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542A -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542A
KR20060046542A KR1020050066344A KR20050066344A KR20060046542A KR 20060046542 A KR20060046542 A KR 20060046542A KR 1020050066344 A KR1020050066344 A KR 1020050066344A KR 20050066344 A KR20050066344 A KR 20050066344A KR 20060046542 A KR20060046542 A KR 20060046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sture
hub
occur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117B1 (ko
Inventor
가즈마 쇼다
이찌로 마에다
미끼오 오모리
찌하루 우에끼따
요시따네 미야노
다쯔야 기따노
도시오 도미나가
유사꾸 요시다
히로시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4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77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02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123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2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26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4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blade pi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04D29/36Blade mounting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 이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팬, 회전 축심, 허브, 기풍익, 조작 기구, 제진망, 슈라우드

Description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ENGINE COOL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도1은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3은 원동부의 일부 종단 배면도.
도4는 원동부의 종단 측면도.
도5는 냉각 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
도6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 및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종단 배면도.
도7은 기풍익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및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8은 냉각 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9는 조작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냉각 팬의 중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종단 측면도.
도11은 슈라우드와 기풍익의 포갬량의 변경으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을 커지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제어 블럭도.
도13은 냉각 팬의 통풍 상태 변화와 제어 장치의 작동 모드와의 관계를 나타 내는 도면.
도14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15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16은 제어 장치의 동작 주기마다의 작동 모드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순풍 유지 처리의 흐름도.
도18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역풍 출력 처리의 흐름도.
도19는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역풍 유지 처리의 흐름도.
도20은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순풍 출력 처리의 흐름도.
도21의 (a)는 순풍 운전 처리에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2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완료 후에 비작업 상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2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은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 절환된 후, 역풍 금지용 설치 시간을 경과한 후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4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순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가 전회 실행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4의 (c)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그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5는 사용하는 기풍 작용면의 설정 변경으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을 크게 하도록 구성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26은 풀 와이어를 채용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와 시프트 포크 사이에 허브 압박용 압축 스프링을 개재 장착한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27의 (a)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순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가 전회 실행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의 (b)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27의 (c)는 통풍 운전 처리에 있어서의 역풍 모드의 실행 중에 비작업 상태 절환되고, 또한 그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다시 작업 상태로 절환된 경우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통풍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A : 슈라우드
19 : 엔진
22 : 팬
26 : 제진망
41 : 허브
42 : 기풍익
42A : 고기풍 작용면
42B : 저기풍 작용면
46 : 회전체
47 : 지지축
55 : 연동축
67 : 이동 부재
77 : 조작 기구
L1 :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포갬량
L2 :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포갬량
P1 : 회전 축심
P2 : 길이 축심
θa :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의 기풍 각도
θb :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의 기풍 각도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52243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581호 공보
[문헌 3] 한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57980호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3063호 공보
본 발명은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의 회전에 의해 엔진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起風翼)을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엔진 냉각 장치로서는, 종래 일본 특허 공개 평5-5224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공지이다. 이 장치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워터 펌프나 발전기 등에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 기구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냉각 팬과의 사이에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풍 상태 절환 기구는 전동 실린더의 작동으로, 벨트식 전동 기구에 있어서의 전동 벨트의 내주측에 정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냉각 팬을 정회전 구동하는 상태와, 외주측에 역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냉각 팬을 역회전 구동하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팬의 정회전 구동 상태에서는 외기를 엔진 본 네트의 흡기구로부터 엔진 본네트 내로 취입하여 엔진 등을 냉각하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냉각 팬의 역회전 구동 상태에서는, 외기 취입시에 엔진 본네트의 방진망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 날려버려 방진망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에 의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방진망의 막힘에 기인한 냉각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엔진 등의 냉각을 행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그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벨트식 전동 기구와 냉각 팬 사이에 배치하므로, 기풍 상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체 구조가 대형화된다. 이 대형화를 억제하면, 벨트식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벨트식 전동 기구와 냉각 팬 사이에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조립 부착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벨트식 전동 기구의 전동 벨트에 대해 정회전 풀리 또는 역회전 풀리를 압접하여 이 전동 벨트의 회전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절환하므로, 그 절환 조작시에 전동 벨트의 슬립에 기인한 이음(異音)의 발생이나 전동 벨트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장비하는 것에 기인한 전체 구조의 대형화나 조립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하여, 그 기구의 구성에 기인한 조작시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이나 기구의 열화도 방지하고, 또한 콤팩트하고 조작성이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풍익의「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라 함은, 엔진 등의 원동부를 냉각하는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세를 말하고,「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는 이 반대 방향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자세를 말한다. 단, 기풍익은 양 자세 이외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이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가 설치되고, 이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기풍익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냉각하는 일방향의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기풍익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외기 흡기구에 걸쳐진 제진망(除塵網)을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또한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기풍익으로부터 상기 제진망까지의 간격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상기 각 구성에 따르면, 기풍 상태의 절환이 팬의 기풍익의 자세 변경에 의해서만 가능해지므로,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및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 중 어떠한 자세에 있어도,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공통의 일방향이 된다. 따라서, 팬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절환이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벨트식 기풍 자세 절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전체 구조(특히 기풍 자세 절환 기구)를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또한 조립 부착도 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이음이 저감되는 등의 면에서 조작성도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어떠한 자세에 있어서도 풍량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기풍익의 회전 구동에 관계없이 기풍을 하지 않는 비기풍 상태도 나타낼 수 있다. 이들 구성을, 예를 들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기풍익을 허브와 함께 회전체의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시키는 데 채용하고, 엔진의 부하에 따라서 기풍익의 자세를 변경하여 기풍에 의한 부하를 조절하도록 하면, 과부하에 기인한 뜻밖의 엔진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팬의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시켜(즉, 기풍익으로부터 송풍 대상물까지의 원근 간격도 변화시켜) 기풍익의 자세 변경을 행하므로, 각 기풍익이 그 길이 축심 방향으로 회전만 하는 것이고, 회전 축심 방향으로는 변위할 수 없는 구성(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581호 공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한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57980호 참조)에 비해, 송풍 대상물에 대한 바람의 강약을 만들 수 있는 점에서 보다 유리한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작업 중의 먼지 발생량이 큰 콤바인 등의 예취 작업기에 채용한 경우에는, 방진망에 먼지 등이 부착 퇴적된 경우에는 기풍익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함으로써 엔진측의 열기가 방진망을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이 배기에 의해 방진망에 부착한 먼지 등이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져 방진망으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그 때에는, 냉각 효율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 순풍이 일어나는 시간을 수분 정도로 설정하고, 역풍이 일어나는 시간을 수초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기풍익으로부터 제진망까지의 간격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하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는 풍속이 보다 커지고, 제진망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제거량이 보다 많아진다. 이에 의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라도 제진망으로부터의 외기 취입이 보다 효율적이 되므로, 엔진 등에 대한 냉각 효율도 향상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허브의 중심부에 이 허브와 상기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허브 및 회전체를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와 기풍익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허브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기풍익을 그 길이 방향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작 기구에 의해 허브와 회전체와 회전 중심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그 상대 변위량이 연계 기구에 의해 허브에 대한 각 기풍익의 회전 조작량으로 변환되고, 각 기풍익의 허브에 대한 자세가 일제히 변경된다.
이 연계 기구는 허브의 외주부에 장비되는 기풍익과 허브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회전체 사이에 형성된 허브의 직경 방향의 간극을 유효 이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허브에 대해 회전체나 연계 기구 등이 회전 축심 방향에 포개어져 배치되게 된다. 즉, 연계 기구 등을 회전 축심 방향에 있어서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콤팩트화에 의해, 연계 기구 등을 배치하는 공간에 여유도 생겨 조립 부착할 때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콤팩트화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허브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기구가 시프트 포크와, 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의 외주부가 이 이동 부재에, 상기 회전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허브는 그 중심부가 지지축에 의해, 그 외주부가 이동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된 안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허브의 중심부만을 지지축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지지축에 대한 허브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허브 및 기풍익을 지지축에 대한 적절한 자세로 회전 축심 주위로 원활하게 일체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허브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회전 축심 방향의 상대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 주위에 상기 허브 를 상기 회전체에 연동 회전시키기 위한 연동축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직경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 축심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허브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이 회전 축심 주위에 허브와 회전체를 연동시키는 연동축이 개별로 설치된다. 따라서, 허브의 이동 조작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팬의 조작성이 한층 향상된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가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는, 상기 팬에는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덮는 슈라우드가 설치되고,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혹은, 상기 기풍익에는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과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이 설치되고, 상기 고기풍 작용면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고, 상기 저기풍 작용면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어 있다. 이들 어느 쪽의 구성에 의해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므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콤바인 등의 예취 작업기에 채용한 경우에는 제진망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제거량이 보다 많아지는 점에서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풍익을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로 하는 순풍 모드를 순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과, 이 기풍익을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이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비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순풍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엔진 냉각 장치로서는, 작업 상태가 비작업 상태에 관계없이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3063호 공보 참조). 그러나, 노상 주행이나 예취 작업을 행하기 전 등의 부진의 발생이 적은 비작업 상태에서는 먼지가 제진망에 부착한다고 해도 그 양은 근소하며, 냉각 풍량의 확보는 역풍 운전을 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점에 비추어, 본 구성에서는 작업 상태와 비작업 상태 사이에서 운전 처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합리적으로 어느 쪽의 상태에 있어도 양호한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자탈형 콤바인」이라 함은,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면서 말단측을 탈곡 장치로 탈곡 하는 타입의 콤바인으로, 예취 곡간의 전간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 타입의「보통형 콤바인」또는「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칭해지는 콤바인에 대한 명칭이다.
도1에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이, 도2에는 그 전체 평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고, 이 콤바인은 각 파이프재 등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기기 부재 프레임(1), 이 기기 부재 프레임(1)의 하부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 곡간을 예취하여 좌우 방향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좌측 후방을 향해 반송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의 전방부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 반송부(3), 예취 반송부(3)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를 실시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후방 부위에 탑재된 탈곡 장치(4), 이 탈곡 장치(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도록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4)의 우측 부위에 배치된 곡립 탱크(5) 및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우측 부위에 형성된 탑승 운전부(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5)는 그 내부에 저류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류식 배출 기구(7)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5)의 후방 부위에 수직 설치한 배출 기구(7)의 양송 스크류(8)를 지지점으로 하여, 탈곡 장치(4)에 인접하여 탈곡 장치(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작업 위치와, 탈곡 장치(4)로부터 이격하여 탈곡 장치(4)의 우측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6)는 기기 부재 프레임(1)의 우측 전방부에 부설된 탑승 스텝 (9),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탑승 스텝(9)의 직전 부위에 수직 설치된 전방 패널(10), 이 전방 패널(10)에 장비된 선회 조작용이고 또한 예취 반송부 승강 조작용 조종 레버(11),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탑승 스텝(9)의 바로 좌측 부위에 수직 설치된 사이드 패널(12), 이 사이드 패널(12)에 장비된 주변속 레버(13)나 부변속 레버(14) 및 탑승 스텝(9)의 후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15)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5)은 기기 부재 프레임(1)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5)의 전방 부위에 배치된 원동부(16)를 덮는 엔진 본네트(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는 양송 스크류(8)를 지지점으로 한 곡립 탱크(5)의 요동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원동부(16)는 기기 부재 프레임(1) 상에 출력축(18)이 좌우 방향이 되는 횡방향 자세로 방진 탑재된 수냉식 엔진(19), 이 엔진(19)의 우측 외측방에 수직 설치된 라디에이터(20) 및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거쳐서 전달되는 출력축(18)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에 배치된 냉각 팬(팬에 상당)(2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0)에는 냉각 팬(22)을 둘러싸고, 그 냉각 팬(22)에 의한 외기의 취입을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한 슈라우드(20A)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 본네트(17)는 그 우측벽(23)이 도풍 경로(24)를 구비하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그 우측벽(23)의 외면(25)에 제진망(26)이 걸쳐진 흡기구(27)가, 그 우 측벽(23)의 내면(28)에 라디에이터(20)에 대한 연통구(2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냉각 팬(22)의 흡입 작용에 의해 제진망(26)으로 먼지 등이 여과 제거된 청정한 외기를 냉각용으로서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식 전동 기구(21)는 출력축(18)에 장착된 출력 풀리(30), 엔진(19)의 좌측부에 배치된 발전기(31)의 입력축(32)에 장착된 제1 입력 풀리(33), 엔진(19)의 전방 상부에 배치된 워터 펌프(34)의 펌프축(35)에 장착된 제2 입력 풀리(36) 및 그들 각 풀리(30, 33, 36)에 걸쳐진 전동 벨트(3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입력 풀리(36)는 그 중심부(38)에 워터 펌프(34)의 인입을 허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그 중심부(38)가 외측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 팽출 형성된 판금제이고, 그 팽출 단부가 펌프축(35)의 돌출단부에 고정 부착된 제1 회전체(39)에 4개의 볼트(40)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워터 펌프(34)의 펌프축(35)에 원반 형상의 제2 입력 풀리(36)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펌프축(35)의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그것들의 배치 길이를 짧게 하면서, 출력축(18)으로부터의 동력을 워터 펌프(34)의 구동력으로 하여 펌프축(3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개재한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워터 펌프(34)를 구동함으로써, 엔진(19)에 구비한 도면 외의 냉각수 자켓과 라디에이터(20) 사이에서 냉각수를 순환 유동시킬 수 있어, 엔진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은 펌프축(35)의 축심(P1)을 회전 축심으로서 펌프축(35)과 함께 회전 구동되는 허브(41)나, 이 허브(41)와의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일체 회전으로 기풍하는 복수(여기서는 7매)의 기풍익(42) 등을 구비하고, 벨트식 전동 기구(21)를 개재한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기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허브(41)는 그 중앙부에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을 갖는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는 보스 형상의 복수(여기서는 7개)의 제1 지지부(43)가 주위 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정렬 형성되고, 각 제1 지지부(43)에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가 메탈 베어링(45)을 거쳐서 회전 축심(P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대응하는 축심(P2)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허브(41)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있어서는, 4개의 볼트(40)에 의해 제1 회전체(39)에 제2 입력 풀리(36)와 함께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체(회전체의 일예)(46)가 배치되고, 이 제2 회전체(46)의 중심부에는 그 축심을 펌프축(35)의 축심(P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배치되는 단면 원형의 지지축(47)이 제2 회전체(46)와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압입 끼워 맞춤 장비되고, 그 지지축(47)에 허브(41)의 중심부가 덜걱거림에 의한 틸팅이 억제된 끼워 맞춤 정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컬러(48)를 거쳐서 끼워 맞춤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축(47)이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의 미끄럼 이동 변위를 허용하는 미끄럼 이동 안내축이다.
그리고, 허브(41)의 중심부와 지지축(47) 사이에 있어서의 컬러(48)의 외측 측에 허브(41)의 중심부와 지지축(47) 사이로의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로서의 O링(49)이 끼움 삽입되어 있다.
허브(41)의 중앙부에는 그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는 상태에서 볼트 조작용 4개의 구멍(50)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들 구멍(50)을 폐색하는 동시에 O링(49)을 빠짐 방지하는 덮개 부재(51)가 구비되고, 그 덮개 부재(51)와, 지지축(47)에 볼트 연결되는 스프링 받침구(52) 사이에 그 덮개 부재(51)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1셋트의 압축 스프링(53)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제2 회전체(46)의 외주부에는 4개의 관통 구멍(54)과,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연동축(55)이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54)은 허브(41)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연동축(55)은 대응하는 관통 구멍(54)에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동시에, 제2 회전체(46)의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허브(41)를 회전 축심(P1) 주위로 연동 회전시킨다. 이들 4개의 연동축(55)은 허브(41)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비되어 있다. 이 연동축(55)에 의해, 허브(41)가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P1) 주위에서 제2 회전체(46)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연동축(55)은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개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관통 구멍(54)에는 컬러(56)가 내부 끼움되고, 각 컬러(56)와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에는 허브(41) 및 제2 회전체(46)에 있어서의 각 회전 축심(P1)으 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각 관통 구멍(54)과 대응하는 연동축(55)의 제조 오차에 기인한 관통 구멍(54)에 대한 연동축(55)의 삽통 불량을 회피하기 위해 비교적으로 큰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각 컬러(56)와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에는 또한 각 관통 구멍(54)과 대응하는 연동축(55) 사이로부터의 이물질의 인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동시나 구동 정지시에 있어서의 허브(41)와 연동축(55)의 접촉에 기인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O링(57)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각 O링(57)은 허브(41)에 나사 고정되는 링 형상의 누름 부재(58)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각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에는 그 축심(P2)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축심(P2) 주위로 요동하는 요동 아암(59)이 고정 부착되고, 각 요동 아암(59)은 그 지지축부(44)와의 연결 부위로부터 떨어진 자유단부 부위에 제2 회전체(46)를 향해 돌출되는 연계 핀(60)이 장비되어, 그들 각 요동 아암(59)이나 각 연계 핀(60) 등에 의해 연계 기구(61)가 구성되어 있다.
제2 회전체(46)의 외연부에는 대응하는 연계 핀(60)이 계입되는 7개의 홈부(62)가 그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는 상태로 형성되고, 각 홈부(62) 사이는 각 기풍익(42)의 지지축부(44)에 요동 아암(59)을 고정 부착하는 너트(63)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허브(41)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제2 회전체(46)가 배치되고, 그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있어서의 허브(41)의 외주부와 제2 회전체(46)의 외주부와의 간극을 유효 이용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을 그들의 길이 축심(P2)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61)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축심(P2) 주위에서의 자세 변경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냉각 팬(22)으로서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입력 풀리(36)와 제2 회전체(45) 사이에는 제2 입력 풀리(36)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나 각 구동축(54)의 제2 입력 풀리(36)측으로의 빠짐 방지 등을 행하는 스페이서(64)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엔진(19)의 전방부에는 시프트 포크(65)를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66)가 볼트 연결되고, 그 시프트 포크(65)의 하단부에는 제2 입력 풀리(36)의 중심부(38)를 바깥으로 둘러싸는 통형의 이동 부재(67)가 한 쌍의 볼트(68)를 거쳐서 그들 볼트(68)를 지지점으로 한 시프트 포크(65)에 대한 자세 변경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 연결되고, 그 이동 부재(67)에 허브(41)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2 지지부(69)가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즉, 허브(41)는 그 중심부가 지지축(47)에 컬러(48)를 거쳐서 지지되고, 그 외주부가 이동 부재(67)에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지되는 안정 상태에서 시프트 포크(65)의 요동에 수반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67)와 함께 일체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입력 풀리(36)의 중심부(38)를 바깥으로 둘러싸는 이동 부재(67)에 허브(41)의 외주부에 형성한 제2 지지부(69)를 래디얼 베어링(70)을 거쳐서 지 지시킴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포갬부가 되는 중심부(38)에 대해 허브(41)의 외주부,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포갠 콤팩트한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다.
각 제2 지지부(69)는 허브(41)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각 제1 지지부(43)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부(43)보다도 허브(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이들 제2 지지부(69)로 지지되는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이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는 각 제1 지지부(43)에 지지되는 기풍익(42)을 제2 회전체(46)에 연계하는 연계 기구(61)에 대해 포개어지고, 또한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는 허브(41)에 대해 포개어지는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제2 지지부(69)를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 제1 지지부(43)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나 직경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는 일 없이, 허브(41)의 각 제1 지지부(43)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각 제1 지지부(43)에 있어서의 기풍익(42)의 지지 강도나 허브(41)의 전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계 기구(61)에 대해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 포개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직경 방향에서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냉각 팬(22)의 직경 방향에서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각 기풍익(42)의 기풍 유효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각 기풍익(42)에 의한 높은 기풍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허브(41)에 대해 이동 부재(67) 및 래디얼 베어링(70)을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 포개지 않은 상태에서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허브(41)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큰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로의 배치가 행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각 제2 지지부(69)를 제1 지지부(43)보다도 허브(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브(41)의 외주부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하는 경우에 생기는 제1 지지부(43)에 기풍익(42)을 지지시킬 때나, 기풍익(42)과 제2 회전체(46)를 연계 기구(61)로 연계할 때에 제2 지지부(69)가 방해되는 것에 기인한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허브(41)의 외주부에는 그 외주부의 각 제2 지지부(69)를 래디얼 베어링(70)에 지지 고정하는 링형의 압박 부재(7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65)의 상단부는 푸시풀 와이어(72) 등을 거쳐서 엔진 본네트(17)의 후방벽(73)에 전후 축심(P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섹터 기어(74)에 연계되고, 이 섹터 기어(74)는 엔진 본네트(17)의 후방벽(73)에 배치한 감속기가 달린 정회전 및 역회전 절환 가능한 전동 모터(75)의 출력 기어(76)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75)로부터의 동력으로 섹터 기어(74)가 전후 축심(P3) 주위에서 기기 부재 우측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그 요동으로 푸시풀 와이어(72)가 당김 조작되는 동시에 시프트 포크(65)가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어,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가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하고,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기기 부재 우측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고, 이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일제히 변경되게 된다.
또한, 전동 모터(75)로부터의 동력으로 섹터 기어(74)가 전후 축심(P3) 주위에서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요동 구동되면, 그 요동으로 푸시풀 와이어(72)에 의한 당김 조작이 해제되는 동시에, 허브(41)가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으로 이동 부재(67)와 함께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변위하게 되고, 이 변위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일제히 변경되게 된다.
즉, 압축 스프링(53), 시프트 포크(65), 이동 부재(67), 푸시풀 와이어(72), 섹터 기어(74) 및 전동 모터(75) 등에 의해 그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허브(41)를 제2 회전체(46)에 대해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조작 기구(77)가 구성되고, 그 조작 기구(77)에 의한 제2 회전체(46)에 대한 허브(41)의 변위량이 연계 기구(61)에 의해 허브(41)에 대한 각 기풍익(42)의 회전 조작량으로 변환됨으로써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일제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면,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외기를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엔진 본네트(17) 내로 흡입하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도15 참조. 순풍 모드에 상당)가 나타나고,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R)(도15 참조. 역풍 모 드에 상당)로 절환하면,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에서의 회전에 수반하여 엔진 본네트(17) 내의 열기를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우측벽(23)의 각 흡기구(2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가 나타난다.
또한, 각 기풍익(42)은 그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이 되고, 또한 그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이 되도록 자세 설정되어 있다.
전동 모터(7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 제어 장치(78)에 의해 작동 제어되고, 제어 장치(78)는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요동 각도를 전동 모터(75)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조작량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식 포텐셔 미터로 이루어지는 각도 센서(79)로부터의 검출치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의 작동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또는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변경을 검지한다.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에 대해 예시하면, 제어 장치(78)는 엔진(19)의 시동과 함께 계시를 개시하고, 그 계시가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시간(예를 들어 3분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여 그들을 냉각한다.
그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시간(예 를 들어 5초 동안)이 경과되기까지의 동안, 그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유지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배출하는 열기로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 제진망(26)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제2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후, 계시를 기초로 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를 절환하여 나타낸다.
즉, 냉각 팬(22)의 흡기 작용에 의한 원동부(16)의 냉각을 행하면서, 냉각 팬(22)의 배기 작용에 의한 제진망(26)의 자동 청소를 정기적으로 행하므로,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먼지 등이 부착하여 막히는 것에 기인한 냉각 능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고, 아울러 원동부(16)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전동 모터(75)는 섹터 기어(74)나 각도 센서(79) 등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80)에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80)는 엔진 본네트(17)에 있어서의 후방벽(73)의 배면(81)에 섹터 기어(74)와 전동 모터(75)가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각도 센서(79)가 엔진 본네트(17)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볼트 연결되어 있다.
즉, 전동 모터(75)는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에 곡립 탱크(5) 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동 모터(75)에 원동부(16)로부터의 열기가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동 모터(75)를 곡립 탱크(5)와 엔진 본네트(17) 사이를 유동하는 외기에 온도가 낮은 곡립 탱크(5)측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아울러 전동 모터(75)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원동부(16)로부터의 열기로 전동 모터(75)가 그 허용 온도 이상으로 승온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될 우려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고, 한여름의 악조건 하에 있더라도 전동 모터(75)의 작동 불량에 의한 막힘으로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엔진(19)이 오버 히트될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센서(79)를 엔진 본네트(17)의 내부에 위치시킨 것으로, 전용의 방수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비용의 앙등이나 구성의 복잡화 등을 초래하는 일 없이, 압력 세차시 등에 방사되는 압력이 있는 물이 각도 센서(79)의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푸시풀 와이어(72)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 항상 시프트 포크(65)를 거쳐서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예압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으로서 압박력이 작은 것을 채용하면서도, 순풍이 일어날 때의 부하에 저항하여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53)으로서 압박력이 작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그 압박력에 저항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하 는 전동 모터(75)로서 소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하는 덮개 부재(51)와 스프링 받침구(52) 사이를 좁힐 수 있고, 냉각 팬(22)으로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의 한정된 좁은 공간으로의 배치를 행하기 쉬워진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풍익(42)의 자세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도록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익(42)의 기풍 각도(θa)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익(42)의 기풍 각도(θb)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그 작용으로 외기를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엔진 본네트(17) 내로 취입하면서도, 먼지 등이 각 흡기구(27)의 제진망(26)에 부착하는 문제점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반대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그 작용으로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의 제거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에는 그 허브(41) 및 기풍익(42)을 덮는 슈라우드(7A)가 설치되어 있다. 도11의 (a)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슈라우드(7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풍익(42)과 슈라우드(7A)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포갬량(L2)을 나타낸다. 도11의 (b)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슈라우드(7A)를 향해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풍익(42)과 슈라우드(7A)의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포갬량(L1)을 나타낸다. 도11의 (a) 및 도11의 (b)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포갬량(L1)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 있어서의 포갬량(L2)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통풍 제어 수단]
이상과 같이 구성된 냉각 팬(22)을 사용하여, 비작업 상태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킴으로써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라디에이터(20)나 엔진(19) 등에 공급하여 그들을 냉각한다. 또한, 작업 상태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역풍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5초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그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를 유지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 통풍시키고, 엔진 본네트(17)의 각 흡기구(27)로부터 배출하는 열기로 우측벽(23)의 제진망(26)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기 밖으로 불어내어 제진망(26)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역풍용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는 동시에, 순풍용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키고, 이후 계시를 기초로 하여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를 절환하여 나타낸다.
도12에 조작 기구(77)의 전동 모터(7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동 모터(75)는 마이크로 컴퓨터 이용의 제어 장치(78)(본 발명의 통풍 제어 수단에 상당)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이고, 제어 장치(78)에는 엔진(19)의 회전 속도(N)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S1), 예취 반송부(3) 및 탈곡 장치(4)에의 엔진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작업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온(ON), 오프(OFF)를 검출하는 작업 스위치(S2),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요동 각도를 전동 모터(75)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조작량으로서 검출하는 회전식 포텐셔 미터로 이루어지는 각도 센서(S3)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들 센서 및 스위치류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75)가 프로그램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은 4개의 작동 모드(M1 내지 M4)로 이루어지고, 제어 장치(78)가 행하는 각 작동 모드에 의한 제어 작동을 기초로 하여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 이르는 냉각 팬(22)에 대한 상태 천이가 발생한다. 도13에 있어서, 작동 모드(M1)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키지 않고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유지하는「순풍 유지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2)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킴으로써 각 기풍익(42)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여,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이행시키는「역풍 출력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3)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키지 않고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여, 냉각 팬(22)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유지하는「역풍 유지 작동 모드」이다. 작동 모드(M4)는 전동 모터(75)를 동작시킴으로써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하여, 냉각 팬(22)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이행시키는「순풍 출력 작동 모드」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78)가 기동되면, 제어 장치(78)는 이니셜라이즈 처리로서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제로 클리어하고,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예를 들어 3초로 설정한다.
상술한 이니셜라이즈 처리 후, 제어 장치(78)는 메인 루틴에 들어가고, 메인 루틴을 동작 주기마다 처리한다. 또, 제어 장치(78)의 동작 주기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클럭이 발생하는 클럭 신호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을 고려하면, 수 msec 정도 이하의 동작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78)의 작동 모드는 이니셜라이즈 처리에 의해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되어 있으므로, 제어 장치(78)의 기동 후 최초로 행해지는 메인 루틴의 개시시의 제어 장치(78)의 작동 모드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지만, 그 후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도16에 도시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에 의해 작동 모드는 변화하게 된다. 도16에 따르면, 순풍 유지 작동 모드 (M1)로부터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를 경유하여 변화한다. 반대로,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를 경유하여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6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화는 정상 동작시에 발생하는 모드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화는 후술하는 이상 동작시에 발생하는 모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메인 루틴에서는, 우선 각도 센서(S3)의 출력 신호 전압이 정상 전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각도 센서(S3)의 출력이 정상인지 이상인지 판별하고(스텝 #1),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섹터 기어(74)의 전후 축심(P3) 주위에서의 기계적인 요동 한계에 있어서의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제어 장치(78)에 학습시키는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2),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 및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스텝 #3), 회전 속도 센서(S1)의 값을 기초로 엔진(19)의 회전 속도(N)가 설정 회전 속도(n)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엔진(19)이 회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스텝 #4), 작업 스위치(S2)의 상태를 기초로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5).
스텝 #1 내지 스텝 #5까지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콤바인이 비작업 상태라고 제어 장치(78)가 검출한 것이 된 다. 이 때, 각도 센서(S3)의 출력이 이상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 #1에서 아니오) 메인 루틴의 선두로 이행하고, 다른 경우에는 작업 상태라고 검출하였을 때에 처리하는 후술하는 스텝 #6 내지 스텝 #8을 처리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한다.
또, 엔진(19)이 회전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스텝 #4에서 아니오), 제어 장치(78)는 스텝 #14에 있어서 전회의 처리에서 행해진 스텝 #4에서의 판별 처리에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전회 처리에서의 판별 결과 정보를 참조하여, 이 전회 판별 결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엔진(19)이 회전 상태로부터 비회전 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별하면,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순풍 감시용 설정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 후(스텝 #15) 스텝 #9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엔진(19)이 AES(Auto Engine Stop) 등에 의해 강제 정지된 경우나, 작업자에 의해 엔진(19)의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때의 냉각 팬(22)의 작동 상태에 상관없이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할 수 있다.
한편, 스텝 #1 스탭 #5까지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모든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콤바인 작업 상태라고 제어 장치(78)가 검출한 것이 되고, 스텝 #6, 스텝 #7, 스텝 #8을 처리한다.
스텝 #6에서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제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로이면 스텝 #7로 진행하고, 제로가 아니면 스텝 #9로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후술하는 순풍 유지 처리(Z1)가 실행될 때마다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감소(decrement)되고 있는 동안에는 작 업 클러치가 온이 되어도 작동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하게 된다.
스텝 #7에서는 처리 시점에서의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면 스텝 #8로 진행하고, 이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9로 이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이미 제로라도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이외인 경우에는, 작동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스텝 #9로 이행하게 된다.
스텝 #8에서는 작동 모드를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 셋트하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 후, 스텝 #9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스텝 #6 및 스텝 #7의 두 개의 판별 처리에 있어서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스텝 #8을 실행함으로써,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 변경[도16의 모드 변화(MC12)]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제로로 감소될 때까지 실행한 후의 작업 상태로의 절환의 검출에 의해서만 행해지게 된다.
즉, 순풍 유지 카운터(Cf)는 본 발명의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 및 순풍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고, 스텝 #5 내지 스텝 #8의 처리에 의해 제어 수단이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해도,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이 전회 행해진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새로운 역풍 모드의 실행이 견제되게 된다.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나,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나, 스텝 #9 이후의 처리는 동일하다. 즉 스텝 #9에 있어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 이상 있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2로 이행한다.
스텝 #9에 있어서 이상 없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0으로 이행하여, 작동 모드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이면 역풍 출력 처리(Z2)를 실행하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가 아니면 스텝 #11로 이행한다. 스텝 #11에 있어서는, 작동 모드가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이면 역풍 유지 처리(Z3)를 실행하고,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가 아니면 스텝 #12로 이행한다.
스텝 #12에서는,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발생한 과거의 작동 이상의 유무를 판별하여, 이상 없음이라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13으로 진행하고, 이상 있음이라 판별한 경우에는 메인 루틴의 선두로 이행한다.
스텝 #13에서는 작동 모드가 판별되어, 작동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면 순풍 출력 처리(Z4)를 실행하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가 아니면 이 경우에는 반드시 작동 모드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고, 순풍 유지 처리(Z1)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9 이후의 처리에 의해 작동 모드마다 대응하는 처리가 나누어진다. 이들 4개의 작동 모드(M1 내지 M4)로 제어 장치(78)가 실행하는 Z1 내지 Z4의 각 처리에 대해 도17 내지 도20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순풍 유지 처리]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처리(Z1)에서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이 양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양의 값이면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감소하고(스텝 #2), 양의 값이 아니면, 즉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으면 아무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제로로 유지하는 동시에,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그대로 유지한다(도16의 MC11).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순풍 유지 카운터(Cf)가 제로가 된 후에도 본 발명의 순풍 모드에서의 통풍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즉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여, 통풍 운전 처리로부터 순풍 운전 처리로 절환하여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의 경과 후에도 순풍 모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순풍 유지 카운터(Cf)가 제로로 유지되므로, 다음에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경우에는 도14의 스텝 #5 내지 스텝 #7의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역풍 모드가 실행되게 된다.
[역풍 출력 처리]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 출력 처리(Z2)에서는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2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 면 스텝 #5로 진행한다. 스텝 #2에 있어서는,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이 양이면 스텝 #3을 경유하여 스텝 #4로 진행하고, 양이 아니면 스텝 #6을 경유하여 스텝 #7로 진행한다.
스텝 #5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부터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변경(도16의 MC23)하기 위해 작동 모드를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 셋트하고, 본 발명의 역풍용 설정 시간 및 기동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는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을 소정의 설정 시간(예를 들어 5초)으로 셋트한다.
스텝 #6에서는,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초기치로서 도14의 스텝 #8에 있어서 셋트된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고,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기억 장치에 역풍 출력 이상 기록을 저장하여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로부터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도16의 MC24)하기 위해, 스텝 #7에서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여,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다.
스텝 #3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 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를 유지(도16의 MC22)하고, 전동 모터(75)를 역회전 구동 조작하여 스텝 #4에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r)의 값을 감소시킨다.
[역풍 유지 처리]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 유지 처리(Z3)에서는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이 양의 값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1), 양의 값이면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을 감소시키고(스텝 #2),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를 유지(도16의 MC33)한다. 역풍 유지 카운터(Cr)의 값이 양의 값이 아니면, 즉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으면, 작동 모드를 현재의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로부터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도16의 MC34)하기 위해 스텝 #3에서 작동 모드를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하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처리마다 감소되는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예를 들어 3초)으로 셋트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역풍 유지 카운터(Cr)가 제로가 된 경우, 즉 본 발명의 통풍 제어 수단이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동안 실행한 경우에는 작동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변경되므로, 통풍 수단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다. 스텝 #3의 처리는 도18에 도시하는 역풍 출력 처리(Z2)에 있어서의 스텝 #7과 동일한 처리이다.
[순풍 출력 처리]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출력 처리(Z4)에서는 스텝 #1에 있어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때의 목표 위치로서의 값을 다른 값이 되도록 분기하는 처리를 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2로 진행하고,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정규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3으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스텝 #8로 진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6으로 진행하고, 각도 센서(S3)의 출력치를 기초로 전동 모터(75)에 의한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현재 조작 위치가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았을 때용의 목표 위치(이하 임시 목표 위치라 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즉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완료되어 냉각 팬(22)이 일단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로 절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임시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3으로 진행하고,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스텝 #8로 진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된 경우 및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중 어떠한 경우라도, 스텝 #3에 있어서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이 양이면 스텝 #4를 경유하여 스텝 #5로 진행하고, 양이 아니면 스텝 #7을 경유하여 스텝 #8로 진행한다.
스텝 #7에서는,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절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절환 동작 감시용 시간으로서 역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초기치로서 도14의 메인 루틴의 이니셜라이즈 처리 또는 도19의 스텝 #3에 있어서 셋트된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고,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기억 장치에 순풍 출력 이상 기록을 저장하여 스텝 #8로 진행한다.
스텝 #8에서는, 스텝 #7로부터 진행해 온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 중에 어떠한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경하기 위해(도16의 MC41b),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셋트한다. 또한, 스텝 #6으로부터 이행해 온 경우에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혹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를 현재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부터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경하기 위해(도16의 MC41a)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셋트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순풍용 설정 시간 및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터로서 기능하는 순풍 유지 카운터(Cf)의 값을 소정의 설정 시간(예를 들어 3분)으로 셋트한다.
스텝 #4에서는,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 혹은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의 자세 절환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생각되므로, 작동 모드는 현재의 작동 모드인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를 유지하고(도16의 MC44), 전동 모터(75)를 정회전 구동 조작하여 스텝 #5에서 순풍 출력 감시 카운터(Cwf)의 값을 감소시킨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은 통상은 제조시에 공장에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기동 직후의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2 및 순풍 출력 처리(Z4)에서의 스텝 #1에서의 판별 처리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조정 완료되었다고 판별하지만, 예를 들어 제어 장치(78)가 고장에 의해 상기 기억 장치와 함께 새로운 것으로 변환된 경우 등에는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콤바인이 사용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 장치(78)가 기동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그 후의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 사이에서의 자세 절환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어, 냉각 팬(22)의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 및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가 정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을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는 절환하지 않고,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자세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제어를 행한다.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이상, 각도 센서(S3)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냉각 팬(22)의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으므로, 이미 설명 한 순풍 출력 처리(Z4)(도20)의 스텝 #6에 있어서 각 기풍익(42)의 목표 위치를 미조정시용의 목표치로 설정함으로써, 미조정시에 있어서 상정되는 검출 오차를 고려한 본래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가까운 무난한 자세로 각 기풍익(42)이 보유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14의 스텝 #2에서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 #9로 이행한다. 제어 장치(78)의 기동시에 이니셜라이즈 처리에서 작동 모드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로 셋트되므로, 기동 후 최초로 스텝 #9로 이행하였을 때의 작동 모드는 이니셜라이즈 처리로 셋트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다. 이미 설명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이 완료되면, 작동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로 변화한다(도16의 MC41a 또는 MC41b).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의 제어 작동 중,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14 및 도15의 메인 루틴에서는 선두로부터 스텝 #9로 이행하게 되므로, 메인 루틴의 스텝 #8 혹은 스텝 #5에 나타내는 작동 모드의 변경을 수반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 데다가, 순풍 유지 처리(Z1)에서도 작동 모드의 변경을 수반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장치(78)는 그 후 제어 작동을 계속해도, 작동 모드를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를 유지하게 된다(도16의 MC11). 즉,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기동 직후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서의 제어 작동을 경유하고, 그 후에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서만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도 센서(S3)의 초기 조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냉각 팬(22)은 그 각 기풍익(42) 의 자세가 무난한 자세에 의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어 장치(78)의 제어 작동에 따르면, 각도 센서(S3)나 전동 모터(75)의 작동 이상이 검출되지 않고, 또한 엔진(19)의 회전 속도(N)가 설정 회전 속도(n) 이상이면, 작업 클러치의 온 오프 상태를 기초로 하여 이하와 같이 냉각 팬(22)의 작동이 제어된다.
우선,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를 연속해서 검출하여,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계속해서 실행하고, 통풍 수단인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 통풍시켜 본 발명의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를 연속해서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반복하여 실행하고, 통풍 수단인 냉각 팬(22)을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 교대로 통풍시켜 본 발명의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온 상태였던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5에 있어서 전회 처리에서는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라 판별하였지만, 상기 처리에 있어서는 작업 스위치(S2)의 오프를 검출하여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라 판별한다. 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다.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부터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그 검출시에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즉, 본 발명의 역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역풍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는 형태로(즉,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로)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그 검출시에 통풍 운전 처리에 의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즉,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 본 발명의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로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오프 상태였던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제어 장치(78)가 도14의 스텝 #5에 있어서 전회 처리에서는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라 판별하였지 만, 상기 처리에 있어서는 작업 스위치(S2)의 온을 검출하여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라 판별한다. 즉,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다.
그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작업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이미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또한,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작업 모드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인 경우에는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인 경우에는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 및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인 경우에는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에 의한 제어 작동을 완료시킨 후, 혹은 작업 모드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아직 제로로까지 감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제로가 될 때까지 계속 행하여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제로가 된 후에,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에 의한 제어 작동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본적인 경우로서,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진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 후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어 장치(78)가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에 의한 제어 작동을 실행 중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이미 제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기동용 설정 시간(Tini)[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 동안 행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하여, 이후 역풍용 설정 시간(Tr) 동안 행해지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과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이 교대로 반복하여 행해진다.
즉,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ess) 동안 실행한 후에, 순풍 모드를 실행하는 형태에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한편, 예외적인 경우로서, 비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진 직후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어 장치(78)가 역풍 출력 작동 모드(M2)이거나, 역풍 유지 작동 모드(M3)이거나, 순풍 출력 작동 모드(M4)이거나, 순풍 유지 작동 모드(M1)이며 순풍 유지 카운터(C1)의 값이 아직 제로로까지 감소되지 않은 경우에는[즉, 제어 장치(78)가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도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팬(22)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로의 이행 중 혹은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중인 경우나, 도24의 (a) 및 도24의 (b)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 직후에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를 유지하여, 그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할 때까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기동용 설정 시간(Tini)[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 동안 행한 후에,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하여, 이후 역풍용 설정 시간(Tr) 동안 행해지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과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행해지는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교대로 반복하여 행한다.
즉,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풍 모드를 전회 실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넘을 때까지 순풍 모드를 실행한 후, 역풍 모드를 기동용 설정 시간(Tini) 동안 실행한 후에, 상기 순풍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순풍 모드를 먼저 실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작업 상태로 절환된 후의 순풍 모드에서의 통풍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이상 행해진 경우에 최초로 행해지는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의 작동 시간인 기동용 설정 시간(Tini)은 통풍 운전 처리에 있 어서의 역풍 모드에서의 통풍 시간인 역풍용 설정 시간(Tr)과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을 작업차(예취 작업차)의 일예인 자탈형 콤바인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다른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도24의 (a), 도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풍익(42)을 그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이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역풍용 작용면)이 되고, 또한 그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서의 기풍 작용면(순풍용 작용면)이 되도록 자세 설정해도 좋다. 이 자세 설정에 따르면,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지므로, 이 구성을 상기 실시 형태의 도7의 (a), 도7의 (b)에 도시하는 구성 대신에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 실시 형태의 푸시풀 와이어(72) 대신에, 조작 기구(77)에는 풀 와이어(172)를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65)와 함께 풀 와이어(72)에 있어서의 외측 와이어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66)와 시프트 포크(65) 사이에 시프트 포크(65)를 거쳐서 이동 부재(67)와 함께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82)을 개재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51)와 스프링 받침구(52) 사이에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할 뿐만 아 니라, 시프트 포크(65)와 지지 부재(66) 사이에도 허브(41)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82)을 개재 장착하면, 엔진(19)과 라디에이터(20) 사이의 한정된 좁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면서, 풀 와이어(172)에 의한 당김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에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을 따라 기기 부재 좌측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력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53, 82)에 의한 각 기풍익(42)의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부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의 자세 변경 조작을 보다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는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으로서의 순풍용 설정 시간(Tf)을 초과할 때까지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제어 장치(78)가 비작업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하였을 때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전회 행한 후의 경과 시간이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78)를 도27의 (a) 및 도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상태로의 절환을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혹은 도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시의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한 후,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먼저 행하는 형태로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예시한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므로,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과 순풍용 설정 시간(Tf)이 모두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시한 제어 흐름에 한정되지 않고,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과 순풍용 설정 시간(Tf)이 각각 개별의 계시를 할 수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 장치(78)를 구성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예시한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므로, 기동용 설정 시간(Tini)과 역풍용 설정 시간(Tr)이 모두 동일한 시간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시한 제어 흐름에 한정되지 않고, 기동용 설정 시간(Tini)과 역풍용 설정 시간(Tr)이 각각 개별의 계시를 할 수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 장치(78)를 구성해도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의 제어 장치(78)는 작업 상태로의 절환 검출시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도24의 (c) 및 도27의 (c)]에는 그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완료한 후,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또는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작업 상태로의 절환 검출시에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R)에서의 통풍을 중단하여, 역풍 금지용 설정 시간(Tres) 또는 순풍용 설정 시간(Tf) 동안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F)에서의 통풍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7] 또한, 모두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능하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작업차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탈형 콤바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취 곡간의 전간을 투입하여 탈곡 처리하는「보통형 콤바인」또는「전간 투입형 콤바인」이라 칭하는 타입의 콤바인, 혹은 인삼 수확기나 무 수확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트랙터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팬(22)의 허브(41)와 기풍익(42)이 일체적으로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였지만, 이 대신에 기풍익(42)이 허브(41)에 대해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풍 구조(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로 통풍 방향을 변경하는 통풍 수단)의 구성은 이하와 같은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풀리(36)로서 분할 풀리를 채용하는 동시에, 그 가동 풀리가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변위 조작할 때에, 그 허브(41)와 일체 변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 따라서 라디에이터(7)를 향해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엔진(19)측의 고정 풀리로부터 가동 풀리가 이격됨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유효 직경이 작아져 냉각 팬(22)의 회전 수가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반대로, 허브(41)를 회전 축심(P1)을 따라 라디에이터(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조작하여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는, 엔진(19)측의 고정 풀리에 가동 풀리가 접근함으로써 제2 입력 풀리(36)의 유효 직경이 커져 냉각 팬(22)의 회전수가 저하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이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풍 구조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CPU나 하드디스크 등에 외기를 공급하여 냉각하는 냉각 장치나, 운전 캐빈 내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장치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기풍익(42)의 자세 변경을 전동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 등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수동 조작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그들 회전 축심(P1) 주위의 회전 구동[냉각 팬(22)의 회전 구동]에 관계없이 기풍하지 않는 비기풍 자세로 유지하는 비기풍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작업차 등에 있어서는 엔진(19)의 시동시에 그 비기풍 상태를 나타내면, 엔진(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냉각 팬(22)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하면서도, 기풍에 의한 부하로 엔진(19)의 시동 부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스타터 모터에 의한 엔진(19)의 시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풀리(3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기로서는, 발전기(31)나 유압 펌프 등이라도 좋다.
또한, 전동 모터(75)의 작동으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임의의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나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유지하는 풍량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작업차 등에 있어서는 엔진(19)의 부하에 따라서 각 기풍익(42)의 자세를 변경하여 기풍에 의한 부하를 조절하면, 각 기풍익(42)의 기풍에 의한 냉각 상태나 제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 주행시 등에 있어서의 과부하에 기인한 뜻밖의 엔진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풀리(36)에 제1 회전체(39)와 제2 회전체(46) 중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일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지지축(47)에 허브(41)를 회전 축심(P1)에을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제2 회전체(46)를 회전 축심(P1)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지지축(47)과 허브(41)와 제2 회전체(46)가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허브(41)와 제2 회전체(46) 사이에 제2 회전체(46)를 제2 입력 풀리(36)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53)을 개재 장착하여, 회전 축심(P1)에 따르는 방향에서의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의한 이동 부재(67)의 이동 조작, 또는 압축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한 이동 부재(67)의 이동 조작으로 그 이동 부재(67)와 함께 제2 회전체(46)가 허브(41)에 대해 변위함으로써, 각 기풍익(42)의 자세가 일제히 변경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허브(41)에 대해 각 기풍익(42)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구조의 냉각 팬(22)을 이용하는 것 외에, 블레이드 자세가 고정된 냉각 팬의 구동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절환하여 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를 나타내도록 구성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순풍 모드를 초래하는 엔진 냉각 전용 냉각 팬과, 역풍 모드를 초래하는 제진 전용 냉각 팬을 구비하고, 이들을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 다.
또한, 엔진에 대해 라디에이터를 임의의 부위에 배치하여, 전동 모터로 구동되는 냉각 팬으로 라디에이터를 냉각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순풍 모드와 역풍 모드로 통풍 방향을 변경하는 통풍 수단으로서, 전동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 제어하여 냉각 팬의 회전 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순풍 모드)에 있어서는, 엔진 또는 라디에이터 중 한쪽에만 바람이 향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원동부(16)는 수냉식 엔진(19) 대신에, 라디에이터가 없는 공냉식 엔진을 탑재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팬의 위치와 라디에이터의 위치를 바꾸어, 제진망으로부터 냉각 팬, 라디에이터, 엔진의 순서로 배치하여, 순풍이 일어나는 상태(순풍 모드)에 있어서는 냉각 팬으로부터 발생한 바람이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후에 엔진 외벽에도 닿도록, 또한 역풍이 일어나는 상태(역풍 모드)에 있어서는 냉각 팬으로부터의 바람이 직접 제진망에 닿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단락에서 서술한 구성의 배치는, 예를 들어 전술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4-57980의 도11 내지 도13과 같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프트 포크는 모터 등으로 조작하는 동력 기계 조작식인 것 대신에, 이 시프트 포크를 수동력으로 조작하는 수동 조작식인 것이라도 좋다.
마지막으로, 도면의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허 청구의 범위에는 도면 중의 대응 부호를 기입하고 있지만, 이 기입은 본원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를 도시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풍 상태 절환 기구를 장비하는 것에 기인한 전체 구조의 대형화나 조립 부착성의 저하를 회피하여, 그 기구의 구성에 기인한 조작시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이나 기구의 열화도 방지하고, 또한 콤팩트하고 조작성이 우수한 엔진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 이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2. 팬(22)의 회전에 의해 엔진(19)의 냉각이 가능하게 구성된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이며, 상기 팬이 회전 축심(P1) 주위에 회전 가능한 허브(41)와, 이 허브의 외주부에 설치된 기풍익(4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을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와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조작 기구(77)가 설치되고, 이 조작 기구에 의해 상기 기풍익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냉각하는 일방향의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기풍익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절환된 경우에는 외기 흡기구에 설치된 제진망(26)을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고,
    상기 자세 변경이 상기 조작 기구를 거쳐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고, 또한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 었을 때의 상기 기풍익으로부터 상기 제진망까지의 간격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변경되었을 때의 상기 간격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중심부에 이 허브와 상기 회전 축심 주위에 일체 회전하는 회전체(46)와, 상기 허브 및 회전체를 상기 회전 축심(P1)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47)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와 기풍익 사이에 상기 조작 기구(77)에 의해 상기 허브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상대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기풍익을 그 길이 축심(P2) 주위에 자세 변경하는 연계 기구(61)가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에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가 시프트 포크(65)와, 이 시프트 포크에 의해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부재(67)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의 외주부가 이 이동 부재에 상기 회전 축심(P1)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회전 축심(P1) 방향의 상대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 회전 축심 주위에 상기 허브를 상기 회전체에 연동 회전시키기 위한 연동축(55)이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직경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θa)가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의 기풍 각도(θb)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는 상기 허브 및 기풍익을 덮는 슈라우드(7A)가 설치되고,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L1)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기풍익과 상기 슈라우드와의 상기 회전 축심 방향에서의 포갬량(L2)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에는 기풍 효율이 높은 고기풍 작용면(42A)과 기풍 효율이 낮은 저기풍 작용면(42B)이 설치되고, 상기 고기풍 작용면이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고, 상기 저기풍 작용면 이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에 있어서의 작용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풍익을 상기 순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순풍 모드를 순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과, 이 기풍익을 상기 역풍이 일어나는 자세로 하는 역풍 모드를 역풍용 설정 시간 실행하는 것을 반복하는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는 통풍 제어 수단이 마련되고,
    이 통풍 제어 수단이 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통풍 운전 처리를 행하고, 비작업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순풍 모드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순풍 운전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KR1020050066344A 2004-07-22 2005-07-21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KR101204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4782 2004-07-22
JP2004214782A JP4187700B2 (ja) 2004-07-22 2004-07-22 起風構造
JP2004302897A JP2006112387A (ja) 2004-10-18 2004-10-18 起風構造
JPJP-P-2004-00302897 2004-10-18
JPJP-P-2004-00312426 2004-10-27
JP2004312426A JP4382630B2 (ja) 2004-10-27 2004-10-27 収穫機のエンジン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42A true KR20060046542A (ko) 2006-05-17
KR101204117B1 KR101204117B1 (ko) 2012-11-23

Family

ID=3714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44A KR101204117B1 (ko) 2004-07-22 2005-07-21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1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610B2 (ja) 1975-10-27 1983-12-21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ニオケルレイキヤクキノ ジヨジンソウチ
JPS5366548U (ko) 1976-11-05 1978-0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117B1 (ko) 201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035B1 (en) Grille control mechanism for vehicle
KR100674054B1 (ko) 엔진 냉각 장치 및 이 엔진 냉각 장치를 구비한 수확기
KR101310698B1 (ko)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CN106545400B (zh) 作业车辆的发动机冷却装置
JP2011021523A (ja) 移動農機
KR101204117B1 (ko) 작업차의 엔진 냉각 장치
JP2018202939A (ja) 作業車両の原動部
JP4219306B2 (ja) 起風構造
JP4278596B2 (ja) エンジン冷却用の制御装置
JP4187699B2 (ja) 起風構造
JP4187700B2 (ja) 起風構造
JP5212845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4263157B2 (ja) 起風構造
JP4382630B2 (ja) 収穫機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4226042B2 (ja) エンジン冷却装置付き収穫機
JP6008257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2018071405A (ja) 作業車輌
JP2008024198A (ja) 作業車両
KR20220001465U (ko) 사이드 벤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건설기계
JP2006262753A (ja) 収穫機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6037748A (ja) 発熱部冷却構造
JPH1136862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7092545A (ja) 車両の冷却風導入構造
JP6224640B2 (ja) ユニットスイング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H0633765A (ja) 農作業機のエンジン冷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