 실란 64g을 불활성 분위에서 649gdml 메틸에틸 케톤과 함께 5g의 건조제의 존재하에서 상기한 제1단계의 생성물속에 서서히 방울방울 떨어뜨린다. 이러한 반응이 종결된 다음, 11.5g의 트리메틸 프로판을, NCO 함량을 측정할 수 없을 때까지 상승된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한다. 반응 종기에 촉매와 비닐 실란과 같은 추가 성분들을 첨가한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0
표 1. 프라이머 조성물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1
표 1a. 프라이머 조성물(대조)
다른 예(P-02 내지 P-08)들은 상기한 표1에 표시된 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준비되었다.
참조예(Ref)들은 교차결합제(C)가 없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예(Ref-1, 또는 Ref-2)는 예(P-01 또는 P-08)에 대응되며, 여기서 일차 아미노실란은 같은 몰(mole)량의 2차 아미노실란으로 대체되었다. 참조예(Ref-3)는 예(P-01)에 대응되며, 여기서 일차 아미노실란은 같은 몰 량의 머캅토실란으로 대체되었고 따라서 일차 아미노실란을 함유하지 않는다.
기판의 준비와 프라이머의 도포
기판 출처
평판 유리 독일 회사 Rocholl, Schonbrunn
세라믹 기반의 비스무스를 갖는 유리 독일 회사 Rocholl, Schonbrunn
코팅 Cerdec 14259
기판들은 이소프로파놀/물(중량비(w/w)로 1/1)의 혼합물로 세정되었다. 5분의 경과시간후 프라이머가 도포되었다. 유리의 틴(주석)이 없는 면이 접착 시험용으로 사용되었다.
접착제의 도포와 시험 방법
프라이머의 도포후 표2에 표시된 대기시간(t)의 경과후, 접착제가 그 프라이머 위에 도포되었다. Sika Schweiz AG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아래의 습윤 경화 폴리우레탄- 또는 실란-개질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Sikaflex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2
-250 HMA-1 ("HMA-1")
Sikaflex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3
-250 DM-1 ("DM-1")
Sikaflex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4
-250 DM-2 ("DM-1")
Sikaflex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5
-555 ("SF-555")
접착제의 시험은 분위기가 설정된 방에서 ("KL")(23℃, 50%의 상대습도) 7일간의 경화기간이 경과된 후, 그런 다음 70℃, 100%의 상대습도에서 7일간의 찜질 상태의 보관("CP")을 통해 수행되었다.
접착제의 접착력은 "비드 테스트"(bead test"에 의해 시험되었다. 이를 위하 여, 접합 표면의 접착제 표면위에 끝부분을 절개하였다. 비드의 절단된 단부는 둥근 플라이어(pliers)로 유지되고 기판으로 부터 당겨졌다. 이것은 플라이어의 팁들에서 비드를 조심스럽게 말고 기판이 드러날 때까지 비드의 방향에 직각으로 절단면을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비드를 벗겨내는 비드 속도는 매 3초에 절단부가 만들어지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시험 거리는 적어도 8cm이 되어야 한다. 평가는 접착제를 벗겨낸 다음(접착 실패), 기판에 남아 있는 접착제의 잔량에 기초한다. 접착제 특성에 대한 평가는 접착 표면에서의 접착력 부분을 평가함으로써 수행된다.
1 = > 95% 접착실패
2 = 75 - 95% 접착실패
3 = 25 - 75% 접착실패
4 = < 25% 접착실패
접착제가 프라이머와 접착제 사이에 분리되는 프라이머상의 필름 접착을 보이는 것은 "FH"로 표시하였다. 프라이머가 기판으로부터 벗겨져서 기판에 대한 프라이머의 접착력이 항복점을 보이는 것은 "P"로 표시하였다. 시험결과는 75% 미만의 접착실패는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평가된다.
결과
표2는 프라이머와 접착제의 도포들 사이의 대기시간을 나타내는 짧은 오픈 타임(1분, 10분)과 장기간의 오픈 타임(1주, 2주, 1달)에 대하여 예(P-01 내지 P-07)들과 비교예(Ref.)의 유리에 대한 접착 시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6
표 2. 여러 오픈 타임을 갖는 프라이머의 접착 결과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7
표 3. 유리와 유리 세라믹들에 대한 접착력
표2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가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특징을 보여준다. 더욱이, 예(P-06)는 다른 예(P-01 내지 P-05)들과 비교하여, 특히 짧은 오픈 타임에서 상당히 약한 접착력을 나타내지만, 프라이머가 없는 예들과 함께 비교예(Ref)들 보다는 여전히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표3은 유리와 유리 세락믹들 사이의 비교에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가 유리와 유리 세라믹들 모두에서 매우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약간 개질된 접착제 Sikaflex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8
-555의 경우에, 접착제가 유리 세라믹들에서도 분위기가 조절된 보관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찜질 상태에서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프라이머(P-05)의 경우에, 필름 접착이 발생되는 결과의 접착력의 항보점을 나타내었지만, 프라이머가 기판에 대해서 우수한 접착력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10%의 카본 블랙이 충진된 프라이머(P-01f)는 프라이머(P-01)에 기초하여 생산되었다. 여러 장기적인 보관 뒤의 접착력 결과가 표4에 표시되어 있다. 프라이머는 전술한 온도에서 표에 표시된 기간동안 보관된 다음 후속적으로 유리에 도포되었다. 전술한 오픈 타임의 경과후, 결과적인 접착제가 도포되어 7일간의 경화기간을 거친 후, 그리고 후속적으로 7일간의 찜질 상태의 보관기간을 거친후 시험을 하였다.
Figure 112006007113080-PCT00019
표 4. P-01f의 오픈 타임과 보관 기간의 함수로서의 접착력
표4의 결과로부터 프라이머가 장기 보관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장기의 오픈 타임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가속화된 에이징(ageing), 즉 50에서 1달의 에이징 결과는 접착력이 장기간의 오픈 타임에서 저하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은 장기간의 오픈 타임을 갖고 특히 유리와 유리 세라믹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가지며, 프라이머 도포와 접착제의 도포들 사이에 짧은 대기 시간에도 양호한 접착력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6)

  1. 아래의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들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
    - 아래 화학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실란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0
    여기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R2는 C1-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내고,
    R3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내며,
    X(1)은 1차 아미노기 또는 1차 아미노기를 수반하는 유기 잔류물을 나타냄;
    -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들을 갖는 교차결합제(C)
    들을 사용하여 생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들을 함유하는 화합물(A1)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를 포함하는 화합물(A1)을 생성하기 위하여 아래 화학식(Ⅰ')의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1
    여기서, R4는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R5는 H, C1-내지 C4-알킬 또는 OR4을 나타내고,
    R6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을 나타내며,
    X(2)는 1차 아미노 또는 머캅토 또는 하이드록실기 또는 적어도 아미노 또는 머캅토 또는 하이드록실 기들을 수반하는 유기 잔류물을 나타냄,
    적어도 다른 실란(B)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실란(B)에서 R5= OR4 , 특히 R6 =R5= OR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실란(B)에서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5. 제 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2)는 실란(B)에서 SH, NH2 또는 OH, 특허 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유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비우레트 또는 하나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알리패틱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B)에서 R3=OR1, 특히 R3=R2=OR1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B)에서 R1=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바람직하게는 모두 동일하며 SH, OH, NH 또는 NH2들에서 선택된, 교차결합제(C)의 적어도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관능기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결합제(C)는 폴리올, 특히 ㅌ트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결합제(C)는 30-350 g/eq, 특히 30-170 g/eq, 바람직하게는 30-65 g/eq의 OH 등가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결합제(C)는 90-1000 g/mol, 특히 90-500 g/mol, 바람직하게는 120- 15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5.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1)은 교차결합제(C)의 반응 생성물이고, 중간생성물(AB)는 이소시아네이트기들을 가지며 실란(B)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들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의 화학량론학적으로 잉여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상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와 화학식(Ⅰ)의 적어도 실 란(B)로부터 미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1)은 아래 화학식(Ⅵ) 또는 (Ⅶ)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2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3
    여기서, R"은 2가의 잔류물이며, 특히 알리패틱 알킬렌 잔류물,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잔류물을 나타내고,
    R4는 R1,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며,
    R5는 R2,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내고,
    R6는 R3,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냄.
  1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1)에 더하여, 결합제, 특히 실리콘-유기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트리알콕시 실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1차 아미노기들을 수반하는 트리알콕시 실란이며, 특히 1차 아미노기들을 수반하는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비닐기들을 갖는 트리알콕시 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1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1)에 더하여, 촉매, 특히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 틴 디클로라이드, 틴-티오에스테르 복합물, 모노-n-부틸틴트리클로라이드, 디-n-부틸틴 옥사이드, 디-n-부틸틴디아세테이트 및 디부틸틴카복실레이트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틴(tin)-유기 촉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A1)에 더하여, 실온에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지 않는 솔벤트가 제공되며, 상기 솔벤트는 크실렌, 톨루엔, 아세톤, 헥산, 헵탄, 옥탄, 메틸에틸 케톤, 메틸프로필 케톤, 메틸이소프로필 케톤, 메틸부틸 케톤, 디에틸 케톤, 디이소프로필 케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및 2-(2-메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필러, 특히 카본 블랙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2.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4
    여기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R2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내고,
    R3는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1을 나타내고,
    R4는 R1,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며,
    R5는 R2,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내고,
    R6는 R3,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내며,
    R은 모든 이소시아네이트가 제거된 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를 나타내고,
    X1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우레아, 우레탄 또는 티오카바메이트기들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X2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우레아, 우레탄 또는 티오카바메이트기들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Y1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특히 우레아, 우레탄 또는 티오카바메이트기들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를 나타내고,
    Y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기, 특히 NH2, SH 또는 OH를 나타내고,
    n은 값 3, 4, 5 또는 6, 특히 3 또는 4를 나타내고,
    q는 값 3, 4, 5 또는 6, 특히 3 또는 4를 나타내고,
    p는 0과 n-1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m은 특히 q - m ≥2가 되게 선택된 1, 2, 3 또는 4, 특히 1 또는 2인 값을 나타냄.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아래 화학식(Ⅵ) 또는 (Ⅶ)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5
    Figure 112006007113080-PCT00026
    여기서, R"은 2가의 잔류물이며, 특히 알리패틱 알킬렌 잔류물,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잔류물을 나타내고,
    R4는 R1,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며,
    R5는 R2,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내고,
    R6는 R3, H, C1- 내지 C4-알킬 또는 OR4를 나타냄.
  24. 제 1항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접착제, 밀봉물 또는 마루바닥재용, 특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실란-하이브리드에 기초한 밀봉물 또는 1성분 습윤 경화 폴리우레탄 접착제용 프라이머로서 사용하는 방법.
  25. 제 1항 내지 21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은 브러시, 펠트, 천 또는 스폰지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또는 로봇에 의해 기판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하는 방법.
KR1020067002093A 2003-07-31 2004-07-30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조성물 KR20060052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7308.2 2003-07-31
EP03017308A EP1502927A1 (de) 2003-07-31 2003-07-31 Isocyanatfreie Primerzusammensetzung für Glas und Glaskerami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949A true KR20060052949A (ko) 2006-05-19

Family

ID=3352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093A KR20060052949A (ko) 2003-07-31 2004-07-30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83196B2 (ko)
EP (2) EP1502927A1 (ko)
JP (1) JP4394685B2 (ko)
KR (1) KR20060052949A (ko)
CN (1) CN1829755A (ko)
AU (1) AU2004260892A1 (ko)
CA (1) CA2533617A1 (ko)
ES (1) ES2392052T3 (ko)
MX (1) MXPA06000766A (ko)
PL (1) PL1651698T3 (ko)
WO (1) WO2005012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5B1 (ko) * 2007-11-13 2010-03-15 주식회사 에이치알에스 광확산성 실리콘층을 도포한 전등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8843A1 (de) * 2003-06-26 2005-01-27 Wacker-Chemie Gmbh Grundiermittel für Siliconkautschuk
CN101605857B (zh) * 2006-11-20 2012-08-08 Sika技术股份公司 含有硅烷反应产物的增粘剂
PL2102263T3 (pl) 2006-12-19 2011-12-30 Basf Coatings Gmbh Środek powłokowy o wysokiej odporności na zadrapania i odporności na działanie czynników atmosferycznych
US20080206454A1 (en) * 2007-02-27 2008-08-28 Insight Equity A.P.X., L.P. (Dba Vision-Ease Lens) Composition Of Primer Solution For Use With An Optical Article And Method Of Priming An Optical Article
DE102007061854A1 (de) 2007-12-19 2009-06-25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mit hoher Kratzbeständigkeit und Witterungsstabilität
DE102007061855A1 (de) 2007-12-19 2009-06-25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mit hoher Kratzbeständigkeit und Witterungsstabilität
DE102007061856A1 (de) * 2007-12-19 2009-06-25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mit hoher Kratzbeständigkeit und Witterungsstabilität
WO2009113485A1 (ja) * 2008-03-10 2009-09-17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DE102008030304A1 (de) 2008-06-25 2009-12-31 Basf Coatings Ag Verwendung teilsilanisierter Verbindungen auf Polyisocyanatbasis als Vernetzungsmittel in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und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enthaltend die Verbindungen
EP2617690B1 (en) * 2012-01-19 2017-11-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decorating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US9040622B2 (en) * 2012-05-03 2015-05-26 Ppg Industries Ohio, Inc. Solvent-based primer solution based on silylated polyurethane (SPUR) chemistry for polycarbonate substrates
HUE042411T2 (hu) * 2012-09-04 2019-06-28 Covestro Deutschland Ag Izocianátoszilán tiouretán-szerkezettel
EP2731921A1 (de) 2012-10-08 2014-05-21 Sika Technology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ubstraten vor dem verkleben
EP2918348A1 (de) 2014-03-12 2015-09-16 Sika Technology AG Schaumkörper zur Reinigung und Vorbehandlung von zu verklebenden Substraten
JP6634027B2 (ja) 2014-05-08 2020-01-22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ガラスを接合するのに有用な水分硬化性ポリ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の硬化の促進
FR3054837B1 (fr) * 2016-08-08 2020-06-19 Bostik Sa Procede de synthese de polyurethanes silyles et composition de polyurethanes silyles
CN115678461B (zh) * 2022-11-11 2024-01-26 杭州之江有机硅化工有限公司 一种玻璃底涂剂及其制备方法
CN115851142A (zh) * 2022-11-24 2023-03-28 歌尔科技有限公司 金属表面处理方法以及金属粘接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063B2 (ja) 1988-11-28 1998-02-04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ガラス用プライマー組成物
JP2772002B2 (ja) * 1988-11-28 1998-07-02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US5342867A (en) * 1992-10-06 1994-08-30 Ciba-Geigy Corporation Adhesion promoters
JP3263034B2 (ja) * 1997-11-12 2002-03-04 横浜ゴム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組成物
DE19839682A1 (de) * 1998-09-01 2000-03-02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oberflächenversiegelter Hohlglasbehälter mit hoher Gebrauchsfestigkeit
DE19855999A1 (de) * 1998-12-04 2000-06-15 Bayer Ag Alkoxysilanhaltige Lackzubereitung
DE19914879A1 (de) * 1999-04-01 2000-10-05 Bayer Ag Polyurethanlösungen mit Alkoxysilanstruktureinheiten
DE10103027A1 (de) * 2001-01-24 2002-07-25 Bayer Ag Zweikomponenten-Polyurethan-Bindemittel als Haftvermittler
DE10162642A1 (de) * 2001-12-20 2003-07-10 Henkel Kgaa Haftvermittler für reaktive Polyureth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5B1 (ko) * 2007-11-13 2010-03-15 주식회사 에이치알에스 광확산성 실리콘층을 도포한 전등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1698B1 (de) 2012-09-12
JP4394685B2 (ja) 2010-01-06
ES2392052T3 (es) 2012-12-04
EP1651698A1 (de) 2006-05-03
CA2533617A1 (en) 2005-02-10
JP2007500259A (ja) 2007-01-11
US20070043196A1 (en) 2007-02-22
WO2005012382A1 (de) 2005-02-10
MXPA06000766A (es) 2006-04-18
AU2004260892A1 (en) 2005-02-10
EP1502927A1 (de) 2005-02-02
US7683196B2 (en) 2010-03-23
CN1829755A (zh) 2006-09-06
PL1651698T3 (pl)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2949A (ko) 유리 및 유리 세라믹용 이소시아네이트-유리 프라이머조성물
US4798878A (en)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shelf-stable under exclusion of moisture
US6492482B2 (en) Nonaqueous, heat-curable two-component coating
CA2505177C (e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and their use in sealant, adhesive and coating compositions
US7871675B2 (en) Silane-crosslinkable coating formulations
CA2662947C (en) One component glass primer including oxazoladine
EP1697436B1 (en) Silane terminated polyurethane
US5047546A (en) Oxazolidines containing silane groups
KR0133525B1 (ko) 유리용 프라이머 조성물
US6133395A (en) Polyurethane compositions
CA2334659A1 (en) Primer for improving the bonding of adhesives to nonporous substrates
WO2001098393A1 (en) Coat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dhesion to aluminum substrates
KR100520256B1 (ko) 프라이머 조성물
US5368943A (en) Polyurethane block copolymer
JPS58219280A (ja) ヒドロキシ基を有するポリマー混合物をベースとする接着剤
JP3972409B2 (ja) 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方法
AU2003204742A1 (en) Blocked polyisocyan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