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504A -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504A
KR20060046504A KR1020050054012A KR20050054012A KR20060046504A KR 20060046504 A KR20060046504 A KR 20060046504A KR 1020050054012 A KR1020050054012 A KR 1020050054012A KR 20050054012 A KR20050054012 A KR 20050054012A KR 20060046504 A KR20060046504 A KR 2006004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storage device
content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하루 야마우치
마사아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콘텐트 데이터를 각별히 확실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퍼스널컴퓨터(4)는, 휴대 재생장치(3)에 대하여 접속하고 있는 사이에, 해당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처리나 악곡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처리를 실행하면, 해당 기록처리에 의해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내서 이루어진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나 해당 삭제처리에 의해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내서 이루어진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를,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하도록 했다.
콘텐트 기억, 콘텐트 전송, 악곡 데이터, 휴대 재생장치

Description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CONTENT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ENT STORAGE SYSTEM}
도1은 제1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악곡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2는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3은 휴대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4는 데이터베이스의 설명에 주어지는 개략선도이다.
도5는 기록처리 순서(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6은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1)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7은 삭제처리 순서(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8은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2)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9는 기록처리 순서(2)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10은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3)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도11은 삭제처리 순서(2)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12는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4)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악곡 데이터 전송 시스템 3...휴대 재생장치
4...퍼스널컴퓨터 10, 30...CPU
35...하드디스크 드라이브 RT1, RT3...기록처리 순서
RT2, RT4...제처리 순서
본 발명은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악곡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해 두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행해지는 휴대 재생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컴퓨터 등에서 전송된 악곡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해 두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하고 있는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행해지는 휴대 재생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재생장치는,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 등을, 예를 들면 장르나 재생 회수마다 분류해서 표시부에 표시하고, 해당 표시되어 있는 것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돌고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055446 A1호 명세서
여기에서,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재생 회수마다 분류해서 표시하는 한 방법을 설명한다.
즉 휴대 재생장치는, 도12에 나타낸 것 같은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를 기억 유지하고 있다. 실제상 이러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포맷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것이며, 도12에서는 이것을 간략화해서 보이고 있다.
이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는,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된 데이터 번호가, 재생 회수마다 그룹으로 나뉘어 등록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는, 이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하고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재생 회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재생 회수마다 분류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상, 악곡 데이터를 퍼스널컴퓨터로부터 휴대 재생장치에 대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휴대 재생장치가 예를 들면 케이블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에 접 속되면, 퍼스널컴퓨터는, 악곡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주체적으로 실행하는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상태가 되고, 이에 대하여 휴대 재생장치는, 퍼스널컴퓨터에 대한 슬레이브로서 기능하는 상태가 된다.
즉, 이때 퍼스널컴퓨터는, 악곡 데이터를 휴대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로서, 케이블을 거쳐서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있는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액세스하고,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이와 같은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 때, 퍼스널컴퓨터로부터 휴대 재생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퍼스널컴퓨터측은, 이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가 자신이 보유하는 것이 아니고 휴대 재생장치측에 구축된 것이기 때문에, 「새롭게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는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고 하는 등록 룰을 인식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것에 관하여 이 퍼스널컴퓨터측에서는, 새롭게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정확하게 등록 할 수 없고, 이 결과, 휴대 재생장치에 있어서 악곡 데이터의 재생 회수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한편, 휴대 재생장치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으므로,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는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고 하는 등록 룰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퍼스널컴퓨터에 의한 악곡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사이에, 이 휴대 재생장치는, 케이블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퍼스널컴퓨터에 대한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전송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기간 동안, 이 휴대 재생장치는, 이러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주체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
또한, 휴대 재생장치가 퍼스널컴퓨터로부터 분리되어, 이 휴대 재생장치가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이 휴대 재생장치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휴대 재생장치는, 악곡 데이터의 전송 처리시, 퍼스널컴퓨터에 대한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를 파악해 놓을 수 있지 않고, 따라서 퍼스널컴퓨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자신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 중에서,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를 특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이 휴대 재생장치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해당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 할 수 없고, 이 결과, 악곡 데이터의 재생 회수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행해진 것으로, 콘텐트 데이터를 각별히 확실하게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장치와,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트 전송장치를 가지고, 콘텐트 전송장치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를 실행한 경우, 해당 처리 대상이 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 처리 결과 데이터를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 수단과, 콘텐트 기억 수단에 대하여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해당 처리 대상이 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처리 결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리 결과 데이터 기억 수단을 설치하도록 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장치의 콘텐트 기억 방법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를 콘텐트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과, 콘텐트 기억 수단에 대하여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해당 처리 대상이 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처리 결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 결과 이 콘텐트 기억장치는,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기록된 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처리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장치와, 콘텐트 기억장치에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콘텐트 기록장치를 가지고, 콘텐트 기억장치는, 콘텐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와,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나타낸 등록 룰 데이터를 기억하고, 콘텐트 기록장치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룰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인식한 등록 룰에 기초하여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등록하도록 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있어서, 콘텐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 수단과, 콘텐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나타낸 등록 룰 데이터를 기억하는 등록 룰 데이터 기억 수단을 설치하도록 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장치의 콘텐트 기억 방법에 있어서, 콘텐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과, 콘텐트 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과,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나타낸 등록 룰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텝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 결과 이 콘텐트 기록장치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룰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
도1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악곡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인터넷 NT을 거쳐서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는 퍼스널컴퓨터(4)와, 해당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케이블(2)을 통해 전송되는 악곡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하는 휴대 재생장치(3)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도2를 이용하여, 이 퍼스널컴퓨터(4)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퍼스널컴퓨터(4)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에 대해서는 버스(11)을 개재하여, ROM(Read Only Memory)(12)이나 RAM(Random Access Me mory)(13)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가 접속되는 동시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5)에 대하여는, 휴대 재생장치(3)와 케이블(2)(예를 들면 USB 케이블 등)을 거쳐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6), 각종 정 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8), 인터넷 NT 를 거쳐서 외부의 서버와 데이터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9), CD(Compact Disc) 등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드라이브부(20) 등이 접속된다.
이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ROM(12)이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판독해서 RAM(13)에 전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나 전송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즉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8)를 통해 다운로드 조작이 행해지면, 통신부(19)를 제어함에 의해 인터넷 NT을 거쳐서 외부의 서버에 액세스하고, 해당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다운로드 조작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해당 취득한 악곡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에 기억한다.
이 후,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8)를 거쳐, 악곡 데이터를 휴대 재생장치(3)에 대하여 전송하는 전송 조작이 행해지면, 이것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로부터 사용자의 전송 조작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악곡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고 있는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다음에, 도3을 이용하여 휴대 재생장치(3)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휴대 재생장치(3)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30)에 대하여는 버스(31)를 거쳐, ROM(32)이나 RAM(33), 퍼스널컴퓨터(4)와 케이블(2)을 거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34), 악곡 데이터나 후술하는 여러가지의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 조작 키나 조작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36),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7),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에 해당하는 음 방출부(38)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는, ROM(32)이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판독해서 RAM(33)에 전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악곡 데이터의 재생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6)를 통해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재생 처리를 실행함에 의해, 음 방출부(38)로부터 음악을 출력한다.
또 이 경우, 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는, 악곡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격납되어 있다. 이 악곡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현재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과, 그 악곡 데이터에 할당되어 있는 데이터 번호가 대응되어 기억된다.
더욱이, 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는, 도4에 나타낸 것 같은,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나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 등도 격납되어 있다.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는,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재생 회수를 기억해 두는 것이다. 또한, 재생 시 간대 데이터베이스는,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가 재생된 재생 시간대를 기억해 두는 것이다. 또한,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는, 퍼스널컴퓨터(4)에 의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신규로 기록된 악곡 데이터를 파악해 두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생성되어 있다.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은, 이들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여러가지의 화면을 표시한다. 즉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재생 회수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빈번하게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낸 화면 SC1을, 표시부(37)에 표시한다. 또한,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는,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재생 시간대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대(이 경우 「아침」)에 빈번하게 재생되는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나타낸 화면 SC2을, 표시부(37)에 표시한다. 또한,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는,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최근 1일 이내에 퍼스널컴퓨터(4)에 의해 신규로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을 인식하고, 해당 인식 결과를 나타낸 화면 SC3을 표시부(37)에 표시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다음에, 도5 및 도6을 이용하여,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새로운 악곡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기록처리 순서 RT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을 거쳐, 악곡 데이터 「악곡 Z」를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작이 행해지면, 이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1으로 진행되고,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현재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어느 곳에도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인식한다.
다음에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2로 진행하여,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는 악곡 데이터 「악곡 Z」에 대하여 해당 인식한 데이터 번호 「0026」을 부가한 후, 해당 데이터 번호 「0026」을 부가한 악곡 데이터 「악곡 Z」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도6). 이렇게 하여, 이 휴대 재생장치(3) 내에서 한결같이 되는 데이터 번호 「0026」이 부가된 악곡 데이터 「악곡 Z」가,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된다.
계속해서 퍼스널컴퓨터(4)의 CPU(10)은 스텝 SP3로 진행하여,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4로 진행하여,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나타낸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는,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휴대 재생장치(3)는, 해당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에, 도7 및 도6 을 이용하여,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삭제할 때의 삭제처리 순서 RT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을 거쳐,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조작으로서,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 「악곡 F」가 입력되면, 이것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11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해당 입력된 타이틀 「악곡 F」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인식한다.
다음에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12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액세스하여,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 중에서, 스텝 SP11에서 인식한 데이터 번호 「0006」의 악곡 데이터를 특정하고, 해당 특정한 악곡 데이터를 삭제한 다.
계속해서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13으로 진행하여, 해당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등록 말소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14로 진행하여, 해당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나타낸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는,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로부터 삭제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휴대 재생장치(3)는, 해당 삭제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등록 말소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를 거쳐, 악곡 데이터를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작이 행해지면, 이것 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이 휴대 재생장치(3) 내부에서 한결같이 되는 데이터 번호를 해당 전송하는 악곡 데이터에 부가한 후, 해당 데이터 번호를 부가한 악곡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때,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낸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기록처리 결 과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는,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휴대 재생장치(3)는, 해당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0회]의 그룹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를 거쳐,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조작이 행해지면, 이것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는,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액세스하여,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로부터 이러한 삭제조작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때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해당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낸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는,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로부터 삭제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휴대 재생장치(3)는, 해당 삭제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등록 말소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퍼스널컴퓨터(4)는, 휴대 재생장치(3)에 대하여 접속하고 있는 사이에, 해당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처리나 악곡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처리를 실행하면, 해당 기록처리에 의해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내서 이루어진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나 해당 삭제처리에 의해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나타내서 이루어진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를,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는,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분리되어 주체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나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퍼스널컴퓨터(4)에 의해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나 퍼스널컴퓨터(4)에 의해 삭제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휴대 재생장치(3)는, 예를 들면 새롭게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0회]의 그룹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여 악곡 데이터를 정확하게 관리 할 수 있는 휴대 재생장치(3)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등록 말소하는 예에 의해, 악곡 데이터의 기록처리 순서 RT1및 삭제처리 순서 RT2을 설명했지만,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등록 말소할 경우에도, 같은 처리 순서 RT1, RT2를 적용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8에 나타낸 것처럼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등록 룰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주로 다르다. 이하,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의 경우, 이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 중의 등록 룰 정보 INF1으로서,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을 지시하는 정보(「분류1」)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이 등록 룰 정보 INF1은,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는,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취지를 의미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악곡 데이터의 기록처리 순서 RT3를, 도9 및 도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를 거쳐, 악곡 데이터 「악곡 Z」를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조작이 행해지면, 이것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21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현재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어느 곳에도 할당되지 않고 있는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인식한다.
다음에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22로 진행하여,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하는 악곡 데이터 「악곡 Z」에 대하여 해당 인식한 데이터 번호 「0026」을 부가한 후, 해당 데이터 번호 「0026」을 부가한 악곡 데이터 「악곡 Z」를,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한다(도10). 이렇게 하여, 이 휴대 재생장치(3) 내에 한결같이 되는 데이터 번호 「0026」이 부가된 악곡 데이터 「악곡 Z」가, 퍼스널컴퓨터(4)로부터 휴대 재생장치(3)에 전송된다.
계속해서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23으로 진행하여,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24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나타나 있다 등록 룰 정보 INF1을 참조함으로써,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대하여 새롭게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는,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는 취지의 등록 룰을 인식한다. 이 결과 이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해당 인식한 등록 룰에 기초하여, 이러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26」을, 재생 회수 [0회]의 그룹 GP1에 속하도록 해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악곡 데이터의 삭제처리 순서 RT4를, 도11 및 도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퍼스널컴퓨터(4)의 조작부(18)를 거쳐,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조작으로서, 악곡 데이터의 타이틀 「악곡 F」가 입력되면, 이것에 따라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41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해당 입력된 타이틀 「악곡 F」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인식한다.
다음에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42로 진행하여,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액세스하고,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데이터 중에서, 스텝 SP41로 인식한 데이터 번호 「0006」의 악곡 데이터를 특정하고, 해당 특정한 악곡 데이터를 삭제한다.
계속해서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43으로 진행하여, 해당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관리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등록 말소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스텝 SP44로 진행하여, 해당 삭제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 「0006」을,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등록 말소한다. 따라서, 이 경우, 퍼스널컴퓨터(4)의 CPU(10)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표시되고 있는 모든 데이터 번호를 참조함으로써, 해당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 중의 데이터 번호 「0006」을 특정하고, 해당 특정한 데이터 번호 「0006」을 소거하도록 행해지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 재생장치(3)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나타낸 등록 룰 정보 INF1을,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표시하여 기억한다.
퍼스널컴퓨터(4)는,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악곡 데이터를 기록했을 때,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나타나 있는 등록 룰 정보 INF1을 참조함으로써,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퍼스널컴퓨터(4)는,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휴대 재생장치(3) 중의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정확하게 등록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악곡 데이터를 기록했을 때,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나타나 있는 등록 룰 정보 INF1을 참 조함으로써, 해당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퍼스널컴퓨터(4)는, 케이블(2)을 통해 휴대 재생장치(3)에 접속하고 있을 때, 휴대 재생장치(3)에 기록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해당 휴대 재생장치(3) 중의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정확하게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휴대 재생장치(3)가 아니라 퍼스널컴퓨터(4)가,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등록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휴대 재생장치(3)측의 처리부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휴대 재생장치(3)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서 사용되므로, 내장의 배터리 등에 의해 구동한다. 따라서, 이렇게 휴대 재생장치(3)측의 처리부하를 줄임으로써, 이 휴대 재생장치(3)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이와 같이 하여 구동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등록 말소하는 예에 의해, 악곡 데이터의 기록처리 순서 RT3 및 삭제처리 순서 RT4을 설명했지만,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의 등록/등록 말소할 경우도, 같은 처리 순서 RT3, RT4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에 기록된 악곡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 정보를, 이들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대하여 미리 표 시해 둔다. 이에 따라 전술한 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의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기타의 실시예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재생장치(3)에 악곡 데이터가 기억될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기타 여러 가지의 콘텐트 데이터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데이터(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장치로서, 휴대 재생장치(3)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휴대전화기 등의 기타 각종의 정보처리장치를 적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콘텐트 데이터의 기록처리 또는 삭제처리)를 실행하는 콘텐트 전송장치로서, 퍼스널컴퓨터(4)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 재생장치(3)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해서 해당 휴대 재생장치(3)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면, 이 이외 각종의 정보처리장치를 적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데이터 번호)가 등록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나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기록된 처리 결과 데이터(기록처리 결과 데이터나 삭제처리 결과 데이터)로 나타나 있는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으로서, 미리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따라서 처리 순서 RT1 및 RT2를 실행하는 휴대 재생장치(3)의 CPU(30)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각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기억 수단, 처리 결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리 결과 데이터 기억 수단, 콘텐트 등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등록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서,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도체메모리나 디스크형 기억매체 등의 이 이외 각종의 기억매체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콘텐트 기억 수단, 처리 결과 데이터 기억 수단 및 등록 데이터 기억 수단을, 각각 별개의 기억매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더욱이,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콘텐트 기록장치로서, 퍼스널컴퓨터(4)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 재생장치(3)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해서 해당 휴대 재생장치(3)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면, 기타 각종의 정보처리장치를 적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전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재생 회수 데이터베이스나 재생 시간대 데이터베이스나 신규 악곡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 기억 수단, 등록 룰 데이터(등록 룰 정보 INF1)를 기억하는 등록 룰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서, 휴대 재생장치(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5)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도체메모리나 디스크형 기억매체 등의 기타 각종의 기억매체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콘텐트 등록 데이터 기억 수단 및 등록 룰 데이터 기억 수단을, 각각 별개의 기억매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된 악곡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해 두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행해지는 휴대 재생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트 기억장치는,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기록된 처리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트 전송장치에 의해 처리된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텐트 데이터를 각별히 확실하며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트 기록장치는,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룰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트 등록 데이터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때의 등록 룰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결과, 콘텐트 데이터를 각별히 확실하며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9)

  1.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번호를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데이터 기억장치와, 상기 콘텐트 데이터 기억장치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 전송장치로 이루어지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트 전송 장치는,
    콘텐트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 수단과,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있어서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부가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전송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대응시켜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트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처리 결과 데이터를 해당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는,
    상기 처리 결과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는, 상기 콘텐트 전송장치와의 접속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처리 결과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와 대응된 콘텐트 식별 정보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소정의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와 대응된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미재생 콘텐트 데이터가 속하는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시스템.
  10.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번호를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데이터 기억장치와, 상기 콘텐트 데이터 기억장치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 전송장치로 이루어지는 콘텐트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있어서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하는 인식 스텝과,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부가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전송하는 전송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전송 방법은, 또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전송 방법은, 또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트 데이터를 삭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삭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전송 방법은, 또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대응시켜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전송 방법은, 또한,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처리 결과 데이터를 해당 콘텐트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처리 결과 데이터 기록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전송 방법은, 또한,
    상기 처리 결과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처리 결과 등록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결과 등록 스텝은,
    상기 콘텐트 전송장치와의 접속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처리 결과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와 대응된 콘텐트 식별 정보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소정의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스텝은, 상기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와 대응된 콘텐트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 미재생의 콘텐트 데이터가 속하는 그룹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방법.
  19. 콘텐트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트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번호를 대응시킨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콘텐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트 데이터 기억장치에 대하여 콘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콘텐트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콘텐트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 수단과,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있어서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미사용의 데이터 번호를 부가한 콘텐트 데이터를 상기 콘텐트 기억장치에 대하여 전송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트 전송 장치.
KR1020050054012A 2004-06-30 2005-06-22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 KR20060046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3889 2004-06-30
JP2004193889A JP2006018895A (ja) 2004-06-30 2004-06-30 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コンテンツ記憶システム、コンテンツ記憶装置及びコンテンツ記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04A true KR20060046504A (ko) 2006-05-17

Family

ID=3497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012A KR20060046504A (ko) 2004-06-30 2005-06-22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02245A1 (ko)
EP (1) EP1612705A3 (ko)
JP (1) JP2006018895A (ko)
KR (1) KR20060046504A (ko)
CN (1) CN17252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8724B2 (ja) * 2018-07-23 2023-05-2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314B1 (en) * 1998-11-17 2003-0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ptimization of change log handling
CN1312593C (zh) * 1999-09-01 2007-04-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分布系统、半导体存储卡、接收装置、计算机可读记录介质和接收方法
US6839564B2 (en) * 2001-04-25 2005-01-04 Nokia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database data
US7136934B2 (en) * 2001-06-19 2006-11-14 Request, Inc. Multimedia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JP4204977B2 (ja) * 2001-10-22 2009-01-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プレーヤー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シンクロ操作
JP2003204482A (ja) * 2001-10-22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装置
US7159000B2 (en) * 2002-03-21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epairing playlists
US7166791B2 (en)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2245A1 (en) 2006-01-05
CN1725293A (zh) 2006-01-25
EP1612705A3 (en) 2008-04-16
EP1612705A2 (en) 2006-01-04
JP2006018895A (ja)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3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1255690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휴대형 재생 장치 및 컴퓨터
JP2002133834A (ja) 楽曲データ管理装置及び車載用オーディオ情報再生制御システム
CN100385557C (zh) 管理音频数据和记录设备的设备和方法
JP2007249155A (ja) メディア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メディア再生装置
US20060127079A1 (en) Recording device, reproducing device, image file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JP4377884B2 (ja) 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20060046504A (ko) 콘텐트 기억장치 및 방법과 콘텐트 기억 시스템
US20070025198A1 (en) Content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JP4345034B2 (ja) コンテンツ記憶装置、コンテンツ記憶方法及びコンテンツ記憶システム
JP4244011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における再生データの管理方法
JP2004079085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TW587213B (en) Playing method of video and audio
JP4447989B2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5285274A (ja) タイトル表示情報生成装置
JP4394465B2 (ja)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38723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4106982B2 (ja) 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958585B1 (ko) 오디오 파일 관리 방법
JP4168566B2 (ja) 情報記録制御装置
JP535327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
JP4836851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5537216B2 (ja) コンテンツ書込機器
KR20090102287A (ko) 엠피3 파일의 아이디3 태그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엠피3다운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00436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