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887A -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887A
KR20060052887A KR1020067001736A KR20067001736A KR20060052887A KR 20060052887 A KR20060052887 A KR 20060052887A KR 1020067001736 A KR1020067001736 A KR 1020067001736A KR 20067001736 A KR20067001736 A KR 20067001736A KR 20060052887 A KR20060052887 A KR 2006005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lter
air
flui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395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에이 제드로
쥬드 에이 칼
도날드 에이 사전트
Original Assignee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2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8Devices in which the water progressively dissolves a solid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6Treating water for medical or cosm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장비 및 장치들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장비 및 장치들을 수용하는 챔버를 통해 액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순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시스템은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는 상기 순환 시스템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공동을 갖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오버플로우 포트, 및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 내의 압력을 소정의 량 만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동으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까지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필터 조립체는 상기 매니폴드에 부착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필터 밸브 조립체를 갖는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필터 조립체 내의 압력보다 소정 량 적을 경우 공기가 상기 필터 조립체를 통해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불활성화, 오버플로우, 매니폴드, 필터

Description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FLUID OVER-FLOW/MAKE-UP AIR ASSEMBLY FOR REPROCESSOR}
본 발명은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영안실 장비 및 장치들의 미생물 불활성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구비하는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혈액 또는 기타 체액에 노출되는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또는 영안실 설비 및 장치들은 각각의 사용 사이에 완전한 세척 및 항균 또는 소독을 필요로 한다. 현재, 액체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들이 고온의 증기 소독 시스템을 견딜 수 없는 설비 및 장치들을 소독 및 불활성화하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체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들은 통상 상기 의료 장치들 및/또는 장비들을 과산 또는 기타 강산화제와 같은 액체 살균 또는 소독 조성물에 노출함으로써 작동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척될 장비 및 장치들은 통상 상기 액체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 내의 챔버 안에 위치하거나,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안에 위치한다. 소독 또는 미생물 불활성화 사이클 도중, 액체 소독제는 상기 소독실(및 그 안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액체 순환 시스템을 통해 순환된다.
순환 시스템은 통상 공기 제거/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순 환 시스템의 충전 도중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공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메이크업" 공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액체 불활성화 유체가 그로부터 배수될 때 공기가 상기 순환 시스템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 제거/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 및 공기 메이크업 조립체들의 문제점은 소독 또는 불활성화 사이클 후 외부 공기가 상기 소독실 (및 컨테이너)로 유입될 때 생물학적 오염 물질이 상기 소독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공기 메이크업 조립체를 살펴보면, HEPA-급 필터가 유입 공기를 여과하도록 사용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유입 공기의 여과가 상기 소독실에 필터를 연결하는 도관 또는 배관 내의 소독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 소독 또는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 내의 메이크업 공기 필터와 소독실 사이의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장비 및 장치들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은 상기 장비 및 장치들을 수용하는 챔버를 통해 액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순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은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는 상기 순환 시스템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공동을 갖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오버플로우 포트, 및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 내의 압력을 소정의 량 만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동으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까지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필터 조립체는 상기 매니폴드에 부착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필터 밸브 조립체를 갖는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필터 조립체 내의 압력보다 소정 량 적을 경우 공기가 상기 필터 조립체를 통해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여과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로를 갖는다. 필터 매체는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 매체는 박테리아 보존성 매체이다. 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통로를 통한 공기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 매체와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만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 필터 매체와 상기 방향 밸브 조립체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여과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시스템에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는 필터 매체를 수용하는 필터 캐니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캐니스터는 공기 입구 개방공 및 출구 개방공을 갖는다. 장착 조립체는 상기 캐니스터에 부착되며, 그를 통과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다. 상기 유체 통로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다.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캐니스터의 상기 출구 개방공과 유체 연통한다. 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한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로의 방향만의 흐름을 허용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 및 상기 필터 매체 사이의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부분은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장비 및 장치들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 위한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장비 및 장치들을 수용하는 챔버를 통해 액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순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공기를 상기 순환 시스템에 제공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로를 갖는다. 필터 매체는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 매체는 박테리아 보존성 매체이다. 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 매체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출구로의 방향으로만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 상기 필터 매체 및 상기 방향 밸브 조립체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다.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순환 시스템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공기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시스템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재처리기에 사용되는 조합형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재처리기의 메이크업 공기 필터 및 소독실 사이에 소독 조건을 유지하는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재처리기의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에 장착 가능한 교체형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재처리기의 메이크업 공기 필터 및 소독실 사이에 소독 조건을 유지하는 전술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료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부분들의 물리적 형태 및 부품들의 배열을 취할 수 있으며,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의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구비하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공기 메이크업 필터 및 장착 가스켓을 구비하는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불활성화 시스템의 충전 사이클 도중의 상기 유체 오버플로우 블록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배수 사이클 도중의 상기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의 단면도로서, 메이크업 공기가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챔버로 들어가는 것을 도시한다.
도 8 은 충전 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의 개략적 배관도이다.
도 9는 순환 사이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의 개략적 배관도이다.
도 10은 배수 사이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의 개략적 배관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시할 뿐 이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유체 오버플로우 불록/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갖는 미생물 불활성화 장치(10)의 단순화된 개략 배관도를 도시한다.
하우징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의 일부인 패널(22)은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될 품목 또는 장비들을 수용하는 치수의 홈 또는 공동(24)을 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 또는 컨테이너(26)는 불활성화될 장치 또는 장비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컨테이너(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또는 공동(24) 안에 수용되는 치수를 갖는다.
수동 작동식 덮개(32)는 공동(24)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공동(24)을 폐쇄 또는 커버하는 폐쇄 위치(도 1에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밀봉 요소(34)는 덮개(3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공동(24)을 둘러싸며 덮개(32)와 패널(22)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형성한다. 래치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불활성화 사이클 도중 폐쇄 위치 내에 덮개(32)를 래치 및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공동(24)은 덮개(3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챔버(36)를 본질적으로 규정한다.
유체 순환 시스템(50)은 상기 미생물 불활성화 유체를 챔버(40)에 제공하며, 챔버(40)를 통해 미생물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작동가능하다. 유체 순환 시스템(50)은 가열된 물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물 입구 라인(42)을 포함한다. 한 쌍의 마크로 필터(54, 56)는 물 입구 라인(52) 내에 제공되어 유입되는 물에 존재할 수도 있는 커다란 오염 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물 공급원 내의 유 기물을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UV) 처리 장치(58)는 상기 입구 라인들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밸브(62)는 물 입구 라인(52)으로부터 시스템 공급 라인(72) 까지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시스템 공급 라인(72)은 직렬 배치되는 두 개의 마이크로 필터(74, 76)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수로부터 미세 유기물 및 입자들을 여과함으로써 소독수를 유체 순환 시스템(50)에 제공한다. 유체 가열 장치(78)는 마이크로 필터들(74, 76)의 하류에 있는 공급 라인(72) 내에 배치된다. 시스템 공급 라인(72)은 제 1 분기 공급 라인(82) 및 2 차 분기 공급 라인(84) 내로 나누어진다. 제 1 분기 공급 라인(82)은 챔버(40) 내의 컨테이너(26)와 연통한다. 2차 분기 공급 라인(84)은 챔버(40) 자체에 연결된다. 2차 분기 공급 라인(86)은 제 1 분기 공급 라인(82)으로부터 나누어지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장치(10)에 사용되는 항균 유체를 형성하는 건조 화학 시약을 수용하는 화학 물질 투여 컨테이너의 입구 부분을 향한다. 밸브(88)는 제 1 분기 공급 라인(82) 및 제 2 분기 공급 라인(86)을 통한 화학 물질 투여 컨테이너(92)로의 흐름을 제어한다. 화학 물질 투여 컨테이너(92)는 하우징 구조물의 패널(22) 내에 형성되는 저장조(94) 내에 배치된다. 흐름 제한기(96)는 2차 분기 공급 라인(86) 내에 제공되어 그를 통한 흐름을 제한한다. 흐름 제한기(98)는 제 2 분기 공급 라인(84) 내에 제공되어 그를 통한 흐름을 제한한다.
분기 회수 라인(102)은 화학 물질 투여기(92)로부터 연장하며, 시스템 회수 라인(112)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분기 유체 회수 라인들(104, 106)은 각각 컨테이너(26) 및 챔버(40)로부터 연장하며, 시스템 회수 라인(72)에 연결된다. 시스 템 회수 라인(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입구 라인(52)과 유체 공급 라인(72)을 뒤로 연결한다. 펌프(114)는 시스템 회수 라인(112) 내에 배치된다. 펌프(114)는 유체를 유체 순환 시스템(50)을 통해 순환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드레인 라인(116)은 시스템 회수 라인(112)에 연결된다. 드레인 밸브(118)는 상기 드레인 라인(116)으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방향 체크 밸브(64)는 물 입구 라인(52)과 펌프(114) 사이의 시스템 공급 라인(72) 내에 배치된다. 필터 바이패스 라인(122)은 필터들(74, 76)의 양측의 시스템 공급 라인(72)과 연통한다. 특히, 바이패스 라인(122)의 펌프(114)와 방향 체크 밸브(64) 사이의 시스템 공급 라인(72)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라인(122)의 타단부는 필터들(74, 76) 뒤의 시스템 공급 라인(72)과 연통하지만, 이는 제 1 및 제 2 분기 회수 라인들(82, 84)이 형성되기 이전이다. 흐름 제한기(124)는 필터 바이패스 라인(132) 내에 제공되어 그를 통한 흐름을 제한한다.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순환 시스템(50)의 작동을 조절한다. 순환 시스템(50)의 작동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모드, 순환 모드 및 배수 모드를 포함한다. 충전 모드, 순환 모드 및 배수 모드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130)는 챔버(40)와 유체 연통하는 덮개(32)에 부착된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130)가 도시된다.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130)는 베이스 섹션(134)과, 상기 베이스 섹션(134)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부 섹션(136)을 갖는 매니폴드(132)를 포함 한다. 베이스 섹션(134)은 그에 결합하도록 재처리기의 덮개(32)와 정합하는 치수의 제 1 표면을 포함한다. 반구형 돔 부분을 갖는 공동은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 내로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섹션(134)은 덮개(32) 내의 개방공 위에 위치되는 공동(142)을 구비하는 덮개(32)에 장착되는 치수를 갖는다. 오목부 또는 홈(144)은 공동(142) 둘레의 베이스 섹션(134)의 제 1 표면(138) 내에 형성되어 밀봉 요소(146)를 수용함으로써 매니폴드(132)가 그에 장착되는 경우 매니폴드(132)와 덮개(32) 사이에 유체 밀봉을 제공한다. 매니폴드(13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섹션(134) 내의 장착 구멍들(148)을 통해 통상의 체결구들(도시하지 않음)로 덮개(3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개방공(152)은 그 안의 소정 위치에서 공동(142)과 연통하도록 베이스 섹션(134)의 하나의 벽을 통해 형성된다. 제 1 개방공(152)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순환 포트를 규정한다. 제 1 개방공(152)은 호스 또는 튜브(156)를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에 연결하도록 통상의 호스 접합부(154)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 내부 파이프 나선(152a)을 갖는 원통형 구멍인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8, 9 및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56)는 시스템 회수 라인(112)에 연결되는 유체 회수 라인들(104, 106)을 규정한다.
제 2 개방공(162)은 베이스 섹션(134) 내의 벽을 통해 형성되어 챔버와 연통한다. 제 2 개방공(162)은 공기 메이크업 포트를 규정한다. 공기 메이크업 포트 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매니폴드(132)는 그의 상부(136)에 형성되는 제 3 개방공(172)을 더 포함한다. 제 3 개방공(172)은 오버플로우 포트를 규정한다. 제 3 개방공(172)은 밸브 챔버(174)를 통해 매니폴드 공동(142)과 연통한다. 밸브 챔버(174)는 상부 섹션(136)을 통해 매니폴드 공동(142)으로부터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챔버(174)는 매니폴드 공동(142) 내로 연장하는 매니폴드(132)의 상부 섹션(136)을 통해 연장하는 원통형 구멍인 것이 일반적이다. 밸브 챔버(174)가 매니폴드(132)의 상부 섹션(136)으로부터 연장하는 곳인 밸브 챔버(174)의 내부 표면은 밸브 챔버(174)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통상의 나선 플러그(176)를 정합 수용하기 위한 내부 나선을 포함한다. 밸브 챔버(174)의 하단부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체크 밸브 조립체(19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 3 개방공(172)은 체크 밸브 조립체(190) 위의 밸브 챔버(174)와 연통한다. 제 3 개방공(172)은 호스 또는 튜브(186)를 제 3 개방공(172)에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호스 접합부(184)를 수용하는 치수의 내부 파이프 나선을 포함한다. 호스(186)는 본질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라인(116)이다.
체크 밸브 조립체(190)는 밸브 요소(182), 가압 요소(194) 및 고정 링(196)을 포함한다. 밸브 요소(192)는 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밸브 헤드(192b)를 갖는 일반적인 원통형 튜브형 바디(192a)와, 그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외향 연장 플랜지(192c)를 갖는다. 밸브 헤드(192b)는 밸브 요소(192)의 폐쇄 단부를 규정하며, 플 랜지 단부는 밸브 요소(192)의 개방 단부를 규정한다. 밸브 요소(192)의 바디 부분은 내부 공동(202)을 규정한다. 개방공(204)은 튜브형 바디(192a) 내에 형성되어 내부 공동(202)과 연통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홈(206)은 밸브 헤드(192b) 내에 형성되어 O-링(208)을 수용한다.
밸브 요소(192)는 매니폴드(132) 내의 밸브 챔버(174) 내에 배치되는 치수를 갖는다. 여기서, O-링(208)과 밸브 요소(192)의 작동 결합을 위한 밸브 시트를 규정하는 모따기 표면(212a)을 갖는 내향 연장 환형 벽(212)을 포함한다. 고정 링(196)은 밸브 챔버(174)의 표면 내의 환형 홈 내에 배치되며, 밸브 요소(192)를 밸브 챔버(174) 내에 고정한다.
가압 요소(194)는 밸브 요소(192)의 튜브형 바디(192a)를 둘러싸는 헬리컬 스프링이다. 가압 요소(194)는 밸브 챔버(174)의 플랜지(192c)와 환형 벽(212) 사이의 밸브 챔버(174) 내에 포착된다. 가압 요소(194)는 제 1 폐쇄 위치로 밸브 요소(192)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바, 밸브 헤드(192b) 위의 O-링(208)은 환형 벽(212)의 모따기 표면(212a)에 대해 안착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브 요소(192)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바, 밸브 요소(192)의 개방공들(204)은 매니폴드 공동(142) 안의 압력이 제 3 개방공(172) 내의 압력을 초과할 때 제 3 개방공(172)과 연통한다.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감지 요소(222, 224)는 매니폴드(132)에 장착된다. 제 1 센서 요소(222)는 매니폴드 공동(142)에 인접하는 베이스 섹션(134)에 장착되며,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지 요소(224)는 제 3 개방공(172)에 인접한 매니폴드(132)의 상부 섹션(136)에 장착된다. 감지 요소들(222, 224)은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가 매니폴드 공동(142) 및 제 3 개방공(172) 내에 각각 존재할 때를 표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요소들(222, 224)은 나선 단부들 및 센서 표면들(222a, 224a)을 갖는 용량 센서들이다. 센서 표면들(222a, 224a)은 각각 베이스 섹션(134) 및 상부 섹션(136) 내의 나선 개방공들(226, 228)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개방공들(226, 228)은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 및 상부 섹션(136) 내의 얇은 벽 섹션들(232, 234)을 형성하는 치수를 갖는다. 감지 요소들(222, 224)은 용량 센서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센서 장치들이 매니폴드 공동(142) 및 제 3 개방공(172) 내의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 장치들의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요소들(222, 224)은 Culter-Hammer/Eaton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되는 용량 센서들로서, 영업 표장 "Tubular Capacitive Proximity Sensor (튜브형 용량 근접 센서)"로서 판매된다.
전기선들(236, 238)은 감지 요소들(222, 224)을 시스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300)가 도시된다. 본 바람의 다른 관점에 따라, 필터 조립체(300)는 매니폴드(132)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체 수용형 교체 유닛이다. 필터 조립체(300)는 필터 매체(304)를 수용하는 캐니스터(302)로 이루어진다. 캐니스터(30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일단부에 개방공(306) 및 타 단부에 칼라(308)를 갖는다. 필터 매체(304)는 0,3 미크론 입자에 대해 99.97%의 최소 여과 효율을 갖는 박테리아 보존성 물질이다. 필터 매체(304)는 모세관 튜브 또는 중공형 섬유 멤브레인(또는 "파이버"), 또는 필름 또는 적층시트 또는 적층 필름의 튜브형 외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필터 매체 물질로는 PVDF, 또는 PTFE (polyetrafluoroethylene) 이 있는바,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적 의미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한 필터 매체는 미시간 앤 아버 소재의 Whatman Healthcare로부터 구매 가능한 PTFE이다.
캐니스터(302) 위의 칼라(308)는 필터 매체(304)와 연통하는 개방공(312)을 갖는다. 칼라(308) 내의 개방공(312)은 양단부에 나선이 형성된 튜브형 커넥터(314)를 수용하도록 나선을 갖는다. 커넥터(314)의 타단부는 커플링(316)에 부착된다. 커플링(316)은 캐니스터(302)와 커넥터(314)를 밸브 하우징(322)에 부착하도록 적용되는 내부 나선을 갖는다. 밸브 하우징(322)은 튜브형 바디 부분(322a)과 평판형 장착부(322b)를 갖는다. 가스켓(324)은 밸브 하우징(322)의 커플링(316)과 튜브형 바디 부분(322a) 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공동은 튜브형 바디 부분(322a)과 장착 플레이트(336)를 통해 규정된다. 원통형 공동은 전술된 바와 같은 밸브 조립체(190)와 동일한 본 실시예의 밸브 조립체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밸브 조립체(330)는 전술한 밸브 조립체(190)와 동일하므로,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며, 밸브 조립체(330)의 각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밸브 하우징(322) 내의 밸브 조립체(330)는 밸브 요소(192), 가압 요소(194) 및 고정 링(196)을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322), 커플링(316) 및 커넥터(314)는 필터 캐니스터를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조립체(13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조립체를 규정한다. 여기서, 공기 통로는 밸브 요소(192), 커플링(316) 및 커넥터(314) 내의 개방공들(204)을 통해 장착 조립체 내에 형성된다.
환형 벽(332)은 밸브 하우징(322)의 밸브 공동의 단부에 형성된다. 환형 벽은 밸브 요소(192) 위의 O-링(208)에 밀봉 방식으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밸브 시트를 규정하는 원추형 표면(332a)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 하우징(322)의 장착부가 잘 도시되어 있다. 장착부(322b)는 튜브형 밸브 하우징(32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322b)는 그의 일 에지 안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격 슬롯(334)을 갖는 평평한 사각형 플레이트이다. 슬롯들(334)은 밸브 조립체(330)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부(322b)는 밸브 조립체(330)를 둘러싸는 환형 홈(338)을 갖는 평평한 장착 표면(336)이다.
필터 조립체(300)는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 내의 공기 메이크업 포트와 정렬되어 연통하는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매니폴드(13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치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나비 나사들(342)은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300)를 매니폴드(132)에 고정하도록 장착부(322b) 내의 슬롯들(334)을 통해 돌출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344)은 매니폴드(132)의 장착부(322b)와 베이스 섹션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형성한다. 가스켓(344)은 기본적으로 평평한 원형 디스크로서, 이는 그를 통해 형성되는 중앙의 원형 개방공(346)과, 그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동심 융기(348)를 포함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융기들은 장착부(322b) 내에 형성되는 환형 홈(338)과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의 표면에 형성되는 대응 홈(352) 내에 수용되는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필터 조립체(300)의 내부는 미리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다. 여기서,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는 필터 조립체(300)를 직물에 장착함으로써 필터 조립체(3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저압 조건이 직물 내, 즉, 밸브 조립체(330) 둘레에 생성되어 밸브 조립체(330)가 개방되고,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가 필터 조립체(30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한다. 소독 또는 불활성화 과정 후, 저압 조건이 해제됨으로써 밸브 조립체(330)가 폐쇄 위치로 복귀되어 밸브 조립체(330)의 내부, 즉, 주위 환경으로부터 커넥터 커플링(316)과 밸브 바디에 의해 규정되는 개방공들을 밀봉한다.
본 발명은 장치(10) 및 유체 오버플로우/공기 메이크업 조립체(130)의 작동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및 영안실 설비 또는 장치들과 같은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 또는 소독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들은 챔버(40) 안으로 로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품목들은 챔버(40) 안으로 교대로 위치될 컨테이너(26) 안으로 로딩된다. 상기 품목들은 챔버(40) 또는 컨테이너(26) 내의 트레이, 바구니, 카트리지 등(도시하지 않음)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품목들은 과산 용액과 같은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유체로 불활성화 또는 소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화학 물질 투여 장치(92) 내의 건조 화학 시약을 유입수에 노출 및 그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불활성화 작동의 시점에서, 순환 시스템(50)의 드레인 밸브(118)는 폐쇄되고, 물 입구 라인(52) 내의 밸브(62)는 가열된 물이 순환 시스템(50)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유입수는 먼저 필터들(54, 56)에 의해 여과되어, 자외선 방사를 물에 가하여 그 안의 바이러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자외선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된다. 유입수는 밸브(62)를 통해 순환 시스템(50)으로 들어간다. 그 후, 유입수는 공급 라인 내의 필터들에 의해 여과되어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를 충전한다.
유입수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압력 하에 놓이게 되어,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 내의 공기를 유체 오버플로우/공기 메이크업 조립체로 가압한다. 여기서, 매니폴드(132)가 장치(10)의 최고점에 배치되므로, 시스템 내의 공기는 매니폴드 공동(142)으로 옮겨간다. 결국, 매니폴드(132)의 공동(142)에 갇힌 공기는 밸브 조립체(190)의 밸브 요소(192)를 개방 위치로 가압하기에 충분한 압력에 도달하여 장치(10) 내의 공기가 제 3 개방공을 통해 시스템으로부터 드레인으로 배기되도록 한다. 여기서, 밸브 조립체(190)는 유체(기체/액체)를 매니폴드 공동(142)으로부터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한 방향 체크 밸브이지만, 제 3 개방공(172)으로부터 챔버로의 흐름은 방지한다.
챔버(40) 내의 수위는 물이 매니폴드(132)의 공동을 채우고 밸브 조립체(190)의 밸브 요소(192)를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까지 계속 상승하여,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 물이 제 3 개방공(172)을 통해 드레인 라인 (186)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여기서, 순환 시스템(50), 컨테이너(26), 및 챔버(40) 내의 모든 공기는 장치(10)로부터 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니폴드(132) 내의 수위가 도 6에 도시된 수준에 이르게 되면, 제 3 개방공(172)을 통해 흐르는 물의 존재가 감지 요소(224)에 의해 감지되어, 장치(10)가 충전됨을 제어기에 알려 준다. 시스템 제어기는 감지 요소(224)로부터의 신호를 토대로 물 밸브(62)를 폐쇄하여 물의 장치(10) 내로, 즉,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장치(10)의 충전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이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충전 단계 도중, 감지 요소(224)는 매니폴드 공동(142) 내의 유체 존재 여부를 검출할 것이다. 필터 조립체(300)의 밸브 조립체(330)는 유체가 매니폴드 공동(142)으로부터 필터 조립체(3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장치(10)가 충전되고 나면, 시스템 컨트롤러는 생성 및 노출 단계의 동작을 개시하며, 펌프(114)는 물을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를 통해 순환시키도록 전류가 인가된다. 2차 분기 라인(86)의 밸브(88)는 개방되어 유체가 화학 물질 투여 컨테이너(92)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학 물질 투여 컨테이너(92) 내의 물 및 화학 건조 시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과산인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형성한다. 건조 화학 시약으로부터 형성되는 불활성화 유체는 순환 시스템(50)으로 흘러들어가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14)에 의해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를 통해 순환 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활성화 유체의 일부는 컨테이너(26) 둘레의 챔버(40) 안으로 들어가며, 불활성화 유체의 일부는 컨테이너(26) 및 그 안에 수용되는 품목들을 통해 유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는 매니폴드 공동(142) 및 제 1 개방공(152)을 통해 순환하여 공동(142) 내의 표면들을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에 노출시킨다. 불활성화 사이클의 생성 및 노출 단계 도중, 매니폴드(132)의 베이스 섹션(134) 내의 감지 요소(222)는 매니폴드 공동(142) 내의 불활성화 유체의 수준을 감지한다. 유체 높이가 낮아지기 시작하면, 감지 요소(222)는 매니폴드 공동(142) 내의 유체가 부족함을 감지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시스템이 사이클을 중지시키고 경보를 발령하도록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62)는 제 3 개방공(172) 내의 감지 요소(224)가 그를 통과하는 유체를 감지할 때 폐쇄된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노출 기간 후, 드레인 단계가 개시된다. 드레인 밸브(118)는 개방되고,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는 순환 시스템(50), 챔버(40) 및 컨테이너(26)로부터 배출된다. 장치(10)의 효율적 배출을 위해,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이크업 공기가 필터 조립체(300)를 통해 매니폴드(132) 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밸브 하우징(322) 내의 밸브 조립체(33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바, 이때, 매니폴드 공동(142) 내의 압력은 커넥터(314), 커플링(316) 및 밸브 하우징(322)에 의해 규정되는 통로 내의 압력보다 낮다. 공기 압력에 있어서의 이러한 차이는 필터 캐니스터(302) 및 필터 매체(304)를 통해, 그리고, 커넥터(314), 커플링(316) 및 밸브 하우징(322)에 의해 규정되는 공기 통 로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공기는 필터 캐니스터(302) 및 필터 매체(304)를 통해 유입된다. 그 후, 여과된 공기는 커플링(316), 커넥터(314) 및 밸브 조립체(330)에 의해 규정되는 통로를 통해 유동하여 매니폴드 공동(142)으로 들어간다. 필터 조립체(330)의 내부, 즉, 튜브형 커넥터(314), 커플링(316) 및 밸브 조립체(330)의 내부는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므로, 오염되지 않은 여과된 공기는 매니폴드 공동(142) 및 장치(10) 안으로 들어간다. 밸브 헤드(192b) 및 그에 부착되는 O-링(208)이 불활성화 또는 소독 단계 도중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유체에 노출된 결과로서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므로, 밸브 조립체(330)의 내부는 소독되지 않거나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지 않은 환경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배출 단계 완료시, 드레인 밸브(118)는 폐쇄된다. 장치(10) 내의 압력이 균등한 경우, 밸브 조립체(330)의 밸브 요소(192)와 필터 조립체(300)는 폐쇄 위치로 복귀할 것이며, 필터 조립체(300)의 내부는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밸브 헤드(192b)의 노출부, 즉, 매니폴드 공동(142)과 마주하는 밸브 헤드(192b) 부분은 배출 단계 도중 밸브 조립체(330)의 개방공 전에서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에 항상 노출되므로, 필터 조립체(300)의 내부는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소정 횟수의 사용 후에, 필터 조립체(300)는 새로운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된 필터 조립체(300)로 대체될 것이며, 장치(10)의 초기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단계는 밸브 헤드(192b)의 외부 대면 표면을 소독 또는 미생물 학적으로 불활성화시켜, 밸브 조립체(330)가 배출 단계 도중 개방하는 경우 다시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조건을 보장하도록 한다.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가 장치(10)로부터 배출된 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헹굼 단계가 수행되어 남아 있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 및 잔류 물질을 불활성화된 품목들로부터 헹군다. 여기서, 입구 밸브(62)는 충전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신선한 물을 장치(10) 안으로 유입시키도록 개방되며, 헹굼 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장치(10)로부터 배수된다. 펌브(114)는 장치(10)를 통해 헹굼물을 순환시키도록 작동된다. 각각의 충전, 순환 및 배수 단계 도중, 유체 오버플로우/공기 메이크업 조립체는 시스템 내의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상태의 내부 환경을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처리기에 사용되는 유체 오버플로우/공기 메이크업 조립체(130)를 제공하며, 그와 함께 사용되는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상태의 교체형 필터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전술된 동작이 과산 소독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과산화수소 및 그 용액, 페놀 유체, 알데하디드 함유 유체 등과 같은 기타의 미생물학적 불활성화제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예시적 목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도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예가 실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공(512)은 매니폴드(132) 를 통해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포트를 규정한다. 몇몇 적용예에 있어서, 개방공(152)은 불필요할 수도 있으며, 제 3 개방공(172)을 통한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의 흐름은 매니폴드(132)의 공동(142)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변형예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과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2)

  1. 장비 및 장치들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장비 및 장치들을 수용하는 챔버를 통해 액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챔버는 상기 순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시스템에 있어서,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조립체는:
    상기 순환 시스템과 유체 연통하는 내부 공동을 갖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오버플로우 포트;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 내의 압력을 소정의 량 만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동으로부터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까지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하는 오버플로우 밸브 조립체; 및
    상기 매니폴드에 부착되며,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필터 밸브 조립체를 가지며, 상기 공동 내의 압력이 상기 필터 조립체 내의 압력보다 소정 량 적을 경우 공기가 상기 공동으로 유입되도록 작동 가능한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의 일부는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노출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의 일부는 상기 공동에 노출되며, 상기 내부 조립체는 소독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매니폴드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 장착되는 오버플로우 감지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 요소는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를 통한 액체 흐름을 감지하도록 작동 가능한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유체가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는 때를 감지하도록 작동 가능한 순환 감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순환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일단부에서 상기 공동과 타단부에서 상기 순환 시스템과 연통하여 상기 순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공동 및 상기 순환 포트를 통해 뒤로 상기 순환 시스템까지의 유체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는 상기 시스템의 불활성화 사이클 도중 상기 공동을 통해 유동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밸브 조립체 및 상기 필터 밸브 조립체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상기 공동은 반구형 부분이며, 상기 오버플로우 포트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반구형 부분 위에 배치되는 시스템.
  10. 제 1 항, 2 항, 3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는 과산인 시스템.
  11. 여과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로를 가지며, 필터 매체는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며, 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통로를 통한 공기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 매체와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만 공기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필터 매체와 상기 방향 밸브 조립체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는 필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박테리아 보존성 매체인 필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0.3 미크론 입자들에 대해 99.97%의 최소 여과 효율을 갖는 필터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PTFE 또는 PVDF인 필터 조립체.
  15. 여과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시스템에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필터 매체를 수용하며, 공기 입구 개방공 및 출구 개방공을 갖는 필터 캐니스터;
    그를 통과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상기 캐니스터에 부착되며, 상기 유체 통로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캐니스터의 상기 출구 개방공과 유체 연통하는 장착 조립체; 및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한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사이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로의 방향만의 흐름을 허용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 및 상기 필터 매체 사이의 상기 유체 통로의 상기 부분은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는 방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박테리아 보존성 매체인 필터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0.3 미크론 입자들에 대해 99.97%의 최소 여과 효율을 갖는 필터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PTFE 또는 PVDF인 필터 조립체.
  19. 장비 및 장치들을 소독 또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장비 및 장치들을 수용하는 챔버를 통해 액체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챔버는 상기 순환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며,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를 갖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순환 시스템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조립체는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는 공기 통로를 갖지며, 필터 매체는 상기 공기 입구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며, 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 매체 및 상기 공기 출구 사이의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출구로의 방향으로만 공기 흐름을 허용하며, 상기 필터 매체 및 상기 방향 밸브 조립체 사이의 상기 공기 통로는 미생물학적으로 불활성화되며,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순환 시스템과 유체 연통하는 상기 공기 출구를 구비하는 상기 미생물학적 불활성화 또는 소독 시스템에 장착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박테리아 보존성 매체인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0.3 미크론 입자들에 대해 99.97%의 최소 여과 효율을 갖는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매체는 PTFE 또는 PVDF인 시스템.
KR1020067001736A 2003-08-01 2004-07-28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KR100771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33,342 2003-08-01
US10/633,342 US6979428B2 (en) 2003-08-01 2003-08-01 Fluid over-flow/make-up air assembly for re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887A true KR20060052887A (ko) 2006-05-19
KR100771395B1 KR100771395B1 (ko) 2007-10-30

Family

ID=3410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736A KR100771395B1 (ko) 2003-08-01 2004-07-28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979428B2 (ko)
EP (1) EP1654599B1 (ko)
JP (1) JP4832298B2 (ko)
KR (1) KR100771395B1 (ko)
CN (1) CN1829946A (ko)
AU (1) AU2004261235B2 (ko)
CA (1) CA2532518C (ko)
ES (1) ES2387806T3 (ko)
MY (1) MY137232A (ko)
TW (1) TWI271200B (ko)
WO (1) WO20050117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417B1 (en) * 1998-10-09 2002-05-28 Swagelok Co. Sanitary diaphragm valve
US7569182B2 (en) * 2003-08-01 2009-08-04 American Sterilizer Company Filter assembly for a reprocessor
US9198444B2 (en) * 2005-07-08 2015-12-01 Chiquita Brands, Inc.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s medium inside a container
EP1998818A4 (en) * 2006-03-06 2010-04-28 American Sterilizer Co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INSTRUMENTS AND DEVICES
JP5499592B2 (ja) * 2009-09-17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光源装置及び読取装置
US8668880B2 (en) 2010-03-31 2014-03-11 American Sterilizer Company Apparatus for releasing a dry chemistry into a liquid sterilization system
MY159101A (en) * 2012-07-03 2016-12-15 First Wave Tech Sdn Bhd Installation for treatment of oil palm fruits
EP2928509B1 (en) * 2012-12-07 2021-02-17 Ecolab USA Inc. Method for handling displacement of liquid products
US10329170B2 (en) * 2013-01-22 2019-06-25 Nestec S. A. Liqui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W201533125A (zh) 2013-11-29 2015-09-01 Daikin Ind Ltd 改性聚四氟乙烯細粉及單軸拉伸多孔質體
CN105849958B (zh) 2013-11-29 2019-10-29 旭化成株式会社 高分子电解质膜
TWI631144B (zh) * 2013-11-29 2018-08-01 大金工業股份有限公司 多孔質體、高分子電解質膜、過濾器用濾材及過濾器單元
KR102112648B1 (ko) 2013-11-29 2020-05-19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고분자 전해질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068A (en) * 1981-08-17 1985-08-06 Health Care Concepts, Inc. Sterile solution delivery and venting devices
FR2511242A1 (fr) * 1981-08-17 1983-02-18 Health Care Concepts Inc Dispositif de fourniture de solution sterile et de son remplacement par de l'air
US5217698A (en) * 1986-02-06 1993-06-08 Steris Corporation Office size instrument sterilization system
US4731222A (en) * 1986-02-06 1988-03-15 Innovative Medical Technologies Automated liquid sterilization system
US5037623A (en) * 1986-02-06 1991-08-06 Steris Corporation Sterilant concentrate injection system
CA2012862C (en) * 1989-05-09 1995-11-07 Edward T. Schneider Container for holding equipment during sterilization
US5529750A (en) * 1994-09-08 1996-06-25 Steris Corporation Container with internal liquid distribution port for holding equipment with internal passages during sterilization
US5928516A (en) * 1995-01-20 1999-07-27 Pall Corporation Filter package
US5591396A (en) * 1995-04-07 1997-01-07 American Sterilizer Company Self cleaning drain system and modular plumbing system for a sterilizing apparatus
JP3453304B2 (ja) * 1998-05-19 2003-10-06 ファイザー株式会社 無菌真空回転乾燥機
US6187182B1 (en) * 1998-07-31 2001-02-13 Semifab Incorporated Filter cartridge assembly for a gas pu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32298B2 (ja) 2011-12-07
US6979428B2 (en) 2005-12-27
EP1654599A4 (en) 2009-07-08
TW200507887A (en) 2005-03-01
EP1654599A2 (en) 2006-05-10
EP1654599B1 (en) 2012-06-27
AU2004261235B2 (en) 2009-03-26
JP2007501060A (ja) 2007-01-25
AU2004261235A1 (en) 2005-02-10
TWI271200B (en) 2007-01-21
CN1829946A (zh) 2006-09-06
CA2532518C (en) 2009-02-03
US20050025684A1 (en) 2005-02-03
KR100771395B1 (ko) 2007-10-30
CA2532518A1 (en) 2005-02-10
MY137232A (en) 2009-01-30
ES2387806T3 (es) 2012-10-02
WO2005011750A2 (en) 2005-02-10
WO2005011750A3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95B1 (ko)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JP5465012B2 (ja) 複数のチャンバ間に流体通路のある器具容器
US7569182B2 (en) Filter assembly for a reprocessor
JPH0673540B2 (ja) 除菌システム
JPH0430865B2 (ko)
TWI233834B (en) Filter cleaning and decontaminating system
JP2010000509A (ja) 再処理装置用フィルタアセンブリ
WO1998044956A2 (en) Steam delivery system for a decontamination apparatus
AU20042611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CA25325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CA2532512C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KR20060057576A (ko) 화학 물질 이송 컨테이너
JPH04354578A (ja) 解剖室等から生ずる排水の殺菌設備
JPH05161827A (ja) 高圧蒸気滅菌器排出流体用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6281036A (ja) 浴湯除菌装置
TW200808387A (en) Filter assembly for a re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