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073A -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073A
KR20060045073A KR1020050027010A KR20050027010A KR20060045073A KR 20060045073 A KR20060045073 A KR 20060045073A KR 1020050027010 A KR1020050027010 A KR 1020050027010A KR 20050027010 A KR20050027010 A KR 20050027010A KR 20060045073 A KR20060045073 A KR 2006004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transceiver
received
re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661B1 (ko
Inventor
치유 고
준 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기, 트랜스시버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방법이다. 송신기는 제1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한다. 트랜스시버도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제1 신호를 수신기로 재전송하여, 제1 신호 및 재전송된 신호는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Description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system for of creating active multipaths for MIMO wireless systems}
도 1은 종래의 MIMO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예시적인 MIMO 채널 모델을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채널 모델을 위한 예시적인 행렬 대각화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과 관련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과 같은 다중-채널의 다중 전송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다중 데이터 스트림/경로에서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다.
무선 주파수(RF) 전송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A)로부터의 RF 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파 경로(다중경로)를 통하여 수신기(B)에 도달한다. 유해한 경로 영향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중 전송 및 수신 안테나(T)가 사용된다. 한 경로 상의 전송이 다른 경로 상의 전송의 선형 조합으로 형성되지 않을 때, 송신 및 수신 안테나 간의 전파 경로는 독립적이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다중 전송 안테나 및 다중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전송 및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각 채널은 MIMO 채널의 공간 서브채널(또는 전송 채널)이며, 차원(dimension)에 상응한다. 만약 다중 전송 및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인 차원이 활용된다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면, 증가된 전송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멀티플렉싱에는 동일한 채널 내에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경로가 있으며, 상이한 전송 안테나는 각 데이터 스트림을 위하여 사용된다. MIMO 시스템에서,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위한 공간 멀티플렉싱의 이점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선 채널은 다중경로가 풍부하며, 상호 관련이 적은 것이 요구된다.
MIMO 시스템에서 시스템 링크 로버스트니스(robustness) 및 공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접근법은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공간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한 송신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채널이 풍부한 다중 경로가 아니면 효율적이지 못하다. 다른 통상적인 접근법에서, 송신기 안테나는 수신기 안테나에서 직접적으로 방송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중경로가 풍부한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다른 통상적인 접근법에서, 수동 반사기(reflector)는 더 많은 다중경로 신호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신기 안테나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다중경로가 풍부한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다중경로가 풍부한 환경은 수동적이며, 송신기(A)로부터의 신호는 라인-오브-사이트(LOS; line-of-sight) 및 벽과 같은 물체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넌라인-오브-사이트(NLOS; non-line-of-sight)에 의해 수신기(B)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다중경로가 풍부한 채널을 위한 보장이 없으며, 그러므로, MIMO 시스템의 공간 효율은 떨어진다(채널 대역폭 및 고정된 시간 구간에서, 더 많은 비트가 전송되면, 전송 효율은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MIMO 시스템으로부터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용이하게 하는 능동 다중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MIMO 시스템으로부터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용이하게 하는 능동 다중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들을 다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 트랜스시버 및 수신기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하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더욱이,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이러한 단계는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의 상대적인 관련성을 표시하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을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호 관련성 없음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변경하고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재전송 신호가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 호의 크기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된다.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특성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된다. 더욱이, 상기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기 제1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랜덤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기 및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전송이 다중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호 및 재전송된 신호는 MIMO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전송 안테나 상에 전송되며, 수신기는 신호를 디멀티플렉스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 트랜스시버가 상기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다중 트랜스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 측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밑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MIMO 시스템으로부터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용이하게 하도록 능동 다중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많은 잠재적인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는 연결된 수요자 전자장치 및 컴퓨터를 포함한 MIMO 고속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이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도 가능하며, 회사 네트워크 내의 넷-미팅/비디오 회의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다중경로 MIMO 시스템(100)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다중 통신 디바이스(110)(예를 들면,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하며, 네트워크(100) 내의 많은 디바이스는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용량을 가지며, 다른 특정 디바이스로 신호를 재전송한다. 재전송은 예를 들면, 랜덤하게(즉, 랜덤 모드) 또는 네트워크 관리(즉, 제어된 모드)에 기초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재전송 모드가 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듯이, 다른 재전송 모드는 본 발명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기대된다.
도 2의 MIMO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이며, 디바이스(210)는 통신 디바이스(A, B, C1,...,Cn)를 포함하며, 한 예시에서, 디바이스(A)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디바이스(B)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디바이스(C1,...,Cn)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한다. 신호는 라인-오브-사이트 경로(LLOS)를 통하여 송신기(A)로부터 수신기(B)로 전송된다. 환경이 다중경로가 풍부하지 않다면, 공간 멀티플렉싱의 이점은 수신기(B)에서 획득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환경에서, n 아이들 디바이스 (C1,...,Cn)는 능동 다중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중계기(repeater)로서 이용된다. 한 예시에서, 네트워크 내의 각 디바이스(210)는 전송을 알면, 중계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디바이스(210)만이 중계기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송신기(A)로부터 수신기(B)로의 전송을 위하여, 디바이스 (C1,...,Cn)는 송신기(A)로부터 수신기(B)로 신호를 재전송하는 중계기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중계기(C1,...,Cn)는 다른 중계기에 의해서 재전송된 신호들보다 재전송된 신호 내의 상이한 특성(예를 들면, 상이한 지연, 신호 이득/세기 등)을 갖는 신호를 재전송한다.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신호의 재전송은 수신기(B)에 도달하는 신호가 더 적은 상관도를 갖게 한다.
따라서, 중계기(C1,...,Cn)는 증가된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갖는 MIMO 전송을 위한 송신기(A) 및 수신기(B)간의 통계적으로 독립 채널 및 풍부한 능동 다중경로(active multipath-rich)를 제공한다. 상이한 경로를 통하여 중계기로부터 재전송된 신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하는 위상(지연) 또는 크기를 갖기 때문에, 더 적게 상호관련된 신호는 수신기(B)에 의해 수신된다. 예를 들면, 상이한 경로(즉,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재전송된 신호의 크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시간에 변화한다. 또는, 재전송된 신호는 본질적으로 상이한 시간에 수신기(B)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능동적으로 생성된 다중경로는 두 가지 모드: 제어되 모드 및 랜덤 모드로 실현될 수 있다. 제어된 모드에서, 중계기에서 신호의 재전송은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의 제어하에 있다.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은 산업 표준 IEEE 802.11 프로토콜의 성분이다. 통상적으로, 스테이션의 MAC 프로토콜은 이러한 스테이션에 의도되지 않은 임의의 패킷을 폐기한다. 본 발명을 위하여, MAC은 "제어된 모드" 동작 동안에 패킷을 PHY 층으로 되돌려 재라우트(re-route)시키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면, 경로(Lu1)를 통하여 송신기(A)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에, 중계기(C1)는 중계기(C1)로부터 수신기(B)로의 LOS 경로(Ld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의도된 수신기(B)로 재전송한다. n개의 중계기(C1,...,Cn)를 사용하면, 송신기(A)에 의해 전송된 원래 신호의 n개의 제어된 재전송 신호는 중계기(C1,...,Cn)에 의해 생성되며, 재전송된 신호는 더 적게 상호관련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재전송된 신호의 이득 및 지연 특성은 수신기(B)로부터의 신호 품질 피드백에 기초하여 중계기(C1,...,Cn)에 의해 선택된다. 중계기(C1,...,Cn)로부터 신호가 바람직하지 않은 상관도를 가지면서 수신기(B)에 도달하면, 하나 이상의 중계기(C1,...,Cn)는 재전송 신호의 이득 및/또는 지연을 변화시키며, 그 결과 재전송된 신호는 다른 재전송된 신호에 비하여 더 적은 상관도를 가지면서 수신기(B)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수신기(B)는 n개의 능동 다중경로(Ld1...Ldn) 및 하나의 LOS 경로(LLOS)를 경험한다. 능동 다중경로는 그들 자신 및 그들의 LOS 카운터파트들이 상호관련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수신기(B)에서 수신된 강하고,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조정된 신호는 제어된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을 제공한다. 제어된 모드에서, 중계기의 PHY는 패킷을 디코드하며, 패킷을 MAC으로 전달할 것이다. 패킷이 의도되지 않고, 스테이션은 중계기로서 현재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하며, MAC은 공중망을 통하여 되돌려 전송되기 전에 이득 및 지연의 특정값이 도입된 PHY로 되돌려 재-라우트될 것이다.
랜덤 모드에서, n개의 중계기(C1,...,Cn)가 송신기(A)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송할 때, n개의 중계기(C1,...,Cn)는 채널 특성/프로파일(예를 들면, 이득, 지연 등)이 랜덤하게 할당된다. 이와 같이,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재전송 신호는 수신기(B)에 의해 수신되며,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은 증가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된 모드에서, 수신기(B)로부터 중계기(C1,...,Cn)로의 피트백은 수신기(B)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며, 하나 이상의 중계기(C1,...,Cn)는 수신기(B)에 의해 수신된 재전송된 신호간의 더 적은 상관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신호 재전송 특성(예를 들면, 지연, 이득/크기 등)을 변화시킨다. 랜덤 모드에서, 중계기의 PHY는 임의의 디코딩없이 공중망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재전송할 것이다. 즉, 리플렉터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된 모드나 랜덤 모드에서, 각각의 중계기(C1,...,Cn)가 송신기(A)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는 재-전송 신호 내에 지연을 삽입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바와 같이, 재전송 전에 신호를 증폭시킨다. 재전송된 신호가 상이한 시간에서 수신기(B)에 의해서 수신되기 때문에, 재-전송시 지연은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들 사이의 상관도의 부족을 초래한다. 유사하게, 재전송된 신호들은 상이한 전력 크기를 갖기 때문에, 증폭은 수신기(B)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간의 상관도의 부족을 초래한다. 신호들을 상호관련성 없게 만드는 다른 방법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조정된(coordinated)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의 회전을 포함한다.
MIMO 시스템에서 루틴 절차로서, 어떤 중계기(C1,...,Cn)가 어떤 신호를 전송하는지를 수신기(B)가 알 수 있도록, 수신기(B)는 중계기(C1,...,Cn)의 채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조작된다. 이와 같이, 수신기(B)가 중계기(C1)의 미리-인지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중계기(C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기(B)는 중계기(C1)(예를 들면, 제1 안테나)로부터 온 신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수신기(B)가 중계기(C2)의 미리-인지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중계기(C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기(B)는 중계기(C2)(예를 들면, 제2 안테나)로부터 온 신호를 인식한다. 수신기(B)는 신호를 디코딩하며, 다양한 중계기(C1,...,Cn) 사이를 구별한다(이는 수신기(B)에서 멀티플렉싱이 어떻게 수행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B)가 송신기(A) 및 중계기(C1,...,Cn)로부터 수신한 모든 신호를 더 잘 구별할 수 있도록, 중계기(C1,...,Cn)는 송신기(A)로부터 수신기(B)로 신호를 재전송한다.
MIMO 시스템(100)이 조작될 때, 수신기(B)는 중계기(C1,...,Cn) 및 송신기(A)의 채널 H 프로파일을 수신하며, 채널 행렬(이하의 도 3A-3B에서 상세히 설명) 을 실행한다. 채널 행렬에 기초하여, 수신기(B)는 수신된 신호들이 상호 관련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랜덤 모드에서, 중계기는 수신기(B)로의 신호 재전송을 위하여 채널 프로파일을 랜덤하게 변화시킨다. 제어된 모드에서, 수신기(B)는 수신된 신호들이 상호 관련되는지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중계기(C1,...,Cn)로 제공하며, 그 결과 중계기는 상관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채널 프로파일을 변화시킨다(예를 들면, 지연 변화, 신호 크기 변화). 수신기(B) 및 중계기(C1,...,Cn)는 (피드백을 이용하여) 그들끼리 통신하며, 재전송된 신호를 더 적은 상관도를 갖도록 만들기 위하여 채널 프로파일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결정한다. 수신기(B)는 수신된 신호가 수용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확인을 각각의 중계기(C1,...,Cn)에 전송하여, 중계기는 채널 프로파일(예를 들면, 지연, 이득 등)을 변화시키고, 수신기(B)가 수신된 신호가 수용가능한 것을 확인할 때까지 신호를 수신기(B)로 재전송할 수 있다. 조정(coordination)은 수신기(B)와 각각의 중계기(C1,...,Cn)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중계기(C1,...,Cn)는 서로 인지하지 못한다. 지연의 길이 및 이득의 양은 수신기로부터의 채널 상관도에 대한 피드백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송신기(210)(예를 들면, 도 2의 송신기(A) 및 중계기(C1,...,Cn)) 및 4개의 안테나(T1...T4)를 갖는 수신기(220)(예를 들면, 도 2의 수신기(B))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MIMO 시스템(200)에서, 채널 모델은 수신기(220)에서 행렬(H)에 의해 표현된다. 만약 강인한/호환성(compatible) 신호가 수신된다면, 행렬은 분해되고, 채널 행렬은 대각화/역변환(inversion)에 의해 대각 행렬(H')로 변환되며, 대각 행렬은 이득이 증가되도록 하는 가상 다중-채널을 표현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4×4 행렬이 이용된다면, 4개의 가상 채널이 있다. 도 3B는 3×3 행렬 채널 모델을 위한 예시적인 대각화를 도시한다. 수신된 신호의 채널 특성 및 디코딩에 기초하여, 채널 역변환이 수행될 때, 다중 채널이 비교적 독립적이라면, 수신된 신호를 위한 다중 독립 경로가 있으며,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4×4의 경우, 최대 처리량은 단일 안테나 시스템 처리량의 4배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중계기(C1,...,Cn)는 LOS 또는 다른 방식(예를 들면, 다른 중계기를 통한 벽 반사 제거 등)에 의해 송신기(A)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LOS에 의해 송신기(A)로부터 송신기(B)로의 전송은 한 경로이며, 각 중계기를 통한 송신기(A)로부터 송신기(B)로의 전송은 다른 경로이다. 더욱이, 도 4에서 예시적인 MIMO 시스템(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A)로부터 수신기(B)로의 각 경로는 2개 이상의 중계기(C1,...,Cn)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4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다수의 중계기(C1,...,Cn)는 신호간의 더 적은 상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들 간에 통신하며, 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그들의 채널 프로파일 수정을 일치시킬 수 있다. 중계기간의 동기화는 수신기(B)로부터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다. 수신기(B)는 각 중계기의 이득 및 지연을 미리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하나 이상의 중계기(C1,...,Cn)(도 2)는 랜덤 모드에서 동작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는 제어된 모드에서 동작한다. 더욱이, 제어된 모드에서 동작하는 2개 이상의 중계기는 논의된 바와 같이 그들의 채널 프로파일 수정을 일치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통신 디바이스를 중계기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MAC 프로토콜 및 물리층은 변화되며, 그 결과 중계기가 수신기를 위하여 의도된 신호를 수신할 때, 중계기는 의도된 수신기를 위한 신호를 재전송한다. MAC 프로토콜은 하나(즉, 말하기전 듣기)에 기초한 CSMA/CA이므로, 패킷이 스테이션을 위해 의도되지 않는다면, 다른 스테이션을 위한 중계기로서 동작할 것이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채널 특성을 할당하는 다른 방법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해서 고려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특정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른 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주는 여기에 포함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채널은 다중경로가 풍부하며, 상호 관련성이 적게 되어, MIMO 시스템에서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위한 공간 멀티플렉싱의 이점이 실현된다.

Claims (40)

  1. 송신기, 트랜스시버 및 수신기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하며,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전송이 다중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의 상대적인 관련성을 표시하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을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호 관련성 없음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변경하고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재전송 신호가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특성을 랜덤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기 제1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랜덤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중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각 트랜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전송이 다중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및 재전송된 신호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MIMO 통신 시스템 내의 복수의 전송 안테나 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의 상대적인 상호 관련성을 표시하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을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만약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호 관련성 없음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변경하고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재전송 신호가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랜덤하게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 는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기 제1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랜덤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특성의 변경을 조정(coordinat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 트랜스시버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제1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며,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삽입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 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의 전송은 다중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변경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상기 재전송된 신 호와 상기 제1 신호의 상대적인 상호 관련성을 표시하는 피드백을 상기 트랜스시버로 전송하며, 그리고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을 결정하며, 만약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호 관련성 없음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변경하고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랜덤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신호 특성을 랜덤하게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랜덤하게 삽입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다중 트랜스시버를 더 포함하며, 각 트랜스시버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수신기로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각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각 트랜스시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전송은 다중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신호 및 재전송된 신호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MIMO 통신 시스템 내의 복수의 전송 안테나 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각 트랜스시버는 변경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상기 재전송된 신호와 상기 제1 신호의 상대적인 상호 관련성을 표시하는 피드백을 상기 트랜스시버로 전송하며, 그리고
    각 트랜스시버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을 결정하며, 만약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가 상호 관련성 없음이 충분 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변경하고 재전송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각 트랜스시버는 재전송 전에 상기 제1 신호의 크기를 랜덤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후에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각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로부터 상기 제1 신호의 재전송시 시간 지연을 랜덤하게 삽입함으로써 상기 신호 특성을 변경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신호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상기 트랜스시버에서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특성의 변경을 조정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재전송된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관련성이 없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50027010A 2004-09-10 2005-03-3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KR100788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38,374 2004-09-10
US10/938,374 US7613423B2 (en) 2004-09-10 2004-09-10 Method of creating active multipaths for mimo wireless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73A true KR20060045073A (ko) 2006-05-16
KR100788661B1 KR100788661B1 (ko) 2007-12-26

Family

ID=3603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10A KR100788661B1 (ko) 2004-09-10 2005-03-3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13423B2 (ko)
EP (1) EP1787405A1 (ko)
JP (1) JP2008512930A (ko)
KR (1) KR100788661B1 (ko)
CN (1) CN101019341A (ko)
RU (1) RU2007108553A (ko)
WO (1) WO20060283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26B1 (ko) * 2007-10-22 2010-10-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협동 전송에서의 전송 성능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509B2 (en)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10931338B2 (en) 2001-04-26 2021-02-23 Genghiscomm Holdings, LLC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s
US10355720B2 (en) 2001-04-26 2019-07-16 Genghiscomm Holdings, LLC Distributed software-defined radio
US9819449B2 (en) * 2002-05-14 2017-11-14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subspace demultiplexing in content delivery networks
IT1403065B1 (it) 2010-12-01 2013-10-04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US8396368B2 (en) * 2009-12-09 2013-03-12 Andrew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US9628231B2 (en) 2002-05-14 2017-04-18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US10644916B1 (en) 2002-05-14 2020-05-05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WO2005034554A1 (ja) * 2003-10-02 2005-04-14 Fujitsu Limited リピータ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11184037B1 (en) 2004-08-02 2021-11-23 Genghiscomm Holdings, LLC Demodulating and decoding carrier interferometry signals
US11552737B1 (en) 2004-08-02 2023-01-10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MIMO
US11381285B1 (en) 2004-08-02 2022-07-05 Genghiscomm Holdings, LLC Transmit pre-coding
CN1842988B (zh) * 2004-09-17 2011-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传输系统和无线传输方法以及用于其中的无线站点和发送站
US9246560B2 (en) *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446892B2 (en)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65194B2 (en) *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2859B2 (en) 2005-06-0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phere decoding apparatus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8599945B2 (en) 2005-06-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rank prediction for a MIMO system
US8493942B2 (en) * 2005-08-01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4292B2 (en) 2005-08-2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6974B2 (en) *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2509B2 (en) 2005-10-27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US8477684B2 (en) 2005-10-27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of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8384B2 (en) *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82548B2 (en) 2005-11-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831607B2 (en) 2006-01-05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other sector communication
WO2007114049A1 (ja) * 2006-03-29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伝送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局及び方法
CN101047419B (zh) * 2006-06-21 201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转发网络中转发数据的方法及装置
WO2007149047A1 (en) * 2006-06-23 2007-12-27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KR100930524B1 (ko) * 2007-01-09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877514B2 (en) * 2007-05-03 2011-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ime-constrained transmission of video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88610B2 (en) * 2007-05-16 2013-07-1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acket in a wireless multicast and broadcast communication network
US7969921B2 (en) * 2007-08-29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ata packet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075947B1 (en) * 2007-12-28 2010-07-07 Alcatel Lucent Virtual MIMO system method and base station
WO2010105700A1 (en) * 2009-03-19 2010-09-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mo transceiver controlling a repeater according to performance parameters
IT1398025B1 (it) 2010-02-12 2013-02-07 Andrew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communications.
EP2622757B1 (en) 2010-10-01 2018-11-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CN103684524B (zh) * 2013-12-13 2016-07-06 北京邮电大学 一种采集数据与参数特征融合的识别方法
US10948566B1 (en) * 2015-01-23 2021-03-16 Oceanit Laboratories, Inc. GPS-alternative method to perform asynchronous positioning of networked nodes
US10637705B1 (en) 2017-05-25 2020-04-28 Genghiscomm Holdings, LLC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multiple access
US10243773B1 (en) 2017-06-30 2019-03-26 Genghiscomm Holdings, LLC Efficient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and MIMO-OFDM
WO2020154550A1 (en) 2019-01-25 2020-07-30 Genghiscomm Holdings, LLC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US11343823B2 (en) 2020-08-16 2022-05-24 Tybalt, Llc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WO2020242898A1 (en) 2019-05-26 2020-12-03 Genghiscomm Holdings, LL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77C (zh) * 1993-08-06 2001-07-11 Ntt移运通信网株式会社 扩频通信的接收机和中继器
US6377636B1 (en) * 1999-11-02 2002-04-23 Iospan Wirless, Inc.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oordinated transmission and training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S7197282B2 (en) * 2001-07-26 2007-03-27 Ericsson Inc. Mobile station loop-back signal processing
JP4052835B2 (ja) * 2001-12-28 2008-0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地点中継を行う無線伝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無線装置
US7072628B2 (en) * 2002-04-05 2006-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ceive diversity in mobile station
PL1627511T3 (pl) * 2003-05-28 2008-07-31 Ericsson Telefon Ab L M Sposób i struktura bezprzewodowej sieci telekomunikacyjnej wykorzystującej przekazywanie kooperacyjne
US7580672B2 (en) * 2003-06-27 2009-08-25 Qualcomm Incorporated Synthetic path diversity rep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26B1 (ko) * 2007-10-22 2010-10-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협동 전송에서의 전송 성능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2930A (ja) 2008-04-24
EP1787405A1 (en) 2007-05-23
KR100788661B1 (ko) 2007-12-26
US7613423B2 (en) 2009-11-03
US20060057958A1 (en) 2006-03-16
CN101019341A (zh) 2007-08-15
WO2006028352A1 (en) 2006-03-16
RU2007108553A (ru) 200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661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KR101432004B1 (ko) 고정 인프라구조 기반의 중계기를 갖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커버리지 향상
Zhang et al. Full-duplex transmission in PHY and MAC layers for 5G mobile wireless networks
US7809072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e in a relay network, an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same
EP1650883A2 (en) Method for transmission scheme selection based on the number of antennas and the data rate
JP3993214B2 (ja)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
TWI382689B (zh) 無線通信中用於交互校準之方法及裝置
KR20180101372A (ko) 무선 통신들 및 업링크 멀티-사용자 mimo에서 스트림 당 및 안테나 당 사이클릭 시프트 지연
KR101441431B1 (ko)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JP3563421B2 (ja) 無線通信装置
Li et al. Multi-user medium access contro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737455B2 (en) Method of selecting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ng network f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JP20032440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099386B (zh) 一种认知网络中不依赖非因果信息的无线中继方法
Riah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random access methods for wireless systems
JP2005341344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Masri et al. Distributed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secondary overlay access in cognitive radio networks
Lin et al.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random access wireless networks
Yackoski et al. Realistic evaluation of cooperative relaying networks using decentralized distributed space-time block coding
WO2012050095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Oh et al. MIMO-CAST: A cross-layer ad hoc multicast protocol using MIMO radios
Tran et al. MIMO network coding-based PHY/MAC protocol for replacement of CSMA/CA in efficient two-way multihop relay networks
Chen Full Duplex Relay Clusters
Qureshi et al. Joint Network Coding for interfering wireless multicast networks
Gkelias et al. Wireless multi-hop CSMA/CA with cross-optimised PHY/MA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