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439A -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439A
KR20060050439A KR1020050074230A KR20050074230A KR20060050439A KR 20060050439 A KR20060050439 A KR 20060050439A KR 1020050074230 A KR1020050074230 A KR 1020050074230A KR 20050074230 A KR20050074230 A KR 20050074230A KR 20060050439 A KR20060050439 A KR 2006005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ecipe
processor
data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르도 마르티네즈-페레즈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reducing the clock frequency of the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프로세서,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디스플레이 제어기, 디스플레이, 및 저전력 모드를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레서피 정보(recipe information)을 수신하고, 상기 레서피 정보는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얼마나 자주 새로운 데이터로 교체해야하는 지, 및 데이터 사이클을 얼마나 자주 반복해야 하는 지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어떻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지에 관한 지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레서피 정보로부터 레서피를 생성하고, 메모리 내에 상기 레서피를 저장하며, 저전력 모드에 진입한다. 프로세서가 저전력 모드에 있는 동안,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는 상기 레서피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레서피 지시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대안으로, 저전력 모드에서의 프로세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상기 레서피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레서피 지시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저전력 모드,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디스플레이 제어기

Description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screen updates in low-power mode}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핸드헬드 디바이스 및 제공자 장비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버퍼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내에 모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연결된 프로세서 및 도 2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레서피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내에 위치한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 내의 프로세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메인 프로세서가 저전력 모드인 동안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메인 프로세서가 저전력 모드인 동안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는 제 2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저전력 모드를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전력 관리는 랩탑 컴퓨터들, 노트북 컴퓨터들, 팜탑 컴퓨터들, PDA들(personal data assistants),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무선 전화들 및 가끔 배터리로 전력 공급되지만, 전력선(AC) 소스로부터 또한 동작하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기타 디바이스들과 같은 배터리 전력의 또는 배터리로 동작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들의 개발 및 구현에서 주요 관심사이다. 전력 관리에 대한 필요는, 물리적 크기(및/또는 무게)에서의 전체적인 감소를 위한 바람직함 및 필요 조건이 또한 배터리 시스템의 크기와 용량에 엄격한 제한들을 부가하고, 성능을 희생하지 않고 유닛 동작 시간을 확장하는 것이 경쟁적인 필요 조건인 배터리로 동작되는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들에서 특히 중대하다.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하여, 많은 시스템들이 전력 절약 방법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방법은 유닛에 대하여 어떤 예상되는 요구가 없을 때 처리 유닛의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다. 이것은, CMOS 회로들에서, 전력 소비는 클럭 주파수의 1차 함수이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이 저주파수/저전력 모드는, 어떤 요구도 프로세서에 부과되지 않을 때, 디바이스의 휴지 상태를 나타내는 "슬립(sleep)" 모드로 종종 불린다. 사용자가 디바이스 리소스들이 필요하다고 지시할 때, 예를 들어, 키를 누를 때, 유닛은 "깨어 나고(wakes up)" 프로세싱을 가능한 가장 빠른 레이트로 인에이블링하기 위하여 다시 높은 클럭 속도로 구동하기를 시작한다.
긴 배터리 수명 및 작은 패키지 크기에 대한 경쟁적인 필요들에 부가하여, 최근 시장 경향들은 스크롤링 실시간 주식 시세들, 뉴스, 스포츠 스코어들, 날씨 정보, 애니메이션들 등과 같은 특징들을 지원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를 보여준다. 계속 업데이트하는 스크린들을 갖는 종래의 기술 디바이스들은 프로세서 및 모든 지지 회로가 어떤 업데이트가 발생하던지 활성화할 것을 필요로 한다. 즉, 주식 시세들, 뉴스, 사용자 주문형 메시지들(user customized messages), 또는 어떤 애니매이션을 갖는 스크롤링 티커(scrolling ticker)가 어떤 전화 디스플레이들 상에서 구동되는 동안, 디바이스는, 메인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시들을 실행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저전력 모드로 들어갈 수 없다. 이것은 전화 동작 및 대기 시간에 상당한 영향을 초래하고, 디바이스들이 특징을 지원하지 않거나 배터리 수명 상에 상당한 영향을 격게하는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저전력 모드 동안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는 핸드헬드 배터리 동작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저전력 작동 모드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들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동작가능한 스크린, 정보, 그래픽들, 정보와 그래픽들이 어떻게 디스플레이될 지에 관한 지시 명령들 를 포함하는 "레서피(recipe)"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또한 메인 프로세서, 디바이스가 "어웨이크(awake)" 모드에 있을 동안 메인 프로세서를 구동 하는 고주파수 클럭, 저주파수 클럭, 저주파수에서 구동되고, 메모리로부터 레서피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및 메인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에 있을 동안 디스플레이에 기록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무선 또는 디바이스 상에 미리 프로그래밍되거나 유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 로케이션에 정보를 저장한다.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가 이미 존재하지 않으면, 디바이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지시들을 제공하는 레서피를 메모리 내에 구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레서피는 특정 그래픽, 스크롤링 그래픽의 속도 또는 하나의 정보, 문자의 크기 또는 컬러를 사이클을 반복하기 전에 얼마나 오래 보여줄 지 등을 지시한다. 레서피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거나, 무선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입력에서 수신될 수 있거나. 레서피 정보는 디바이스 상에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단 디바이스가 정보를 수신하고 레서피가 존재하면,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슬립 모드 동안, 프로세서는 완전히 정지하거나, 감소된 전력 모드에서 동작한다.
DMAC은 저주파수 클럭으로부터 구동하고, 따라서, "어웨이크" 또는 활성화 모드일 때의 메인 프로세서보다 전력을 덜 소비하고, 레서피를 판독하고 데이터가 어떻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지시들과 함께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DMAC이 저주파수 클럭에서 동작하고 있거나 완전히 정지한 동안 레서피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로부터 어웨이크 모드로 주기적으로 전환되고, 무선 또 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에 디바이스 상에 저장되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부가적인 주기 동안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는 에너지를 보존하고 연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내는 동안 긴 배터리 수명을 실현할 수 있다.
분리된 도면들에 걸쳐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언급하고 아래의 상세화된 기술이 통합되고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들 및 이점들 모두를 설명하도록 서빙한다.
명세서가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징들을 정의하는 청구 범위로 결론짓고, 본 발명은 도면들과 연계하여 다음의 기술의 고려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라는 것이 믿어지고, 이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다음에 계속된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도 1은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무선 전화 통화들을 만들고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화이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무선 디바이스들은 페이저들, 양방향 라디오들, 일방향 라디오들, PDA's, 팜탑들, 휴대용 컴퓨터들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100)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모든 요소들의 수용하는 몸체(102)를 포함한다. 무선 휴대용(100)은 무선 통 신 시스템 내에서 통신 서비스들을 관리하는 제공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조작 버튼들(104), 디스플레이(106), 및 안테나(108)가 제공된다. 조작 버튼들(104)은 전화 번호들, 양방향 라디오 프라이비트 식별자들(two-way radio private identifier) 이름들 등과 같은 정보를 전화에 입력하는 데 유용하다. 넘버 버튼들(104)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디스플레이(106) 상에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106)는 도 2에서 더 자세하게 도시된다. 디스플레이(10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서 기술될 것이지만, 디바이스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과 같은 기타 적당한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본 발명의 의도에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LCD 스크린(106)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또는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LCD들(106)과 같은 디스플레이들은 디스플레이의 양면들 상에 위치한 픽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종종 가진다. 양면화된 액세스는 LCD가 디스플레이의 상부 좌측 코너로부터 시작하여 좌에서 우 그리고 상에서 하로 진행하는 피셀 액세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음극선 튜브들(CRTs: Cathode Ray Tubes)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스캐닝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메모리 맵(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어드레싱된다. 따라서, 메모리 어레이 내 데이터의 바이트들은 디스플레이(106) 상에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것같이 데이터의 디지털 표현으로서 배열된다.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시각적 데이터의 컨셉에 따라 데이터가 디스 플레이(106)에 전송되도록 바이트들로 인코딩되고 그래픽스 메모리(206) 내에 저장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202, 212)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240 픽셀 넓이인 디스플레이는 라인 버퍼(210)에서의 처음 30개의 바이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6) 내의 데이터는 시프트 레지스터(208)에 병렬 로딩되고(parallel loaded), 디스플레이에서 라인 버퍼(210)로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 비트씩 직렬로 시프트된다. 디스플레이(106)에서 라인 버퍼 회로(미도시)는 디스플레이의 제 1 라인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하는 직렬로 시프트된 데이터를 재어셈블링한다. 디스플레이에 라인 버퍼(210)에 저장된 30개의 바이트들은 병렬로 나타내어 지고, 따라서, 제 1 라인에 대한 모든 픽셀들에 영향을 끼친다. 메모리(206), 시프트 레지스터(208) 및 라인 버퍼가 개별의 요소들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이들 요소들은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리프레시 레이트(refresh rate)는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질 정보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204) 상의 시간의 디지털 표현(202)은 초를 나타내는 수들(214)을 바꾸기 위해 매 초마다 한번씩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튀기는 공같은 움직이는 그래픽은 움직임의 나타남을 주기 위해 1초에 여러번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될 정보 및 스크린 업데이트의 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의해 지시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인터페이 싱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 3을 보면, 디스플레이 제어기(302)에 연결된 디스플레이(106)가 도시되고, 상기 제어기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206)을 포함한다. LCD 제어기(302)는 RAM(206)으로부터의 지시들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판독하고, RAM(206)에서 제공된 지시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시들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106)에 데이터를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는 제어기 클럭(312)이 제공된다.
레서피
RAM(206) 내에 포함된 지시들 및 데이터는 "레서피(recipe)"로 언급되고 도 4에 도시된다. 무엇보다고 레서피(400)는 어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지, 얼마나 오래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지, 어떤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를 대체할 지, 그리고 얼마나 오래 전에 데이터가 데이터를 다시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지를 정의한다. 도 4에 도시된 샘플 레서피 포맷은 레서피 명령들이 다른 명령과 어떻게 작용하는 지 연대순으로 도시한다.
제 1 디스플레이 명령(402)은 디스플레이될 데이터의 세트(404)와 함께 디스플레이 제어기(302)에 의해 판독된다. 지연 명령(406)은 제어기에게 얼마나 오래 데이터의 제 1 세트(404)를 디스플레이할 지를 말해준다. 제 1 지연 명령(406)에 의해 정의된 시간의 말단에서, 제어기(302)는 디스플레이 명령(408)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데이터(410)와 함께 제 2 디스플레이 명령(408)을 판독한다. 제 2 지연 명령(412)은 제어기에게 얼마나 오래 데이터의 제 2 세트(410)를 디스플레이할 지를 말해준다. 제어기는 방금 기술된 바와 같이 n번째 명령(414), n번째 지연 지시 (416) 및 n번째 데이터 세트(418)에 도달할 때까지 데이터 판독을 계속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루프(420)는 제어기가 다시 레서피 루프를 실행해야 하는 지 및/또는 얼마나 오래 까지 제어기가 다시 레서피 루프를 실행해야 하는 지를 정의한다. 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106)는 정보 및/또는 그래픽들로 하여금 정적인 또는 동적인 프리젠테이션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허용하여,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명령들(402, 408, 414)이 디스플레이 텍스트, 디스플레이 그래픽, 스크롤, 죄측 이동, 우측 이동, 위로 이동, 아래로 이동, 가각의 이들 그래픽 명령들이 0 이상의 변수들을 포함하는 로케이션으로의 이동과 같은 다양한 잘 알려진 그래픽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동 명령은 스크린 상의 바람직한 목적지의 X-Y 디스플레이 좌표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하나의 실시예에서 지연 명령은 지연에 필요한 밀리세컨드의 수에 대한 변수를 포함한다. 기본적인 그래픽 명령들을 사용하여, 레서피가 넓은 다양한 스크린 애니메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DMAC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는 DMA 제어기의 제어(DMAC) 하에서, 호스트 컴퓨터의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부터의 활성화된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것없이, 데이터의 세트가 메모리 로케이션들의 세트로 전송되는 곳에 있다. CPU는 소프트웨어 내에 포함된 지시들을 해석하고, 수행하는 컴퓨터의 부분이다. 대부분의 CPU들에서, 이 태스크(task)는 프로그램 흐름을 안내하는 제어 유닛과 데이터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들 사이에서 분할된다. 거의 항상, 레지스터들의 집 합은 연산수와 중간 결과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용어 CPU는 캐시들 및 입력/출력 제어기들과 같은 기타 컴퓨터, 특히 메모리로 그리고 컴퓨터의 메모리로부터 이동하는 데이터의 태스크를 취급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물리적으로 집적된 회로에서 여러 이들 기능들을 포함하는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들을 갖는 컴퓨터들에서의 상당히 중요한 부분들을 대략적으로 포함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태스크들은 상당히 복잡할 수 있고 포맷들 및 다른 유사한 듀티들(duties)을 변환하기 위하여 데이터에 적용되는 로직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들 상황들에서, 컴퓨터의 CPU는 일반적으로 로직을 취급하기를 요청받지만, I/O 디바이스들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CPU는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기다리며 아이들(idle) 상태로 되어 많은 양의 시간(컴퓨터 용어로)을 허비하게 될 수 있다.
DMAC은 이들 종류의 태스크들을 취급하기 위하여 보드 상에 충분한 로직 및 메모리를 갖는 저비용 CPU를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다. CPU들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하거나 유연하지 않고 실제로 보조-프로세서(co-processor)를 형성한다. 보조 프로세서는 범용 CPU가 구현할 수 없거나, 효율의 이유로 구현하지 않는 태스크들을 취급하는 컴퓨터에서의 제 2의 프로세서이다. 이는 용어 멀티프로세서와는 구별되고, 멀티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CPU를 갖는 컴퓨터를 언급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는 메인 프로세서(304)에 연결되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제 1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3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6),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08), 및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DMAC:310)와 같은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MA 전송이 발생하기 위하여, 일련의 지시들이 특정 메모리, 즉, 소스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 즉, 목적지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6)로부터 DMAC(310)으로 보내진다. DMAC은 그후, 지시들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302)가 임베딩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와 같은 메인 프로세서(304)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DMAC 디바이스(310)는 수행되어야 하는 DMA 전송들의 수를 저장하는 카운트 레지스터(502),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발행된 지시를 저장하는 제어 레지스터(504),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소스 어드레스 생성기(506), 소스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목적지 메모리의 주소를 생성하는 목적지 어드레스 생성기(508), DMA 전송 동안 발생하는 상태를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512)를 포함한다. DMAC(310)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DMAC 분야의 보통의 당업자들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범용 프로세서에서 산술 로직 유닛에 아날로그적으로 작용하는 마이크로엔진(microengine: 510)에 의해서 제어된다.
DMAC(310)은 라인 버퍼(510)에 미리 결정된 워드들의 수로 시스템 메모리(308)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채운다. 데이터가 라인 버퍼(510)에 있으면, 디스플레이 제어기(302) 내 메모리(310)에 기록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는 라인 버퍼(510)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로 스크린을 즉시 리프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서피(400)은 실행된다. 제 1 방법은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를 기술하는 선행하는 단락들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제 2 방법은 DMAC(310)이 레서피(400)를 처리하고, 레서피 지시들에 따라서 라인 버퍼에 데이터를 로딩하는 것이다. 매번 데이터가 로딩되면,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는 통지되어서, 업로드가 디스플레이(106)에 발생하고, 레서피가 이어질 수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상관없이, 레서피(400)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MCU
도 6을 보면, 마이크로프로세서(MCU:306)가 오실레이션 회로(602)로부터 공급된 동작 클럭 상에서 구동하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오실레이션 회로(602)는 저속 클럭을 출력하는 저속 모드를 위한 저속 오실레이션 회로(604), 고속 클럭을 출력하는 고속 모드를 위한 고속 오실레이션 회로(606), 및 저속 클럭 및 고속 클럭을 선택하고, MCU(306)에 그것을 공급하는 MCU 클럭 제어기(608)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속 오실레이션 회로(604) 및 고속 오실레이션 회로가 동일 회로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MCU(306)이 고속 모드에서 동작할 때, 고속 클럭(606)에 대응하는 제 1 클럭 신호가 선택되고, MCU(306)이 저속 모드에서 동작할 때, 저속 클럭(604)가 선택된다. 이 방식으로, 저속 모드에서의 동작 동안 내부 전력 공급 전위가 고속 모드에서의 동작 동안보다 적도록 구성은 전압의 감소를 인에이블링하고, 따라서, 디바이스 내에 훨씬 적은 레이트의 전력 소비를 인에이블링한다.
슬립 모드
MCU(306)의 동작이 필요로 될 때, MCU 클럭 제어기(508)는 단지 저속 클럭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클럭 신호가 MCU(306)에 입력되도록 전환된다. 내부 회로들은 슬립 모드가 적절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MCU(306)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거나, MCU 자체는 그것의 요구 및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저속 클럭 신호가 MCU에 입력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슬립 모드 동안, MCU(306)은 전체 클럭 레이트 모드(full-clock-rate mode)와 비교하여 10 내지 100배 적은 전력을 사용한다. 부가적으로, MCU(306)는 전력 소비에서 더 많은 감소를 실현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 동안 완전히 정지할 수 있다.
슬립 모드 동안, DMAC(310)은 또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저속 클럭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DMAC(310)은 선택되어서, 선행하는 단락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속 클럭 레이트보다 느린 클럭 레이트에서 조차도 기능한다. 도 6은 MCU 클럭 제어기(608)로부터의 제 2 출력(610)을 도시한다. 제 2 출력(610)은 클럭 신호를 DMAC(310)에 공급한다. 그러나, DMAC(310)은 MCU(306)과 동일한 속도로 구동해야 할 필요는 없고 개별 오실레이터로부터 그것의 클럭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는 MCU 클럭 제어기(608)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조차도, 공급된 클럭 레이트(312)로 지시들을 실행하는 것을 계속한다.
결론
방금 기술된 구성을 가지고, MCU(306)은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DMAC(310)는 디스플레이(106)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활성화 상태로 있는다. 이 방식으로, 도 7의 흐름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레서피 정보(702)를 수신하고, 정보에 기초하여 레서피(704)를 구축하며, MCU(306)을 통하여 데이터(706)을 제공된 내부 메모리(308)에 저장하며, 레서피(708)을 DMAC(310)에 전송하고, MCU(306)을 저전력 모드(710)로 전환한다. DMAC(310)은 그후, 독립적으로 레서피에 따라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제어기(302, 314)에 전송하기 위하여 레서피 정보(712)를 따르고, 그후 디스플레이(106, 714)를 업데이트한다.
하나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단계(708)에서, DMAC(310)은 레서피를 디스플레이 제어기(302)로 전송하고, 그후 디스플레이(106)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레서피 지시들(400)을 실행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02)가 지시들(200)을 실행하는 동안, DMAC(310) 및 MCU(306)은 저속 클럭 신호(604)로부터 구동되거나, 휴대용 디바이스(100)의 전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완전히 정지할 수 있다.
도 8의 흐름도에서 도시된,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단계(802)에서 완전한 레서피를 수신하고, 단계(706)에서 메모리 내에 레서피를 저장한다. 처리는 도 7에서 도시되고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으로, 레서피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 및 리소스들은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었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수의 수정들, 변경들, 변화들, 대체들 및 등가물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로부터 어웨이크 모드로 주기적으로 전환되고, 무선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에 디바이스 상에 저장되어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부가적인 주기 동안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는 에너지를 보존하고 연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내는 동안 긴 배터리 수명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제 1 프로세서;
    제 2 프로세서;
    제 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 2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실레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의 기록을 위한 지연 명령 및 디스플레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서피(recip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클럭 신호에 의해 제공된 상기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레서피 명령들을 실행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서피는 디스플레이 제어기 내에 위치한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서피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와 상기 제 2 프로세서 모두에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휴대용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독립적으로 상기 레서피 명령들을 수행하는 상기 제 2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서피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루프 제어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레서피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레서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서피를 생성하고,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KR1020050074230A 2004-08-13 2005-08-12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KR20060050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7,743 2004-08-13
US10/917,743 US20060033744A1 (en) 2004-08-13 2004-08-13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screen updates in low-power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439A true KR20060050439A (ko) 2006-05-19

Family

ID=3579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230A KR20060050439A (ko) 2004-08-13 2005-08-12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33744A1 (ko)
JP (1) JP2006074755A (ko)
KR (1) KR20060050439A (ko)
CN (1) CN1734400A (ko)
BR (1) BRPI05033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725A (ko) * 2011-10-26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62B1 (ko) * 2006-01-31 2008-06-20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상 표시 장치 전송 인터페이스
US8384700B2 (en) 2007-01-26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Linked shell
US20080055318A1 (en) 2006-08-31 2008-03-06 Glen David I J Dynamic frame rate adjustment
US8872753B2 (en) * 2006-08-31 2014-10-28 Ati Technologies Ulc Adjusting brightness of a display image in a display having an adjustable intensity light source
US7925900B2 (en) 2007-01-26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I/O co-processor coupled hybrid computing device
JP4465372B2 (ja) * 2007-08-08 2010-05-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90070708A1 (en) * 2007-09-12 2009-03-12 Palm, Inc. Display of Information of Interest
JP2009258616A (ja) * 2008-03-18 2009-11-05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用駆動回路、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267218B2 (ja) * 2009-03-05 2013-08-21 富士通株式会社 クロック供給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20054379A1 (en) * 2010-08-30 2012-03-01 Kafai Leung Low power multi-touch scan control system
US8867421B2 (en) * 2012-04-12 2014-10-21 Gainspan Corporation Correction of clock errors in a wireless station to enabl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US9348359B2 (en) * 2013-01-31 2016-05-24 Red Hat, Inc. Updating a desired tick rate for a kernel
JP6102324B2 (ja) * 2013-02-20 2017-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システム
US9335808B2 (en) * 2013-03-08 2016-05-10 Intel Corporation Indicating critical battery status in mobile devices
KR102175103B1 (ko) * 2014-02-21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60274738A1 (en) * 2015-03-19 2016-09-22 Mediatek Inc. Display method using virtual widget and associated device
CN104965471A (zh) * 2015-07-13 2015-10-07 杭州晟元芯片技术有限公司 一种功耗可配置的振荡电路处理电路及方法
EP3324388B1 (en) 2015-07-14 2022-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ing circuit, display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389816A1 (en) * 2020-06-16 2021-12-16 Apple Inc. Direct access to wake state device functionality from a low power st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1516A (ja) * 1989-01-31 1990-08-09 Toshiba Corp パワーセーブ方式
US5198644A (en) * 1989-05-05 1993-03-30 Diablo Research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 of prices and related method
US5265210A (en) * 1991-11-04 1993-11-23 Calcom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otting pixels to approximate a straight line on a computer display device without substantial irregularities
JP3385811B2 (ja) * 1994-07-20 2003-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および電子機器
US5778237A (en) * 1995-01-10 1998-07-07 Hitachi, Ltd. Data processor and single-chip microcomputer with changing clock frequency and operating voltage
US5859649A (en) * 1995-05-15 1999-01-12 Motorola, Inc.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display controller with bursting direct memory access
US6014120A (en) * 1996-06-24 2000-01-11 Motorola, Inc. LED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US6072508A (en) * 1997-03-14 2000-06-06 S3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hortening display list instru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725A (ko) * 2011-10-26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03374A (pt) 2006-03-28
JP2006074755A (ja) 2006-03-16
CN1734400A (zh) 2006-02-15
US20060033744A1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0439A (ko) 저전력 모드에서 계속적인 스크린 업데이트들을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US6249167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CN108292491B (zh) 显示装置以及其控制方法
FI115801B (fi) Näytön ohjaaminen
US6804790B2 (en) Coordinating protocol for a multi-processor system
US6912664B2 (en) Energy-aware software-controlled plurality of displays
CN1818894B (zh) 数据处理系统和数据处理器
US78698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loading and executing computer instructions within the cache memory
US9423846B2 (en) Powered ring to maintain IO state independent of the core of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CN100495378C (zh) 集成个人信息装置和移动计算平台
US5548765A (en) Power saving display subsystem for portable computers
US20090204835A1 (en) Use methods for power optimization using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power domains and partitions
JPH08314587A (ja) 省電力電源回路
JP2008077563A (ja) 電子機器およびcpu動作環境制御プログラム
CN104854850A (zh) 终端装置、其控制方法以及程序
KR20000014377A (ko) 전원관리모드를갖는컴퓨터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1658440B1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US6898444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6555379B2 (ja) 電子機器及び時刻表示制御方法
KR20190000097U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JP2004288087A (ja) 情報処理装置
US20050012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through a look-up table
JP200402349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208455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情報表示方法
KR102628417B1 (ko) 세미활성모드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