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254A -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254A
KR20060046254A KR1020050045374A KR20050045374A KR20060046254A KR 20060046254 A KR20060046254 A KR 20060046254A KR 1020050045374 A KR1020050045374 A KR 1020050045374A KR 20050045374 A KR20050045374 A KR 20050045374A KR 20060046254 A KR20060046254 A KR 2006004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riable displacement
displacement compressor
axial direction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또시 히로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4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72Discharg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86Open (not controlling) fluid passage
    • F04B2027/1895Open (not controlling) fluid passage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성이 좋은 유량 제어식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토출실로부터 토출된 토출 압력(Pd1)의 냉매를 도입하는 포트(23)와 유량이 제어된 토출 압력(Pd2)의 냉매를 유출시키는 포트(24)와의 사이에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에 따라서 밸브 리프트가 변화하는 메인 밸브(20)와, 그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를 가변 밸브 시트로 하고, 그 가변 밸브 시트와 통 형상 밸브 부재(3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에 따라서 유량 제어되는 압력(Pc)의 냉매를 포트(25)를 거쳐서 크랭크실에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1)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밸브(20)가 유량 감지와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 시트를 겸용하고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21)가 크랭크실에 공급하는 작은 유량의 냉매를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된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 밸브, 메인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크랭크실, 포트, 플런저

Description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도1은 가변 용량 압축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비통전시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7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8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메인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메인 밸브의 측면도, (b)는 (a)의 A-A 화살표 단면도.
도12는 솔레노이드의 전류에 대한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메인 밸브
21 : 솔레노이드 밸브
22 : 본체
23, 24, 25 : 포트
26 : 냉매 통로
27, 114 : 밸브 시트
28, 92, 95, 112 : 밸브 부재
29 : 홀더
30 : 피스톤
31, 36, 64 : 스프링
32, 54, 62, 72, 117 : 통 형상 밸브 부재
33 : 바닥이 있는 슬리브
34 : 코어
35 : 플런저
37 : 코일
38 : 요크
39, 94 : 플레이트
40, 67, 82, 83 : 구멍
41, 67, 82, 83 : 균압 구멍
51, 61, 71, 81, 91, 101, 111 :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52 :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
53, 116 : 가이드
55, 74 : 샤프트
63, 73 : 플러그
93 : 실린더
113 : 스커트부
115 : 통 형상부
119 : 테이퍼부
120 : 슬릿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6349호 공보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변 용량 압축기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 중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이용되는 압축기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수 제어를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엔진의 회전수에 제약되는 일 없이 적절한 냉방 능력을 얻기 위해 냉매의 용량(토출량)을 바꿀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에 있어서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축에 부착된 요동판(경사판)에 피스톤이 연결되고, 크랭크실 내에서 요동판의 경사 각도를 바꾸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경하여 압축기의 용량, 즉 냉매의 토출량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요동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밀폐된 크랭크실 내에 압축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고,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요동판에 연결된 피스톤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형을 변화시켜 요동판의 경사 각도를 연속적으로 바꾸고 있다.
크랭크실 내의 압력의 변화는 냉매의 토출구와 크랭크실 사이, 또는 크랭크실과 흡입구 사이에 설치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의해 행하고 있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그 전후 차압을 소정의 압력치로 유지하도록 연통 또는 폐색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제어 전류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차압을 소정의 압력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크랭크실로 도입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압축할 수 있는 냉매의 용량을 작게 하고, 회전수가 저하되었을 때에는 크랭크실로 도입되는 압력이 감소하여 압축할 수 있는 냉매의 용량을 크게 하여,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용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따르면,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유로의 유로 면적을 외부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비하고, 그 가변 오리피스의 전후의 차압이 소정치가 되도록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고 있다. 일정 유로 면적에 설정된 가변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이 소정치로 유지됨으로써, 이 가변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이 일정하게 제어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634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서는 냉매 유로의 유로 면적을 가변하는 제1 제어 밸브와, 그 유로 면적을 외부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설정하 는 솔레노이드부와, 제1 제어 밸브의 전후에 발생하는 차압을 감지하여 그 차압이 소정치가 되도록 크랭크실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는 제1 제어 밸브를 솔레노이드부에서 제어하여 유로 면적을 직접 가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큰 유로 면적을 솔레노이드부에서 변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고,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전체의 구성에 관해서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성이 좋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통과하였을 때의 냉매의 유량에 따른 리프트량의 제1 밸브 리프트로 설정되는 메인 밸브와, 외부 신호에 의해 제2 밸브 리프트가 설정되고, 설정된 상기 제2 밸브 리프트에 대한 상기 제1 밸브 리프트의 상대적인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따르면,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메인 밸브를 통해 흐르지만, 그 때에 메인 밸브는 냉매의 유량에 따른 제1 밸브 리프트로 설정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는 설정하고자 하는 냉 매 유량에 대응한 외부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2 밸브 리프트로 설정된다. 여기서, 냉매 유량이 증가하려고 하면, 제1 밸브 리프트가 커져 제2 밸브 리프트와의 상대치가 커지므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메인 밸브에 의해 크랭크실로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저하되어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냉매 유량이 감소한 경우에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늘리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메인 밸브가 검출한 토출 유량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그 변화 방향과 역의 방향으로 토출 유량이 변화하도록 크랭크실에의 냉매 유량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메인 밸브를 통과하여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소정치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하는 일정 유량 제어식 가변 용량 압축기에 적용되는 제어 밸브를 예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가변 용량 압축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변 용량 압축기는 기밀하게 형성된 크랭크실(1)을 갖고, 안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2)을 갖고 있다. 이 회전축(2)의 일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축 밀봉 장치를 거쳐서 크랭크실(1)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고, 차량용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풀리(3)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2)에는 요동판(4)이 경사각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의 축선 주위에는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하나)의 실린더(5)가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5)에는 요동판(4)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피스톤(6)이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5)는 각각 흡입용 릴리프 밸브(7) 및 토출용 릴리프 밸브(8)를 거쳐서 흡입실(9) 및 토출실(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토출실(10)과 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출구 포트 사이 및 토출실(10)과 크랭크실(1) 사이에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가 설치되고, 크랭크실(1)과 흡입실(9) 사이에는 오리피스(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는 토출실(1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출구 포트가 고압 냉매 관로를 거쳐서 응축기(13)에 접속되고, 이 응축기(13)로부터 팽창 밸브(14), 증발기(15) 및 저압 냉매 관로를 경유하여 흡입실(9)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입구 포트까지 배관됨으로써 폐쇄 회로의 냉동 사이클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가변 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차량용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2)이 회전하면, 그 회전축(2)에 설치된 요동판(4)이 회전하면서 요동한다. 그러면, 요동판(4)의 외주부에 연결된 피스톤(6)이 회전축(2)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이에 의해 흡입실(9)에 있어서의 흡입 압력(Ps)의 냉매가 실린더(5)에 흡입되어 실린더(5) 내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토출 압력(Pd1)의 냉매가 토출실(10)로 토출된다. 이 때, 토출실(10)의 고압의 냉매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를 통과할 때에 토출 압력(Pd2)으로 감압되어 출구 포트로부터 응축기(13)로 송출되지만, 그 일부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를 거쳐서 크랭크실(1)로 도입된다. 이에 의해,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상승하여, 피스톤(6)의 하사점이 실린더(5) 내의 압력과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균형이 맞는 위치가 되도록 요동판(4)의 경사각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크랭크실(1)로 도입된 냉매는 오리피스(12)를 거쳐서 흡입실(9)로 복귀된다.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는 토출실(10)로부터 응축기(13)로 송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 유량에 따른 유량의 냉매를 크랭크실(1)로 도입하여 토출실(10)로부터 응축기(13)로 송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즉,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면, 흡입 압력(Ps)이 저하되고 토출 압력(Pd1)이 상승한다. 이에 의해,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를 거쳐서 토출실(10)로부터 응축기(13)로 송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면, 그에 수반하여 크랭크실(1)로 도입되는 냉매의 유량도 증가하므로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압축기는 요동판(4)이 회전축(2)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틸팅하여 피스톤(6)의 스트로크를 작게 하므로, 실린더(5)의 압축 용량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냉매의 토출 유량을 줄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려고 해도,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가 냉매 유량의 증가에 따라서 크랭크실(1)로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늘리고, 크랭크실(1)의 압력(Pc)을 증가시켜 토출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므로,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은 일정하게 제어되게 된다.
반대로,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저하된 경우에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를 거쳐서 토출실(10)로부터 응축기(13)로 송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고, 크랭크실(1)로 도입되는 냉매의 유량도 감소하여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저하되므로, 가변 용량 압축기는 냉매의 토출 유량이 증가되어 토출되는 냉매의 유 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가변 용량 압축기용 용량 제어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비통전시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는 메인 밸브(20)와 솔레노이드 작동의 솔레노이드 밸브(21)를 갖고, 본체(2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본체(22)에는 3개의 포트(23, 24, 25)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23)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의 장착시에는 토출실(10)에 연통되어 토출 압력(Pd1)의 냉매를 도입한다. 포트(24)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 포트에 연통되어 토출 압력(Pd2)의 냉매를 도출한다. 포트(25)는 가변 용량 압축기의 크랭크실(1)에 연통되어 제어된 압력(Pc)의 냉매를 도출한다.
본체(22)의 그림의 상부에는 포트(23)와 포트(24) 사이를 내부에서 연통하는 냉매 통로(26)가 형성되고, 그 냉매 통로(26)에는 메인 밸브(20)의 밸브 시트(27)가 본체(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시트(27)의 하류측에는 밸브 시트(27)에 대향하여 접촉 분리 가능한 밸브 부재(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밸브 부재(28)는 본체(22)의 축선 방향에 관통 구멍을 갖고, 그 속에 본체(22)의 도면의 상단부에 씌움 부착된 홀더(29)에 현수되어 있는 피스톤(30)이 삽입되어 있고, 피스톤(30)이 밸브 부재(28)를 본체(2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다. 밸브 부재(28)와 홀더(29) 사이에는 스프링(31)이 개재 삽입되고, 밸브 부 재(28)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고, 메인 밸브(20)는 역지 밸브 구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1)는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를 가동 밸브 시트로 하고, 그 밸브 부재(28)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의한 밸브 구멍에 대해 삽입 발출 가능하며 밸브 부재(28)에 의한 가동 밸브 시트와 함께 슬라이드 밸브를 구성하는 통 형상 밸브 부재(32)를 갖고, 이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밸브 리프트를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통 형상 밸브 부재(32)는 본체(22)에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는 개구단부가 본체(22)에 기밀 상태로 고정된 바닥이 있는 슬리브(33)를 갖고, 그 바닥이 있는 슬리브(33)의 개구부에는 코어(34)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코어(34)는 그 축선 방향에 통 형상 밸브 부재(32)를 헐겁게 삽입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바닥이 있는 슬리브(33) 중에는 코어(34)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한 플런저(35)가 배치되고, 스프링(36)에 의해 코어(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플런저(35)는 본체(22)에 지지된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도면의 하단부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슬리브(33)의 외측에는 코일(37)이 주위 설치되고, 본체(22)와 일체의 요크(3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요크(38)의 도면의 하단부에는 요크(38)와 플런저(35) 사이에 자기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도우넛 형상의 플레이트(39)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통 형상 밸브 부재(32)는 포트(25)가 있는 위치에 구멍(40)이 마련되어 있고,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와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간극 및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중공부를 거쳐서 토출 압력(Pd1)의 냉매가 도입되는 포트(23)와 크랭크실(1)에 연통하는 포트(25)를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 형상 밸브 부재(32)는 플런저(35)와의 끼움 부착부 근방에 균압 구멍(41)이 마련되어 있고, 바닥이 있는 슬리브(33) 내를 포트(25)에 연통하도록 하여 압력(Pc)이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진퇴 방향 양단부에 동등하게 가해지도록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1)의 제어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에 있어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가 비통전 상태에 있을 때에는, 메인 밸브(20)는 스프링(31)에 의해 밸브 부재(28)가 밸브 시트(27)에 착좌되어 완전 폐쇄 상태에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스프링(36)에 의해 플런저(35)가 코어(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그 플런저(35)에 고정되어 있는 통 형상 밸브 부재(32)가 그 가변 밸브 시트인 밸브 부재(28)로부터 떨어져 완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차량용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2)이 회전하면, 가변 용량 압축기는 그 회전축(2)에 설치된 요동판(4)이 회전하면서 요동 운동한다. 그러면, 요동판(4)의 외주부에 연결된 피스톤(6)이 왕복 운동하고, 이에 의해 흡입실(9)의 냉매가 실린더(5)에 흡입되어 압축되어, 압축된 냉매가 토출실(10)로 토출된다. 이 때, 메인 밸브(20)는 완전 폐쇄 상태에 있으므로, 토출실(10)로 토출된 냉매는 완전 개방 상태의 솔레노이드 밸브(21)를 통해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중공부 및 구멍(40)을 거쳐서 포트(25)로 흐르고, 크랭크실(1)로 도입된다. 이로 인해, 가변 용량 압축기는 최소 용량의 운전 상태가 된다. 메인 밸 브(20)는 이 최소 용량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의 토출 압력(Pd1)에 의한 개방 밸브 방향의 힘보다도 스프링(31)에 의해 폐쇄 밸브 방향에 작용하는 힘을 다소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폐쇄 밸브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솔레노이드의 코일(37)에 소정의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는 플런저(35)가 코어(34)에 흡입되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의 흡입력과 스프링(36)이 균형이 맞는 위치까지 통 형상 밸브 부재(32)가 리프트하여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는, 메인 밸브(20)에 대해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직 밸브 부재(28)가 밸브 시트(27)에 착좌된 상태이므로, 솔레노이드 밸브(21)의 통 형상 밸브 부재(32)는 밸브 부재(28)에 형성된 밸브 구멍에 삽입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순간적으로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크랭크실(1)로의 냉매 도입이 없어짐으로써 가변 용량 압축기는 빠르게 그 최대 용량의 운전 상태로 이행하게 되므로, 토출 압력(Pd1)이 급증한다. 이 토출 압력(Pd1)이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를 스프링(3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리프트시키고, 메인 밸브(20)는 냉매의 유량에 따른 리프트량만큼 밸브 부재(28)가 리프트되게 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그 통 형상 밸브 부재(32)가 밸브 부재(28)에 형성된 밸브 구멍으로부터 누출되어 개방되고, 통 형상 밸브 부재(32)와 밸브 부재(28)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그들 상대 위치의 크기에 따른 냉매 유량이 크랭크실(1)로 도입되게 되고, 가변 용량 압축기는 그 소정 용량의 운전 상태로 이행한다.
여기서,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상승하면, 흡입 압력(Ps)이 저하되고, 토출 압력(Pd1)이 상승한다. 이에 의해, 토출실(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증 가하면, 그에 따라서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가 더욱 리프트하여 메인 밸브(20)의 유로 면적이 증가하고,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늘어나려고 한다. 밸브 부재(28)가 더욱 리프트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21)의 통 형상 밸브 부재(32)와 그 가동 밸브 시트인 밸브 부재(28)와의 상대 위치가 커지고, 크랭크실(1)로 도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여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따라서, 가변 용량 압축기는 그 용량이 감소하는 방향에 작용하여, 냉매의 토출 유량을 줄이도록 제어된다.
반대로, 차량용 엔진의 회전수가 저하된 경우에는, 토출실(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고, 크랭크실(1)로 도입되는 냉매의 유량도 감소하여 크랭크실(1) 내의 압력(Pc)이 저하되므로, 가변 용량 압축기는 토출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가 항상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균형 잡힌 위치를 취하도록 작용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가 변동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변화되려고 해도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의 변화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가변 용량 압축기가 제어되므로, 결국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은 일정하게 제어되게 된다.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4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5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와 비교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1)의 구조를 변경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21)는 본체(22)에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52)와, 이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52)와 동일한 직경을 갖고, 홀더(29)에 현수되어 있는 가이드(53)에 본체(2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또한 밸브 부재(28)에 고정되어 있는 통 형상 밸브 부재(54)를 구비하고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52)를 플런저(35)에 고정된 샤프트(55)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52)는 통 형상 밸브 부재(54)와 대향하는 단부면이 깔때기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어 밸브 시트면을 구성하고, 포트(25)가 형성된 위치에 구멍(56)이 마련되어 있어 중공부를 크랭크실(1)에 연통하는 포트(25)와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메인 밸브(20)에 대해서는, 그 밸브 부재(28)는 솔레노이드 밸브(21)의 통 형상 밸브 부재(54)가 고정되고, 그 통 형상 밸브 부재(54)가 가이드(53)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본체(2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51)에 있어서도, 솔레노이드의 코일(37)에 소정의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는 솔레노이드의 흡입력과 스프링(36)이 균형 잡힌 점에서 샤프트(55)가 정지하고,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52)를 목표가 되는 토출 유량에 대응한 밸브 리프트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20)는 그 밸브 부재(28)가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실(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에 따라서 리프트되지만, 그 유량은 결국 솔레노이드 밸브(21)에 의해 설정된 냉매 유량으로 정정(整定)하도록 제어된다.
도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5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6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와 비교하여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를 본체(22)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구조를 변경하고, 또한 통 형상 밸브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의 코어(34)가 토출 압력(Pd1)의 냉매가 도입되는 포트(23)의 위치까지 도면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통 형상 밸브 부재(62)가 그 코어(34)에 의해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 통 형상 밸브 부재(62)는 그 도면의 하단부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35)가 고정되고, 도면의 상단부에는 플러그(63)가 끼움 부착되어 스프링(64)에 의해 도면의 하방으로 압박되고 있다.
그 통 형상 밸브 부재(62)의 상단부 근방에는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가 끼워 넣어져 있어, 이 통 형상 밸브 부재(62)를 가이드로서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 형상 밸브 부재(62)는 가동 밸브 시트로 하는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와 협동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부를 구성하도록 구멍(65)이 마련되고, 또한 포트(25)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도 구멍(66)이 마련되어 있다.
솔레노이드의 코어(34)에는 통 형상 밸브 부재(62)를 보유 지지하는 구멍에 병설하여 균압 구멍(67)이 마련되어, 솔레노이드의 바닥이 있는 슬리브(33) 내에 토출 압력(Pd1)을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밸브 부재(32)는 도면의 상부 방향으로 토출 압력(Pd1)이 가해지고, 하부 방향으로는 토출 압력(Pd2)이 가해진다. 밸브 부재(28)의 전후의 차압은 토출 압력(Pd1)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진퇴 방향 양단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1)의 제어 동작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61)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 51)와 마찬가지로, 가변 용량 압축기를 그 토출실(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도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6에 있어서, 도5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71)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61)와 비교하여 솔레노이드가 그 밸브 부재를 구동하는 부분을 분할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코어(34)에 지지된 통 형상 밸브 부재(72)는 포트(25)가 형성된 위치보다도 도면의 하측 중공부 내에 플러그(73)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포트(25)와 바닥이 있는 슬리브(33) 사이를 유체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플러그(73)와 플런저(35) 사이 에는 샤프트(74)가 배치되어 있고, 그 일단부는 플러그(73)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플런저(35)에 끼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런저(35)의 축선 방향의 움직임은 샤프트(74) 및 플러그(73)를 거쳐서 통 형상 밸브 부재(72)에 전달되게 된다.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71)에 있어서도, 메인 밸브(20)의 리프트량에 따라서 크랭크실(1)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고 있고, 이에 의해 가변 용량 압축기를 냉매의 토출 유량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도7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7에 있어서, 도6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81)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71)가 솔레노이드로 도입하는 압력을 메인 밸브(20)의 상류측 토출 압력(Pd1)으로 하고 있는 데 반해, 메인 밸브(20)의 하류측의 토출 압력(Pd2)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토출 압력(Pd2)을 솔레노이드의 바닥이 있는 슬리브(33) 내로 유도하기 위해 본체(22)에 균압 구멍(82)이 형성되고, 이 균압 구멍(82)에 연통되도록 코어(34)에 균압 구멍(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밸브 부재(72)는 그 진퇴 방향 양단부에 동일한 토출 압력(Pd2)이 가해지므로, 토출 압력(Pd2)이 솔레노이드 밸브(21)의 제어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도8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 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8에 있어서, 도4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91)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51)에 대해 메인 밸브(20)에 완충 수단을 추가하여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메인 밸브(20)는 컵 형상의 밸브 부재(92)를 갖고, 그 밸브 부재(92)는 홀더(29)의 내측에 오목하게 설치된 실린더(93) 내에서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92)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밸브(21)의 통 형상 밸브 부재(54)에 대해서도, 홀더(29)에 현수되어 있는 가이드(53) 내에서 그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홀더(29)의 상부 개구부는 플레이트(94)에 의해 폐지되고, 이에 의해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92)의 내측과 솔레노이드 밸브(21)의 통 형상 밸브 부재(54)의 외측 사이의 스프링(31)이 수용되어 있는 공간은 거의 밀폐된 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포트(23)로 도입되는 토출 압력(Pd1)이 급격히 변동한 경우,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92)가 급격한 압력 변동을 받아 흔들리려고 하지만, 그 밀폐된 방의 용적이 점증 및 점감함으로써 그 급격한 압력 변동이 흡수되어 급격한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부재(92)가 흔들림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9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 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9에 있어서, 도2 및 도3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0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가 솔레노이드 밸브(21)를 슬라이드 밸브로 구성한 데 반해, 포핏 밸브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01)는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도면의 상부 단부에 원뿔 형상의 밸브 부재(95)가 끼움 부착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 밸브 부재(95)는 축선 방향에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관통 구멍을 갖고, 통 형상 밸브 부재(32)의 축선 방향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92)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21)가 폐쇄되었을 때, 밸브 부재(95)가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28)에 형성된 밸브 시트에 긴밀하게 착좌할 수 있게 되므로, 이 솔레노이드 밸브(21)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적게 할 수 있다.
도10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상세를 통전시의 균형 잡힌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11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의 메인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메인 밸브의 측면도, (b)는 (a)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12는 솔레노이드의 전류에 대한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10에 있어서, 도8에 도시한 구성 요소와 동 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1)는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 51, 61, 71, 81, 91, 101)와 비교하여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 구조를 변경하고 있다.
즉, 메인 밸브(20)는 냉매 통로(26)에 형성된 밸브 시트(27)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한 밸브 부재(112)를 갖고, 이 밸브 부재(112)는 이보다 메인 밸브(20)의 밸브 구멍 내에 연장 돌출되어 있어 그 밸브 구멍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스커트부(113)와, 도면의 하단부가 솔레노이드 밸브(21)의 밸브 시트(114)를 구성하는 통 형상부(115)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부(115)는 홀더(29)에 현수되어 있는 가이드(116)가 삽입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1)는 그 밸브 시트(1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본체(22)에 보유 지지된 통 형상 밸브 부재(117)를 갖고, 이 통 형상 밸브 부재(117)는 그 중공부가 포트(25)에 연통하도록 구멍(118)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시트(114)에 대향하는 측의 통 형상 밸브 부재(117)의 선단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밸브 시트(114)와 동시에 포핏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112)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27)에 긴밀하게 착좌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119)를 갖고, 역지 밸브로서 기능할 때에 충분한 폐쇄 밸브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밸브 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13)는 주위 방향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120)을 갖고 있다. 이 슬릿(120)은 메인 밸브(20)의 축선 방향에 따라서 컷트되어 있어, 밸브 부재(112)가 냉매의 토출 압력(Pd1)에 의해 밸브 시트(27)로부터 리프트되었을 때에 리프트량에 따라서 개구 면적이 변화하는 메인 밸브(20)의 유로 면적 가변의 냉매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메인 밸브(20)의 밸브 부재(112)는 또한 스커트부(113)에 형성된 슬릿(120)의 개구 폭을 테이퍼부(119)에 근접함에 따라서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20)는 밸브 부재(112)가 밸브 시트(27)에 착좌하고 있는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하기 시작할 때에 밸브 부재(112)의 이동량에 대한 개구 면적의 변화율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111)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유량의 변화는 선형은 아니며, 밸브 부재(112)가 밸브 시트(27)로부터 리프트하기 시작한 후 슬릿(120)의 개구 폭이 변화하고 있는 영역 내에 밸브 시트(27)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전류의 증가에 대한 유량의 증가는 적고, 슬릿(120)의 개구 폭 일정한 영역 내에 밸브 시트(27)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전류에 대한 유량의 변화는 비례적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특정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를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측 냉매 통로에 설치하여 크랭크실(1)로 도입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흡입측 냉매 통로에 설치하여 메인 밸브가 흡입측 냉매 통로를 흐르는 냉매 유 량을 감지하여 크랭크실(1)로부터 흡입실로 유출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메인 밸브와 밸브부가 그 메인 밸브의 일부와 공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하였으므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메인 밸브보다도 작은 밸브부를 구동 제어하므로 안정된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변 용량 압축기는 운전중과 운전 정지시에 토출실에 큰 압력 차가 발생하여, 운전 상태에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면 그 압력 차 만큼의 압력이 토출실로 한번에 복귀되어 오는데,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 포트에 역지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는 메인 밸브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에 의해 리프트되는 역지 밸브 구조로 구성되므로, 출구 포트에 설치되는 역지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가변 용량 압축기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통과하였을 때의 냉매의 유량에 따른 리프트량의 제1 밸브 리프트로 설정되는 메인 밸브와,
    외부 신호에 의해 제2 밸브 리프트가 설정되고, 설정된 상기 제2 밸브 리프트에 대한 상기 제1 밸브 리프트와의 상대적인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2.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토출실에 접속되는 제1 포트와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 포트에 접속되는 제2 포트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냉매 통로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시트보다 하류측에서 폐쇄 밸브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부재를 갖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중공부를 갖고 한 쪽의 개구단부가 상기 제1 포트에 개구되고 다른 쪽 개구단부가 상기 가변 용량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접속되는 제3 포트에 개구되어 있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축선 방향으로 구동되는 통형 부재를 갖고,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를 가동 밸브 시트 또는 가동 밸브 부재로 간주하여 상기 통 형상 부재와 협동하여 밸브부를 구성하도록 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는 축선 방향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을 삽입 배치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이드로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일단부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슬라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는 축선 방향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통 형상 부재와 동일한 직경의 통 형상 밸브 부재가 끼워 맞추어져 있어 상기 통 형상 밸브 부재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가이드에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됨으로써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상기 제1 포트에 개구되어 있는 일단부가 깔때기 형상으로 확대된 형상을 갖는 통 형상 가동 밸브 시트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에 끼워 맞추어진 상기 통 형상 밸브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는 축선 방향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스톤을 삽입 배치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이드로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일단에 원뿔 형상의 원뿔 밸브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의 주연부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포핏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구멍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밸브의 통로를 이루는 슬릿을 갖는 원통형의 스커트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시트를 구성하는 통 형상부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통 형상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원뿔 형상의 부분이 상기 통 형상부에 대해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포핏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가 리프트하는 방향으로 개구 폭을 변동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부재는 양단이 폐지되어 있어 측면에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3 포트에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는 축선 방향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상기 통 형상 부재를 삽입 배치하여 상기 통 형상 부재를 가이드로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포트에 개구되는 개구부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밸브 부재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부재는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수용하는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내부 설치된 상기 솔레노이드의 코어에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밸브와 반대측 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부재는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수용하는 본체 또는 상기 본체에 내부 설치된 상기 솔레노이드의 코어에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밸브와 반대측 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고정된 샤프트를 거쳐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토출실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급격한 압력 변동에 대한 상기 밸브 부재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20050045374A 2004-05-31 2005-05-30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60046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2122 2004-05-31
JPJP-P-2004-00162122 2004-05-31
JP2004196230A JP4331653B2 (ja) 2004-05-31 2004-07-02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JP-P-2004-00196230 2004-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254A true KR20060046254A (ko) 2006-05-17

Family

ID=349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374A KR20060046254A (ko) 2004-05-31 2005-05-30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65853A1 (ko)
EP (1) EP1602828A2 (ko)
JP (1) JP4331653B2 (ko)
KR (1) KR20060046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00B1 (ko) * 2012-05-17 2012-06-22 주식회사 코다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6892B2 (ja) * 2005-06-08 2010-08-0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4925800B2 (ja) * 2006-11-30 2012-05-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の制御弁
JP4833820B2 (ja) * 2006-12-25 2011-12-0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容量制御弁および容量可変型圧縮機並びに空気調和装置
JP5050150B2 (ja) * 2007-10-30 2012-10-1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冷凍サイクルおよび可変容量圧縮機
JP5200214B2 (ja) * 2008-04-22 2013-06-0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
JP2010048498A (ja) * 2008-08-22 2010-03-04 Tgk Co Ltd 冷凍サイクル
CN103899528B (zh) * 2012-12-28 2017-10-03 华域三电汽车空调有限公司 电控阀
DE102018110563A1 (de) * 2018-05-03 2019-11-07 Kama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Drucks von Fluiden
KR102603184B1 (ko) 2018-12-04 2023-11-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US20220325709A1 (en) 2019-07-11 2022-10-1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EP3998401A4 (en) 2019-07-12 2023-07-1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REGULATING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285A (en) * 1983-08-16 1986-11-2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Control valve assembly
US5042448A (en) * 1990-01-10 1991-08-27 Siemens Automotive Limited Idle air bypass
US5188073A (en) * 1990-04-06 1993-02-23 Hitachi Ltd. Fluid control valve, valve support member therefor and idling air amount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using the fluid control valve
CA2107692A1 (en) * 1993-10-05 1995-04-06 Philip Sylvester Esmond Farrell Anti-g suit with pressure regulator
US5702235A (en) * 1995-10-31 1997-12-30 Tgk Company, Ltd. Capacity control device for valiable-capacity compressor
DE69824221T2 (de) * 1997-03-14 2005-06-23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Elektromagnetisches Regelventil
KR100340606B1 (ko) * 1999-09-10 2002-06-15 이시카와 타다시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제어밸브
JP2002285956A (ja) * 2000-08-07 2002-10-03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2002147350A (ja) * 2000-11-10 2002-05-22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装置
DE10063710A1 (de) * 2000-12-20 2002-07-04 Wabco Gmbh & Co Ohg Ventileinrichtung
JP4246975B2 (ja) * 2002-02-04 2009-04-0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US7063511B2 (en) * 2003-07-28 2006-06-20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00B1 (ko) * 2012-05-17 2012-06-22 주식회사 코다코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17035A (ja) 2006-01-19
JP4331653B2 (ja) 2009-09-16
EP1602828A2 (en) 2005-12-07
US20050265853A1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6254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1139062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60049566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US7644729B2 (en) Capacity control valve
JP3942851B2 (ja) 容量制御弁
JPWO2019117225A1 (ja)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JPH05288150A (ja) 電磁式制御弁
KR100726752B1 (ko) 무클러치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용량 제어 밸브
JP2005337232A (ja) 可変容量圧縮機
JP4446026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KR20040036578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60050534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2005069072A (ja) 容量制御弁
KR20030069040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제어장치
JP4130566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JP4521484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WO2020110925A1 (ja) 容量制御弁
JP4046530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JP2006125292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WO2020116435A1 (ja) 容量制御弁
JP4173073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200431642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4493480B2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の容量制御弁
JP2008175130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2023076593A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