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521A -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521A
KR20060048521A KR1020050055094A KR20050055094A KR20060048521A KR 20060048521 A KR20060048521 A KR 20060048521A KR 1020050055094 A KR1020050055094 A KR 1020050055094A KR 20050055094 A KR20050055094 A KR 20050055094A KR 20060048521 A KR20060048521 A KR 2006004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information
message
vo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204B1 (ko
Inventor
권혁훈
박태욱
제승욱
이상연
함희혁
강봉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7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recorded message, whereby the presence information might include a preview or summary of the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16Call initiation by network rather than by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4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voicemail messaging
    • H04M2203/4536Voicemail combined with text-based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8Mobile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36Store & forward, mess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7Recorded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단말기(MS);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음성메시지를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저장관리하며,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을 수행한 후,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 신호가 인지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를 착신단말기로 재생 출력하는 아이피 서버; 및 아이피 서버로 저장된 음성메시지 등록 및 등록통지와,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될 경우 음성메시지 확인에 대한 착신정보 및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통지정보를 생성하고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를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메시지가 통화로를 통해 착신단말기로 제공됨에 따라, 수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 청취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발신단말기는 발송 메시지에 대한 불필요한 답변 기대치를 갖지 않아도 되어 음성메시지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음성 메시지, 음성 사서함, 단문 메시지, 음성등록, 음성사서함 서버, VMS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TRANSMITTING SYSTEM OF VOICE MASSAGE AND NOTIFICATION SYSTEM OF THE TRASMITTED MESSAG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음성메시지 관리서버의 주요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기 및 발신단말기의 표시창이다.
<주요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교환국 103 : 음성사서함 서버
105 : 단문메시지 센터 107 : 홈위치 등록기
109 : 음성메시지 관리서버 111 : 기지국 제어기
115 : 발신단말기 117 : 착신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전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가 통화로를 통해 수신단말기로 제공되고, 수신단말기로 전송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전송결과 및 착신자의 착신상태를 발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로 통지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호출 서비스는 숫자 메세지를 전송하는 숫자 페이징(Numeric Paging)과 간단한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는 문자 페이징(Alphanumeric Paging)이 있다. 그러나, 숫자나 문자로는 정보 전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간 고유의 감정이 담긴 음성 메세지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무선 호출망을 이용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한 형태이다. 여기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란 호출자가 전화를 걸어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세지를 남기면 음성 메세지가 수신되었다는 사실을 피호출자의 단말기에 알리게 되며, 피호출자는 음성 사서함에 전화를 걸어 청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성 메시지 전송은 출원번호 '10-1997-0066279'호 발명의 명칭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페이징 서비스 제공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부가서비스로의 접근은 일반 이동통신 호처리 절차에 의거하여 진행되다가 단말기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에 있을때 음성 페이징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고 있 다. 즉, 음성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기간 호 접속이 요청되면 이동교환기는 HLR에 위치 정보 요구(Location Request) 메세지로 위치를 요구하고, HLR은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방문지의 VLR에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통신 교환기에 송신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동통신 교환기는 방문지 교환기와 통화로를 설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페이징을 하며, 단말기가 페이징 응답 메세지를 보내면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양방향 실시간 전화가 이루어지지만, 만약 단말기의 위치가 수신 불가능 지역에 있거나 전원이 꺼져 있는 등 수신불가능할 경우 방문지 이동통신 교환기는 통화로를 음성페이징 센터로 연결하여 발신자가 음성페이징 센터에 해당 음성 메세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후, 상기 음성페이징 센터는 대기하고 있다가 재전송 알고리듬에 의해 다시 전송하고, 만약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다가 단말기로부터 등록 메세지가 HLR을 통해 수신되면, 음성 메세지 전송을 시작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성 메세지 전송은 발신자의 음성정보를 음성페이징 센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정보를 수신자가 청취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발신자가 발신된 음성정보의 전송상태 또는 수신자로부터의 확인상태 등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 시스템 이용의 많은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었다. 더구나, 급변화되는 시대적 환경속에서, 종래의 음성 메시지 시스템과 같은 네트워크의 비실시간적 운용은 시대를 역행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인지되고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메시지에 대한 착신 절차를 간소화하고, 음성 메시지 착신에 대한 발신자 확인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되도록 함에 따라, 음성 메시지 수신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 또는 이종망간 요청되는 음성 메시지의 전송시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음성 메시지의 전송상태 및 착신자에 의한 수신상태가 발신자에게 통지되도록 하여, 음성 메시지 전송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 다수의 기지국(BTS)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피(IP) 서버;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 신호가 인지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은, a)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 번호정보 및 음성메시지가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착신 번호정보를 토대로 해당 착신단말기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재생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은, 통신망에서의 음성 메시지 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 다수의 기지국(BTS)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저장관리하기 위한 음성사서함 서버(VMS); 및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VMS)로 저장된 음성메시지 등록 및 등록통지와,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 메시지 확인에 대한 착신정보 및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통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를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신정보는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제공된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착신자정보 또는 착신단말기 번호정보이고, 상기 통지정보는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제공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는 단문메시지 센터(SMC)와 선택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의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는 상기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에 대한 미확인상태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리스트화된 미확인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은, 통신망에서의 음성 메시지 등록 및 등록메시지에 대한 통지방법에 있어서, a)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를 등록하는 단계; b)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메시지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를 시간대별로 리스트화하여 저장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메시지가 확인될 경우, 현재의 시간정보를 추출하고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소정의 멘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발신단말기로 상기 시간정보 및 멘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간정보 및 멘트정보는 단문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발신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 상기 미확인된 음성메시지의 리스트화된 정보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요청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115); 다수의 기지국(BTS:113)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115)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111);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111)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101); 상기 교환국(MSC/VLR:101)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을 수행한 후,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 신호가 인지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 기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아이피(IP) 서버(1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환국(MSC/VLR:101)은 홈위치 등록기(HLR:107)와 접속되어 착신단말기(117)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환국(MSC/VLR :101)은 단문메시지 센터(SMC:105)와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미 전송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115)로 통지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에러 발생 또는 착신단말기(MS:117)의 수신불가 상태 등으로 인해 발신단말기(115)에서 발신된 음성 메시지가 착신단말기(MS:117)로 제공되지 못할 경우 이에 대한 안내이다. 한편, 상기 아이피 서버(103)는 ARS 및 VMS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201 단계에서 사용자는 발신단말기(115)를 이용하여 특정 수신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요청한다.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절차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기(115)는 수신자 번호 정보를 토대로 기지국(113,111) 및 교환기(101)로 접속된다. 상기 교환기(101)는 발신단말기(115)로부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요청을 인지한다.
상기 교환기(101)는 S20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아이피 서버(103)로 스위칭 접속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단말기(115)와 아이피 서버(103)간 호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교환기(101)는 상기 홈위치 등록기(107)로부터 상기 발신단말기(115)에 대한 단말기 번호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교환기(101)는 발신단말기(115)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번호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교환기 (101)는 아이피 서버(103)로 상기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를 제공한다. 아이피 서버(103)는 상기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로 저장한다.
이 후, 상기 아이피 서버(103)는 교환기(101)로 음성 메시지를 요청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교환기(101)는 발신단말기(115)로 음성 메시지를 요청한다. 사용자는 발신단말기(115)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음성 메시지는 기지국(111,113) 및 교환기(101)를 거쳐 아이피 서버(103)로 제공된다. 아이피 서버(103)는 상기 발신자 정보 및 수신자 정보와 더불어 임의의 메모리로 저장한다.
음성 메시지에 대한 완료는 발신단말기(115)의 특정 키 동작에 의해 통지되며, 교환기(101)는 특정 키 동작을 인지한다. 교환기(101)는 특정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피 서버(103)로 음성 메시지 저장 종료를 통지한다. 아이피 서버(103)는 음성 메시지 저장종료 통지에 응답하여 메시지 저장을 완료한다.
상기 아이피 서버(103)는 S20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수신자 정보를 해당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번호정보로서, 아이피 서버(103)는 교환기(101)로 수신자 정보를 전송한다. 아이피 서버(103)는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한 다이얼링을 교환기(101)로 요청한다. 교환기(101)는 S20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기지국(111,113)을 통해 수신자 단말기(117)와의 호 접속을 위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교환기(101)는 스위칭 수행결과, 상기 수신단말기(117)의 착신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만약, 수신단말기(117)의 착신이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교환기(101)는 S209 단계로 진입한다. 교환기(101)는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105)를 기동한다. 단문메시지 서버(105)는 기 저장된 발신자용 안내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교환기(101)로 전송한다. 교환기(101)는 발신단말기(105)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수신 불가 상태를 통지한다.
반면, S207 단계에서 상기 수신단말기(117)의 착신이 이루어질 경우, 교환기(101)는 S211 단계에서 수신단말기의 착신신호를 상기 아이피 서버(103)로 통지한다. 아이피 서버(103)는 착신신호에 응답하여 기 저장된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를 재생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단말기의 착신신호는 수신자로부터 설정된 통화 스위칭으로서, 단말기의 '통화'버튼의 동작신호이거나 단말기 폴더의 개폐신호이다. 따라서, 수신자는 음성 메시지 도착시 통화상태로 해당 메시지를 청취하게 된다.
한편, 발신단말기(115)는 음성 메시지에 대한 수신자 착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115), 다수의 기지국(BTS:113)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115)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111),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111)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101), 상기 교환국(MSC/VLR:101)에 접속되어 상기 발신단말기(MS:115)의 음성메시지 등록 및 등록통지와, 등록된 음성메시지를 착신단말기(117)를 통해 음성확인 할 경우 음성메시지 확인에 대한 착신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통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 상기 교환국(MSC/VLR:101)과 연동하여 발신자정보에 기반한 상기 음성메시지를 저장 및 전송관리하기 위한 음성사서함 서버(ARS/VMS:103), 상기 교환국(MSC/VLR :101)와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따른 등록통지 및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대한 착신단말기(MS:117)의 메시지 확인에 따른 착신통지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센터(SMC:10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교환국(MSC/VLR:101)은 홈위치 등록기(HLR:107)와 접속되어 착신단말기(117)에 대한 가입자정보를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단말기(115)로부터 요청되는 음성메시지에 대한 등록절차를 제어하고 등록에 대한 음성메시지 등록시간을 생성하며, 발신단말기(115)로부터 착신요청된 착신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등록모드(301)와,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단말기(117)의 음성메시지 확인절차를 제어하고, 확인절차에 따른 음성메시지 확인신호 및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확인모드(303)와,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신호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의 착신상태 및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문자화된 멘트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115)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착신통지모드(305)와, 상기 문자화된 멘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멘트정보 데이터베이스(307)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단계에서 상기 발신단말기(115)는 임의의 착신단말기(117)로 음성메시지 전송을 위한 음성메시지 등록을 요청한다.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은 별도의 별정직 번호를 갖는 호접속이 필요할 수 있으나, 통화시도시 일정시간 착신되지 않을 경우 음성사서함 모드로 자동절환되어 음성메시지 등록절차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발신단말기(115)를 통해 제공되는 호접속 요청정보는 기지국 제어기(111)를 통해 교환국(101)으로 전송되며, 교환국(101)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101)을 통해 발신단말기(115)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S40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호접속 요청에 따른 착신단말기(117)의 번호정보를 토대로 교환국(101)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그리고 S405 단계에서, 이러한 스위칭과정을 통해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교환국(101)은 음성메시지 등록을 위한 절차를 안내하고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103)로 접속한다.
이 때,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교환국(101)으로부터 음성메시지 관리요청을 접수받으며, S40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모드(301)을 기동시켜 현재 음성메시지의 등록수행에 따른 등록시간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 후, S409 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05)는 착신단말기(117)로 음성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통지하기 위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며, S411 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기(117)는 음성메시지 도착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토대로 해당 음성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한 교환국(101)과의 호접속을 수행한다.
즉,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단말기(117)는 교환국(101)을 통해 음성사서함 서버(103)와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접속번호정보(501)를 입력하여 호접속을 시도한다. 교환국(101)과의 호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교환국(101)은 이를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로 통지하며,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음성메시지 확인모드(303)를 기동시켜 음성메시지 확인절차를 상기 착신단말기(117)로 안내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음성 사서함의 메시지 청취를 위한 착신단말기(117)는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05)에 의해 음성메시지가 도착되었음을 인지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발신단말기(115)로부터 생성된 음성메시지는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로 축적된 후,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103)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117)로 전송(Outdialling)되며,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103)는 착신단말기(117)로 해당 음성메시지가 착신됨을 인지하여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05)로 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단말기(117)는 단문메시지 센터(105)로부터 발신된 문자메시지에 의해 현재 착신단말기(117)는 음성메시지가 도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103)는 해당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117)로 착신된 시간정보와, 이 후 절차에 따른 단문메시지 센터(105)의 통지로부터 착신단말기(117)의 메시지 확인이 이루어진 시간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음성메시지의 전송 및 착신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착신단말기(117)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 정보(503)를 입력하여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에서 요구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인증절차가 종료되면, 음성메시지 관리서버 (109)는 인증확인에 따른 결과정보를 상기 교환국(101)으로 제공하며, 상기 교환국(101)은 음성사서함 서버(103)로 기 저장된 음성메시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시한다. 이는 S311 단계에서 착신자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메시지 정보를 청취하는 절차로서,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103)의 음성메시지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117)로 착신되었음을 인지하며, S413 단계에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의 음성메시지 확인모드(303)를 통해 음성메시지가 확인된 시간정보를 접수한다.
이 후, S415 단계에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109)는 상기 멘트정보 데이터베이스(307)를 기동시킨 후, 소정의 멘트정보를 추출한다. 이는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발신단말기(115)의 표시창으로 기 저장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117)에 의해 확인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멘트정보(507)를 텍스트화된 정보로 추출하며, S417 단계에서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통지모드(305)를 동작시켜 상기 착신단말기(117)의 음성메시지 확인에 대한 상기 멘트정보(507)를 단문메시지 센터(105)로 전송한다. 이외에 상기 교환국(101)으로 접수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모드(301)에서 인지된 발신단말기(115)의 발신단말기 정보 및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05)는 발신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국(101)으로 호 접속을 요청하며, 호 접속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 착신시간 정보와 상기 멘트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115)로 제공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발신단말기(115)를 통해 등록된 착신자에 대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117)를 통해 착신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S411 단계에 서 발신단말기(115)로부터 등록된 음성메시지 정보를 착신단말기(117)에서 확인하지 않을 경우, S419 단계를 통해 음성메시지 정보의 저장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는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의 미확인상태를 포함하여 음성메시지의 확인상태를 시간대별로 리스트화하는 것으로, 발신단말기(115)는 도 5의 (다)에서와 같이 현재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의 미확인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발신자는 상기 미확인 리스트를 토대로 발송된 음성메시지의 전송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통지가 단문메시지(SMS)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음성메시지로 착신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 통지가 이동통신 단말기간 이루어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WAP, WEB 상에서 음성메시지의 등록과 등록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컴퓨터, PDA와 같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문자화된 착신통지 또는 음성메시지화된 착신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 전송결 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음성 메시지가 아이피 서버로 등록된 후, 아이피 서버에서 수신단말기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함에 따라, 수신자는 별도의 키 조작없이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발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에 의해 확인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소정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발신자는 자신의 발신단말기를 통해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의 전송상태 또는 음성메시지의 확인상태 등을 인지할 수 있어, 발신자는 발송 메시지에 대한 불필요한 답변 기대치를 갖지 않아도 되어 음성메시지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1)

  1.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
    다수의 기지국(BTS)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을 수행한 후,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 신호가 인지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아이피(IP)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MSC/VLR)은 음성메시지 미 전송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센터(SMC)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서버는 ARS 및 V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 시스템.
  4.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a)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 번호정보 및 음성메시지가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착신 번호정보를 토대로 해당 착신단말기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단말기로 상기 음성메시지를 재생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b-1)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착신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신단말기로 착신불능 상태를 통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b-1)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착신신호가 검출될 경우 상기 c)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착신불능 상태에 대한 통지는 단문메시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7. 통신망에서의 음성 메시지 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
    다수의 기지국(BTS)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저장관리하기 위한 음성사서함 서버(ARS/VMS); 및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ARS/VMS)로 저장된 음성메시지 등록 및 등록통지와,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대한 착신정보 및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통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를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따른 등록통지 및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대한 착신단말기의 메시지 확인에 따른 착신통지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센터(SM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통지 및 착신통지를 위한 등록정보 및 착신정보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는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제공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착신자정보 또는 착신단말기 번호정보이고, 상기 등록정보는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제공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는 상기 착신정보 및 등록정보에 대한 미확인상태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리스트화된 미확인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는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음성메시지에 대한 등록절차를 제어하고 등록에 대한 음성메시지 등록시간을 생성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착신요청된 착신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등록모드;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단말기의 음성메시지 확인절차를 제어하고, 확인절차에 따른 음성메시지 확인신호 및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확인모드;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신호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의 착신상태 및 상기 음성메시지의 착신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문자화된 멘트정보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착신통지모드; 및
    상기 문자화된 멘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멘트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12. 통신망에서의 음성 메시지 등록 및 등록메시지에 대한 통지방법에 있어서,
    a) 발신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를 등록하는 단계;
    b)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메시지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를 시간대별로 리스트화하여 저장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메시지가 확인될 경우, 현재의 시간정보를 추출하고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소정의 멘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발신단말기로 상기 시간정보 및 멘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및 멘트정보는 단문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발신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정보 및 멘트정보는 음성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발신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성메시 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는 c-1) 상기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음성사서함 서버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Outdialling)되는 단계; c-2) 상기 음성사서함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Outdialling) 상태를 단문메시지 센터로 통지하는 단계; c-3)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음성메시지의 도착 현황을 통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e) 상기 미확인된 음성메시지의 리스트화된 정보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요청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결과 통지방법.
  17. 음성 메시지에 대한 전송과 전송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를 등록하고 등록된 음성정보에 대한 메시지 착신을 통지받기 위한 발신단말기(MS);
    다수의 기지국(BTS)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발신단말기(MS)의 음성메시지 등록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호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접속되는 채널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고 호접속에 따른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국(MSC/VLR);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발신자정보에 기반하여 아웃 다이얼링(Outdialling)을 수행한 후, 상기 착신단말기의 착신 신호가 인지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아이 피(IP) 서버; 및
    상기 아이피 서버로 저장된 음성메시지 등록 및 등록통지와,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착신단말기로부터 확인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대한 착신정보 및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에 따른 통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신정보 및 통지정보를 발신단말기로 통지하기 위한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서버는 ARS 및 V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MSC/VLR)과 연동되어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따른 등록통지 및 상기 음성메시지 등록에 대한 착신단말기의 메시지 확인에 따른 착신통지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센터(SM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통지 및 착신통지를 위한 등록정보 및 착신정보는 음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는 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제공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착신자정보 또는 착신단말기 번호정보이고, 상기 등록정보는 상기 등록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착신단말기로 제공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시지 관리서버는 상기 착신정보 및 등록정보에 대한 미확인상태를 리스트화하여 저장하며,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리스트화된 미확인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전송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KR1020050055094A 2004-07-27 2005-06-24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38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650 2004-07-27
KR20040058650 2004-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521A true KR20060048521A (ko) 2006-05-18
KR100738204B1 KR100738204B1 (ko) 2007-07-10

Family

ID=3578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094A KR100738204B1 (ko) 2004-07-27 2005-06-24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2120B2 (ko)
KR (1) KR100738204B1 (ko)
CN (2) CN101873552B (ko)
WO (1) WO2006011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1714B2 (en) * 2009-01-27 2017-04-11 Value-Added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notification in institutional communication
US8885801B2 (en) * 2010-02-17 2014-11-11 Genband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essaging
CN103401765B (zh) * 2013-08-06 2017-12-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语音信息的传输方法
EP3477927B1 (en) * 2017-10-31 2021-03-17 Telia Company AB Management of call connection attempt
KR102462692B1 (ko) 2018-03-06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10A (ko) 1997-07-10 1999-02-18 최무용 무선호출 음성사서함(vms) 음성메시지 청취확인 서비스 방법
US6253061B1 (en) *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KR100350455B1 (ko) * 1999-12-1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0640367B1 (ko) 1999-12-30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망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서비스 처리 방법
FI110297B (fi) * 2000-08-21 2002-12-31 Mikko Kalervo Vaeaenaenen Lyhytäänisanomajärjestelmä, -menetelmä ja -päätelaite
KR20020040466A (ko) * 2000-11-24 2002-05-30 구자홍 이동 가입자에 대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JP2002176449A (ja) * 2000-12-08 2002-06-21 Fujitsu Ltd 通信装置
KR20040022822A (ko) 2002-09-09 2004-03-18 (주)엠비즈네트웍스글로벌 음성메시지 접속기능을 개선한 음성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US7251480B1 (en) * 2003-02-05 2007-07-3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sending a voice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3552A (zh) 2010-10-27
CN101032177A (zh) 2007-09-05
CN101032177B (zh) 2012-06-27
WO2006011742A1 (en) 2006-02-02
CN101873552B (zh) 2013-06-05
US20080051067A1 (en) 2008-02-28
US8032120B2 (en) 2011-10-04
KR100738204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KR100738204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과 전송결과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379945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메시지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057510B (zh) 回复语音消息发送系统及其方法
KR20060001178A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10083082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101310125B1 (ko) 착발신 단말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2519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 가입자의 통화 불가 안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584640B1 (ko) 유선 전화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2777A (ko) 발신자에게 사용자가 설정한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자동응답 sms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JP2003134233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とその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KR1013231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554795B1 (ko)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579798B1 (ko) 메시지 도착 알림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498613B1 (ko) 단발성 메시지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67622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0603010B1 (ko)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