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746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9746A KR20060049746A KR1020050059107A KR20050059107A KR20060049746A KR 20060049746 A KR20060049746 A KR 20060049746A KR 1020050059107 A KR1020050059107 A KR 1020050059107A KR 20050059107 A KR20050059107 A KR 20050059107A KR 20060049746 A KR20060049746 A KR 20060049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circuit
- content data
- control
- data
- inte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MHABMANUFPZXEB-UHFFFAOYSA-N O-demethyl-aloesaponarin I Natural products O=C1C2=CC=CC(O)=C2C(=O)C2=C1C=C(O)C(C(O)=O)=C2C MHABMANUFPZX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emory System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한 후에 판독해서 복호하는 처리를, 종래와 비교해서 작은 소비전력으로 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USB 제어부(12)는, PC 인터페이스(10)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통해 HDD(17)에 기록한다. 또한, 게이트 어레이(18)는, 재생 대상의 악곡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통해 HDD(17)로부터 판독해서 디코더(22)에 출력한다.
콘텐트 데이터, 복호, 소비전력, 게이트 어레이, 악곡 데이터, 디코더, 휴대형 오디오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와 퍼스널 컴퓨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USB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외관도이다.
도5는 도2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에 표시되는 각종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게이트 어레이의 구성도이다.
도7은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도이다.
도8은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도2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LCD에 표시되는 선곡 화면의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도2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의 LCD에 표시되는 선곡 화면의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9의 계속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
3…퍼스널 컴퓨터
10…PC 인터페이스
12…USB 제어부
14…LCD
16…LCD 제어부
18…게이트 어레이
20…SDRAM
22…디코더
24…플래시 메모리
26…마이크로컴퓨터
28…앰프
30…조작부
32…G센서
51,53,55…버스
46…오디오 출력 단자
47…리모트 콘트롤러 단자
101…SRAM
103…인터페이스
105…IDE·DMA
107…FIFO 제어회로
111…인터페이스
113…인터페이스
115…제어회로
117…인터페이스
119…DMAC
121…인터페이스
125…TSB
131…인터페이스
133…인터페이스
135…DAC
137…ADC
139…SDRAM
141…DMAC
143…CPU
본 발명은,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한 후에 재생해서 출력 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 미디어의 대용량화, 및 음악, 동작 화상, 정지 화상 등의 압축 기술의 발달에 의해, 휴대형 등의 재생장치 내의 기록 미디어에 방대한 수의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여, 이것을 기록 미디어에 기록한다.
또한, 해당 재생장치는, 조작 신호에 따라, 기록 미디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디코드해서 음성이나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재생장치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에 기록하는 동작, 재생시에 기록 미디어로부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 및 그 밖의 재생장치의 제어를, 단수의 CPU가 총괄하여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3-132660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재생장치에서는, CPU의 처리량이 크고, CPU로서 동작 주파수가 높은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종래의 재생장치에서는, 소비전력이 크고, 특히 휴대형으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된 콘텐트 데 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한 후에 판독해서 재생하는 처리를, 종래와 비교해서 작은 소비전력으로 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의 전자기기는,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과,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제1 제어회로와,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회로와,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고,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하는 제2 제어회로와, 상기 재생회로가 재생한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제3 제어회로를 가진다.
제1 발명의 전자기기의 작용은 아래와 같이 된다.
우선, 인터페이스가,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된다.
다음에, 제1 제어회로가,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용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기억 수단에 기록한다.
다음에, 제2 제어회로가,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상기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재생회로가, 상기 제2 제어회로로부터 입력된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재생해서 제3 제어회로에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제3 제어회로가, 상기 재생회로로부터 입력된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행한다.
제2 발명의 전자기기는,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제1 제어회로와,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회로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하는 제2 제어회로와, 상기 재생회로가 재생한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제3 제어회로를 가지고, 상기 제3제어회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 상기 제1 제어회로를 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제어회로를 비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할 경우에, 상기 재생회로 및 상기 제2 제어회로를 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제어회로를 비구동 상태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1∼도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의 대응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입력되어, HDD(13)에 기억되는 악곡 데이터가, 본 발명의 콘텐트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PC 인터페이스(10)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USB 제어부(12)가 본 발명의 제1 제어회로에 대응하고, 디코더(22)가 본 발명의 재생회로에 대응하고, 게이트 어레이(18)가 본 발명의 제2 제어회로에 대응하고, 마이크로컴퓨터(26)가 본 발명의 제3 제어회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용 버스(51)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대응하고, 제어용 버스(53)가 본 발명의 제어용 버스에 대응하고,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가 본 발명의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LCD(14)가 본 발명의 표시 수단에 대응하고, LCD 제어부(16)가 본 발명의 표시 제어회로에 대응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재생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와 퍼스널 컴퓨터(3)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3)에 접속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악곡 데이터(콘텐트 데이터)을 입력하고, 이것을 내장하는 HDD에 기록한다.
또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와 비접속의 상태에서, 상기 HDD로부터 판독한 악곡 데이터를 디코드해서 재생한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는, 예를 들면, PC 인터페이스(10), USB(Universal Serial Bus) 제어부(12), LCD(Liquid Crystal Display)(14), LCD 제어부(16), HDD(Hard Disk Drive)(17), 게이트 어레이(18), SDRAM(Synchronous DRAM)(20), 디코더(22), 플래시 메모리(24), 마이크로컴퓨터(26), 앰프(28), 조작부(30), G센서(32), 오디오 출력 단자(46), 리모트 콘트롤러 단자(47), 데이터 전송용 버스(51), 제어용 버스(53),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 발진회로(57), 발진회로(59) 및 전원(60)을 가진다.
이하, 도2에 나타내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구성요소의 접속 관계를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에는, USB 제어부(12), HDD(17) 및 게이트 어레이(18)가 접속되어 있다.
USB 제어부(12), HDD(17) 및 게이트 어레이(18)는, 아비트레이션(조정)에 의해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의 사용권을 획득한다.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의 사용권은, 각 타이밍에 있어서, USB 제어부(12), HDD(17) 및 게이트 어레이(18) 중의 1개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용 버스(53)에는, USB 제어부(12), LCD 제어부(16) 및 게이트 어 레이(18)가 접속되어 있다.
USB 제어부(12), LCD 제어부(16) 및 게이트 어레이(18)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제어용 버스(53)의 사용권을 획득한다. 제어용 버스(53)의 사용권은, 각 타이밍에 있어서, USB 제어부(12), LCD 제어부(16) 및 게이트 어레이(18) 중의 1개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에는, 게이트 어레이(18), 플래시 메모리(24) 및 마이크로컴퓨터(26)가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어레이(18) 및 마이크로컴퓨터(26)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의 사용권을 획득한다.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의 사용권은, 각 타이밍에 있어서, 게이트 어레이(18) 및 마이크로컴퓨터(26) 중의 1개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용 버스(51) 및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는 16비트 폭이며, 제어용 버스(53)는 8비트 폭이다.
이하, 도2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PC 인터페이스(10)]
PC 인터페이스(10)는, USB 케이블을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PC 인터페이스(10)는, USB 케이블이 장착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것을 USB 제어부(12)에 출력한다.
[USB 제어부(12)]
USB 제어부(12)는, PC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통해 HDD(17)에 기록한다.
또한, USB 제어부(12)는, PC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제어용 버스(53)를 통해 게이트 어레이(18)에 출력한다.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USB 제어부(12)의 구성도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SRAM(101), 인터페이스(103),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DMA(Direct Memory Access)(105) 및 FIFO(First In First Out) 제어회로(107)를 가진다.
SRAM(101)은, 예를 들면, PC 인터페이스(10)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인터페이스(103)는, 제어용 버스(53)에 접속되어 있다.
IDE·DMA(105)는,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에 접속되어, PC 인터페이스(10)과 HDD(17)와의 사이에서의 악곡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FIFO 제어회로(107)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USB 제어부(12)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LCD(14) 및 LCD 제어부(16)]
LCD(14)는, 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케이스의 표면측에 배설되어 있다.
LCD 제어부(16)는,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 게이트 어레이(18) 및 제어용 버스(53)를 개재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로부터 입출력한 표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LCD(14)에 소정의 화면을 표시한다.
LCD 제어부(16)는, 예를 들면, 도5a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 도5b에 나타내는 설정 화면 D2 및 도5c에 나타내는 재생 화면 D3를 LCD(14)에 표시한다.
[HDD(17)]
HDD(17)는, 예를 들면, 20GB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등으로 부호화(압축)된 약 10000만곡(콤팩트 디스크 700매분)의 악곡 데이터를 기억가능하다.
HDD(17)에 기억된 1곡분의 악곡 데이터(이하, 간단히 악곡 데이터라고도 적는다)의 각각에는, 그것의 아티스트, 앨범, 장르, 그룹, 뉴(new) 트랙, 북마크 등에 관한 속성 데이터가 부착되어 있다.
[게이트 어레이(18)]
게이트 어레이(18)는,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개재하여, HDD(17)로부터 재생 대상의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디코더(22)에 출력한다.
또한, 게이트 어레이(18)는, 제어용 버스(53)를 통해 USB 제어부(12)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이것을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를 통해 마이크로컴퓨터(26)에 출력한다.
도6은, 도2에 나타내는 게이트 어레이(18)의 구성도이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어레이(18)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111), 인터페이스(113), 제어회로 SDRAMC(115), 인터페이스(117), DMAC(119), 인터페이스(121), TSB(125)를 가지고, 이들이 버스(110)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어레이(18)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HDD(17)에 기록하는 처리와, 지정된 악곡 데이터를 HDD(17)로부터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이들 처리를 모두 마이크로컴퓨터(26)가 행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의 처리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1)는, 제어용 버스(53)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13)는,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 SDRAMC(115)은, 인터페이스(113)가 HDD(17)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SDRAM(20)에 기억한다.
인터페이스(117)는,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에 접속되어 있다.
DMAC(119)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게이트 어레이(18)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인터페이스(121)는, SDRAM(20)로부터 판독된 악곡 데이터를 디코더(22)에 출력한다.
TSB(125)는, 리모트 콘트롤러 단자(47)를 개재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 콘트롤러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한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SDRAM(20)]
SDRAM(20)은, 게이트 어레이(18)에 의해 HDD(17)로부터 판독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한다.
[디코더(22)]
디코더(22)는, 게이트 어레이(18)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디코드해서 디지털의 악곡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마이크로컴퓨터(26)에 출력한다.
상기 악곡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ATRAC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며, 디코더(22)는 거기에 대응한 디코드를 행한다.
또한, 디코더(22)는, 상기 디코드 이외에, 서라운드 처리나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처리 등을 행한다.
[플래시 메모리(24)]
플래시 메모리(24)는, 마이크로컴퓨터(26)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마이크로컴퓨터(26)]
마이크로컴퓨터(26)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마이크로컴퓨터(26)는, 예를 들면, PC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HDD(17)에 기록할 경우에, USB 제어부(12)를 구동 상태로 하고, 게이트 어레이(18)를 비구동 상태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6)는, HDD(17)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할 경우에, USB 제어부(12)를 비구동 상태로 하고, 게이트 어레이(18) 및 디코더(22)를 구동 상태로 한다.
도7은, 도2에 나타내는 마이크로컴퓨터(26)의 구성도이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26)는,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131), 인터페이스(133), DAC(Digital Analog Converter)(135), ADC(Analog Digital Converter)(137), SDRAM(139), DMAC(141 ) 및 CPU(143)를 가진다.
인터페이스(131)는,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33)는, 디코더(22)와 접속되어, 디코더(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디코더(22)에 의한 디코드 처리를 제어한다.
DAC(135)는, 디코더(2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의 악곡신호를 아날로그의 악곡신호로 변환해서 앰프(28)에 출력한다.
ADC(137)는, 조작부(3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조작 신호, 및 G센서(3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센서 신호를, 각각 디지털의 조작 신호 및 센서 신호로 변환해서 CPU(143)에 출력한다.
또, G센서(32)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가속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G센서 신호를 ADC(137)에 출력한다.
도4a, 도4b, 도4c는, 각각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 상부 측면도, 정면도 및 하부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30)는, 예를 들면, 도4a에 나타내는 MENU 키(64), MODE 키(65), VOLUME 키(66), 도4b에 나타내는 십자 우측키(67a), 십자 좌측키(67b), 십자 상측키(67c), 십자 하측키(67d) 및 십자 결정키(67e), 및 도4c에 나타내는 HOLD 키(68)이다.
SDRAM(139)은, 플래시 메모리(24)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의 코드 등, CPU(143)이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DMAC(141)는, 게이트 어레이(18)에 의한 HDD(17)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CPU(143)는, 인터페이스(131) 및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를 통해 플래 시 메모리(24)로부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의 처리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CPU(143)는, 예를 들면, 상기 G센서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가 낙하를 시작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낙하를 시작했다고 판단하면, HDD(17)의 헤드를 후퇴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CPU(143)는, SDRAM(20)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감시하고, 해당 데이터량이 소정의 한계치 이하가 되면, 게이트 어레이(18)에 대하여 HDD(17)로부터의 악곡 데이터의 판독을 재개시킨다.
[전원(60)]
전원(60)은,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또, 도2에 나타내는 게이트 어레이(18), 디코더(22) 및 마이크로컴퓨터(26)는, 발진회로(57)로부터의 주파수 22.5MHz의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또한, USB 제어부(12)는, 발진회로(59)로부터의 주파수 12MHz의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예의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8에는,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일부의 부품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는, 본체 수용체(76) 위에 LCD(14) 및 전원(60)을 재치한 후, 본체 수용체(76)를 개구부(75a)로부터 캐비닛(75) 내부에 수용한다.
그 후에 덮개(77)를 본체 수용체(76)에 부착하고, 개구부(75a)를 막는다.
또한, 캐비닛(75)에는, LCD(14)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부(7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75)에 조작 플렉시블 키(74)가 고정된 후에, LCD(14)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접착 시트(73)가 캐비닛(75)에 붙여진다.
그 후에 접착 시트(73)에 투명 혹은 반투명의 플레이트(72)가 붙여진다.
플레이트(72)에는, 개구부(72a)가 형성되고 있고, 이 개구부(72a)에, 십자 우측키(67a), 십자 좌측키(67b), 십자 상측키(67c), 십자 하측키(67d) 및 십자 결정키(67e)가 끼워 넣어진다.
또, 도8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체 수용체(76)에는, LCD(14) 및 전원(60) 이외에, 도2에 나타내는 HDD(17) 및 회로기판이 탑재되어 있다. 해당 회로기판에는, 도2에 나타내는 USB 제어부(12), SDRAM(20), 디코더(22), 플래시 메모리(24) 및 마이크로컴퓨터(26)가 삽입되어 있다.
이하,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제1 동작예]
해당 동작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경우를 설명한다.
또,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서는, PC 인터페이스(10)에 퍼스널 컴퓨터(3)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PC(3)가 유지하는 악곡 데이터 중, HDD(17)에 기억되지 않고 있는 악곡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한다.
우선,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PC 인터페이스(10)에, USB 케이블을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3)가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3)는, 분리 가능(리무버블)한 HDD로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를 인식(검출)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3)는, 악곡 데이터를 PC 인터페이스(10)에 출력한다.
도2에 나타내는 USB 제어부(12)는, 도3에 나타내는 FIFO 제어회로(107)에 의해, 상기 악곡 데이터를 SRAM(101)에 격납한다.
계속해서, FIFO 제어회로(107)는, SRAM(101)로부터 판독한 악곡 데이터를, IDE·DMA(105)의 제어를 따라,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통해 HDD(17)에 기록한다.
이때, FIFO 제어회로(107)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사용한다.
전술한 동작은, USB 제어부(12)가 주로 제어를 행하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직접적으로는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26)의 처리량을 경감할 수 있어, 종래와 비교해서 동작 주파수가 낮은 마이크로컴퓨터(26)를 사용할 수 있어, 전력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제2 동작예]
해당 동작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 제어신호가 출력될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의 PC 인터페이스(10)에, USB 케이블을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3)가 접속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커맨드 데이터)를 PC 인터페이스(10)에 출력한다.
도2에 나타내는 USB 제어부(12)는, 도3에 나타내는 FIFO 제어회로(107)에 의해, 상기 조작 신호를 SRAM(101)에 격납한다.
그 후에 마이크로컴퓨터(26)는,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 게이트 어레이(18) 및 제어용 버스(53)를 개재하여, USB 제어부(12)의 SRAM(101)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판독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6)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를 사용하고, 게이트 어레이(18)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제어용 버스(53)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제어용 버스(53)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해당 판독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제3 동작예]
해당 동작예에서는, HDD(17)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30)(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내는 십자 결정키(67e))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지시를 마이크로컴퓨터(26)에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해당 재생 지시를 입력하면, 재생 대상이 되는 악곡 데이터를 지정한 재생 요구를,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를 통해 게이트 어레이(18)에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6)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55)를 사용한다.
그 후에 마이크로컴퓨터(26)는, 해당 재생동작으로부터 해방된다.
도6에 나타내는 게이트 어레이(18)는, 해당 재생 요구를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입력해서 DMAC(119)에 출력한다.
DMAC(119)는, 상기 재생 요구에 관계된 악곡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13) 및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통해 HDD(17)에 액세스해서 판독한다.
이때, 게이트 어레이(18)는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데이터 전송용 버스(51)를 사용한다.
게이트 어레이(18)의 DMAC(119)는,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HDD(17)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제어회로 SDRAMC(115)를 통해 SDRAM(20)에 기록한다.
해당 기록 동작과 병행하여, DMAC(119)는, 제어회로 SDRAMC(115)를 통해 SDRAM(20)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디코더(22)에 출력한다.
디코더(22)는,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ATRAC로 복호(재생)하고, 복호된 디지털의 악곡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26)에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22)는, 복호를 종료한 취지를 마이크로컴퓨터(26)에 통지한다.
마이크로컴퓨터(26)는, 상기 복호된 디지털의 악곡신호를 도7에 나타내는 DAC(135)에 입력하고, DAC(135)에 있어서 아날로그의 악곡신호로 변환해서 앰프(28)로 출력한다.
그리고, 해당 아날로그의 악곡신호가 앰프(28)에서 증폭되어서 오디오 출력 단자(46)를 통해 헤드폰에 출력된다.
본 동작예에 있어서, HDD(17)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해서 디코더(22)에 출력할 때까지의 처리에 관해서는 게이트 어레이(18)가 주로 제어를 행하고, 마이크로컴퓨터(26)는 직접적으로는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26)의 처리량을 경감할 수 있고, 종래와 비교해서 동작 주파수가 낮은 마이크로컴퓨터(26)를 사용할 수 있어, 전력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제4 동작예]
해당 동작예에서는, 도2에 나타내는 마이크로컴퓨터(26)가, LCD(14)에 선곡 화면 표시를 행할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선곡 화면 D1에 관하여 설명한다.
선곡 화면 D1으로서, 복수의 다른 속성(악곡 데이터에 관한 속성)의 각각에 대해서 규정되고, 해당 속성에 대해서 규정된 복수의 항목을 표시해서 선택시키는 제1계층의 복수의 선곡 화면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선곡 화면 D1으로서, 상기 제1계층의 선곡 화면의 각각에 대해서, 제2계층 이하의 선곡 화면이 규정되어 있다.
제2계층 이하의 선곡 화면은, 그 상층의 선곡 화면의 각 항목마다 규정되고, 해당 항목에 대응한 상기 속성 이외의 상기 속성을 기초로, 해당 항목에 속하는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진다.
제1 계층의 선곡 화면 D1은, 예를 들면,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1, D1_2, D1_3, D1_4, D1_5이다.
여기에서, 선곡 화면 D1_1, D1_2, D1_3, D1_4, D1_5는, 각각 아티스트(Artist), 앨범(Album), 장르(Genre), 그룹(Group), 그 이외(Others)의 악곡 데이터의 속성을 기초로 악곡 데이터를 분류해서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다.
예를 들면, LCD 패널(14)에 설정 화면 D2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4a에 나타내는 MODE 키(65)를 사용자가 누르면, 도1에 나타내는 마이크로컴퓨터(26)는 MODE 키(6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도9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1을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선곡 화면 D1_1은, 아티스트를 속성으로 하여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는 복수의 항목(아티스트 A, B, C 등)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6)는, 선곡 화면 D1_1 이외의 제1계층의 선곡 화면을 LCD 패널(14)에 표시해도 좋다.
계속해서, MODE 키(65)를 사용자가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MODE 키(2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도9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2을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선곡 화면 D1_2는, 앨범을 속성으로 하여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는 복수의 항목(앨범 A, B, C 등)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MODE 키(65)를 사용자가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MODE 키(6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도9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3을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선곡 화면 D1_3는, 장르를 속성으로서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는 복수의 항목(CLASSIC, J-POP, ROCK 등)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MODE 키(65)를 사용자가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MODE 키(6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도10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4를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선곡 화면 D1_4는, 퍼스널 컴퓨터(3)에서 규정된 그룹을 속성으로 하여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는 복수의 항목(그룹 A, B, C 등)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MODE 키(65)를 사용자가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MODE 키(6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도10에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5를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선곡 화면 D1_5는, 기타 속성,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새롭게 입력된 트랙(악곡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New Tracks」, 사용자에 의해 북 마크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Bookmark」를 속성으로 하여 악곡 데이터를 분류하는 복수의 항목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선곡 화면 D1_5 위에 십자 우측키(67a)가 눌러지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신곡 폴더에 등록한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선곡 화면 D1_51을 LCD 패널(14)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선곡 화면 D1_51 위에 커서를 상하로 움직여 원하는 타이틀의 위치에 맞추어, 십자 결정키(67e)가 눌러지면, 마이크로컴퓨터(26)는, 그 타이틀의 재생 화면 D3을 LCD 패널(14)에 표시함과 동시에, 그것의 재생을 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서는, 전술한 제1 동작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HDD(17)에 기록하는 동작에 관해서는 USB 제어부(12)가 주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서는, 제3 동작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DD(17)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해서 디코더(22)에 출력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게이트 어레이(18)가 주로 제어를 행한다.
그 때문에,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전술한 양쪽의 제어를 마이크로컴퓨터가 행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의 처리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 의하면, 종래에 비교해서 동작 주파수가 낮은 마이크로컴퓨터(26)를 사용할 수 있어, 전력 절약화 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 의하면, PC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입력된 악곡 데이터를 HDD(17)에 기록할 경우에, 디코더(22) 및 게이트 어레이(18)를 비구동 상태로 하고, HDD(17)로부터 판독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에, USB 제어부(12)를 비구동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다른 전력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에서는, USB 제어부(12), HDD(17) 및 게이트 어레이(18)는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에 접속되고, USB 제어부(12) 및 게이트 어레이(18) 중에서 아비트레이션에 의해 데이터 전송용 버스(51)의 사용권을 획득한 한쪽만이 HDD(17)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 때문에, HDD(17)는, USB 제어부(12) 및 게이트 어레이(18)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개별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종래와 같은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형의 오디오 재생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형 이외의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수단으로서, 도2에 나타내는 HDD(13) 대신에, MD(상표) 등의 광자기 기록매체, CD-R(CD-recordable)이나 DVD-R(DVD-recordable) 등의 광기록 매체, 메모리 스틱(상표)이나 SD 카드(상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콘텐트 데이터로서, 악곡 데이터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예시했지만, 비디오나 사진 등의 이미지 데이터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 휴대형 오디오 재생장치(1)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콤팩트 디스크 등의 광 디스크 재생장치, 광자기 디스크 재생장치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한 후에 판독해서 재생하는 처리를, 종래와 비교해서 작은 소비전력으로 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한 후에 복호해서 출력하는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2)
-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와,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과,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제1 제어회로와,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회로와,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하는 제2 제어회로와,상기 재생회로가 재생한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제3 제어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고,상기 제2 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기억 수단 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회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제어회로에 출력하고,상기 제2 제어회로는, 상기 제2 제어회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3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회로와, 상기 제1 제어회로와, 상기 제2 제어회로가 접속된 제어용 버스를 더 가지고,상기 제1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용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후에, 해당 제어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제어회로는, 조작부에서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조작 신호를 상기 제3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3 제어회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메모리와, 상기 제2 제어회로와, 상기 제3 제어회와가 접속된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더 가지고,상기 제2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데이터 전송용 버스를 거쳐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제3 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5항에 있어서,콘텐트 데이터의 속성정보에 근거하는 항목을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계층마다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상기 제3 제어회로는,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의 계층을 변경시키고, 콘텐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조작 신호를 받았을 때 상기 제2 제어 수단을 제어해 콘텐트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3 제어회로는, 상기 항목의 각 계층은, 앨범 일람, 아티스트 일람, 타이틀 일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제어회로는, 상기 재생회로가 재생한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회로, 상기 재생회로, 상기 제2 제어회로, 및 상기 제3 제어회로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휴대형 재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와,데이터 전송용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과,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제1 제어회로와,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회로와,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상기 재생회로에 출력하는 제2 제어회로와,상기 재생회로가 재생한 상기 콘텐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제3 제어회로를 가지고,상기 제3 제어회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어회로를 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제2 제어회로를 비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콘텐트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할 경우에, 상기 재생회로 및 상기 제2 제어회로를 구동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제어회로를 비구동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03576 | 2004-07-09 | ||
JP2004203576A JP4211698B2 (ja) | 2004-07-09 | 2004-07-09 |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9746A true KR20060049746A (ko) | 2006-05-19 |
Family
ID=3539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9107A KR20060049746A (ko) | 2004-07-09 | 2005-07-01 |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008244A1 (ko) |
EP (1) | EP1619683A2 (ko) |
JP (1) | JP4211698B2 (ko) |
KR (1) | KR20060049746A (ko) |
CN (1) | CN100362499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00481A1 (en) * | 2005-10-28 | 2007-05-03 | Toms Mona L |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nformation |
CN101460007B (zh) * | 2007-12-12 | 2011-03-23 |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路基板 |
JP5594532B2 (ja) * | 2010-11-09 | 2014-09-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
JP5971550B2 (ja) * | 2011-03-28 | 2016-08-17 | ヤマハ株式会社 | オーディオ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出力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36467A (ja) * | 1988-03-16 | 1989-09-21 | Pioneer Electron Corp | 情報再生装置 |
JP3509080B2 (ja) * | 1993-10-15 | 2004-03-22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再生装置 |
JP3421899B2 (ja) * | 1996-04-11 | 2003-06-30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方法 |
JP2001110171A (ja) * | 1999-10-13 | 2001-04-20 | Sony Corp |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
CN2418520Y (zh) * | 2000-03-31 | 2001-02-07 | 上海广电(集团)有限公司 | 便携式数码音乐播放机 |
JP2002222559A (ja) * | 2001-01-24 | 2002-08-09 | Pioneer Electronic Corp | 情報再生装置 |
CN1452056A (zh) * | 2002-04-17 | 2003-10-29 | 上海数字先锋超媒体电脑有限公司 | 一种mp3播放机 |
JP2003316395A (ja) * | 2002-04-26 | 2003-11-07 | Toshiba Corp | 情報再生装置とその信号処理モジュール及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
US20040073721A1 (en) * | 2002-10-10 | 2004-04-15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DMA Controller for USB and like applications |
-
2004
- 2004-07-09 JP JP2004203576A patent/JP421169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6-14 US US11/151,449 patent/US2006000824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7-01 KR KR1020050059107A patent/KR200600497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7-04 CN CNB2005100806131A patent/CN10036249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07 EP EP05014784A patent/EP1619683A2/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211698B2 (ja) | 2009-01-21 |
JP2006024126A (ja) | 2006-01-26 |
US20060008244A1 (en) | 2006-01-12 |
CN100362499C (zh) | 2008-01-16 |
CN1728117A (zh) | 2006-02-01 |
EP1619683A2 (en) | 2006-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21305B1 (en) | Personal music device with a graphical display for contextual information | |
US6588662B1 (en) | Portable data backup device | |
US8458616B2 (en) | Data display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 |
KR100745995B1 (ko) | 메타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 |
US20030187654A1 (en) | Mobile audio player | |
KR20060049746A (ko) | 전자기기 | |
US20030223320A1 (en) |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list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ed medium | |
JP2006018879A (ja) | 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JP3711099B2 (ja) | 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アクセス方法 | |
JP4460786B2 (ja) | 音楽映像再生装置 | |
US7366863B2 (en) | Memory control apparatus, the program and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 |
JP2003162884A5 (ko) | ||
JP2004062850A (ja) | ポータブル型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 |
JP2002236498A (ja) | オーディオ再生装置 | |
KR100331305B1 (ko) | 음반 제작자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및 그 정보의 기록 및 재생장치 | |
KR100801408B1 (ko) |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에서 음악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 |
GB2413686A (en) | Portable audio media player | |
JP2003272302A (ja) |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 |
JP2006228341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 |
JP4394465B2 (ja) |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050119318A (ko) | Usb 연결형 디지털 재생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 |
JP2004295927A (ja) | 再生装置 | |
WO2004072976A1 (ja) | 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 |
KR20050119287A (ko) | 기록매체의 그룹지정에 의하여 컨텐츠들의 그룹별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 |
EP1647985A1 (en) |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med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