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582A -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 Google Patents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582A
KR20060047582A KR1020050035495A KR20050035495A KR20060047582A KR 20060047582 A KR20060047582 A KR 20060047582A KR 1020050035495 A KR1020050035495 A KR 1020050035495A KR 20050035495 A KR20050035495 A KR 20050035495A KR 20060047582 A KR20060047582 A KR 2006004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pad
load
knee
r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2289B1 (en
Inventor
가즈히코 츠노다
노리히로 구라타
히데키 아키야마
유타카 무라타
다카시 오기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2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88Cycles, e.g. motorcycles

Abstract

소형 차량으로의 적용이 용이하고, 또한 패드를 대형화하지 않고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억제할 수 있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를 제공한다. Provided is a rider restraining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a small vehicle and can suppress a load on the rider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pad.

헤드 파이프(11)의 하부에 연결 부재(53)가 고정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53)로부터 핸들 포스트(11)를 따라서 뒤쪽의 경사진 상방을 지향하여, 좌우 한 쌍의 패드 지지 파이프(52)(L, R)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상부에서는, 좌우 한 쌍의 무릎부 패드(50)(L, R)가, 각각 플레이트 부재(51)(L, R)를 통해서 승차자의 무릎부를 지향하는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에는, 무릎부 패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이것을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하는 하중 흡수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53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ad pipe 11,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ad support pipes 52 are direc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53 toward the inclined upward direction along the handle post 11. (L, R) ar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upper part of each pad support pipe 52, a pair of left and right knee pads 50 (L, R) are mounted in the attitude | position which orientates the knee part of a rider through plate members 51 (L, R), respectively. It is. When the front load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the pad support pipe 52 is provided with a load absorbing function for absorbing this to relieve the load applied to the occupant.

Description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Rider restraint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승차자 제지 장치를 적용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which applies the rider restrai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무릎부 패드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the knee pad,

도 3은 무릎부 패드에 의해 승차자의 이동이 저지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is prevented by the knee pad,

도 4는 하중 흡수부의 측면도, 4 is a side view of the load absorbing portion;

도 5는 하중 흡수부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oad absorbing portion;

도 6은 하중 흡수부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oad absorbing portion;

도 7은 하중 흡수부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 7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load absorbing part;

도 8은 핸들 파이프의 경사 각도를 제한하는 보강 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reinforcing member for limi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le pipe;

도 9는 하중 흡수부의 제4 실시 형태의 측면도,9 is a sid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oad absorbing part;

도 10은 하중 흡수부의 제4 실시 형태의 정면도, 10 is a front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oad absorbing part;

도 11은 무릎부 패드의 이동량과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vement of a knee pad and a load applied to a ri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 : 헤드 파이프 15 : 프론트 포크11: head pipe 15: front fork

16 : 조향 핸들 20 : 핸들 파이프16: steering wheel 20: handle pipe

30 : 제지 패드 31L, 31R : 플레이트 부재30: paper pad 31L, 31R: plate member

32 : 탄성 부재 33 : 코일 스프링32: elastic member 33: coil spring

50 : 무릎부 패드50: knee pad

본 발명은,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차자의 하반신이 차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der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der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that restricts the lower body of the rider from moving forward.

자동 이륜차에서 승차자의 차체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지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4륜 자동차에서 승차자의 하반신이 차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술로서, 차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부에서 승차자의 무릎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충격 흡수 부재를 배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s a technique for restraining the rider's movement in front of a rider in a two-wheeled vehic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technique for restricting the rider's lower body from moving forward in a four-wheeled vehicle. The technique which arrange | positions a shock absorbing member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is disclose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270577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705775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승차자의 무릎부 전방에 충격 흡수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가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기술이고, 이륜차와 같이, 승차자의 무릎부 전방에 지지 부재가 없는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The technique of Patent Literature 1 is a technique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support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 front of the knee part of the rider, and such as a two-wheeled vehicle, it is applicable to a vehicle without the support member in front of the lap part of the rider. Could no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이륜차에서의 승차자의 하반신이 차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der restraining apparatus for a two-wheeled vehicle that can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an restrict the lower body of the rider in the two-wheeled vehicle from moving forwar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륜차의 승차자의 차체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승차자 제지 장치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point which the following means were taken in the rider restraining apparatus which restricts the movement of a rider to the front of a vehicle body.

(1) 좌우 한 쌍의 무릎부 패드와, 이 무릎부 패드가 일단측에 장착된 파이프형상의 패드 지지 부재와, 무릎부 패드가 승차자의 무릎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타단측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무릎부 패드에 가해지는 전방향 하중을 흡수하여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을 제한하는 하중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A pair of left and right knee pads, a pipe-shaped pad support member on which the knee pads are mounted on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pad support member so that the knee pads face the knees of the rider. And a load absorb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and a load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an omnidirectional load applied to the knee pad and limiting plastic deforma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2)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패드 지지 부재의 찌그러짐 변형을 제한하는 찌그러짐 방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The said load absorbing member is a distortion prevention member which limits the distortion deformation of a pad support member.

(3)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부에 삽입 관통된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p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4)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부에 삽입 관통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 coil spring inserted through the p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5)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패드 지지 부재에 형성된 자바라상 압궤성체(壓潰性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 bellows-shaped collapsed body formed in the pad support member.

(6)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타단측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파이프형상의 연결 바이고,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연결 바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해당 연결 바의 뒤틀림 변형을 제한하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A pipe-shaped connection via which the fixing member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pad support member and is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bar so that the conn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for limiting the distortion deformation of the bar.

(7)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전방 경사량을 제한하는 보강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the reinforcement member which limits the amount of front inclination of the said pad support memb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차자 제지 장치를 적용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차체 프레임(10)은, 헤드 파이프(11)가 전단부에 고착된 메인 프레임 파이프(12)와, 이 메인 프레임 파이프(12)의 후단부에 직각 또한 수평으로 고착된 크로스 파이프(13)와, 이 크로스 파이프(13)의 양단부에 전단이 각각 연결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후부 프레임 파이프(14)(14L, 14R)를 주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a scooter type motorcycle, to which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body frame 10 includes a main frame pipe 12 having a head pipe 11 fixed to a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the main frame pipe. The cross pipe 13 fixed at right angles and horizontally to the rear end of (1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 pipes 14 (14L and 14R) provided with front en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ross pipe 13, respectively. Main composition is made.

상기 메인 프레임 파이프(12)는, 헤드 파이프(11)로부터 뒤쪽 하부로 경사진 다운 프레임부(12a)와, 다운 프레임부(12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하부 프레임부(12b)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 파이프(13)는 차체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이 크로스 파이프(13)의 중앙부에 상기 메인 프레임 파이프(12)의 후단부가 직각으로 고착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부 프레임 파이프(14)는, 상기 크로스 파이프(13)의 양단부로부터 뒤쪽 상부로 연장되는 라이즈 프레임부(14a)와, 이 라이즈 프레임부(14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후단부 개구가 서로 대향하도록 수평면 내에서 만곡하는 상부 프레임부(14b)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다.The main frame pipe 12 has a down frame portion 12a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head pipe 11 and a lower frame portion 12b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12a. ) Is integrally connected and installed. The cross pipe 13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pipe 1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cross pipe 13 at a right angle. The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 pipes 14 is rearward with the rise frame portion 14a extending upwardly from both ends of the cross pipe 13 and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rise frame portion 14a. And an upper frame portion 14b which is curved in a horizontal plane so as to extend at the same time and the rear end openings face each other.

상기 헤드 파이프(11)에는, 전륜(Wf)을 지지하는 조향 부재로서의 프론트 포크(15)가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론트 포크(15)의 상단에는, 핸들 연결 부재로서의 핸들 파이프(20)를 통해서 조향 핸들(1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부 프레임 파이프(14)의 전부에는, 후륜(Wr)의 전방측에 배치된 엔진(E)과, 후륜(Wr)의 좌측쪽에 배치된 무단 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륜(Wr)은 파워 유닛(P)의 후부에 축 지지되어 있다. 후륜(Wr)의 상부 좌측에는 에어클리너(29)가 배치되어 있다. The head fork 11 is supported by the front fork 15 as a steer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s Wf so as to be steerable, an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fork 15 via a handle pipe 20 as a handle connecting member. The steering handle 16 is connected. The power unit P which consists of the engine E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rear wheel Wr,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 side of the rear wheel Wr is all over the said rear frame pipe 14 up and down. It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and the rear wheel Wr is axially supported by the rear part of the power unit P. As shown in FIG. An air cleaner 29 is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rear wheel Wr.

파워 유닛(P)의 후부와 좌측의 후부 프레임 파이프(14L)의 사이에는 후부 쿠션 유닛(17)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E)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인도하는 배기관(18)이 엔진(E)으로부터 후륜(Wr)의 우측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고, 이 배기관(18)은, 후륜(Wr)의 우측쪽에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19)에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후부 프레임 파이프(14)의 전부 사이에는, 수납 박스(25)가 상기 엔진(E)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The rear cushion unit 17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part of the power unit P and the rear frame pipe 14L on the left side. An exhaust pipe 18 for guiding the exhaust gas from the engine E extends from the engine E to the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Wr, and the exhaust pipe 18 is an exhaust ga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Wr. It is connected to the muffler 19. Between all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 pipes 14, the storage box 25 is supported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engine E.

차체 프레임(10)은,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21)로 덮여지고, 이 차체 커버(21)는, 승차자의 발의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22)와, 승차자의 발을 올려 놓도록 하기 위해서 레그 실드(22)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텝 플로어(23)와, 스텝 플로어(23)에 연결되어 차체 후부를 양측에서 덮는 사이드 커버(24)를 구비한다. The vehicle body frame 10 is covered with a vehicle body cover 21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vehicle body cover 21 is provided with a leg shield 22 covering the front of the rider's foot and the rider's foot. It has a step floor 23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leg shield 22, and the side cover 24 connected to the step floor 23 to cover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body from both sides.

상기 수납 박스(25) 및 연료 탱크(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사이드 커버(24)로 덮여져 있고, 수납 박스(25)를 상방에서 덮는 시트(26)가, 사이드 커버(24)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스텝 플로어(23)는, 조향 핸들(16) 및 시트(2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여 차체 커버(21)에 형성되고, 스텝 플로어(23)의 후단보다도 하방으로, 파워 유닛(P)을 차체 프레임(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측 브래킷(27)이 배치되어 있다. The storage box 25 and the fuel tank (not shown) are covered with the side cover 24, and the sheet 26 covering the storage box 25 from above is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of the side cover 24. It is mounted as possible. That is, the step floor 23 is formed in the vehicle body cover 21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steering wheel 16 and the seat 26, and moves the power unit P below the rear end of the step floor 23. The frame side bracket 27 for supporting the frame 10 so as to be swingable is arranged.

도 2를 아울러 참조하여, 상기 조향 핸들(16)에는 플레이트 부재(31)가 고정되고, 이 플레이트 부재(31)에는, 시트(26)에 착석하는 승차자와 대향하도록 흉부 패드(3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헤드 파이프(11)의 하부에 연결 부재(53)가 고정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53)로부터 핸들 포스트(11)를 따라서 뒤쪽의 경사진 상방을 지향하여, 좌우 한 쌍의 패드 지지 파이프(52)(L, R)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상부에서는, 좌우 한 쌍의 무릎부 패드(50)(L, R)가, 각각 플레이트 부재(51)(L, R)를 통해서 승차자의 무릎부를 지향하는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plate member 31 is fixed to the steering handle 16, and the chest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plate member 31 so as to face a rider seated on the seat 26. hav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member 53 is being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aid head pipe 11, and it is inclined upward of the rear side along the handle post 11 from this connection member 53, A pair of pad support pipes 52 (L, R) are provided vertically. In the upper part of each pad support pipe 52, a pair of left and right knee pads 50 (L, R) are mounted in the attitude | position which orientates the knee part of a rider through plate members 51 (L, R), respectively. It is.

이 무릎부 패드(50)에 의해,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시 등에 관성으로 승차자의 하반신이 전방으로 이동해도, 승차자의 무릎부가 무릎부 패드(50)로 가압되어,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승차자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소정 범위 내로 제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릎부 패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이것을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하는 하중 흡수 기능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에 부여되어 있다. As shown by the broken line pad 50 in FIG. 3, even if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moves forward by inertia during braking or the like, the knee portion of the occupant is pushed by the knee pad 50 to further move. Since this is prevented, the movement forward of the rider is limited t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ront load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the pad support pipe 52 is provided with a load absorbing function for absorbing this to alleviate the load applied to the rider. have.

도 4는, 상기 하중 흡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상기 무릎부 패 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향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상기 연결 부재(53)의 상면 근방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기 시작한다. 응력이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항복점(응력 한계)을 넘으면 소성 변형이 시작되어, 상기 도면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전방으로 굴곡되기 시작한다.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load absorbing function, and when the forward load exceed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the pad support pipe 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3. Bends forward near the top of the When the stress exceeds the yield point (stress limit) of the pad support pipe 52, plastic deformation begins, and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the figure, the pad support pipe 52 starts to bend forward.

일반적으로, 응력 한계를 넘으면 탄성력이 손실되기 때문에, 상기 무릎부 패드(50)는 무릎부에 의한 전방향 하중을 막아낼 수 없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에 하중 흡수부를 설치하여,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응력 한계를 넘은 후에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since the elastic force is lost when the stress limit is exceeded, the knee pad 50 cannot prevent an omnidirectional load by the knee port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later, the pad support pipe will be described later. A load absorbing portion is provided at 52 to maintain elasticity even after the pad support pipe 52 exceeds the stress limit.

도 5는, 상기 하중 흡수부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고,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그 하단부를 연결 부재(53)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하단부의 내측에 직사각형상 탄성 부재(55)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oad 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d support pipe 5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53, and the rectangular elastic member 55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무릎부 패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향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휘어지기 시작한다. 응력이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항복점을 넘으면 소성 변형이 시작되어, 상기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전방으로 굴곡되기 시작한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omnidirec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in excess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ad support pipe 52 starts to bend. When the stress exceeds the yield point of the pad support pipe 52, plastic deformation begins,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the figure, and the pad support pipe 52 begins to bend forward.

도 11은, 상기 무릎부 패드(50)의 전방으로의 이동량과 승차자의 무릎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탄성 부재(55)가 패드 지지 파이프 (52)에 삽입 관통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도면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응력이 항복점을 넘은 시점에서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파단 혹은 찌그러져서 탄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무릎부 패드(50)에 가해지는 하중이 빠져나가 버린다.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vement forward of the knee pad 50 and the load applied to the rider's knee, and the elastic member 55 is inserted through the pad support pipe 52. Otherwise,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the drawing, the load applied to the knee pad 50 is lost because the pad support pipe 52 is broken or crushed to maintain elasticity when the stress exceeds the yield point. I get out.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와 연결 부재(53)가 강고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양자는 상기 탄성 부재(55)에 의해 탄성적으로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복점을 넘은 소성 영역에서도 패드 지지 파이프(52)는 파단하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릎부 패드(50)의 전방으로의 이동량과 승차자의 무릎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관계는,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항복점을 넘은 이후에도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응력 한계를 넘은 하중이 상기 무릎부 패드(50)에 가해진 경우에도, 해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ad support pipe 52 and the connection member 53 are firmly connected, and both are also elastically connected by the said elastic member 55, plasticity beyond the yield point is performed. Even in the region, the pad support pipe 52 can remain elastic without breaking or crushing.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vement forward of the knee pad 50 and the load on the rider's knee is substantially constant even after the pad support pipe 52 has crossed the yield point,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1. Since it is maintained, even when a load exceeding the stress limit of the pad support pipe 52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a part of the load can be absorbed to reduce the load on the rider.

도 6은, 상기 하중 흡수부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고,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그 하단부를 연결 부재(53)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하단부의 내측에 코일 스프링(56)이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oad 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In this embodiment, the pad support pipe 52 is penetra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part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53, and the coil spring 56 is penetrated and fixed inside this lower end part.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무릎부 패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향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휘어지기 시작한다. 응력이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항복점을 넘으면 소성 변형이 시작되어, 상기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전방으로 굴곡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굴곡부의 내측에 코일 스프링(56)이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 지지 파이프(52)는 자신의 항복점을 넘어도 파단하거나 찌그러지지 않고, 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응력 한계를 넘은 하중이 무릎부 패드(50)에 가해진 경우에도, 해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omnidirec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in excess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ad support pipe 52 starts to bend. When the stress exceeds the yield point of the pad support pipe 52, plastic deformation begins,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the figure, and the pad support pipe 52 begins to bend forwar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il spring 56 is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pad support pipe 52, the pad support pipe 52 does not break or crush even if its yield point is exceeded, and elasticity is maintained. It can be maintained. Therefore, even when a load exceeding the stress limit of the pad support pipe 52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a part of the load can be absorbed to reduce the load on the rider.

도 7은, 상기 하중 흡수부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고,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그 하단부를 연결 부재(53)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연결 부재(53)의 상부 근방에 자바라상 압궤성체(57)가 형성되어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load 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In this embodiment, the pad support pipe 52 is inserted through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3, and a bellows-shaped collapsed body 57 is formed near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3.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무릎부 패드(50)에 소정의 기준치를 넘은 전방향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휘어지기 시작한다. 응력이 자바라상 압궤성체(57)의 응력 한계를 넘으면, 자바라상 압궤성체(57)의 전부측이 찌그러져서 후부측이 늘어나는 소성 변형이 시작되어,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전방으로 굴곡되기 시작한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omnidirec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in excess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pad support pipe 52 starts to bend. When the stress exceeds the stress limit of the bellows collapsing body 57, the front side of the bellows collapsing body 57 is crushed and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ar side is extended, and the pad support pipe 52 starts to bend forward. do.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에 자바라상 압궤성체(5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소성 변형이 시작된 이후에도 패드 지지 파이프(52)는 파단하지 않고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응력 한계를 넘은 하중이 무릎부 패드(50)에 가해진 경우에도, 해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ellows-shaped collapsed body 57 is provided in the pad support pipe 52, even after the plastic deformation starts, the pad support pipe 52 can maintain elasticity without breaking. Therefore, even when a load exceeding the stress limit of the pad support pipe 52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a part of the load can be absorbed to reduce the load on the rider.

그런데,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가 굴곡하기 때문에, 무릎부 패드(50)의 이동량이 커짐에 따라서, 그 위치가 낮아져 버린다. 그래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 지지 파이프(52)의 상기 굴곡부보다도 하측에, 그 전방 경사 각도 즉 무릎부 패드(50)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보강 부재(58)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지 패드(30)에 큰 전방향 하중이 가해져도, 제지 패드(30)의 위치를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By the way, in each said embodiment, since the pad support pipe 52 bends, as the movement amount of the knee pad 50 becomes large, the position will become low. So, as shown in FIG. 8,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member 58 which limit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ront inclination angle, ie, the knee pad 50, is provided below the said bent part of the pad support pipe 52. FIG. Doing. Thereby, even if a large omnidirec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papermaking pad 30, the position of the papermaking pad 30 can be maintained more than predetermined height.

도 9는, 상기 하중 흡수부의 제4 실시 형태의 일부 파단측면도이고,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9 is a partially broken side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load absorbing uni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파이프형상의 연결 바(61)가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용접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바(61)에는, 패드 지지 아암(59)(L, R)이 수직으로 장착되고, 해당 패드 지지 아암(59)은 상기 연결 바(46)를 지점으로 하여 뒤쪽의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기 패드 지지 아암(59)의 상단부에는, 플레이트 부재(51)(L, R)를 통해서 상기 무릎부 패드(50)가, 승차자의 무릎부를 지향하도록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바(61)의 내측에는, 뒤틀림 응력이 탄성 한계를 넘어서 해당 연결 바(61)에 찌그러짐이 생기는 소성 변형이 시작된 후에도, 이 찌그러짐을 제한하여 상기 연결 바(61)에 소정의 탄성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찌그러짐 방지 부재(62)가 충전 내지는 삽입 관통되어 있다. The pipe-shaped connecting bar 61 penetrates the fram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s firmly connected by suitable means, such as welding. In the connecting bar 61, pad support arms 59 (L, R) are vertically mounted, and the pad support arms 59 extend upwardly inclined upward with the connection bar 46 as a point. Is installed. The knee pad 50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ad support arm 59 via the plate members 51 (L, R) so as to orient the knee of the occupant. As shown in FIG. 10,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bar 61 is limited to the distortion even after the p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warpage stress exceeds the elastic limit and the distortion occurs in the connection bar 61, starts to limit the distortion. The anti-dentation member 62 is filled or inserted through 61 to maintain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무릎부 패드(50)에 전방향 하중이 가해져서 연결 바(61)에 비틀림이 생기면, 패드 지지 아암(59)이 전방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또 한 전방향 하중이 가해져서, 상기 연결 바(61)에 가해지는 뒤틀림 응력이 연결 바(61)의 항복점(응력 한계)을 넘으면 소성 변형(찌그러짐 변형)이 시작되어, 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지지 아암(59)이 연결 바(61)를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한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바(61)의 내측에 찌그러짐 방지 부재(62)가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바(61)의 찌그러짐이 제한되어, 그 결과, 연결 바(61)는 항복점을 넘은 소성 영역에서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지지 아암(59)의 응력 한계를 넘은 하중이 무릎부 패드(50)에 가해진 경우에도, 해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여 승차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a forward load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and a torsion occurs in the connecting bar 61, the pad support arm 59 starts to move forward. In addition, when an omnidirectional load is applied and the torsional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ng bar 61 exceeds the yield point (stress limit) of the connecting bar 61, plastic deformation (dentification deformation) is started, which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in FIG. 9. As shown, the pad support arm 59 pivots forward with the connecting bar 61 as the point.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ortion prevention member 62 is penetrated inside the connection bar 61,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on bar 61 is limited, As a result, the connection bar 61 exceeded the yield point. Elasticity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firing region. Therefore, even when a load exceeding the stress limit of the pad support arm 59 is applied to the knee pad 50, a part of the load can be absorbed to reduce the load on the rider.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1)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무릎부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가 하중 흡수 부재에 의해 소비·흡수되어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이 제한된다. 따라서, 패드 지지 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이 탄성 한계를 넘은 것과 같은 전방향 하중이 무릎부 패드에 가해진 경우에도, 이것을 막아내어 승차자를 확실하게 제지시킬 수 있다.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part of the load applied to the knee pad is consumed and absorbed by the load absorbing member, so that plastic deforma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is limited. Therefore, even when an omnidirectional load such that the stress applied to the pad support member exceeds the elastic limit is applied to the knee pa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and reliably restrain the occupant.

(2)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패드 지지 부재에 특별한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그 소성 변형을 간단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2)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plastic deformation can be easily limited without performing special processing or the like on the pad support member.

(3) 청구항 3, 4, 5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 코일 스프링 혹은 자바라상 압궤성체를 추가하는 것 만으로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3) According to the inventions of claims 3, 4, and 5,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can be limited only by adding the elastic member, the coil spring, or the bellows collapsed body.

(4)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 바의 뒤틀림 응력을 이용하여 패드 지지 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구성에 있어서, 연결 바의 소성 변형을 간단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4)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elasticity is provided to the pad support member by using the twisting stress of the connecting bar,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bar can be easily limited.

(5)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핸들 연결 부재의 전방 경사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지 패드의 위치를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5)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7, since the front inclination amount of the handle connecting member is limited, the position of the papermaking pad can be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Claims (7)

이륜차의 승차자의 차체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승차자 제지 장치에 있어서, In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which limits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좌우 한 쌍의 무릎부 패드와,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knee pads, 상기 무릎부 패드가 일단측에 장착된 파이프형상의 패드 지지 부재와, A pipe-shaped pad support member having the knee pad mounted on one end thereof; 상기 무릎부 패드가 승차자의 무릎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타단측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other end side of the pad support member so that the knee pad faces the rider's knee; 상기 무릎부 패드에 가해지는 전방향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을 제한하는 하중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And a load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an omnidirectional load applied to the knee pad to limit plastic deforma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찌그러짐 변형을 제한하는 찌그러짐 방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2.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 distortion preventing member that restricts distor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부에 삽입 관통된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3.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n elastic member inserted through a p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소성 변형부에 삽입 관통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3.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 coil spring penetrated through a p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에 형성된 자바라상 압궤성체(壓潰性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2.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 bellows-shaped collapsed body formed in the pad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타단측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파이프형상의 연결 바(bar)이고, The said fixing member is a pipe-shaped connection bar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said pad support member, and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a vehicle body, 상기 하중 흡수 부재가, 상기 연결 바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어 해당 연결 바의 뒤틀림 변형을 제한하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And the load absorbing member is an elastic member inserted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bar to limit the distortion of the connec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지지 부재의 전방 경사량을 제한하는 보강 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승차자 제지 장치. 2.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for limiting the amount of forward inclination of the pad support member.
KR1020050035495A 2004-08-27 2005-04-28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KR1006722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8274 2004-08-27
JP2004248274A JP4353421B2 (en) 2004-08-27 2004-08-27 Crew restraint device for motorcy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582A true KR20060047582A (en) 2006-05-18
KR100672289B1 KR100672289B1 (en) 2007-01-22

Family

ID=3585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495A KR100672289B1 (en) 2004-08-27 2005-04-28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64195B2 (en)
JP (1) JP4353421B2 (en)
KR (1) KR100672289B1 (en)
CN (1) CN100410130C (en)
DE (1) DE102005037623B4 (en)
IT (1) ITTO20050292A1 (en)
TW (1) TWI28144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051B2 (en) * 2006-03-31 2011-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hock absorption structure for motorcycles
JP4766556B2 (en) * 2006-03-31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Crew restraint device for motorcycles
CN102673692A (en) * 2011-03-08 2012-09-19 苏州益高电动车辆制造有限公司 Anticollision structure
WO2014184849A1 (en) * 2013-05-13 2014-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WO2014184848A1 (en) * 2013-05-13 2014-1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utomatic two-wheeled vehicle
US9862341B2 (en) * 2014-06-09 2018-01-09 Nitin Govind RAM Two-wheeler airbag system
US9511808B1 (en) * 2015-07-21 2016-12-06 James Lee Jones, Jr. Motorcycle control pads
DE102020103208A1 (en) * 2020-02-07 2021-08-12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with at least one handlebar, in particular a motorcycle, with a safe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1866A (en) * 1920-11-24 1922-10-10 Bacchi Berico Leg guard for motor cycles
US3486767A (en) * 1968-03-01 1969-12-30 Frank J Lujan Safety device for motorcycle operator
JPS513936A (en) 1974-07-01 1976-01-13 Kubota Ltd KARITORISHUKAKUKI
GB1547558A (en) 1974-12-19 1979-06-20 Bothwell P W Motor cycles
US4136890A (en) * 1977-08-19 1979-01-30 William Chillianis Combination leg shield and crash bar for motorcycles
GB2003096A (en) * 1977-08-24 1979-03-07 Transport Sec Of State For Motor cycle safety devices
DE2744838A1 (en) * 1977-10-05 1979-04-12 Klaus Dr Ing Langwieder Accident leg protector for motorcycle rider - has elongate cushion bolted across machine frame on two struts connected by cross bar
SE427342B (en) 1980-07-14 1983-03-28 Bjorn Heggkvist DEVICE OF A MOTORCYCLE TO PROTECT THE DRIVER DURING A COLLISION
GB2130150B (en) 1982-11-11 1986-08-06 Transport The Minister Of Vehicle safety system
DE3244967A1 (en) 1982-12-04 1984-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TRACKING VEHICLE, ESPECIALLY MOTORBIKE
GB2131757B (en) 1982-12-17 1986-02-05 Bothwell P W Motor cycle leg shields
JP2705775B2 (en) 1987-06-18 1998-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Knee shock absorber for vehicles
DE4026172A1 (en) * 1990-08-16 1992-07-09 Taeubert Annette Child's head protective cushion of bicycle handlebars - is fitted to handlebar centre by steel sheet brackets, steel wire, etc.
SK349492A3 (en) * 1992-11-26 1995-01-05 Rudolf Novotny Device for fastening of elastic adapter of handle-bars into the fork of bicycle
DE19737599A1 (en) * 1997-08-28 1999-03-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esilient, steerable axle suspension for a two-wheeler
KR200255380Y1 (en) 2001-08-13 2001-12-13 남동준 Thermostat for motorcycle passenger
DE10306677A1 (en) 2003-02-18 2004-08-26 Stefan Killisperger Support for supporting knees of e.g. motorcycle rider, is arranged in front of motorcycle seat and is applicable to support knees of motorcycle rider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2546A (en) 2006-03-09
US7364195B2 (en) 2008-04-29
US20060048989A1 (en) 2006-03-09
ITTO20050292A1 (en) 2006-02-28
DE102005037623A1 (en) 2006-03-09
KR100672289B1 (en) 2007-01-22
DE102005037623B4 (en) 2010-10-14
TWI281449B (en) 2007-05-21
CN100410130C (en) 2008-08-13
JP4353421B2 (en) 2009-10-28
CN1740031A (en) 2006-03-01
TW200607694A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289B1 (en) Rider restriction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US9919758B2 (en) Vehicle
US9840299B2 (en) Vehicle
EP1634803B1 (en) Rider restraining device for two wheel vehicle
WO2017154437A1 (en) Two-wheeled motor vehicle
JP4721280B2 (en) Vehicle with impact mitigation device
US6761241B2 (en) Front suspension fork assembly
EP1640259B1 (en) Rider restraint device of two-wheeled vehicle
JP5904808B2 (en) Electric vehicle
TWI285166B (en) Occupant restraining device for two-wheel vehicle
JP4225497B2 (en) Crew restraint device for motorcycles
JP4236110B2 (en) Crew restraint device for motorcycles
JP4766556B2 (en) Crew restraint device for motorcycles
JP2024009514A (en) Saddle-riding type vehicle
JP2008074249A (en) Front fender
JP2004114808A (en) Motorcycle having oscillating mechanism
JP2003160078A (en) Side shock absorbing device of motorcycle or motor tr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