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915A -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915A
KR20060052915A KR1020067001894A KR20067001894A KR20060052915A KR 20060052915 A KR20060052915 A KR 20060052915A KR 1020067001894 A KR1020067001894 A KR 1020067001894A KR 20067001894 A KR20067001894 A KR 20067001894A KR 20060052915 A KR20060052915 A KR 20060052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ndercut
handle
spring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010B1 (ko
Inventor
요하네스 무렐로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3582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35821A1/d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5Mountings using a pivot point and an anchoring point
    • F41G11/007Mountings using a pivot point and an anchoring point the device being tilted in a vertic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1), 특히 무기와 부속 요소(3) 사이의 계면부를 형성하는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립 장치는 바람직하게 부속 요소와 연관된 2개의 대체로 평행으로 개재된 저널(journals)(19, 21)과, 이 저널용 수용 요소로서의 적어도 2개의 구경(7, 9)을 포함하며, 상기 구경은 언더컷(15)을 각각 구비하고, 스프링(33)에 의해 바람직하게 스프링 작용되는 로킹 장치(25, 15)는 저널(19, 21) 중 하나(21)와 연관되고 핸들(31)을 가지며, 다른 저널(19)은 바람직하게 강성이다. 2개의 구경(7, 9)의 언더컷(15)은 경사진 방식으로 대향 및/또는 대면하는 측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저널(19, 21)은 경사진 언더컷(15)과 호환 가능한 방식으로 포함되는 헤드(23, 25)를 갖는다. 저널(21) 중 하나는 로킹 장치(25, 15)의 힘, 바람직하게 스프링(33)의 힘에 대항하여, 그의 헤드(25)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핸들(31)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널(21)의 헤드(25)는 저널(21) 중 하나가 핸들(31)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호환 가능한 형태를 갖는 저널의 헤드(25)가 로킹 장치(25, 15)의 힘에 대항하여 대응하는 구경(7, 9)의 경사진 언더컷(15)을 향하여 변위되도록 일 측면 상에만 그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장착 장치{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장치, 특히 무기와 부속 장치 사이에 계면부(interface)를 형성하는 장착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속 장치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대략 평행하게 이격된 핀과, 상기 핀용의 소켓으로서의 2개 이상의 구경(bore hole)을 가지며, 각각의 구경은 언더컷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스프링에 의해 완충되고 상기 핀 중 하나에 부착되며 핸들을 갖는 로킹(locking)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핀이 바람직하게 고정된다(청구항 1의 전제부).
강 하우징(steel housing)을 갖는 종래의 총기에 있어서, 무기 상에 절첩식 가늠쇠(telescopic sight)를 장착하기 위한 강 하우징 상에 장착 장치, 소위 "절첩식 가늠쇠 장착 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타입의 절첩식 가늠쇠 장착은 종종 매우 복잡하고 대체로 내구성이 좋지 않다. 클램핑 턱부(clamping jaws)가 프리즘 레일(prism rail) 상에 고정되는 보다 값싼 조립체, 예컨대 소위 "연장 장착부(extension mount)"는 다시 그들의 위치를 충분히 재생할 수 없어서, 이들은 총기 상에 장착된 후에, 제거되거나 다시 재부착한 후에 가정된다.
군용 무기에 있어서, 장착부에 관한 문제점은 현저하게 큰데, 그 이유는 군용 조립체는,
- 변환 위치 없이 상당한 충격을 견뎌야 하고[전지형차(all-terrain vehicle) 상에 설치되는 예컨대 기관총 상의 장착부],
- (예컨대 경량의 절첩식 가늠쇠보다는 정확하고 충분히 재생가능한 방식으로 중량의 전투 렌즈 및/또는 전투 전자장치 또는 제 1 무기를 구비한 제 2 무기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면) 매우 큰 힘을 전달해야 하고,
-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이고, 소형 사이즈이며 탈부착이 편리해야 한다.
이들 조립체는, 모든 타입의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규정된 위치를 채용해야 하는, 소위 "계면부(interface)"가 있어야 하고, 임의의 방식으로 소정의 위치 정렬을 손상시키지 않고 단순한 탈부착을 허용해야 한다.
(전술한 GDR로부터 저격수 총기에서) 군용 절첩식 가금쇠는 2개의 핀이 절첩식 가늠쇠에 부착되는 한편, 하나의 핀 소켓이 로크의 전방 및 후방 양자에서 총기 상에 제공되도록 공지되어 있다. 절첩식 가늠쇠가 구경 축에 대각선방향으로 유지된 경우, 전방 핀은 그의 소켓 내에 위치되고, 절첩식 가늠쇠는 구경 축에 평행해질 때까지 90°만큼 선회된다. 이로써, 전방 핀의 돌기가 전방 소켓 내의 언더컷 아래에 도달하고, 후방 핀은 후방 소켓 내로 측방향으로 고정한다. 분리하기 위해, 후방 소켓 상의 핸들의 작동은 후방 핀을 해제시킨다. 절첩식 가늠쇠는 다시 90°만큼 선회된 다음, 전방 소켓 밖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장착이 쉬운 만큼, 하나의 특정한 경우에서만 적합한데, 모든 부품의 정확한 통합이 필요하므로, 특히 절첩식 가늠쇠 또는 부속 장치의 호환성 면에서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허용 오차가 가늠될 수 없다. 또한, 핀은 다소 큰 이격 거리(separating distance)를 가지므로, 총기의 설계로 결정되지만 임의의 허용 오차의 최소화에 기여한다. 이로써, 소켓은 무기에 별개로 부착되며, 소켓의 일부는 이러한 부착을 핸들링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되는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위한 해결책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 2개의 구경의 언더컷이 서로 떨어져 회전되는 측면 상에 및/또는 서로에 대면하는 측면 상에 설계되고,
- 구경의 언더컷이 경사지고,
- 핀은 경사진 언더컷과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헤드를 갖고,
- 핀들 중 하나가 그의 헤드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로킹 장치, 바람직하게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될 수 있어서, 핀의 헤드는 일 측면 이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기만 하고, 이러한 핀이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호환성 있는 디자인의 헤드가 연관된 구경의 언더컷 상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장치는 특히 부속 장치를 무기로 부착하기 위해 설 계되었지만, 모든 타입의 장치의 정확한 위치 설정 및 분리 가능한 결합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용어 "부속 장치(accessory device)"는 전투용 어레이 프로세서(combat array processor), 타겟 스코프(target scope) 또는 타겟 전자 장치(예컨대, 절첩식 가늠쇠, 야간 타겟 장치, 레이저 타겟 장치), 혹은 제 2 무기[예컨대, 부속 수류탄 발사기(accessory grenade launcher), 속사포(rapid fire gun)]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경사진 언더컷은 구경의 외측 총구 부분에 존재하는 구경 직경의 확대부를 의해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용어 "경사진(sloped)"은 내측 총구 부분으로부터 외측 총구 부분까지 대체로 연속적인 변형부(원추형, 포물선 형상, 쌍곡선 형상, 돌기형 등)를 의미한다.
"핸들(handle)"은 레버(lever)와 같이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작동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필요하다면 서보 모터(servo-motor) 등일 수도 있다.
"헤드(head)"는 핀의 반경방향 단부 돌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경우에 있어서, 핀은 헤드 이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2개의 구경은 장치 상에 설계되거나 그에 부착,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핀들 중의 하나에 할당된 핸들에서와 같이 부속 장치에 핀이 할당된다.
바람직하게, (언더컷이 고려되지 않은) 구경은 (그의 헤드가 고려되지 않은) 핀의 중심 거리보다 작은 중심 거리를 갖는다. 핀이 그 축의 방향으로 구경 내에 위치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구경의 대향되는 중심 거리 및 핀의 대향되는 중심 거리는 일치하지 않지만, 그 대신 핀의 중심 거리는 구경의 중심 거리보다 약간 크도록 조정된다. 이로써, 고정된 핀은 경사진 방식으로 연관된 구경 내로 삽입되고 헤드는 언더컷 후방에서 고정된다. 구경은 약간 경사진 경우 핀의 헤드를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보통, 핀을 갖는 부속 장치는 가동형 핀이 그의 연관된 구경과 결합할 수 있을 때까지 고정된 핀의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로써, 축방향의 선회가능한 핀의 헤드는 이러한 가동형 핀이 그의 연관된 구경과 결합할 수 있도록 선회 위치를 가져야 한다. 모든 핀은 그들의 구경 내에 안착된다.
가동형 핀은 핸들에 의해 회전되어 언더컷의 경사에 대해 밀린다. 이로써, 헤드를 갖는 고정된 핀은 연관된 구경의 언더컷에 대해 가압된다. 핸들이 보다 회전된 경우, 가동형 핀은 스프링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데, 그 이유는 그의 헤드가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이를 위해 언더컷에 대해 견고하게 놓인 헤드는 스프링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보다 회전된 경우,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연관된 구경 내로 약간 당겨진다.
용어 "호환 가능한(compatible)"은 언더컷과 헤드가 상술된 핀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실제로, 언더컷과 헤드 상의 경사진 표면은 상보적으로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훨씬 좋게는 "거의 상보적으로(almost complementarily)" 설계된다.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은 최종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고, 그 것과 함께 핀이 구경 내로 밀린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고정된 핀은 언더컷의 경사부 상으로 가압되는 한편, 가동형 핀은 언더컷을 거쳐 구경을 강제 개방하거나, 이와는 달리 강력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써, 각각의 축에 수직으로 배치된 레벨 표면의 형태로 대략 구경 주위의 표면에 상보적인 핀 주위 표면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가동형 핀이 얼마나 멀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단 한가지는, 그의 헤드를 거쳐 로킹 장치, 특히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연관된 언더컷에 전달한다는 점이다.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는, 정교하게 조정되어야 하는 공지된 핀 조립체와는 대조적으로, 상당한 허용 오차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는 각종 부속 장치에 특히 적합하고 그들의 안전한 부착을 보장한다.
서로 떨어져 회전되는 언더컷의 경우에 있어서, 연관된 구경 자체는 무기의 얇은 벽을 갖는 하우징 내에 설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부착된 부속 장치에 의해 구경이 떨어져 끌어당겨지기 때문이다. 구경 사이의 직선 라인으로 진행하는 시트 형상의 금속 벽은 변형되지 않고 이들 2개의 구경 사이에서 매우 큰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모든 구경은 서로 대칭적으로, 즉 동일한 공구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헤드는 언더컷 내에 편평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것은 서로 접촉하고 있는 표면들이 가능한 한 적게 마모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대량 생산의 정확성 및 세심한 청결함이 모두 요구된다. 특히, 상보적인 결합면은 부식 또는 오염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헤드가 2개의 레이온 라인(lay-on line)을 따라 언더컷 상에 안착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청구항 2). 이로써, 헤드를 갖는 핀은 이중의 라인 접점에서만 언더컷 상에 이론상으로 놓이므로, 구경에 대한 핀의 위치의 최상의 재생성을 보장한다.
일례를 보다 상세하게 기하학적으로 설명해야 하는데, 이는 (구경 및 핀의 관점에서) 반경방향 섹션은 일단 장착 장치가 완전히 설치되기만 하면 언더컷의 영역 내에서 관찰된다.
구경은 원형의 원주를 가지며, 이는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방해된다. 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으로부터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호까지의 변형은 이론적으로 에지에서 발생한다. 각각의 에지는 양자의 원 상에 위치된 접선에 의해 파단될 수 있다. 보다 큰 반경을 갖는 원의 세그먼트의 감음 각도(wrap angle)(예컨대, 240°)는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의 세그먼트의 감음 각도(예컨대, 120°)보다 크다.
핀은 원형 단면을 갖고 헤드도 마찬가지이다. 핀의 반경은 구경의 보다 큰 반경보다 약간 작고 구경의 보다 작은 반경보다 훨씬 크다. 핀과 헤드의 반경 양자는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헤드의 반경이 보다 커야 한다. 헤드는, 한편으로 부속 장치가 고정되는 경우 헤드의 2개의 거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레이온 라인이 경사진 언더컷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장치 상에 부속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헤드가 보다 큰 반경을 갖는 구경의 원형 섹션과 결합할 수 있도록 측정된 각도 범위(예컨대, 대략 60°)를 가로질러 걸쳐진다.
장착 장치가 최종으로 설치된 경우, 헤드는 반경방향으로, 즉 전술한 에지를 따라, 실제적으로는 전술한 접선에 대각방향인 2개의 좁은 레이온 줄무늬(stripes)를 따라 언더컷 내에 확고하게 놓인다.
작은 이격 거리는 언더컷의 표면과 헤드 사이의 레이온 줄무늬의 양 측부 상에서 발전하여, 위치 재생의 정확성이 손상되는 경우, 오염 또는 약간의 부식이 이러한 이격 거리 쪽에서 없어질 수 있으며 유지되지 않는다.
핀은 예컨대 절첩식 가늠쇠 상의 2개의 특수 링에 의해 개별적으로 부속 장치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설치 후에 핀에 인가된 상당한 힘(이 경우,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핀이 하나의 단일 특수 구성 요소 내에 안착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청구항 3). 이러한 구성 요소는 강, 알루미늄, 탄소섬유 복합물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속 장치 상에 설치된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2개의 핀이 삽입되는 굽힘 저항성 구성 요소를 가져서, 핀에 영향을 미치는 힘에도 불구하고 변형으로부터 안정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각각의 부속 장치는 이러한 구성 요소를 지탱할 필요는 있지만, 그 자체의 중력을 제외한 임의의 힘을 수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장착부를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부속 장치를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특수 구성 요소는 예컨대 절 첩식 가늠쇠가 접착될 수 있는 원통형 캐비티를 특별히 형성할 수도 있다.
구경은 예컨대 속사포의 하우징 내에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의 시트 금속은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구경 주위에 플랜지 형상이 된다. 그러나, 구경은 하나의 단일 분리 구성 요소 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이로써, 2개의 구경을 연결하는 브래킷은 발생하는 견인력을 수용한다. 이러한 브래킷, 예컨대 강 스트립(strip)이 위치(예컨대, 용접)되는 경우, 하우징 벽은 구경의 바닥 측(언더컷의 측부)에 근접하여 먼지가 그 내에 가장 잘 모이지만 총기의 메커니즘 내로는 들어올 수 없다.
그러나, 구경의 종결부는 이 구성 요소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컷의 측면 상의 구성 요소의 구경이 구성 요소의 설치 후에 적어도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하나의 시트는 구경을 폐쇄하는 구성 요소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부식 위험이 있는 하우징을 위협하는 습기를 피하게 된다. 본래, 구경은 (예컨대, 스코프가 작동 상태에서 총기 상에 항상 장착되고 난 다음, 구경이 외부 상에 폐쇄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쪽으로 개방될 수 있으므로, 구경의 청소가 보다 쉬워지는 이점을 갖는다.
얇은 벽을 갖는 플라스틱 하우징이 사용되는 경우, 이 구성 요소는 총기의 총열(barrel)을 갖는 고정 위치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지점(anchoring point)을 필요로 한다. 구경을 덮는 것은 구경 내로 들어가는 먼지 또는 모래가 플라스틱 하우징의 벽 내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의 선회 및 병진 운동을 위해, 가동형 핀은 변형 구경 내로 단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자유로운 움직임을 견딜 필요 없이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척(chuck)을 이러한 구경 내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확하게 그 반대도 제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능한 한 적어야 하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아니라, 부속 장치가 가동형 핀을 안내하기 위한 2개의 베어링을 가져서, 부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베어링 내의 핀이 2개의 대략 축방향으로 평행한 레이온 라인의 위에 놓이고, 이로써 이 장치에 대면하는 베어링의 2개의 레이온 라인 각각이 한편으로는 장치로부터 떨어져 회전되는 베어링의 2개의 레이온 라인 쪽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구경 내의 언더컷 상의 2개의 레이온 라인을 향하여 대부분 180°만큼 오프셋(offset)된다(청구항 6).
가동형 핀이 회전하여 그 헤드가 언더컷에 대해 놓여 스프링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헤드는 바람직하게 2개의 레이온 라인 상에 안착되는 한편, 핀은 2개의 포크형 분기부(fork branckes) 중 하나의 구경 내에 위치된 2개의 레이온 라인 상에 대향하여 위치된 측면 상에 보강된다. 다른 2개의 특정된 레이온 라인은, 다른 포크형 분기부의 구경 내의 2개의 레이온 라인에 대향되게 교대로 위치된다. 이로써, 핀의 엄밀히 규정된 위치는 연관된 언더컷과 결합하는 경우 생성된다.
가동형 핀은 스프링의 영향에 대해 축방향 거리를 덮고 있다. 이로써, 스프링은 상당한 중력에 노출되더라도 장착 장치의 끼워맞춤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것은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모든 경우에 핀의 헤드가 연관된 구경 내로 충분히 깊게 들어가서 핀의 헤드가 언더컷을 따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은 연관된 핀의 헤드가 연관된 구경의 언더컷 상에 부분적으로 이미 위치된 경우 핀의 회전시에만 자세를 잡고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7).
이로써, 핀은 회전시에 축방향 운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적은 축방향 운동을 수행하기만 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이미 장전된 위치에 항상 위치된다. 스프링은 스프링의 충분한 초기의 힘이 모든 원주 하에서 보장되도록 회전 단부를 향하여 해제된다.
핸들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가동형 핀에 부착되는 레버일 수 있다. 핀으로부터 돌출되는 레버를 구비한 해결책은 핀에 반경방향으로 부착된 핸들의 경우에 있어서, 헤드가 언더컷 상에 위치되는 경우 선회의 단부 영역에서 단지 생략된 그의 선회의 가장 큰 부분 상의 반경방향 평면을 따라 진행하는 가이드(guide) 위에 레버가 놓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더 발전된다(청구항 8). 이로써, 그의 최종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핀이 스프링에 의해 충분히 그리고 자유롭게 장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단순한 장치가 제공된다.
가동형 핀 및 핸들의 선회 범위가 커질수록, 핀의 헤드가 넓어질 수 있다. 이로써, 가동형 핀의 선회 범위는 대략 180°로 제안되어 있다(청구항 9).
스프링력으로 인해, 가동형 핀의 헤드가 마찰에 매우 크게 노출되어서, 핸들은 가정된 위치에 남게 된다. 그러나, 핸들은 스프링에 의해 충분히 장전되는 위 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0). 이러한 고정은 장착 장치가 설치된 경우 핸들이 소정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추가적인 보호 수단이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위치는 장착 장치가 조립되어 장착되는 것을 표시한다.
영구적으로 장착된 경우, 이러한 고정은 핸들을 고정시키는 나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은 정지 장치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1). 따라서, 핸들을 고정 및 해제하는 경우 두드러진 지연이 거의 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고정 위치에서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정지 장치는 스프링 장전식 노치(notch)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점적인 실시예는 핀을 지탱하는 구성 요소 상에 노치로서 설계된 정지 장치가 존재하여, 약간 탄력있는 핸들 및/또는 스프링에 의해 장전된 핸들을 결합한다(청구항 12). 핀이 회전되는 경우 핸들이 상당한 힘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길어야 하고,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변형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연관된 핀이 스프링의 영향을 통해 그의 최종 위치를 가정하여, 이 핀에 확고하게 연결된 핸들은 스프링의 충분한 영향에 노출되는 경우 스프링 장전식의 대각선 방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타입의 노치는 스프링력에 의해 소정 위치에 핸들을 유지하지만, 그 자체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프링은 예컨대, 내연 기관의 밸브 스프링과 같은 강력한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은 적은 설치 공간에서 큰 스프링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3). 이러한 스프링은 디스크 스프링 번들(disk spring bundle), 코일 스프링, 다이아프램 요소(diaphragm element)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스프링은 핸들이 그의 최종 위치라고 가정하는 경우 스프링 상수가 증가되도록 그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은 연관된 핀을 갖는 원피스(one piece) 부재, 바람직하게는 슬롯을 갖는 핀 또는 튜브의 형태로 설계된다(청구항 14). 이로써, 스프링 번들 또는 스프링은 핀의 잡힌 부분이고 그 자체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장치는 장치, 특히 무기와 2개의 이격된 핀과 그들을 위한 소켓으로서 2개의 구경을 갖는 부속 장치 사이에 계면부를 형성하고, 이들 각각은 언더컷 뿐만 아니라 핀 중 하나에 부착되고 핸들을 갖는 스프링 장전식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핀은 바람직하게 고정된다(청구항 15). 2개의 구경의 언더컷은 서로 떨어져 대면하는 측면 상에 및/또는 서로 대면하는 측면 상에 경사지게 설계되어 있다.
핀은 경사진 언더컷에 호환성 있게 설계된 헤드를 지탱한다. 핀 중 하나는 핸들을 이용하여 다른 핀의 방향 또는 그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로킹 장치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어서, 이러한 핀이 핸들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호환성 있는 설계를 갖는 헤드는 로킹 장치의 힘에 대항하여 연관된 구경의 경사진 언더컷으로부터 해제되고, 핸들이 로킹 장치의 힘으로 인해 해제되는 경우 경사진 언더컷에 대해 밀게 된다.
구경은 피카티니 레일(Picatinni rail) 또는 무기용으로 공통인 다른 계면부 내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변형예로서 또는 동시에 양자의 장착 선택 사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속 장치는 피카티니 레일 또는 무기용으로 공통인 다른 계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예컨대 "이전의(old)" 설치가능한 부속 장치는 이러한 피카티니 레일을 통해 무기에 부착되기만 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매우 경량이거나 또는 값싼 재료로 이루어진) 마모된 피카티니 레일은 매우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몇 개만의 강한 부품으로 얻어지고 신뢰성 있는 장착을 제공하는 장착 장치 또는 계면부를 형성하며, 큰 힘이 전달될 수 있으며 특히 하기의 이점을 갖는다.
- 장착 장치 또는 "계면부"는 각각의 장착 후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없고 (정확하게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자동 조절 및 재생 가능하거나 또는 부착 가능한) 동일 위치에 안착된다.
- 몇 개의 단순한 부품을 갖고, 경제적이며, 우선 무기측 상에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가능한 한 적은, 그리고 대체로 끌어당길 때에만(얇은 하우징 벽이 치수면에서 안정을 유지함) 무기 구조체에 압력을 가한다.
- 눈에 띄지 않고, 부속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적어도 무기측 상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부속 장치가 분리된 경우 청소가 용이하며, 무기 또는 부속 장치를 잡고 있는 손으로 작동될 수 있는 단일 레버 작동, 즉 부속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예시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이 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영구적으로 장착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저면도,
도 2는 언로킹 상태(unlocked state)에 있는 도 1과 같은 도면,
도 3은 분리된 상태에 있는 도 1과 같은 도면,
도 4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상태에 있는 도 2의 장착 장치의 측면도,
도 5a는 장치 내의 구경의 상세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구경 중 하나의 바닥부의 확대 상세도,
도 5c는 도 5b에 도시한 구경을 통한 종단면도,
도 6은 가동형 핀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2개 이상의 구경을 갖는 장치의 변형 실시예의 개략도,
도 8은 영구적으로 장착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장치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9는 피카티니 레일 내에 통합된 장착 장치의 무기측 구성 요소의 대각선 방향의 평면도,
도 10은 피카티니 레일을 지탱하는 장착 장치의 장착측 구성 요소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5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장착 장치는 무기측 구성 요소(1)와, 함께 또는 별개로 조립될 수 있고 무기 또는 본원에 도시하지 않은 수단을 구비한 장치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로 이루어진다.
무기측 구성 요소(1)는 매끄러운 장착 표면(5)을 갖고 이러한 표면에 수직이고 서로 평행인 2개의 구경(7, 9)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구경(7, 9)은 비원형 섹션을 갖고, 동일하게 설계되지만 서로 거울상(mirror images)이다.
각각의 구경(7, 9)은 반경(r)(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축방향으로 평행한 동심형 섹션(13)에 의해 확장되는 반경(R)(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원통형 섹션(11)을 갖는다(본원에서는, R>r). 구경 섹션(11, 13) 양자는 섹션(13)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중심축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를 포함하는 접선 표면(17)에 의해 연결된다. 보다 작은 구경 섹션(13)은 서로 떨어져 회전되는 구경 섹션(11)의 측면 상에 각각 놓인다. 이로써, 구경은 서로 대칭을 이룬다.
관찰자에 대면하는 무기측 구성 요소(1)의 바닥 측 상에(도 1 내지 도 3 및 도 5b), 보다 작은 구경 섹션(13)이 원추형으로 넓혀져 있어서, 언더컷(15)이 접선 표면(17) 내로 테이퍼(taper)져 있다.
관찰자에 대면하는 구경(7, 9)의 바닥 측은 덮일 수 있다.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는 고정 핀(19)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선회 가능한 핀(21)을 갖는다. 핀(19, 21) 양자는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
각각의 핀(19, 21)은 샤프트(27, 29) 뿐만 아니라 그의 자유 단부 상에 헤드(23, 25)를 갖는다. 원통형인 각각의 샤프트(27, 29)의 반경은 r보다 크고 R보다 작다. 고정 핀(19)의 경우에 있어서, 헤드(23)는 절두 원추형(conical frustum)과 같은 샤프트(27)로부터 연장되며, 그의 원추 각도는 구경(7, 9)의 원추형 확대부와 동일하다. 헤드(23)는 핀(19)의 하단부(관찰자에 대면하는 측면)로부터 확장된다.
장착 장치가 완전히 설치된 경우(도 1) 연관된 구경(7) 내에 핀(19)이 안착되었다면, 절두 원추형 헤드(23)는 언더컷의 모점(generatrices)과 절두 원추형 표면인 2개의 레이온 라인을 따라 언더컷(15) 상에 안착된다.
가동형 핀(21)의 헤드(25)는 고정 핀(19)의 헤드(23)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지만, 각각 핀(21)의 모점을 포함하고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에지, 즉 2개의 평면을 따라 경사져 있다. 이 각도는 핀(21)의 주변을 따라 만곡되어 있다.
핀(21)은 핸들(31)에 의해 180°만큼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핸들(31)이 돌출된 경우(도 2, 도 3 및 도 4) 헤드(25)가 고정 핀(19)을 향하여 회전되는 위치에 위치되고, 핸들이 내려져 있는 경우(도 1) 고정 핀(19)으로부터 떨어져 대면하고 있다. 최종으로 기술한 상태에 있어서, 헤드(25)는 연관된 구경(9)의 언더컷(15)과 맞물린다.
본원에서, 헤드(25)의 언더컷(15)의 2개의 모점을 따라 결합이 일어나기도 한다.
구경(7, 9)의 이격 거리는 핀(19, 21)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약간 작다. 그러나, 헤드(25)가 그의 단부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도 1에서 관찰자를 향하여 약간 이동해야 한다. 이것은 디스크 스프링 패키지(disk-spring package)(33)를 함께 가압함으로써 발생한다.
도 2의 위치로부터 개시되는 장착 장치가 조립되어 도 1에서의 위치에 도달한 경우, 핸들(31)은 도 2에서의 위치로부터 도 1에서의 위치로 180°만큼 선회한다. 이로써, 핸들(31)은 노치(37)와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은 핸들(31)의 자동 스프링 작동을 통해, 그리고 대체로 디스크 스프링 패키지(33)의 영향에 대해 핀(21)의 접선방향 편차를 통해 성취된다. 핀(21)은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위치 설정되고, 베어링(35) 내에 리세스(recess)를 구비해서, 헤드(25)가 도 1에서의 위치에 있는 경우, 베어링(35)의 2개의 모점을 따라 안착된다. 이것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는 가동형 핀(21)을 수용하는 단부 상에서 분기되고 장치측 구성 요소(1)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포크 분기부(51)와, 구성 요소(1)에 대면하는 포크 분기부(53)를 갖는다. 각각의 포크 분기부(51, 53)는 핀(21)을 수용하는 구경을 구비한다. 장치측 구성 요소(1)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포크 분기부(51) 내의 구경은 대체로 장치측 구성 요소(1) 내의 구경(9)과 동일한 형상 및 정렬을 구비하지만, 언더컷은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또 다른 포크 분기부(53) 내의 구경은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 전적으로, 큰 반경(R)과 작은 반경(r)을 갖는 구경은 장치측 장치(3)의 방향으로 장치측 구성 요소(1)로부터 교대한다. 부속 장치가 장착된 경우, 핀(21)은 2개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레이온 라인을 따라 각각의 구경 내에 놓이고, 이로써 구경으로부터 구경까지 2개의 레이온 라인은 대략 180°만큼 오프셋된다.
핸들(31)은 반경방향 슬릿(39)에 의해 장치측 구성 요소(3) 외부로 안내된다. 반경방향 슬릿(39)은 핸들(31)이 스프링 패키지(33)의 영향으로 인해 안착되는 반경방향 표면(41)에 의해 제한된다(도 2, 도 3 및 도 4). 핸들(31)이 그의 최종 위치에 거의 도달한 경우(도 1), 보다 큰 스프링 경로가 스프링 포켓(33)에 주어지는 리세스(43) 이상으로 진행되고, 핸들(31)이 스프링 경로를 더 이상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 포켓은 항상 자세 잡도록 유지된다.
사수(marksman)는 항상 가늠쇠의 라인 내에 핸들(31)을 갖고 노치(37)와 결합하지 않는 경우 즉시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는 장착 표면(5)에 상보적으로 진행하고 서로에 대해 구성 요소(1, 3)의 양호한 안착을 보장하는 중첩형 표면(45)을 갖는다.
도 6은 원피스 부재로서 연결된 스프링 포켓(33')을 갖는 핀(21)의 변형된 설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몇 개의 구경(7')(이 경우, 5개의 구경)은 각각 서로 대면하는 측면 상의 경사진 언더컷(15, 15')을 갖는 무기측 구성 요소(1) 상에 서로의 후방에 제공된다. 이로써, 구경(7')은 그들의 인접하는 구경(7')의 방향으로 2개의 언더컷(15, 15')을 갖는다. 외측에 놓인 구경(7')도 외부, 즉 서로 떨어져 대면하는 언더컷(15, 15')을 갖는다. 장치측 구성 요소(3)의 2개의 핀(19, 21)은 임의의 2개의 바람직하게 인접하는 구경(7')[필요하다면, 몇 개의 중간 구경(7')]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장치측 구성 요소(3)는 무기측 구성 요소(1) 상의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별개의 구경(7') 내의 언더컷(15, 15')의 "이중 측면(double-sided)" 설계를 통해, 삽입된 핀(19, 21)을 갖는 2개의 구경(7')은 핀(19, 21)의 대응하는 이격 거리의 경우에 있어서 끌어당기거나(도 7a) 또는 밀어서(도 7b) 가압된다.
본래, 1개 이상의 고정 및/또는 가동형 핀(19, 21)은 구성 요소(3)가 장치 측 상에 장착되는 경우 몇 개의 구경(7') 내에 수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힘의 삼각형(triangle of forces)은 2개의 고정 및 가동형 핀, 대응적으로 보다 많은 개수를 갖는 힘의 평행사변형 등으로 늘여질 수 있다.
도 8은 제 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달리, 장착 장치가 회전함으로써 고정 및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가동형 핀을 누름으로써 고정 및 분리된다. 도 8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도 1 내지 도 5에서의 것과 유사한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을 위해,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 요소만을 설명한다.
장착 장치는 고정 핀(19)을 향하고 그리고 그로부터 떨어져 밀릴 수 있으며 리세스(61)에 의해 안내되는 그의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핀(60)을 포함한다. 가동형 핀(60)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안내 로드(62)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리세스(63) 내로 안내되어 고정 핀(19)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 장치(64)에 의해 자세 잡는다. 가동형 핀(60)의 상단부(65)는 장착측 계면부의 상부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이로써 이러한 돌출 단부(65)는 장착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핸들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무기측 구성 요소(1) 내의 구경(7, 9) 및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 내의 각각의 핀(19, 21)의 헤드(23, 25)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경(7, 9) 및 헤드(23, 25)와 기하학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는데, 특히 가동형 핀(60)의 헤드(25)는 핀(19)에 대면하는 측면 상에 경사진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형 핀(60)의 헤드(25)는, 예컨대 고정 핀(19)의 헤드(23)와 정확하게 동일하게 원주방향의 절두 원추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를 무기측 구성 요소(1) 내로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고정 핀(19)의 방향으로 스프링 장치(64)의 힘에 대항하여 핸들(65)을 밀고, 2개의 핀(19, 60)을 대응하는 구경(7, 9)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핸들(65)을 해제하고, 이로써 핀(60)은 스프링력으로 인해 고정 핀(19)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이로써, 헤드(23, 25)의 각각의 경사는 구경(7, 9)의 언더컷(15) 상에서 밀리고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를 무기측 구성 요소(1)로 끌어당긴다. 이와 동시에, 2개의 핀(19, 60)은 언더컷(15) 아래에서 서로에 대해 자세 잡는다. 장착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고정 핀(19)의 방향으로 핸들(65)을 이동하기만 하고, 이로써 헤드(23, 25)는 언더컷(15)으로부터 해제되어,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를 무기측 구성 요소와 분리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장착 장치는 대체로 동일한 적용을 갖는다. 그러나, 스프링 장치(64)가 보다 낮은 스프링력으로 치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핸들(65)의 가벼운 수동 개방을 보장하기 위해,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는 보다 가벼운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적으로, 레버(65)를 밀기 위한 레버 메커니즘도 제공될 수 있어서, 스프링 장치(64)는 보다 강하게 설계될 수 있고, 장착 장치는 보다 무거운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변형적으로,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는 가동형 핀(60)이 고정 핀(19)의 방향으로 자세 잡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구경(7, 9)의 언더컷(15)은 서로 대향되게 놓여야 하거나, 또는 각각의 구경(7, 9)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언더컷(15)을 가져야 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핀(10)이 무기의 후방 쪽으로 놓이고, 가동형 핀(21, 60)이 발사 방향의 전방으로 놓이며, 2개의 구경(7, 9)을 수용하는 무기 하우징 상에 압력을 가하는 고정 핀(19)의 방향으로 장착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자세 잡도록 장착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로써, 로킹 스프링(33, 64)은 발사시에 가압되지 않는다.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핸들(31)은 어떤 종류의 스트로크(stroke) 운동을 더 이상 하지 않도록 로킹 메커니즘(29, 3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구경(7, 9)을 피카티니 레일(66) 내로 결합한 도면으로서, 피카티니 레일(66)은 무기측 구성 요소(1)의 기능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피카티니 레일(66)의 종방향에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하고 구경(7, 9)을 수용하는 릿지(ridges)(67)는 종방향으로 보다 넓도록 설계된다. 본질적으로, 보다 넓게 설계하는 것은 구경(7, 9)의 치수 및 릿지(67)의 폭에 따른다.
도 10은 피카티니 레일(68)을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 내로 결합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카티니 레일(68)은 2개의 스페이서(spacers)(68)(바람직하게 피카티니 레일과 결합됨)를 거쳐 부속 장치측 구성 요소(3)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 그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진행한다.
본래, 장착 장치는 임의의 2가지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병전용 무기(assault), 쇼울더 레스트(shoulder rest), 추가적인 탄창(magazine) 등이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무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무기용으로 공통인 다른 계면부는 피카티니 레일(66, 68)에 변형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피카티니 레일(68) 대신에 이러한 공통 계면부는 무기에 영구적으로 장착되는 피카티니 레일(66)에 장착될 수도 있다(도 9).

Claims (17)

  1. 장치(1), 특히 무기와 부속 장치(3) 사이에 계면부(interface)를 형성하는 장착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속 장치에 부착되는 2개 이상의 대략 평행하게 이격된 핀(19, 21)과, 상기 핀용의 소켓으로서의 2개 이상의 구경(7, 9)을 가지며, 각각의 구경(7, 9)은 언더컷(15)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스프링(33)과 함께 스프링 장전되고 상기 핀(19, 21) 중 하나(21)에 부착되고 핸들(31)을 갖는 로킹 장치(25, 15)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핀(19)이 바람직하게 고정되는 상기 장착 장치에 있어서,
    - 상기 2개의 구경(7, 9)의 언더컷(15)이 서로 떨어져 대면하는 측면 및/또는 서로를 향해 대면하는 측면 상에 설계되고,
    - 상기 구경(7, 9)의 언더컷(15)이 경사지고,
    - 상기 핀(19, 21)이 경사진 상기 언더컷(15)과 호환되도록 설계된 헤드(23, 25)를 지탱하고,
    - 상기 핀(21) 중 하나는 그의 헤드(25)의 축방향으로 상기 로킹 장치(25, 15), 특히 스프링(33)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핸들(31)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핀(21)의 헤드(25)가 일 측면 상에서만 그것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핀(21)이 상기 핸들(31)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호환 가능한 설계를 갖는 그의 헤드(25)가 연관된 구경(7, 9)의 경사진 상기 언더컷(15) 상에 상기 로킹 장치(25, 15)의 힘에 대항하여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3, 25) 각각이 2개의 레이온 라인(lay-on lines)을 따라 상기 언더컷(15)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19, 21)이 단일의 별개인 구성 요소(3)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7, 9)이 단일의 별개인 구성 요소(1) 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1)의 구경(7, 9)이 적어도 상기 구성 요소(3)의 장착 후에 상기 언터컷(15)의 측면 상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3)는 상기 가동형의 핀(21)을 안내하는 2개의 지지부를 가져서, 상기 부속 장치(3)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핀(21)이 각각의 지지부 내의 2개의 대략 축방향으로 평행한 레이온 라인을 따라 놓이고, 이로써 상기 장치(1)를 대면하는 상기 지지부의 2개의 레이온 라인이 한편으로 상기 장치(1)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상기 지지부의 레이온 라인 양자를 향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경(9) 내의 상기 언더컷(15) 상의 2개의 레이온 라인을 향하여 대략 180°만큼 각각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의 헤드(25)가 연관된 상기 구경(9)의 언더컷(15) 상에 이미 부분적으로 위치된 경우,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핀(21)의 회전시에만 자세를 잡고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1)이 상기 핀(21)에 반경방향으로 부착되고, 대부분의 선회 동안 에 반경방향 평면으로 진행하는 가이드(41) 상에 놓여서, 상기 헤드(25)가 상기 언더컷(15) 상에 위치되는 경우, 선회의 단부 영역 내에서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핀(21)의 선회 범위가 대략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31)이 소정 위치에 고정부(37)를 가지며, 상기 가동형 핀(21)이 상기 스프링(33)에 의해 충분히 장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정지 장치(37)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는 상기 핀(19, 21)을 지탱하는 상기 구성 요소(3) 상의 노치 (37)로서 설계되며, 약간은 비틀린 및/또는 스프링 장전된(33) 핸들(31)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디스크 스프링 번들(disk-spring bundle)(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3)이 연관된 상기 핀(21)과 함께 원피스(one piece)로서 설계되고, 슬롯형 핀 또는 튜브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5. 장치(1), 특히 무기와 부속 장치(3) 사이에 계면부를 형성하는 장착 장치로서, 이격된 핀(19, 60)과, 상기 핀용의 소켓으로서의 2개의 구경(7, 9)을 가지며, 각각의 구경(7, 9)은 언더컷(15) 뿐만 아니라 상기 핀(19, 60) 중 하나(60)에 부착되고 핸들(65)을 갖는 스프링 장전식 로킹 장치(61 내지 64)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핀(19)이 바람직하게 고정되는 상기 장착 장치에 있어서,
    - 상기 2개의 구경(7, 9)의 언더컷(15)이 서로 떨어져 대면하는 측면 및/또는 서로를 향해 대면하는 측면 상에 설계되고,
    - 상기 구경(7, 9)의 언더컷(15)이 경사지고,
    - 상기 핀(19, 60)이 경사진 상기 언더컷(15)과 호환되도록 설계된 헤드(23, 25)를 지탱하고,
    - 상기 핀(60) 중 하나는 상기 로킹 장치(61 내지 64)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다른 핀(19)을 향해 또는 그로부터 떨어지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핸들(65)에 의해 이동될 수 있어서, 상기 핀(60)이 상기 핸들(65)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호환 가능한 설계를 갖는 그의 헤드(25)가 연관된 구경(9)의 경사진 상기 언더컷(15) 상의 상기 로킹 장치(61 내지 64)의 힘에 대항하여 해제되고, 상기 핸들(65)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로킹 장치(61 내지 64)의 힘으로 인해 상기 경사진 언더컷(15) 내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7, 9)은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68) 또는 무기용 공통인 또 다른 계면부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3)는 피카티니 레일(66) 또는 무기용 공통인 또 다른 계면부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장치.
KR1020067001894A 2003-07-28 2004-02-12 장착 장치 KR10084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4340.7 2003-07-28
DE10334340 2003-07-28
DE10335821.8 2003-08-05
DE10335821A DE10335821A1 (de) 2003-07-28 2003-08-05 Montage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915A true KR20060052915A (ko) 2006-05-19
KR100846010B1 KR100846010B1 (ko) 2008-07-11

Family

ID=3427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894A KR100846010B1 (ko) 2003-07-28 2004-02-12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30829B2 (ko)
EP (1) EP1649234B1 (ko)
KR (1) KR100846010B1 (ko)
AT (1) ATE397743T1 (ko)
CA (1) CA2537084C (ko)
DE (1) DE502004007327D1 (ko)
WO (1) WO20050220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2B1 (ko) * 2012-09-28 2014-01-20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8211B4 (de) * 2004-02-19 2006-04-13 Heckler & Koch Gmbh Montageeinrichtung für Feuerwaffen
US7272904B2 (en) * 2004-12-09 2007-09-25 Larue Mark C Adjustable throw-lever picatinny rail clamp
CN101686621B (zh) * 2008-09-22 2011-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铰链结构
US20110126699A1 (en) * 2008-10-20 2011-06-02 Mabon Briola Universal weapon stabilizer
US8522467B1 (en) 2010-09-07 2013-09-03 Jason Christensen Composite hand guard with integral rail
US9921029B2 (en) 2014-01-10 2018-03-20 Magpul Industries Corp. Connector
US9239209B2 (en) 2014-04-03 2016-01-19 Magpul Industries, Corp. Firearm accessory mounting interface
US9239210B2 (en) 2014-04-03 2016-01-19 Magpul Industries Corp. Firearm accessory mounting interface
US8925236B1 (en) 2014-04-03 2015-01-06 Magpul Industries Corp. Firearm accessory mounting interface
US9341441B2 (en) * 2014-03-18 2016-05-17 Nc Star, Inc. KeyMod quick mounting arrangement
US9423216B2 (en) * 2014-03-18 2016-08-23 Ncstar, Inc. KeyMod quick mounting arrangement
US9709358B2 (en) * 2014-10-22 2017-07-18 Bravo Company USA, Inc. Coupling various firearm accessories to a firearm
US20160349011A1 (en) * 2015-05-29 2016-12-01 Yi Huei Jen Dual Interface Rail Mount
WO2016164614A1 (en) * 2015-04-07 2016-10-13 Troy Industries, Inc. Rail segment for handguard of a firearm and assembly thereof
US10295304B1 (en) 2016-05-12 2019-05-21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assembly
US10900743B2 (en) 2016-05-12 2021-01-26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assembly
US9791239B1 (en) 2016-05-12 2017-10-17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assembly
US10260838B1 (en) 2016-10-20 2019-04-16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US10260841B2 (en) 2016-10-20 2019-04-16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accessory mounting system
USD844091S1 (en) 2016-10-20 2019-03-26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US10551145B2 (en) 2017-10-18 2020-02-04 Bravo Company Mfg, Inc. Modular key-slot accessory mounting system for a firearm
USD912189S1 (en) 2019-04-29 2021-03-02 Bravo Company Mfg, Inc. Firearm handguar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383A (en) * 1947-03-28 1949-07-05 E T Lake Quick detachable telescope sight mount
US2567535A (en) * 1947-08-28 1951-09-11 Edward E Willis Telescopic sight mount
US2710453A (en) * 1954-06-21 1955-06-14 Beverly Bobby Telescopic sight mounting for guns
US2937448A (en) * 1957-10-28 1960-05-24 Joseph V Dimick Gun telescope mounting
US2942346A (en) * 1958-02-18 1960-06-28 Ernst Leitz Canada Ltd Gun telescope mounting
US3877166A (en) * 1974-01-14 1975-04-15 William A Ward Gunsight mount with spring biased jaw
DE2532337A1 (de) * 1975-07-19 1977-01-20 Helmut Schroeder Montagegesteck fuer zielfernrohre
US4205473A (en) * 1978-09-01 1980-06-03 Wilson Hugh R Telescope mount for firearms
US4216600A (en) * 1978-10-10 1980-08-12 Brueckner Gerald G Telescopic sight mount
US4353180A (en) * 1980-04-07 1982-10-12 Wilson Hugh R Fit adjustable telescope mount for firearms
US4845871A (en) * 1988-04-19 1989-07-11 Swan Richard E Attachment device
GB8913940D0 (en) * 1989-06-16 1989-08-02 British Aerospace Mounting assembly
US5070637A (en) * 1989-12-22 1991-12-10 K. W. Thompson Tool Company, Inc. Telescopic
DE4133242C1 (en) * 1991-10-08 1992-10-22 Horst Blaser Jagdwaffenfabrik, 7972 Isny, De Telescopic sight mounting on rifle - has fixed front foot and linear sliding rear foot
AT402564B (de) * 1992-01-29 1997-06-25 Voere Kufsteiner Geraetebau Un Halterung für ein zielfernrohr
US5276988A (en) * 1992-11-09 1994-01-11 Swan Richard E Buffered attachment device
US5375361A (en) * 1993-07-22 1994-12-27 Rustick; Joseph M. Sight mount providing adjustable eye relief
DE9406408U1 (de) * 1994-04-18 1994-07-28 Herz Rudolf Zielfernrohr "Schwenk-Drehmontage"
US5467552A (en) * 1994-10-12 1995-11-21 Pachmayr Ltd. Gun sight mounting structure
US6026580A (en) * 1997-01-24 2000-02-22 Larue; Mark C. Aiming sight mount
US6442883B1 (en) * 2000-03-20 2002-09-03 Litton Systems, Inc. Single cam operated attachment device
DE10208127A1 (de) * 2002-02-26 2003-09-11 Heckler & Koch Gmbh Halterung
US6606813B1 (en) * 2002-03-08 2003-08-19 Exponent, Inc. Weapon accessory mounting apparatus
US6678988B1 (en) * 2002-07-23 2004-01-20 Cape Aerospace, Llc. Recoil dampening device for gun sight
DE10303002B4 (de) * 2003-01-27 2005-03-10 Sat Swiss Arms Technology Ag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Zielfernrohrs an einer Waffe
US7272904B2 (en) * 2004-12-09 2007-09-25 Larue Mark C Adjustable throw-lever picatinny rail clamp
US20060207156A1 (en) * 2005-03-05 2006-09-21 Larue Mark C Mount for firearm sighting device having throw-lever clamp and lever safety la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92B1 (ko) * 2012-09-28 2014-01-20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3070A1 (en) 2006-12-21
US7430829B2 (en) 2008-10-07
CA2537084A1 (en) 2005-03-10
EP1649234A1 (de) 2006-04-26
KR100846010B1 (ko) 2008-07-11
ATE397743T1 (de) 2008-06-15
EP1649234B1 (de) 2008-06-04
DE502004007327D1 (de) 2008-07-17
CA2537084C (en) 2008-08-26
WO2005022069A1 (de)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010B1 (ko) 장착 장치
US7677150B2 (en) Mounting system for muzzle devices and firearms
US9494382B2 (en) Firearm hand guard mounting assembly
US7444776B2 (en) Vertical lift mount apparatus for firearm accessories
US10309747B2 (en) Firearm rail/handguard and mounting system
US8006430B2 (en) Universal scope mount for firearm
US8510983B2 (en) Pivot mount for firearm sighting devices and accessories
US20050215092A1 (en) Firearm stock connector
US20130000176A1 (en) Accessory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10146128A1 (en) Clamping system for mounting optical devices onto a picatinny-rail
US20110154711A1 (en) Mounting system for muzzle devices and firearms
ES2809551T3 (es) Adaptador para la colocación de al menos un equipo adicional en un arma de fuego autocargable y arma de fuego autocargable equipada con el mismo
US20190033030A1 (en) Device for releasably mounting a silencer and silencer arrangement
CA2761836C (en) Fiber optic shotgun sight
US20180202759A1 (en) Firearm rail/handguard and mounting system
US20170191773A1 (en) Upgrade kit for assault rifle
RU2482419C2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наряда и способ его крепления
US11112197B2 (en) Pivot pin
KR20070114377A (ko)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US8555542B2 (en) Sighting telescope mounting system
KR101997809B1 (ko) 레일 어뎁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총기
RU2753991C1 (ru) Ствольная накладка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US10309748B2 (en) Firearm rail/handguard and mounting system
KR100861848B1 (ko) 유지 장치
ZA200600789B (en) Assemb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