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377A -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 Google Patents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377A
KR20070114377A KR1020077022379A KR20077022379A KR20070114377A KR 20070114377 A KR20070114377 A KR 20070114377A KR 1020077022379 A KR1020077022379 A KR 1020077022379A KR 20077022379 A KR20077022379 A KR 20077022379A KR 20070114377 A KR20070114377 A KR 2007011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haft
component
barrel
ten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뮤렐로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1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3/00Butts; Butt plates; Stocks
    • F41C23/16Forestocks; Handgrips; Hand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3Mountings with a dove tail element, e.g. "Picatinny 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신(3) 영역 내의 구성요소(21), 특히 총열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이러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기는 총신(3)을 둘러싸고 보어의 축선(4)에 대해 고정적인 슬리브(5)와, 상기 슬리브(5)와 대면하고 이하 내측 표면 영역(29)으로 언급될 상기 구성요소(21)의 표면 영역이 상기 슬리브(5)의 대향 외측 표면 영역(5', 5")과 접촉할 수 있는 장치(3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재생 가능한 방식으로 화기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 레일(25, 27, 31)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조준 기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구성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총신(3)과 슬리브(5)의 적어도 일부 또는 거의 전체를 둘러싸며, 회전식 고정방식으로 무기 본체(1)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FASTENING SYSTEM FOR FIXING A COMPONENT TO A SMALL ARM AND SMALL ARM COMPRISING SUCH A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화기의 총신 영역 내의 구성요소의 고정을 위한 인장 시스템(tensioning system) 및 이러한 인장 시스템과 슬리브, 특히 보어의 축선에 대해 고정적인 상기 총신을 둘러싸는 관형 슬리브를 장착한 휴대용 화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언급된 상기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되는, 총신과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휴대용 화기의 총열 덮개(hand guard)와 같이 탈부착될 수 있는 무기 부품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유탄 발사기(grenade launcher)와 같은 무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휴대용 화기의 위치는 일반적인 사격 및 발사 위치에 대응한 것으로 가정되며, 따라서 수평 총신 및 이에 따른 보어의 수평 축(총신의 중앙 축)을 갖게 되고, 손잡이는 하방을 향하고, 총구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상측, 하측, 우측, 좌측, 전방 및 후방과 같은 기술은 통상적인 사격 위치에 있는 무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수의 관점에서 정해진다.
보다 오래된 타깃 라이플(target rifle)은 종종 별도의 전방 샤프트를 갖는 다. 상기 전방 샤프트는 때때로 핸드레스트 장착용 홀더를 구비하지만, 이는 그 위치의 재생가능한 정밀성을 엄격하게 요구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방 샤프트는 손으로 고정되고, 무기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결코 손이 흔들리지 않게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무기에 상기 전방 샤프트를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조준 장치를 상기 샤프트에 부착하기에는 너무 부정확한데, 이는 전방 샤프트의 목재부가 너무 많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방 샤프트 상에 이각대(bipod) 등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총신이 열 팽창에 종속될 때에도 상기 총신은 샤프트와 규칙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플라스틱 샤프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목재가 작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들은 제거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무기 상에 재생가능하게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전방 샤프트 상에 조준 장치 등을 장착할 수 없다. 즉, 플라스틱 샤프트는 과도한 부정확성을 야기할 수 있다.
휴대용 자동화 무기, 특히 자동 권총이나 소형 경기관총의 경우에, 총신의 과열로 인한 매우 특정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전방 샤프트가 별도로 조립되더라도 정밀 수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속 생산에 있어서 공차를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즉, 생산 공차(production tolerance)의 평균값을 가정하면, 전방 샤프트는 무기 상에 약간 느슨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최대 생산 공차에 다다르는 경우에 전방 샤프트는 더 이상 무기에 장착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무기의 전방 샤프트는 "총열 덮개"라고도 한다. 이것은 신속한 연속 발사의 과정에서 매우 높은 온도로 되어 접촉시 심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총신과의 접촉으로부터 손을 보호한다. 더 나아가, 가스 작동식 라이플의 경우에, 전방 샤프트는 가스 피스톤에서 나오는 고온의 연소 가스로부터 사수의 손을 보호한다.
이러한 총열 덮개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거나, 우수한 열 절연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나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다른 관점에서, 총신을 슬리브 너트에 의해 무기 상에서 제거 가능하게 고정 장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에, 무기의 작동 범위, 특히 조준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기에 주변 장치를 장착한다. 더 나아가, 현대식 무기는 높은 발사 정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현대식 무기는 기본적으로 주변 장치의 고정을 위한 장치를 더 구비하여야 한다. 화기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 장치는 군용 무기에 주변 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고, 민간용 무기의 경우에 그 후속 장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프리즘 레일은 주변 장치용 고정 장치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즘 레일은 총신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러한 큰 단면적으로 인해 주변 장치의 정확하게 재생 가능한 장착을 촉진한다. 횡방향 슬롯은 상기 장치의 위치 상 정확한 부착을 확실하게 하여, 상기 장치가 발사 응력하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위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은 총신과 나사 연결에 의한 견고한 결합을 이루며, 이 경우 충 분한 강성을 갖는 하우징 상에 장착 또는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전방으로 방해받지 않는 "가시 영역"을 요하는 장치, 예를 들어 라이트나 유탄발사기 등의 장치가 총열 덮개 자체에 이러한 레일을 장착 또는 구성하는 것 또한 일반적이다.
그러나 관측 장치는 총열 덮개 상에 장착되지 않는데, 이는 이러한 총열 덮개는 무기 상에 느슨하게 부착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총신에 대한 관측 장치의 필요한 위치 재생성은 유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조준 장치, 야간 조준 장치, 관측 전자장비를 갖춘 거리 측정기 등은 여전히 무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는 요구되는 주변 장치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기존의 조준 수단을 미리 제거할 것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무기는 보편적이지 않고, 오히려 제한적 작동 범위를 갖는 극히 특수한 무기로서만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가능한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러한 인장 시스템에 의해, 무기 상의 총열 덮개, 예를 들어 유탄발사기와 같은 부수적 무기, 또는 장착에 필요한 요구되는 공차 유극(tolerance play) 또는 가열로부터 가능한 독립적으로 무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구성요소는 항상 충분히 정확하게 재생 가능하게 그 방향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성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세척이나 또 다른 이러한 구성요소와의 교체를 위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무기에 탈부착되어야 한다.
여기서 "구성 요소"라는 용어는 전방 샤프트 영역에서 무기의 총신을 어느 정도 둘러싸거나, 다소간 평행한 특정 방식으로 상기 총신에 정렬되는 장치를 가리키고자 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총열 덮개에 관한 것일 수 있으나, 또한 순수 장착 레일 캐리어(예를 들어, 피카티니 레일, STANAG, PCAPs 등)에 관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양 기능을 모두 실행하는 결합 구성 요소, 유탄 발사기 등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어는, 2각대, 포차 또는 총검, 일체형 관측 장치(조준 광학기, 레이저, 램프 등) 및 관련된 작동식 콘트롤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기의 총신을 어느 정도 수용하거나, 소정의 방식으로 상기 총신에 정렬되는 또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는 제 1 항의 요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인장 시스템이, 상기 구성 요소의 슬리브에 대면하는 이하 내측 영역이라 언급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들)이 슬리브의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외측 표면 영역(들)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해결된다.
슬리브로 총신을 둘러싸는 것은 이미 공지(미국 특허 제 1 370 118 호)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총열 덮개뿐 아니라 개머리판으로 반동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을 제공하며, 따라서 반동을 야기하는 총신과 전달 슬리브 사이의 물리적 연결이 요구된다. 추가로 독일 라이플 모드. 1888(German rifle Mod. 1888)이 명명된다.
이하에서 간소화를 위해, 오직 하나의 총열 덮개만이 언급되는데, 이것이 구성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제 4 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항상 전술된 유형의 또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슬리브형 총열 덮개는 슬리브 상에서 활주하며, 상기 슬리브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와 인접하게 된다. 슬리브는 일부에서 필요하다면 에어갭을 갖춰 접촉 없이 총신을 둘러싼다. 그러나 슬리브는 그 후방측 상에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총신은 상기 너트에 의해 무기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슬리브는 항상 총열 덮개가 상기 장치에 의해 접촉될 때,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슬리브에 인접하게 된다.
수회의 발사로 발생되는 열은 슬리브와 총신 사이의 에어갭을 통해 멀리 전달된다. 슬리브는 또한 그 과정에서 신장되지만, 금새 저지되고 그 정도도 미미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슬리브의 외측면의 종방향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유지되거나, 기껏해야 평행하게 이동된다. 인장 시스템은 그 과정에서 기껏해야 미미하게 총열 덮개에 변형을 준다.
또한, 슬리브의 열 팽창은 총열 덮개에 꽉 끼게 하지 않는데, 이는 상기 슬리브가 총열 덮개에 대해 종방향으로 부분적으로만 고정되기 때문이다(고정/부양 베어링 원리). 따라서, 총열 덮개는 열의 경우에 변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필요한 경우 존재하는 피카티니 레일(들)이 레이 온 라인(lay-on line) 또는 총열 덮개와 슬리브 사이의 접촉면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에 평행한 총열 덮개의 외측면 상에서 연장된다는 것과, 슬리브 및 총열 덮개의 동일한 라인 또는 표면이 항상 서로 접촉 상태로 존재하고, 이로써 레이 온 라인 또는 접촉면이 된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 총열 덮개의 치수는 공차, 열 팽창 및/또는 마모 및 절취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인장 시스템이 이러한 치수 변경을 보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단한 수단으로, 총열 덮개 및 상기 총열 덮개에 장착된 장착 레일(들)이 심지어는 총열 덮개가 일시적으로 제거될 때에도, 그리고 총신이 고온으로 될 때까지 무기가 발사될 때에도, 상기 총열 덮개가 항상 보어의 축선에 대해 그들(각각)의 각도 상의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만약 장착 레일이 보어의 축선에 평행한 각도 상의 위치가 주어진다면, 레일은 상기 각도 상의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조준 장치는 상기 조준 장치용 장착 레일을 지지하는 총열 덮개와 총신 사이에 존재해야 하는 직접 연결부 없이, 총열 덮개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총열 덮개의 내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디자인에 있어서 원통형이거나 각주 형상인데, 이는 이러한 총열 덮개가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으며, 또한 대량 생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슬리브 상의 직선의 연속적인 종방향 에지를 설계하거나, 총열 덮개의 내측면이 안착되는 원통형 또는 각주형 외측면을 갖는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적당하다.
인장 시스템의 인장 장치는 파지 장치로서 슬리브와 총열 덮개 사이에 배열된다. 파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 장치는 서로 대향하여 맞닿아 접촉하는 총열 덮개와 슬리브의 내측 및 외측면을 가압하여, 총열 덮개가 대체로 슬리브에 고정된다(제 5 항).
바람직하게는, 특히 가스 작동식 라이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파지 장치는, 슬리브에 대해 상기 파지 장치가 상기 파지 장치에 의해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슬리브 외측면 및 총열 덮개 내측면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며, 슬리브와 총열 덮개 사이의 파지 위치로 전개하는 방식으로 총열 덮개와 슬리브 사이에서 배열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다(제 6 항).
그 과정에서, 유리하게는 연전기(spreader)는 총열 덮개의 고정을 맡으며, 상기 연전기는 파지 장치 상에 배열되고, 총열 덮개와 슬리브 사이에서 동력 전달을 수행한다(제 7 항).
바람직하게는, 파지 장치는 슬리브와 총열 덮개 사이에 배열되고 캠을 지지하는, 슬리브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캠은 연전기를 구성한다(제 8 항). 이러한 점에서, 상기 샤프트는, 파지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슬리브 및 총열 덮개의 표면 세그먼트 쌍에 대향하는 슬리브의 측면 상에서 캠과 배열된다. 상기 캠은 총열 덮개가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만큼 자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파지 장치의 완만한 인장(tensioning) 및 완화(relaxing)을 가능하게 한다. 그 과정에서, 캠은 총열 덮개가 국부적인 변형 없이 고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총신의 종방향으로 현저한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캠은 파지 위치에서 그 편심부로 총열 덮개와 슬리브 사이의 내측으로부터 자체적으로 쐐기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캠이 본질적으로 상기 편심부에 반경 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샤프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어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는 캠이 슬리브에 대해 자체 지지하고, 이로써 샤프트를 탄성적으로 만곡시키는 파지 위치 내의 이러한 선회 위치를 차지한다. 그 과정에서, 파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하나의 인장 영역은 총열 덮개의 내측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지엽적 접촉을 야기한다. 이러한 결과로서, 단지 표면 압력뿐 아니라 총열 덮개의 대응하는 그립을 제공하는 고 장력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힘은 슬리브 외부와 총열 덮개 내부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접촉 영역에 걸쳐 전달되기 때문이다. 해제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는 파지 위치에 대향하여 왜곡되고, 캠은 슬리브에 대해 느슨하게 안착되거나 해제된다(제 9 항).
그 과정에 있어서, 만약 캠이 각각이 그것을 지지하는 샤프트의 장력 범위를 형성하는 샤프트 단부 사이에 배열되어, 판 스프링과 유사한 파지 위치에 있는 샤프트가 슬리브와 총열 덮개 사이의 파지력을 증대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자속이 슬리브 중앙, 캠, 샤프트 단부 및 총열 덮개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캠은 샤프트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편으로 샤프트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캠이 샤프트에 대한 각도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제 10 항).
바람직하게는, 그 과정에서, 슬리브는 일측 반경 방향 측면 상에 적어도 2개의 돌출부를 나타내는데, 상기 돌출부는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제 8 항). 만약, 연전기 또는 캠이 반경 방향으로 반대 방향 상에 배열되고, 2개의 돌출부 사이 주변에 축선 방향으로 놓인다면, 총열 덮개는 높은 파지력의 경우에서 조차 만곡되지 않도록 파지된다. 그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자체적으로 슬리브 단부의 영역에 지지되며, 다른 한편으로 샤프트 단부에 배열되는 2개의 장력 범위는 직경 방향으로 상기 영역에 대향된다. 추가로, 장착 레일은 총열 덮개에 추가의 굽힘 강도를 부여한다. 결국, 당업자는 파지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정통하게 되어, 생산 공차를 고려하여 파지의 치수가 총열 덮개 및 상기 총열 덮개 상에 장착되는 레일을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허용가능하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 과정에서, 슬리브 돌출부가 환형 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제 12 항). 이러한 환형 링, 특히 원통형 외측면을 갖는 환형 링은 총열 덮개의 상응하는 내측면의 경우에, 상기 내측 표면을 지지하여, 만일 예를 들어 무기가 떨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심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샤프트는 알렌 렌치(allen wrench) 등이 회전을 위해 위치되도록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는 회전을 위해 레버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하며, 상기 레버의 기저부는 본질적으로 샤프트로부터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제 13 항). 레버는 예를 들어, 용접되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레버는 샤프트 상에 존재하며, 상기 샤프트를 조절하기 위해 샤프트까지의 충분히 먼 거리의 헤드 단부를 갖는다.
그 과정에서, 레버는 파지 위치에서 상기 레버가 총열 덮개 주위를 감싸며, 그 헤드는 상기 슬리브 또는 총열 덮개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특수한 공구 없이 해제 위치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4 항).
레버는 샤프트 상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전방 측면 또는 중심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단부 및 뒷부분 영역,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 핀이 성형되는 후방 샤프트 단부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핀은 하우징, 특히 무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 선단 홈에 결합되며, 이런 방식으로 샤프트를 중심 설정한다(제 15 항). 따라서, 후방 샤프트 단부는, 샤프트의 전방 베어링이 과도한 응력에 종속되거나 더 이상 슬리브에 평행하여 연장되지 않는 위치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레버에 의해 큰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샤프트는 총열 덮개의 내측의 홈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홈은 예를 들어, 총열 덮개에 일체를 이루는 피카티니 레일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 특히, 후방 지지 핀을 갖춘 샤프트의 경우에 있어서, 전방 샤프트 단부가 상기 총열 덮개에 일체를 이루는 피카티니 레일 또는 총열 덮개 상의 샤프트의 파지 위치에서 자체적으로 지지되기에 충분하고 또한 이러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총열 덮개의 이러한 피카티니 레일의 벽은 전방 샤프트 단부의 고정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전방 샤프트 단부는 슬리브에 대향하여 지지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슬롯은 스프링 클립이 안착되는 전방 샤프트 단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클립은 전방 슬리브 단부 내의 추가적인 스냅 링 그루브 내로 연장하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샤프트가 슬리브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6 항). 이 과정에서 스프링 클립은 고정 지지부로서 작용하지 않는데, 이는 스냅 링 그루브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튕겨 나가거나, 슬리브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 클립은 제거된 총열 덮개의 경우에 있어서 샤프트를 고정하는 목적을 주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후방 샤프트 단부 상에 구성되는 지지 핀은 제거된 총열 덮개의 경우에서도 하우징 상의 접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클립에 의해 전방에 유지되고, 접합부에 의해 후방에 유지되기 때문에, 샤프트는 떨어지지 않는다.
원래, 총열 덮개는 반경 방향으로만 파지되더라도 충분하다고 한다. 그러나 축선 방향 고 부하(예를 들어, 반동)의 경우에서도, 무기 상에서 정확하고 견고하게 위치된 총열 덮개를 유지하고, 동시에 열 팽창에 있어서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캠이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안착되고, 상기 캠이 샤프트의 파지 위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총열 덮개 내의 홈에 결합한다(제 17 항). 따라서 파지 위치에서, 파지 장치는 총열 덮개의 일단부를 무기에 확실하게 고정하지만, 추가로 고정되지 않는 총열 덮개의 타단부의 확장 및 수축의 자유를 보장한다. 그러나 무기로부터의 총열 덮개의 제거는 총열 덮개가 파지되는 한 불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총열 덮개 내의 전술한 홈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설계되어, (추가적인) 캠이 홈내에서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생산을 간소화하고 결합시 캠은 소정의 부착물을 밀어낸다.
총열 덮개의 전술된 홀더는 소정의 총열 덮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의 전술된 장점으로 인해, 총열 덮개가 그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레일, 특히 피카티니 레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5 항). 총열 덮개의 내측 상의 홈이, 샤프트 단부가 그 장력을 작용시키는 장착부 또는 피카티니 레일의 내측을 구성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제 19 항).
파지 장치는 그것이 파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더 확고해진다(제 20 항). 무기의 사용자는 로킹의 경우에 있어서 현저한 결합 저항(latching resistance)을 극복하고, 이에 따라 작동시에 파지 장치가 적합하게 로킹되었는지 및 총열 덮개가 고정되어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확인 없이 인식하게 된다. 이는 슬리브와 로킹 요소(캠) 사이 또는 총열 덮개와 로킹 요소(샤프트의 장력 영역) 사이의 가동 영역 편성의 대응하는 설계를 통해 얻어진다(제 21 항).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인장 시스템을 구비한 소형 화기를 포함한다(제 22 항).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장착한 소형 화기는 예시적인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시스템의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총열 덮개가 없는 자동 권총의 전방부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고정된 총열 덮개를 구비하고 파지 장치의 해제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권총 세그먼트의 일부에 대한 종방향도,
도 3은 파지 장치가 파지 위치에 있는 도 2와 같은 종방향도,
도 4는 도 2의 라인 Ⅳ-Ⅳ를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라인 Ⅴ-Ⅴ를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캠 및 샤프트의 택일적 적용에 있어서의 도 5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은 하우징을 나타내거나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 블럭(1)을 포함하는 가스 작동식 무기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간략화를 위 해, 블럭은 간단하게 "하우징(1)"이라 한다. 보어의 축선(4)을 갖는 총신(3)은 스플라인(7)에 의해 하우징(1) 내로 삽입되고(도 2), 활주형 오버 슬리브(5)에 의해 고정되고, 슬리브처럼 너트는 나사산부(9)에 의해 하우징(1)에 나사 결합된다. 하우징(1)의 상단면 상에는 피카티니 레일(23)이 조립되어 있다.
전방부에 덧붙여 가스 실린더 하우징(11)이 총신 위로 활주하고, 교차 핀(13)으로 부착된다. 가스 실린더 하우징(11)은 총신(3)의 벽을 관통하는 가스 채널을 통해 총신(3)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스 실린더에 연결된다. 가스 채널 및 가스 실린더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발사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총신(3)에 평행한 피스톤 로드(15)는 머쉬룸 헤드(mushroom head)(도 2 및 도 3)를 결합해제하기 위해, 그리고 개방을 위해 브리치형 폐쇄 스프링(breech closing spring; 도시되지 않음)의 힘에 대해 후방으로 가속되도록 하기 위해 브리치 블럭 캐리어상에 작용한다.
슬리브(5)는 유극을 두고 총신(3)을 둘러싸고, 상기 총신(3)을 하우징(1)에 대해 총신 링(19) 및 어깨에 확고하게 가압한다. 나사산부(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압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슬리브(5)는 우선 일종의 열절연체를 구성하는데, 이는 거의 모든 경우, 슬리브의 전체 길이는 총신(3)과의 물리적인 연결을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히 현저한 것은 총신(3)의 진동 거동은 슬리브(5)의 외측에 무엇이 형성되어 있느냐에 상관 없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슬리브(5)의 내측면은 광범위하게 원통 형상을 띤다. 슬리브(5)의 외측면은 원형 실린더로 묘사할 수 있으며, 이는 전방 및 후방 슬리브 단부에만 접촉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슬리브 단부 사이에 슬리브 외측면은 제한되고, 전방 및 후방 슬리브 단부가 각 경우에 동일한 반경 방향 치수로 정확해지도록 원형 링의 방식으로 돌출하는 실린더 표면을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2개의 슬리브 단부는 원통형 둘레 영역을 갖는 환형 링(5', 5")으로서 설계된다.
총열 덮개(21)(도 2, 도 3, 도 4 및 도 5)는 적절한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금속 삽입물을 갖춘 플라스틱 또는 적절한 복합 재료로 구성되며, 일편(one piece), 예를 들어 사출 성형품, 주조품, 압출 프로파일, 타출품 또는 용접 구조로 형성된다. 총열 덮개는 원통형 내측 표면 세그먼트(29, 29')(도 5, 도 6 및 도 7)를 포함하며, 상기 총열 덮개는 이러한 세그먼트로 슬리브(5)의 환형 링(5', 5")을 반경 방향으로 둘러싼다.
환형 링(5', 5")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공차 및 열 유극은 총열 덮개(21)가 저항 없이 무기 상에서 용이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존재한다. 도 4에 있어서, 이는 과장되게 도시된 환형 간극(6)으로 표시되며, 총열 덮개(21) 상에서 활주하는 로커의 경우에 원환 링(5', 5")과 내측 표면 세그먼트(29, 29') 사이에서 연장한다. 아래로 당겨진 총열 덮개(21)의 경우에, 상부 내측 표면 세그먼트(29)는 슬리브(5)의 원환 링(5', 5") 상에 안착되고, 단지 잔류 간극(6')만이 원환 링(5', 5")과 하부 내측 표면 세그먼트(29') 사이에 남아 있다(도 5, 도 6 및 도 7).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총열 덮개(21)의 상측면은 피카티니 레일(25)로서 형상화된다. 상기 상측면은 하우징(1) 상의 피카티니 레일(23)에 동일 평면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즉 슬리브(5)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피카티니 레일(25)과의] 총열 덮개(21)의 정렬을 위해, 총열 덮개는 후방 전면 영역에 걸쳐 돌출하는 노우즈(48)를 포함하며, 이는 피카티니 레일(23)의 대응하여 설계된 슬롯(49)과 결합한다. 상부 피카티니 레일(25)을 형성하는 총열 덮개(21)의 영역은 바닥으로부터 굴착되어 있으며, 이는 생산-기술적 요인을 위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총열 덮개(21)는 본질적으로 불균일한 벽 두께를 나타낸다. 가스 실린더, 그 관련 로드 조립체 및 그것의 스프링 서스펜션(도시되지 않음)은 총열 덮개(21)의 상부 중공 공간으로 진행된다.
슬리브(5)의 원환 링(5', 5") 상의 총열 덮개(21)의 내측면 세그먼트(29, 29')의 안착부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필요한 그립을 총열 덮개(21)에 제공하기 위해 충분할 것이나,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보어의 축선(4)에 대한 정확하게 재생 가능한 정렬은 아닐 것이다. 원환 링(5', 5")과 내측면 세그먼트(29, 29') 사이의 불리한 공차의 경우에, 총열 덮개(21)는 무기 상에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그 내측이 너무 작은 직경을 갖거나, 원환 링(5', 5") 상에 너무 느슨하게 안착되기 때문이며, 또한 냉각 총신(3)의 경우에 있어서 강력한 태양 복사열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총열 덮개(21)에 무기 상의 특별히 재생 가능한 안착부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방향으로의 요구되는 열 팽창을 방해함이 없이 무기 상에서 정확하게 고정되는 파지 장치(33)가 제공된다.
파지 장치(33)는 총신(3)에 본질적으로 평행하여 연장하는 샤프트(35)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하부 피카티니 레일(27)로서 설계된 총열 덮개(21)의 섹셕 내측에 안착된다. 지정된 내측부는 하부 내측면 세그먼트(29') 사이에 놓인다. 따라서, 샤프트(35)는 피카티니 레일로서 이루어지는 총열 덮개부의 중공 공간에 스로틀 링크(15)와 유사하게 수용된다. 그러나 하부 피카티니 레일(27)의 내측의 바닥부는 이하에서 설명될 이유로 인해, 라운드 형상을 갖지 않고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총열 덮개(21)는 2개의 측면 방향 피카티니 레일(31)을 포함한다(도 5).
샤프트(35)는 2개의 단부 영역 각각에 융기부(35', 35")를 포함한다. 그 후방 단부로부터 지지 핀(39)이 그것에 동축을 이루며, 상기 핀은 무기 하우징(1)에 제공되는 수직 유극을 갖는 수신부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지 핀(39)으로부터 레버(37)는 샤프트(35)에 측방으로 고정된다. 파지 위치(도 5 및 도 7)에서, 레버(37)는 슬리브(5) 주위 또는 총열 덮개 주위에서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부 피카티니 레일(25)에 인접한 외측으로, 여기서는 후방으로부터 관측하였을 때 무기의 좌측으로 오프셋된 단부(38)와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레버 단부는 어느 때, 심지어는 조준시에도 좌안으로 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37)가 예를 들어 (폐쇄 위치의) 총열 덮개 상에 적절하게 놓여있는지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다(도 4 및 도 6). 오프셋된 단부(38)는 파지 장치(33)의 로킹 또는 언로킹시에 작동될 수 있 으며, 이때 어깨 끈 루프는 순수하게 수동으로 가능한 것보다 큰 힘이 가해진다.
샤프트(35)의 전방 단부 영역은 그 기저부에 스냅 링 그루브를 갖는 원뿔형 돌출부로 종결된다. 이러한 스냅 링 그루브는 슬리브(5)의 전방 환형 링(5')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냅 링 그루브의 다음에 반경 방향으로 놓여 있다. 스프링 클립(41)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혼합 원형 원호의 형태로서, 각각은 그 상측면에 개방되고, 스냅 링 그루브로 활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열 덮개(21)가 제거될 때, 스프링 클립(41)은 샤프트(35)를 견고하게 유지하며, 이로써 떨어지지 않게 된다.
샤프트(35)는 그 중심에서 캠(43)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캠 맞은편 측면에서 편심부는 샤프트(35) 내로 혼합되는 광범위한 편평부를 갖는다. 캠(43)은 그 파지 위치에서, 레버(37)가 총열 덮개(21) 상에 놓여 있을 때, 슬리브(5)에 맞서 지향되고, 상기 슬리브에 맞서 가압되며, 이러한 수단에 의해 외측(하부)으로 약간 만곡되도록 장착 및 구성된다. 캠부의 편평화는 인장된 샤프트(35)의 경우에, 그 파지 위치에서, 상기 캠부가 총열 덮개에 어떠한 힘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간극은 샤프트의 캠부와 상기 캠부에 대향하는 총열 덮개(21)의 내측 사이에 잔존한다.
그러나 2개의 샤프트 융기부(35', 35")는 샤프트(35)의 굽힘 응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부 피카티니 레일(27)의 내측의 바닥부로 가압되고, 원환 링(5', 5")의 원통형 외측면으로 상부 내측면 세그먼트(29)를 당긴다. 샤프트(35)는 장력하에서 판 스프링과 같은 캠(43)에 대해 작용한다. 따라서, 총열 덮개(21)는 한정된 위치 에서 슬리브(5)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 내의 수신부는 충분한 수직 유극을 두고 측방으로 지지 핀(39)을 중심설정하여, 후방 샤프트 인장의 경우, 융기부(35")는 내측의 마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스프링 클립(41)은 전방 샤프트 융기부(35')에 대한 대응하는 수직 유극을 허용한다. 측방 중심설정은 요구되거나 추가적으로 내측부의 측방 내측면에 대해 피카티니 레일(27)을 할당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면은 샤프트 융기부(35', 35")의 직경에 적용된다.
파지 위치는 도 3에 도시되며, 상기 파지 위치로부터 샤프트(35)가 하방으로 약간 만곡되고, 그 융기부(35', 35")가 하부 피카티니 레일(27)에 할당된 내측부의 바닥부에 대해 가압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2의 해제 위치에서, 캠은 측방으로 왜곡되고, 샤프트(35)는 초기 위치로 탄성 복귀한다. 해제 및 파지 위치는 도 4 및 도 5의 단면으로 도시된다.
파지 상태에서, 총열 덮개(21)는 보어의 축선에 대해 동일한 각도 위치에 항상 고정되며, 열 팽창의 경우에서 조차 이러한 각도 위치를 유지한다. 비록, 전방 샤프트 융기부(35')가 총열 덮개를 유지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상기 융기부는 열 팽창을 극히 미미하게만 방해한다. 다른 한편으로, 해제 위치에서 총열 덮개(21)는 전방으로 용이하게 당겨지거나 전방으로부터 활주될 수 있다.
축선 방향으로의 추가 고정을 위해, 편심 노우즈(45)는 레버(37)와 융기부(35") 사이의 후방 샤프트 단부에 배열된다(도 3). 이러한 노우즈는 반경 방향으로 융기부(35")를 벗어나, 보다 정확하게는 캠(43)의 대향 측면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슬리브(5)의 후방 전면 영역과 하우징(1) 사 이에 수용되며, 샤프트(35)와 축선 방향으로 고정되는 칼라 세그먼트(46)가 구성된다. 만약, 레버(37)가 제 위치에 로킹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35)가 해제 위치로부터 파지 위치로 비틀리면, 노우즈(45)는 총열 덮개(21) 내의 (예를 들어, 반경 방향의) 홈(47)으로 파고 들어 간다. 홈(47)으로의 노우즈(45)의 결합에 의해, 총열 덮개(21)는 축선 방향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된다.
무기에 대한 기계적 총열 덮개(21)의 전술한 바와 같은 3개의 결합은 서로 구조상 분리되어 있다.
- 총열 덮개(21)는 슬리브(5)에 반경 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반경 방향 지지면, 즉 상부 내측면 세그먼트(29)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지지면은 슬리브의 환형 링(5', 5") 상에 반경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는 인장된 샤프트(35)의 도움으로 달성되며, 여기서 상기 샤프트의 중앙 캠(43)은 슬리브(5)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고, 2개의 볼록 단부 영역(35', 35")은 총열 덮개(21)의 내측면을 반경 방향으로 가압한다.
- 흡수, 특히 반동력에 대한 흡수를 위한 축선 방향 결합은 칼라 세그먼트(46) 및 홈(47) 내의 노우즈(45)를 통해 발생한다.
-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의 정렬은 노우즈(45) 및 유지 고정부나 슬롯(49)을 통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총신 고정용 슬리브 대신에 종래의 슬리브 너트를 구비한 기존의 통상의 무기는 슬리브, 파지 장치 및 구성요소, 특히 총열 덮개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전술된 유형의 각각의 경우-을 본 발명에 따른 무기에 개장할 수 있다 (만일 스로틀 링크가 이를 허용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심지어 기존의 무기는 보편적인 무기(자동 권총, 기관총, 경기관총 등)에 개장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에는 전방 샤프트 조준 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고, 이들은 무기에 대해 정확하게 재생 가능한 각도 위치를 나타내여야 한다. 조준 장치의 경우에,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한 총열 덮개는 인터페이스로서 일정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장 시스템은 총신에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없는 추가 무기의 정확하게 재생 가능한 정렬 및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슬리브(5)와 총열 덮개(21) 사이의 결합은 슬리브 환형 링(5', 5")의 원통형으로 연장하는 외측면을 갖는 총열 덮개(21)의 대응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 내측면 세그먼트(29)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총열 덮개는 환형 링(5', 5")의 둘레를 둘러싸거나 외측 지붕형으로부터 축선 방향 연장 접촉 라인을 따라 환형 링과 접촉하는 평탄한 내측면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환형 링의 외측면은 다각형(축선 방향으로 에지 전진), 예를 들어 스크류 너트의 외측면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총열 덮개의 내측면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총열 덮개 내측면 영역은 에지에서 선형 방식으로 지지한다. 자연적으로, 슬리브 및 서로에게 할당된 총열 덮개/구성요소의 지지면은 서로에 대해 어느 정도 상보적으로 설계된다.
슬리브(5)에 작용하는 캠(43)의 활동 영역은 우선 라운딩으로 파지 위치로 선회하는 경우에 캠(43)이 슬리브(5)를 따라 활주하여 그 후에 슬리브(5) 상의 편평 영역에 파지 위치로 안착하여, 서로 끼이는 경우에 라운드 영역으로부터 편평 영역으로의 전이에 있어서의 결합 저항을 지각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러한 편평부는 팽창된 샤프트 단부(35', 35") 상에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는 하부 피카티니 레일(27)의 바닥부로 파지 위치에서 편평부로 경사지거나, 총열 덮개(21) 내의 홈의 바닥부로 경사진다. 이를 위해,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하게 연장하여, 요구되는 스냅-인(snap-in) 효과를 추가로 증대시킨다.
도 6 및 도 7은 최종 파지 위치의 캠(43)이 정확하게 상방을 지향하기보다 오히려 그 정점을 이미 초과하였다는 사실에 의해 스냅-인 효과가 얻어지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최종 위치 바로 전에 캠(43)을 로킹하는 경우에, 우선 도 6에 도시된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위치에서 샤프트(35)는 최대로 인장되고, 어느 정도 완화된 최종 파지 위치(도 7)로 전이 상태로 된다. 토글 구조(toggle mechnism)과 유사한 이러한 명백한 완화는 요구되는 스냅-인 효과를 야기한다. 캠의 활동 영역은 편평하게 설계될 필요는 없다. 과도한 잔류 간극(6')이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슬리브 상에서 자체 지지하는 중앙 샤프트 영역이 샤프트 축선에 동심으로 형성되고, 샤프트 단부에는 총열 덮개의 바닥부(하부 피카티니 레일 상의 내측의) 상을 가압하여 총열 덮개를 하부로 당기는 캠이 제공된다. 추가의 실시예의 경우에, 샤프트의 파지 위치에서 그 중앙 영역은 샤프트 단부가 슬리브 단부 상에서 자체 지지되는 한편 총열 덮개의 바닥부 위에 안착될 수 있다.

Claims (22)

  1. 구성요소(21), 예를 들어 휴대용 화기의 총신(9)의 영역에서 활주할 수 있는 총열 덮개(21)의 고정용 인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기는 보어의 축선(4)에 대해 고정적인 간극을 두고 상기 총신(3)을 둘러싸서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총신에 물리적인 결합을 구성하지 않는 슬리브(5), 특히 관형 슬리브와,
    이하 상기 구성요소(21)의 내측 표면 영역(29)으로 언급되는 상기 슬리브(5)에 대향하는 표면 영역이 상기 슬리브(5)의 대향 외측 표면 영역(5', 5")과 접촉될 수 있는 장치(33)를 구비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21)는 상기 슬리브(5) 및 상기 총신(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완전히 둘러싸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21)는 하우징, 특히 무기 하우징(1) 상에서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총열 덮개(21)인
    고정용 인장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33)는 파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구성요소(21)와 상기 슬리브(5) 사이에 배열되는 파지 장치(33)이며, 상기 파지 장치(33)는 파지 위치에서 상기 구성요소(21) 및 상기 슬리브(5)의 내측(29) 및 외측 표면 영역(5', 5")을 가압하며, 상기 영역은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33)는 상기 파지 장치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슬리브 외측 표면 영역(5', 5") 및 상기 구성요소(21)의 내측 표면 영역(29)에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슬리브와 구성요소(21) 사이의 파지 위치로 전개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33)는 연전기(spreader; 43)를 포함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33)는 상기 슬리브(5)와 구성요소(21) 사이에서 진행하고 상기 연신기를 구성하는 캠(43)을 지지하는 상기 슬리브(5)에 본질적으로 평행하는 회전 샤프트(35)를 포함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43)은 편심부에 반경 방향으로 대면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샤프트(35)와 본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통과하고, 파지 위치에서, 상기 캠이 상기 슬리브(5)에 대해 자체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35)가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샤프트(35)의 인장 영역(35', 35")이 상기 구성요소(21) 상에 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샤프트(35)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샤프트(35)가 파지 위치와 반대로 뒤틀리는 해제 위치의 캠(43) 및 슬리브(5)의 외측 표면 영역(들)(5', 5") 상의 반경 방향 내측 표면 영역(들)을 파지하는 힘은 슬리브(5)를 해제시키고, 상기 인장 영역(35', 35")은 상기 구성요소(21) 상의 소정의 장력을 실행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인장 영역(35', 35")은 각각의 샤프트 단부 상에 구성되고, 상기 캠(43)은 이들 단부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특히 일편으로 연결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21)의 내측 표면 영역(들)(29)과 접촉하는 슬리브 외측 표면 영역(들)은 상기 슬리브(5)의 동일한 반경 방향 상에 배열되고, 축선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5', 5")를 포함하거나, 상기 돌출부인
    고정용 인장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환형 링(5',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둘레를 갖는 회전식 환형링으로서 설계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5)는 그 기저 단부가 상기 샤프트(35)로부터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레버(37)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파지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5) 및/또는 구성요소(21)의 둘레와 맞닿고, 반경 방향으로 떨어진 헤드 단부를 포함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7)는 상기 샤프트(35)의 후방 단부에 배열되고, 베어링 핀(39)은 하우징, 특히 무기 하우징(1)의 대응 홈에 결합하는 샤프트 단부에 배열되며, 상기 홈은 상기 지지 핀을 측방으로 안내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6. 제 8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 및 샤프트(35) 각각의 전방 단부는 상기 전방 샤프트 단부를 상기 전방 슬리브 단부에 결합시키는 통상의 스프링 클립(41)을 유지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7. 제 8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샤프트 단부의 영역에, 상기 샤프트(35)의 파지 위치에서의 구성요소(21)의 홈(47)에 결합하는 추가 캠(45)이 안착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21)는 그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레일, 특히 피카티니 레일(25, 27, 31)을 포함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5)의 인장 영역(35', 35")은 상기 장착 레일의 내측상에 장력을 작용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30)는 파지 위치에 로킹될 수 있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와 파지 장치(33) 사이 및/또는 구성요소(21)와 파지 장 치(33) 사이에서 쌍을 이루는 활동 영역은 해제 위치로부터 파지 위치로의 전이에 있어서, 상당한 저항이 극복되어야 하는 방식으로 실행되는
    고정용 인장 시스템.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화기.
KR1020077022379A 2005-03-30 2006-03-29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KR20070114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5391A DE102005015391A1 (de) 2005-03-30 2005-03-30 Spannsystem zur Fixierung eines Bauteils an einer Handfeuerwaffe sowie damit ausgestattete Handfeuerwaffe
DE102005015391.7 2005-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377A true KR20070114377A (ko) 2007-12-03

Family

ID=3659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379A KR20070114377A (ko) 2005-03-30 2006-03-29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64073B1 (ko)
KR (1) KR20070114377A (ko)
AT (1) ATE421675T1 (ko)
CA (1) CA2602558A1 (ko)
DE (2) DE102005015391A1 (ko)
DK (1) DK1864073T3 (ko)
ES (1) ES2320802T3 (ko)
PT (1) PT1864073E (ko)
WO (1) WO2006103062A1 (ko)
ZA (1) ZA2007082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3099S1 (en) 2020-09-28 2022-09-06 Springfield, Inc. Rif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3580B1 (en) 2005-11-07 2009-04-28 Jerome Benedict Tankersley Handguard system integrated to a firearm
US7770317B1 (en) 2008-06-24 2010-08-10 Jerome Benedict Tankersley Handguard system with clamp device
DE102015013803A1 (de) * 2015-10-26 2017-04-27 Heckler & Koch Gmbh Adapter zur Anbringung wenigstens einer Zusatzeinrichtung an einer Selbstlade-Feuerwaffe und mit diesem ausgestattete Selbstlade-Feuerwaffe
US10401122B2 (en) 2017-06-08 2019-09-03 Springfield, Inc. Free floating handguard anchoring system
USD923129S1 (en) 2017-06-08 2021-06-22 Springfield, Inc. Free floating handguard anchoring system
RU2739408C1 (ru) * 2020-02-14 2020-12-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Калашников" 7,62 м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ружие
DE102022110346A1 (de) 2022-04-28 2023-11-02 C. G. Haenel GmbH Feuerwaffe und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Handschutz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0118A (en) * 1920-09-20 1921-03-01 Winchester Repeating Arms Co One-piece-stock takedown firearm
BE787966A (fr) * 1971-08-24 1973-02-26 Remington Arms Co Inc Mecanisme de verrouillage pour armes a feu
US4328633A (en) * 1980-05-19 1982-05-11 Pachmayr Gun Works, Inc. Gun with cushioned forend
DE29812829U1 (de) * 1998-07-18 1998-09-24 Geraetebau Gmbh Handauflage für Landwaffen
US6618976B1 (en) * 2001-12-10 2003-09-16 Richard E. Swan Drop-in laser
US6606812B1 (en) * 2002-06-13 2003-08-19 Mack W. Gwinn, Jr. Firearm barrel chang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3099S1 (en) 2020-09-28 2022-09-06 Springfield, Inc. Rifle
USD1024252S1 (en) 2020-09-28 2024-04-23 Springfield, Inc. Rif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3062A1 (de) 2006-10-05
ATE421675T1 (de) 2009-02-15
DE102005015391A1 (de) 2006-10-05
ES2320802T3 (es) 2009-05-28
DE502006002715D1 (de) 2009-03-12
CA2602558A1 (en) 2006-10-05
EP1864073A1 (de) 2007-12-12
DK1864073T3 (da) 2009-02-23
EP1864073B1 (de) 2009-01-21
ZA200708297B (en) 2008-11-26
PT1864073E (pt)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377A (ko) 소형 화기에 부품을 끼우기 위한 고정 시스템 및 그러한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 화기
US5092071A (en) Weapon accessory mount
US7640689B2 (en) Hand guard system for use with a firearm
US8347540B2 (en) Handguard system for firearms
US6792711B2 (en) Firearm adapter rail system
US5590484A (en) Universal mount for rifle
US7637199B2 (en) Gas cylinder components for use with firearms
US8959825B2 (en) Accessory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US7757423B1 (en) Mounting assembly with adjustable spring tension
US11156423B2 (en) Coupling
CA2520410C (en) Adapter
US20160282083A1 (en) Firearm Hand Guard Mounting Assembly
US10921090B2 (en) Mounting adapter for self-loading firearms
US10082354B1 (en) Firearm suppressor adapter for barrels having obstructions
US10466002B1 (en) Safety selector assemblies
US9175924B1 (en) Tactical attachment system for firearms
US20110154711A1 (en) Mounting system for muzzle devices and firearms
US50354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mounting an optical device
US20190226788A1 (en) Apparatus for fastening a device onto a barrel of a firearm
CA3163898A1 (en) Handguard for clamping mounting on an existing firearm
US9080836B1 (en) Tactical attachment system for firearms
KR20080034454A (ko) 어댑터 구성요소
US10309748B2 (en) Firearm rail/handguard and mounting system
IL112682A (en) Precision mechanism in handguns
EP3514475A1 (en) A coup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