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544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544A
KR20060043544A KR1020050019390A KR20050019390A KR20060043544A KR 20060043544 A KR20060043544 A KR 20060043544A KR 1020050019390 A KR1020050019390 A KR 1020050019390A KR 20050019390 A KR20050019390 A KR 20050019390A KR 20060043544 A KR20060043544 A KR 20060043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image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842B1 (ko
Inventor
유우이찌 기지마
시게미 히라사와
히로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6004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01R1/07328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전방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의 휨 방지와 양 기판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복수 부재의 조합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의 기밀 접합의 확보를 도모하고, 표시 화상의 대화면화를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기밀 유지 기능을 향상시킨 화상 표시 장치를 얻기 위해,
전방면 기판(2)과 배면 기판(1) 사이에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개재 삽입된 지지체(13)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13X1 내지 13Y2)의 각각에 설치한 결합부(13X11 내지 13Y21)를 대략 직교하도록 조합하여 우물 정(井)자 형상의 조립체로 하고, 이 지지체(13)의 상기 표시 영역과 반대측에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선단부(13X12 내지 13Y22)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32)를 설치하였다.
선단부, 돌출부, 전방면 기판, 배면 기판, 결합부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전개 사시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4는 도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2의 다른 주요부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6은 도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막대 형상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도11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13은 도11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막대 형상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평면도.
도18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19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전개 사시도.
도20의 (a) 및 도20의 (b) 및 도20의 (c)는 도19에 도시한 종래의 지지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면 기판
2 : 전방면 기판
3X1, 3X2, 3Y1, 3Y2, 3C1 내지 3C4 : 벽 부재
13, 23, 83, 93 : 지지체
13X1, 13X2, 13Y1, 13Y2, 23X1, 23X2, 23Y1, 23Y2, 53X1, 73X1, 73X11, 73Y1, 83X1, 83X2, 83Y1, 83Y2, 93X1, 93X2, 93Y1, 93Y2 : 막대 형상 부재
94 : 접착재
131, 231, 831 : 프레임부
132, 232, 832 : 돌출부
BH : 바닥면
UH : 하면
SL1 : 내측면
SL2 : 경사면
VL : 중심축
TH : 천정면
53X13 : 경계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8761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1630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4329호 공보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밀폐 공간을 둘러싼 지지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휘도 및 고정세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종래부터 컬러 음극선관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 처리 장치나 텔레비전 방송의 고화질화에 수반하여, 고휘도 및 고정세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경량이면서 공간 절약의 화상 표시 장치인 평판상 디스플레이(패널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패널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패널 디스플레이 중, 특히 고휘도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전계(전자) 방출형 표시 장치나 저소비 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식의 패널 디스플레이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형 표시 장치 중,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의 2매의 기판 사이의 밀폐 공간을 외계의 기압보다 저압, 혹은 진공으로 한 표시 장치에서는, 2매의 기판 사이의 간극을 소정치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밀폐 공간을 둘러싸고 기밀을 유지하는 지지체가 배치되어 있다.
도18은 이미 알려진 전계 방출형 화상 표시 장치의 일구성예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18에 있어서, 전계 방출형 화상 표시 장치는 배면 기판(1)과, 이 배면 기판(1)과 대향하는 전방면 기판(2)을 내주연부에 일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3)를 개재 삽입하여 밀봉 부착 부재(4)로 밀봉하고, 이 지지체에 둘러싸인 표시 영역이 되는 내부 공간을 외계의 기압보다 저압 또는 진공 상태로 유 지하여 구성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배면 기판(1)의 내면에 전계 방출형 전자원(5)과 제어 전극 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전방면 기판(2)의 내면에는 양극과 형광체층(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7은 스페이서이며, 이 스페이서(7)는 상기 표시 영역의 양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배면 기판(1)은 유리 또는 세라믹스 등을 적합하게 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전방면 기판(2)은 유리 등의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3)는 유리 또는 세라믹스 등을 적합하게 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과의 내주연에 프릿(frit) 유리 등의 밀봉 부착 부재로 고정 부착된다.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과 지지체(3)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예를 들어 10-5 내지 10-7 Torr의 진공도로 배기된다. 또한 상기 전자원(5)은, 예를 들어 카본 나노 튜브(CNT),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 또는 그 밖의 전계 방출 캐소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양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지지체는, 전술한 일체 구성의 것과 도19에 일예를 도시한 복수의 벽 부재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도19는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표시 장치의 설명도로,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 및 지지체(3)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전개 사시도이다.
이 도19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서는,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은 유리 판, 지지체(3)는 유리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의 각 내면에 형성되는 각종 구성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9에 있어서,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의 주연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체(3)를 개재시켜, 밀봉 부착 부재에 의해 일정한 간극을 두고 고정하여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지체(3)는 복수의 벽 부재(3X1, 3X2, 3Y1, 3Y2, 3C1 내지 3C4)로 분할되어 있다.
각 벽 부재(3X1, 3X2, 3Y1, 3Y2, 3C1 내지 3C4)가 서로 인접하여 걸어 맞추어지는 부분의 각각에 경사면(3P)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3P)에 세운 법선과 배면 기판(1) 또는 전방면 기판(2)에 세운 법선의 교차 각도를 예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20의 (a), 도20의 (b) 및 도20의 (c)는 도19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평면 및 2개의 측면을 도시한 3면도이고, 도20의 (a)는 평면도, 도20의 (b)는 짧은 변측 측면도, 도20의 (c)는 긴 변측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면 중의 부호는 도19와 동일 부분에 대응한다.
도20의 (a), 도20의 (b) 및 도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지지체(3)는 2개의 긴 변 벽 부재(3X1과 3X2), 2개의 짧은 변 벽 부재(3Y1과 3Y2) 및 4개의 코너 벽 부재(3C1, 3C2, 3C3, 3C4)로 분할되고, 각 경사면(3P)에서 서로 접착되어 지지체(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전자 방출 소자를 내포하는 제1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를 내포하는 제2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복수개의 판상 부재를 직사각형으로 배열하여 위치 결정 고정하고, 각각의 접촉 부분을 버너로 가열하여 녹이고 용착하여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전방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측벽이 설치되어 있고, 이 측벽과 전방면 기판과의 사이의 밀봉 부착면에는 금속 밀봉 부착 재료의 기초층과 인듐층이 적층 배치되고, 이 기초층과 인듐층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밀봉 부착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진공 분위기 중에서 인듐을 가열 용융하여 양 기판을 서로 밀봉 부착할 때, 잉여의 금속 밀봉 부착 재료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로 유도하여 잉여의 금속 밀봉 부착 재료가 전자원이나 배선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2매의 유리판을 일체 구조의 프레임형 지지체를 거쳐서 접착 고정하는 것에서는, 표시 장치가 대형화(대화면화)된 경우에 취급시에 지지체가 파손되기 쉽고, 또한 그 재료 취득에 낭비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고가가 되어 버린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도1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를 복수의 부재로 분할하여 조합 접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 조합 접착은 전술한 일체 구조의 프레임형 지지체에 비해 파손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재료 취득의 점에서도 낭비의 발생도 회피할 수 있어 저렴하다는 등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양 기판과 지지체를 밀봉 부착 부재를 거쳐서 밀봉 부착할 때, 양 기판에 각각 판면에 수직 방향(Z 방향)으로 가중을 가하지만, 이 가압 접착시에 상기 지지체의 각 분할 부재의 접합 부분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X 및 Y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그의 사용이 필요해진다.
또한, 밀봉 부착 후 배기 공정에서도 상기 지지체의 각 분할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지그의 재사용이 필요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소하는 것이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과제 중 하나로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복수의 판상 부재를 직사각형으로 배열하여 위치 결정 고정하고, 각각의 접촉 부분을 버너로 가열하여 녹이고 용착하여 지지체를 형성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용착에 수반하는 변형의 발생과 그 정형 공정이 필수가 되는 것 및 버너 가열에 의한 작업 환경의 문제, 또는 작업 효율의 점 등으로부터 그 채용이 경원되어, 접착재에 의한 고정의 방법이 상용되고 있다.
또한,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는 상기 지지체의 두께에 대략 동일한 간극이 존재하지만, 이 영역의 간극이 기판의 휨을 조장하는 요인이 되어 그 해결이 과제가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지체의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누설의 발생이 억제되어 원하는 고품위 표시가 가능하고, 게다가 표시 화상의 대화면화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지지체의 돌출 일부가 개재됨으로써,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접합함으로써 우물 정자 형상의 선단부 부분이 돌출부가 되고, 이 돌출부가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개재되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물 정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합된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어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우물 정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므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막대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친 결합부를 가짐으로써 이 결합부보다 선단부의 부분을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개재시킬 수 있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확실한 기밀 유지와 변위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X 및 Y 양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오목부와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의 형성이 용이하고 저렴하며, 또한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밀봉 부착부가 존재하게 되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양 기판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지지체의 상기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을 기술한다.
양극 및 형광체를 내면에 갖는 전방면 기판과, 복수의 전자원을 내면에 갖고 상기 전방면 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배면 기판과, 상기 전방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과의 사이에서 표시 영역을 주회하여 개재 삽입되고, 상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단부면과 상기 전방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을 각각 밀봉 부착 부재를 거쳐서 기밀 밀봉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각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체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접합하고, 이 접합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떨어진 부위에 접합부가 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X 및 Y 양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오목부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대략 각진 구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돌출부에 밀봉 부착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밀 유지 기능이 우수해 고품위 표시가 가능하고, 게다가 대화면화도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 및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을 전계 방출형 표시 장치(FED)에 적용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동일한 표시 장치 혹은 유사한 기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설명도로, 배면 기판과 전방면 기판 및 지지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전개 사시도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은 유리판, 지지체(13)는 유리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의 각 내면에 형성하는 전자원이나 형광체층 등의 각종 구성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에 있어서, 배면 기판(1)과 전방면 기판(2)의 주연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체(13)를 개재시키고, 밀봉 부착 부재에 의해 일정한 간극을 두고 고정하여 내부에 표시 영역이 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체(13)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13X1, 13X2, 13Y1, 13Y2)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 치수의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부(131)와 그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132)를 갖는 구성이 되고, 그 높이는 전면 균일하게 되어 있다.
각 막대 형상 부재(13X1 내지 13Y2)는 조합되는 막대 형상 부재와의 걸어 맞춤부에 각각 후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3X11, 13X21, 13Y11 및 13Y21)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합부에서 예를 들어 프릿 유리와 같은 접합재로 서로 접착 고정하고 있다.
또한, 각 막대 형상 부재(13X1 내지 13Y2)는 각 결합부로부터 선단부측에, 전술한 돌출부(132)가 되는 선단부(13X12, 13X22, 13Y12 및 13Y2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2는 도1의 지지체(13)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도면 중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2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13Y2)는 폭(W1), 높이(h1)이며, 장축(CL)과 직교하는 단면을 대략 육각 형상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이와 직교하여 배치되어 접착 고정된 막대 형상 부재(13X1)는 폭(W2), 높이(h2)이며, 동일하게 단면은 대략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막대 형상 부재(13Y2) 및 막대 형상 부재(13X1)는, 각각 양단부 근방에 설치한 결합부(13Y21, 13X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13Y22, 13X12)의 길이를 각각 L1, L2로 하여 돌출부(132)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폭(W1, W2) 상호의 치수, 높이(h1, H2) 상호의 치수 및 선단부 길이(L1, L2) 상호의 치수는 각각 동일 치수라도, 혹은 다른 치수라도 좋고, 이는 다른 막대 형상 부재(13Y1, 13X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1 종류의 형상 치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4개 조합하여 이용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이들 막대 형상 부재의 조합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의 높이는 전면 균일이 바람직하고, 큰 단차를 갖는 구성에서는 누설 발생의 우려가 있다.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결합부(13Y2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 도, 도4는 도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면 중 도1 및 도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3 및 도4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13Y2)의 결합부(13Y21)는 막대 형상 부재의 천정면(TH)에 장축(CL)과 평행 방향에 폭(W11)의 개구를 갖고, 그곳으로부터 막대 형상 부재의 하면(UH) 방향을 향해 깊이(h11)까지 신장하여 상기 장축(CL)과 교차하는 한 쌍의 경사진 내측면(SL1)이 바닥면(BH)에서 종단한 대략 역사다리꼴의 오목부(13Y23)와, 이 오목부(13Y23)의 바닥면(BH)으로부터 하면(UH)까지 신장하여 상기 경사진 내측면(SL1)과 대략 직교하고, 또한 막대 형상 부재의 수직 중심축(VL)을 협지하여 대략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경사면(SL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3Y23)의 깊이(h11)는 막대 형상 부재의 높이(h1)의 대략 절반으로 설정되고, 나머지는 경사면(SL2)의 수직 중심축(VL)과 평행 방향의 높이(h1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 폭(W11)은 조합되는 막대 형상 부재(13X1)의 폭(W2)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W12는 경사면(SL2)의 하면(UH)측의 폭, W13은 바닥면(BH)의 폭을 나타낸다.
도5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결합부(13X1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도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5 및 도6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13X1)의 결합부(13X11)는 상기 막대 형상 부재(13Y2)의 결합부(13Y21)에 직교 배치하였을 때, 대략 정확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결합부(13X11)는 천정면(TH)에 장축(CL)과 평행 방향에 폭(W22)의 개구를 갖고, 그곳으로부터 하면(UH) 방향을 향해 깊이(h21)까지 신장하여 상기 장축(CL)과 교차하는 한 쌍의 경사진 내측면(SL3)이 바닥면(BH)에서 종단된 대략 사다리꼴의 오목부(13X13)와, 이 오목부(13X13)의 바닥면(BH)에서 하면(UH)까지 연속하여 신장하고, 상기 경사진 내측면(SL3)과 대략 직교하고, 또한 막대 형상 부재의 수직 중심축(VL)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경사면(SL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진 내측면(SL3)을 갖는 오목부(13X13)는 상기 도3의 경사면(SL2)과 대응하고, 또한 상기 경사면(SL4)은 상기 도3의 상기 제1 경사진 내측면(SL1)을 갖는 상기 오목부(13Y23)와 각각 대응하여 접착 고정된다.
상기 오목부(13X13)의 깊이(h21)는 막대 형상 부재의 높이(h2)의 대략 절반으로, 상기 도4의 경사면(SL2)의 수직 중심축(VL)과 평행 방향의 높이(h12)와 대략동일 치수로 설정되고, 나머지는 경사면(SL4)의 수직 중심축(VL)과 평행 방향의 높이(h2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 폭(W22)은 조합되는 막대 형상 부재(13Y2)의 폭(W1)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W21은 경사면(SL4)의 하면(UH)측의 폭, W23은 바닥면(BH)의 폭을 각각 나타낸다.
이 구성이면, 결합부가 정상면에 개구를 갖는 오목부와 경사면 조합의 이차원 결합이 되고,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접착 고정이 확실해지는 동시에 접합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어, 기밀 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체가 표시 영역과 반대측의 각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 상호가 결합면에서 이차원으로 고정되므로, 지지체 자체의 조립, 지지체와 양 기판의 밀봉 부착시, 또는 배기 공정 등의 일부 혹은 전부로 지지체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지그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기밀 유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지지체의 평면도, 도8은 도7의 결합부의 사시도로, 이들 도7 및 도8 중 전술한 도1 내지 도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7 및 도8에 있어서, 지지체(23)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23X1, 23X2, 23Y1, 23Y2)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고,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 치수의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부(231)와 그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232)를 갖는 구성으로 되고, 그 높이는 전면 균일하게 되어 있다.
각 막대 형상 부재(23X1 내지 23Y2)는, 조합되는 막대 형상 부재와의 걸어 맞춤부에 각각 도8에 도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동일 형상의 결합부(23Y11)를 구비하고 있고, 이 결합부(23Y11)에서 예를 들어 프릿 유리와 같은 접합재로 서로 접착 고정하고 있다.
또한, 각 막대 형상 부재(23X1 내지 23Y2)는 각 결합부로부터 선단부측에, 전술한 돌출부(232)가 되는 선단부(23X12, 23X22, 23Y12 및 23Y2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결합부(23Y1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23Y1)는 폭(W3), 높이(h3)를 갖고 그 결합부(23Y11)는 막대 형상 부재(23Y1)의 천정면(TH)에 장축(CL)과 평행 방향에 폭(W31)의 개구를 갖고, 그곳으로부터 하면(UH) 방향을 향해 상기 폭(W31)과 동일 치수로 깊이(h3/2)까지 신장하여 바닥면(BH)에서 종단된 대략 각진 구멍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폭(W3)과 높이(h3)는 동일 치수의 구성도 가능하다.
본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결합부 형상이 단순하고 형성이 용이한 동시에, 이차원 결합이 되어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접착 고정이 확실해진다.
또한, 지지체가 표시 영역과 반대측의 각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막대 형상 부재의 결합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상술한 도1 내지 도8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9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33Y1)는 폭(W4) 및 높이(h4)를 갖고, 그 결합부(33Y11)는 막대 형상 부재(33Y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33Y11)는 막대 형상 부재(33Y1)의 길이 방향 단부면(33Y12)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길이(L4)까지를 상기 폭(W4)의 절반의 두께로 한 제1 박육부(33Y13)와, 또한 그 내측에 길이(L5)에 걸쳐 상기 높이(h4)의 절반까지의 부분을 상기 제1 박육부(33Y13)와 동일 두께로 한 제2 박육부(33Y14)를 갖고, 단차부 (33Y15)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박육부(33Y13)의 길이 방향의 길이(L4)를 높이(h4)보다 큰 값으로 하고, 상기 제1 박육부(33Y13)의 일부를 지지체의 돌출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차부(33Y15)의 길이(L5)는 기밀 유지를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폭(W4)과 높이(h4)를 동일 치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3 실시예의 구성이면, 결합부 자체의 형성이 용이한 동시에, 단차부를 설치함으로써 접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기밀 유지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막대 형상 부재의 결합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9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0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43Y1)는 폭(W5) 및 높이(h5)를 갖고, 그 결합부(43Y11)는 막대 형상 부재(43Y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43Y11)는 막대 형상 부재(43Y1)의 길이 방향 단부면(43Y12)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길이(L4)까지를 상기 도9의 제1 박육부(33Y13)와 마찬가지로 폭(W5)의 절반의 판 두께로 한 제1 박육부(43Y13)와, 또한 그 내측에 길이(L5)에 걸쳐 상기 도9의 단차부(33Y15)와 동일한 단차부(43Y14)를 갖는 제2 박육부(43Y15)를 구비하고, 덧붙여 이 단차부(43Y14)에 연속하여 그 내측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 단차부(43Y16)를 갖는 제3 박육부(43Y17)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사 단차부(43Y16)의 천정면(TH)측의 제3 박육부(43Y17)는 상기 제1 박 육부(43Y13)와 동일 판 두께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43Y14)의 하면(UH)측이 높이(h5)의 절반까지의 부분에서 상기 폭(W5)과 동일 두께로 되어 있지만 이는 상기 도9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폭(W5)과 높이(h5)를 동일 치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4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단차부에다가 경사면의 존재에 의해 접합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어 기밀 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제5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막대 형상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12는 도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13은 도1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1 내지 도13에 있어서, 이 막대 형상 부재(53X1)의 길이 방향 양단부(53X11)는 장축(CL)에 직교하는 단면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중앙부(53X12)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부호 53X13은 경계부이다.
이 막대 형상 부재(53X1)에서는, 예를 들어 다른 막대 형상 부재(53Y1)와의 조합에서는, 결합부는 상기 경계부(53X13)로부터 양단부(53X11)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결합부가 되는 양단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접합 면적이 길게 취해져 접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막대 형상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4에 있어서, 이 막대 형상 부재(63Y1)는 장축(CL)에 직교하는 단면을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이면, 하면(UH)을 기판과 대면하는 배치로 하고, 정상면(TH)측에 결합부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판과의 접합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막대 형상 부재의 결합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4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5에 있어서, 막대 형상 부재(73X1)의 결합부(73X11)와 이와 직교하는 막대 형상 부재(73Y1)의 결합부(73Y11)는 완만한 곡면의 접합면을 각각 갖고 있다.
즉, 막대 형상 부재(73X1)의 결합부(73X11)는 완만한 볼록 곡면(73X12)과 박육부(73X13)를 갖고 이 박육부(73X13)의 일부를 돌출부로 하고 있다.
한편, 막대 형상 부재(73Y1)의 결합부(73Y11)는 상기 볼록 곡면(73X12)과 대략 동일한 완만한 오목 곡면(73Y12)을 구비하고, 이 오목 곡면(73Y12)과 상기 볼록 곡면(73X12)을 대면시켜 접착재로 접착 고정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 상기 요철 곡면은 양 곡면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상기 접착재가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곡면으로 설정된다.
본 구성에서는 결합부가 완만한 곡면 부분을 가지므로, 결합부 사이에 개재 삽입되는 접착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완만한 곡면 부분을 포함하여 긴 접합 면의 접합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기밀 유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실시예>
도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6에 있어서, 지지체(83)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83X1, 83X2, 83Y1, 83Y2)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고,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 치수의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부(831)와 그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832)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그 높이는 전면 균일하게 되어 있다.
각 막대 형상 부재(83X1 내지 83Y2)는 각각 결합부를 길이 방향의 단부와 단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떨어진 부위의 2 부위에 구비한 것으로, 결합부는 예를 들어 도9 혹은 도10과 같은 구성과 이에 합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지지체로서 조립하였을 때 각 막대 형상 부재의 단부의 결합부를, 조합되는 다른 막대 형상 부재의 단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떨어진 부위의 결합부와 접착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지지체(83)에서는, 상기 돌출부(832)를 구성하는 선단부(83X11, 83X21, 83Yl1 및 83Y21)의 개수가 전술한 실시예의 절반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각 구석부에 돌출부가 배치되므로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지지체 부분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로, 전술한 도1 내지 도1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기호를 붙이고 있다.
도17에 있어서, 부호 93은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93X1, 93X2, 93Y1, 93Y2)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고,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 치수의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부(931)와 그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932)를 갖는 구성이 되고, 그 높이는 전면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막대 형상 부재(93X1 내지 93Y2)는 각 교차부에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각 결합부로부터 선단부측에 전술한 돌출부(932)가 되는 선단부(93X11, 93X21, 93Y11 및 93Y21)를 각각 구비하고, 이 선단부를 포함하여 지지체(93)의 표리면 대략 전면에 접착재(94)를 도포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이면, 돌출부까지 포함하여 양 기판과 접착 고정이 가능해져,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지체의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누설의 발생이 억제되어 원하는 고품위 표시가 가능하고, 게다가 표시 화상의 대화면화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 에 지지체의 돌출 일부가 개재됨으로써,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접합함으로써 우물 정자 형상의 선단부 부분이 돌출부가 되고, 이 돌출부가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개재되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물 정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합된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어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우물 정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므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막대 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친 결합부를 가짐으로써 이 결합부보다 선단부의 부분을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개재시킬 수 있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 상호의 X 및 Y 방향으로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확실한 기밀 유지와 변위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X 및 Y 양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오목부와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의 형성이 용이하고 저렴하며, 또한 기밀 유지가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지그를 이용하지 않아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기판의 외측 단부까지의 영역에 밀봉 부착부가 존재하게 되어, 기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정밀도가 높은 대형(대화면)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양 기판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지지체의 상기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을 기술한다.
양극 및 형광체를 내면에 갖는 전방면 기판과, 복수의 전자원을 내면에 갖고 상기 전방면 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배면 기판과, 상기 전방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과의 사이에서 표시 영역을 주회하여 개재 삽입되고, 상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단부면과 상기 전방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을 각각 밀봉 부착 부재를 거쳐서 기밀 밀봉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체의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각 구석부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 기 지지체를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우물 정자 형상으로 조합하여 접합하고, 이 접합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떨어진 부위에 접합부가 되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X 및 Y 양 방향의 변위를 규제하는 오목부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대략 각진 구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돌출부에 밀봉 부착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기밀 유지 기능이 우수해 고품위 표시가 가능하고, 게다가 대화면화도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9)

  1. 양극 및 형광체를 내면에 갖는 전방면 기판과,
    복수의 전자원을 내면에 갖고 상기 전방면 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배면 기판과,
    상기 전방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과의 사이에서 표시 영역을 주회하여 개재 삽입되고, 상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단부면과 상기 전방면 기판 및 배면 기판을 각각 밀봉 부착 부재를 거쳐서 기밀 밀봉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표시 영역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체의 구석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체의 각 구석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복수의 막대 형상 부재를 조합하여 접합하고, 이 접합 부위로부터 외측에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 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떨어진 부위에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부재는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략 각진 구멍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밀봉 부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50019390A 2004-03-10 2005-03-09 화상 표시 장치 KR100777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7375 2004-03-10
JP2004067375A JP2005259443A (ja) 2004-03-10 2004-03-10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544A true KR20060043544A (ko) 2006-05-15
KR100777842B1 KR100777842B1 (ko) 2007-11-21

Family

ID=3503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390A KR100777842B1 (ko) 2004-03-10 2005-03-09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29819B2 (ko)
JP (1) JP2005259443A (ko)
KR (1) KR100777842B1 (ko)
CN (1) CN1667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1256A1 (en) * 2004-09-01 2006-03-23 Noriyuki Oroku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113107A (ko) * 2005-04-29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997B1 (ko) * 2005-10-25 201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진공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KR20070106106A (ko) * 2006-04-28 2007-11-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
JP2011060699A (ja) * 2009-09-14 2011-03-24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材の接合方法
JP2011060700A (ja) * 2009-09-14 2011-03-24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材の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5489A (en) * 1980-04-17 1982-04-20 Rca Corporation Envelop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US5731660A (en) * 1995-12-18 1998-03-24 Motorola, Inc. Flat panel display spacer structure
KR19990054287A (ko) * 1997-12-26 1999-07-15 김영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0251767A (ja) 1999-02-25 2000-09-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0311630A (ja) * 1999-02-25 2000-11-07 Canon Inc 真空容器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容器を備える平板型画像表示装置
JP3517624B2 (ja) * 1999-03-05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11312B2 (en) * 2001-01-24 2003-08-26 Hitachi,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outer frame with some neighboring wall member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have oblique surfaces
CN1306538C (zh) * 2001-04-23 2007-03-21 株式会社东芝 图像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3940577B2 (ja) 2001-10-15 2007-07-04 株式会社東芝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7786A (zh) 2005-09-14
KR100777842B1 (ko) 2007-11-21
US7429819B2 (en) 2008-09-30
US20050218784A1 (en) 2005-10-06
JP2005259443A (ja)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842B1 (ko) 화상 표시 장치
KR940025328A (ko) 화상표시 패널용 기밀용기 및 화상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1681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200476A1 (en) Display device
US661131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uter frame with some neighboring wall member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have oblique surfaces
KR100479840B1 (ko) 표시장치
JP4256188B2 (ja) メッシュ状のグリッドを有す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077626A1 (en) Flat image display device
JP2009145822A (ja) 画像表示装置
JP2654570B2 (ja) 平板状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320328A1 (en) Field emission panel having posts provided in getter room
US20080211383A1 (en) Flat displa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cement prevention member for use in the flat display
JP2002298761A (ja) 表示装置
US8618726B2 (en) Field emission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field emission panel
JP2007324040A (ja) 平面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封止枠
JP2007234400A (ja) 画像表示装置
JP2003203586A (ja) 平面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47791Y2 (ja) 平板型蛍光灯
KR10084670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사이드 바및 이의 제작방법
JP2006278111A (ja) 平面発光パネル
JPH10199451A (ja) 表示装置のパネル構造
JP200622194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93036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9302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324262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