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106A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106A
KR20070106106A KR1020060038579A KR20060038579A KR20070106106A KR 20070106106 A KR20070106106 A KR 20070106106A KR 1020060038579 A KR1020060038579 A KR 1020060038579A KR 20060038579 A KR20060038579 A KR 20060038579A KR 20070106106 A KR20070106106 A KR 2007010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member
reinforcement panel
wid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수
신순철
하근동
임종훈
지현철
이원복
오혁근
정승희
히데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6106A/ko
Priority to US11/734,775 priority patent/US20070252226A1/en
Priority to CNA200710096966XA priority patent/CN101064232A/zh
Publication of KR2007010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구조체를 형성하며 실제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 이외의 비유효 영역 크기를 최소화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진공 구조체와,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은 진공 구조체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두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하며, 제1 기판과 보강 패널이 두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한다.
전자방출부, 형광층, 표시장치, 진공구조체, 보강기판, 밀봉부재, 프릿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기판과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기판과 밀봉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어레이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어레이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바명은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진공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층 발광에 전자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구비된 진공 구조체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전자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소정의 발광 또는 표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자원의 종류에 따라 열음극(hot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과 냉음극(cold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음극선관(CRT)과 같이 벌브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방식과, 형광 표시관(VFD) 및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와 같이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및 밀봉 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평판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화면 크기가 커지고 내부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진공 구조체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 구조체 내부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진공 구조체의 변형과 파손을 억제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스페이서는 형광층을 침범하지 않도록 형광층 사이의 흑색층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그런데 최근의 화상 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 하면서 스페이서가 위치할 흑색층의 폭이 좁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미세한 크기와 높은 종횡비를 갖는 스페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조건을 만족하는 스페이서는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천개의 미세 스페이서를 전면 기판과 또는 후면 기판 위에 부착해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는 스페이서들로 인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없으며, 배기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장착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화상 표시장치가 초기에 고진공을 확보하지 못하면, 진공 구조체 내부에 제공된 부재들의 가스 방출(outgassing)로 인해 진공도가 점차 낮아져 표시 특성이 저하되고, 장착 불량이 일어난 스페이서는 전자빔 경로를 막아 화면 품질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의 경우, 글래스 또는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로 제작되는 스페이서는 표시장치 작용시 그 표면에 전자들이 부딪히면서 표면이 양 또는 음의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대전된 스페이서는 그 주위를 지나는 전자들을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등 전자빔 경로를 왜곡시켜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는 평판형 진공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부재이나, 화상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화면 품질을 개선하는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화상 표시장치 중 실제 화상이 구현되는 영역을 유효 영역이라 하면, 유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그 크기와 무게를 가능한 작게 제작해야 제품 경량화에 유리하고, 우수한 제품 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구조체를 형성하며, 진공 구조체 중 유효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여 제품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진공 구조체와,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이 진공 구조체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두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는 밀봉 부재가 배치되며, 밀봉 부재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진다.
상기 밀봉 부재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으로 형성되고,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는 장방형의 외벽을 가지며, 밀봉 부재의 내벽이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대각 코너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은 대각 코너부의 밀봉 부재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기판과 보강 패널 또한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보강 패널이 제1 기판과의 대향면 중앙과 가장자리에 각각 오 목부와 측벽을 형성하고, 이 측벽이 보강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제1 영역(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제1 기판(10)의 후방에 부착되어 제1 기판(10)과 함께 제2 영역(200)을 형성하는 보강 패널(14)로 이루어진 진공 구조체(2)를 구비한다.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은 진공 구조체(2) 내부에서 제1 기판(10)에 의해 나뉘어진 공간을 의미하며, 제1 기판(10)에는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홀(16)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0) 중 제2 기판(12)과의 대향면에는 제2 기판(12)을 향해 전자들을 방출하는 전자 방출 유닛(18)이 제공되고, 제2 기판(12)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는 전자들에 의해 가시광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20)이 제공된다. 이로써 제1 기판(10)이 전자 방출 유닛(18)과 함께 캐소드 기판으로 기능하고, 제2 기판(12)이 발광 유닛(20)과 함께 애노드 기판으로 기능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가장자리에는 두 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 부재(22)가 위치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접합면을 형성한다. 밀봉 부재 는 그 전체가 글래스 프릿(glass frit)으로 이루어지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프레임(24)과, 제1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24) 사이 그리고 제2 기판(12)과 서포트 프레임(2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접합시키는 한 쌍의 프릿층(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및 밀봉 부재(22)로 둘러싸인 제1 영역(100)이 형성되고, 밀봉 부재(22)의 높이에 따라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이 정해진다. 이때 서포트 프레임(24)은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판(12)은 진공 압축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두께, 일례로 10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제1 기판(10)에는 진공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제1 기판(10)은 제2 기판(12)보다 작은 두께, 일례로 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기판(10)은 전자 방출부와 더불어 전자 방출의 온/오프와 전자 방출량 및 전자빔 경로를 제어하는 각종 전극들이 마련되는 기판이며, 전자 방출부와 전극들 및 전극들간 절연을 위한 절연층 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의 고온 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1 기판(10)은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은 열 응력을 갖게 되어 깨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자 방출 유닛(18)의 성막 특성을 높이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제1 기판(10)을 대신하여 진공 구조체(2)의 외형을 이루는 보강 패널(14)은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중앙에 오목부(28)를 형성하여 제1 기판(10)과 보강 패널(14)로 둘러싸인 제2 영역(200)을 제공한다. 즉 보강 패널(14)은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가장자리에 측벽(34)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벽(34) 내측에 오목부(28)를 제공한다. 제1 기판(10)을 향한 측벽(34)의 일면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프릿층(36)이 제공되어 제1 기판(10)과 보강 패널(14)의 접합면을 형성한다.
보강 패널(14)은 진공 압축력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제1 기판(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며, 일례로 제2 기판(1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패널(14)에는 구조체 내부를 배기시키는데 사용되는 배기구(30) 및 배기관(32)과, 배기 후 잔류 가스를 흡착하여 진공도를 높이는 게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보강 패널(14)은 기본적으로 평판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중앙에 오목부(28)를 형성하여 제1 영역(100)과 연통되는 제2 영역(200)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공 구조체(2)는 제1 영역(100)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구조체(2)는 확대된 내부 체적에 의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웃개싱에 의한 진공도 저하를 보상하여 제품 특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진공 구조체(2)는 실제 화상이 구현되는 유효 영역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그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한 구조를 가진다. 이 구조는 제 1 기판(10)과 제2 기판(12) 및 보강 패널(14)에 가해지는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밀봉 부재(22)와 측벽(34)을 폭을 위치에 따라 가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기판과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기판(10)의 유효 영역에는 전자 방출 유닛(18)이 제공되어 전자들을 방출하고, 유효 영역 외곽의 비유효 영역에는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을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홀들(16) 및 밀봉 부재(22)가 위치한다. 그리고 전자 방출 유닛(18)에 구비된 구동 전극들이 제1 기판(10)의 가장자리로 인출되어 밀봉 부재(22) 외측에 전극 패드부(38a, 38b)를 형성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기판과 밀봉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기판(12)의 유효 영역에는 발광 유닛(20)이 제공되며, 유효 영역 외곽의 비유효 영역에는 밀봉 부재(22)가 위치한다. 그리고 발광 유닛(20)에 구비된 전자 가속 전극(' 애노드 전극'이라고도 한다)에 전압을 인가하는 리드선(40)이 제2 기판(12)의 일측에서 밀봉 부재(22) 내측과 외측에 걸쳐 형성된다.
전술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구성에 있어서 진공 구조체 제작 후 이 기판들에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이 되며, 네곳의 대각 코너 부위로는 비교적 작은 응력이 분포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 부재(22)는 두 기판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가장 큰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두 기판의 대각 코너부에서 가장 작은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특히 밀봉 부재(22)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의 폭을 가지면서 대각 코너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밀봉 부재(22)의 완만한 폭 변화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급격한 강도 변화를 억제하여 두 기판의 응력 분포를 균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밀봉 부재(2)는 장방형의 외벽을 유지하면서 내벽 형상을 변화시켜 전술한 폭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상기한 밀봉 부재(22) 형상에 의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는 밀봉 부재(22)가 유효 영역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두 기판의 대각 코너부에서는 밀봉 부재(22)가 유효 영역과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이때 비유효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제1 기판(10)의 관통홀들(16)은 유효 영역의 대각 코너부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공 구조체(2)는 밀봉 부재(22)가 보다 작아진 외곽 사이즈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발휘한다. 그 결과 비유효 영역의 크기를 줄여 진공 구조체(2)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패널(14)의 측벽(34) 또한 제1 기판(10)과 보강 패널(14)의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상기 밀봉 부재(22)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34)은 제1 기판(10)과 보강 패널(14)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제1 기판(10)과 보강 패널(14)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한편,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사이에 전술한 밀봉 부재(22)가 위치하 는 대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12')이 그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기판(10)을 향해 연장된 측벽(4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기판(12')은 제1 기판(1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판부(44)와, 평판부(44)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벽(42)과 제1 기판(10) 사이에 프릿층(26)이 제공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을 상호 접합시킨다.
이때 제2 기판(12')에 제공된 측벽(42)은 전술한 밀봉 부재(22)와 마찬가지로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전술한 진공 구조체는 냉음극(cold cathode)을 전자원으로 사용하는 화상 표시장치, 예를 들어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또는 표면 전도 에미션(Surface-Conduction Emission; SCE)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등에 적합하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전술한 화상 표시장치가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제1 기판(10)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46)은 구동 전극인 캐소드 전극들(48) 및 게이트 전극들(50)과, 캐소드 전극들(48)과 게이트 전극들(50)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1 절연층(52)과, 캐소드 전극들(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방출부들(54)과, 게이트 전극들(50) 상부에 위치하는 집속 전극(56)과, 게이트 전극들(50)과 집속 전극(56)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 절연층(58)을 포함한다.
제1 절연층(52)과 게이트 전극들(50)은 각 전자 방출부(54)에 대응하여 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521, 501)를 형성하며, 제2 절연층(58)과 집속 전극(56)은 캐소드 전극(48)과 게이트 전극(50)의 교차 영역마다 하나의 개구부(581, 561)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방출부(54)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54)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판(12)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60)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형광층들(62R, 62G, 62B)과, 각 형광층(62) 사이에 위치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흑색층(64)과, 형광층(62)과 흑색층(64) 위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66)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66)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광층(62)에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0)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2) 측으로 반사시켜 화면의 휘도를 높인다.
전술한 구성의 화상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캐소드 전극들(48), 게이트 전극들(50), 집속 전극(56) 및 애노드 전극(66)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여 구동한다.
일례로 캐소드 전극들(48)과 게이트 전극들(50) 중 어느 한 전극들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들로 기능하고, 다른 한 전극들이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들로 기능한다. 그리고 집속 전극(56)이 전자빔 집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0V 또는 수 내지 수십 볼트의 음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으며, 애노드 전극(66)이 전자빔 가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수백 내지 수천 볼트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는다.
그러면 캐소드 전극(48)과 게이트 전극(50)간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54)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들은 집속 전극(56)의 개구부(561)를 통과하면서 전자빔 다발의 중심부로 집속되고, 애노드 전극(66)에 인가된 고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화소의 형광층(62)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상기에서는 화상 표시장치의 일례로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이외의 다른 화상 표시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술한 밀봉 부재와 보강 패널의 측벽 형상에 의해 비유효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유효 영역의 크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제품의 중량 감소에 큰 효과를 가진다.

Claims (14)

  1.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진공 구조체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진공 구조체 내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두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밀봉 부재가 배치되고, 밀봉 부재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장방형의 외벽을 가지며, 밀봉 부재의 내벽이 상기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대각 코너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화상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이 상기 대각 코너부의 밀봉 부재 내측에 위치하는 화상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글래스 프릿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제1 기판과 서포트 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2 기판과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프릿층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이 그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연장됨과 아울러 제 2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측벽을 일체로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보강 패널이 가장자리를 따라 폭이 가변되는 접합면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이 상기 제1 기판과의 대향면 중앙과 가장자리에 각각 오목부와 측벽을 형성하고, 이 측벽이 보강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의 측벽이 상기 제1 기판과 보강 패널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제1 기판과 보강 패널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장방형의 외벽을 가지며, 밀봉 부재의 내벽이 상기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대각 코너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화상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보강 패널이 상기 제1 기판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 유닛이 냉음극 전자원으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060038579A 2006-04-28 2006-04-28 화상 표시장치 KR20070106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79A KR20070106106A (ko) 2006-04-28 2006-04-28 화상 표시장치
US11/734,775 US20070252226A1 (en) 2006-04-28 2007-04-12 Image display device
CNA200710096966XA CN101064232A (zh) 2006-04-28 2007-04-23 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579A KR20070106106A (ko) 2006-04-28 2006-04-28 화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106A true KR20070106106A (ko) 2007-11-01

Family

ID=3864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579A KR20070106106A (ko) 2006-04-28 2006-04-28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52226A1 (ko)
KR (1) KR20070106106A (ko)
CN (1) CN1010642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0645B2 (ja) * 2005-08-02 2008-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1442056B (zh) * 2007-11-23 2010-07-07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像素阵列基板
KR101970645B1 (ko) 2012-08-14 2019-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474A (ja) * 2004-03-02 2005-09-15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封着材充填装置
JP2005259443A (ja) * 2004-03-10 2005-09-22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US20060145595A1 (en) * 2004-11-30 2006-07-06 Youn Hae-Su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4232A (zh) 2007-10-31
US20070252226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11881A (ja) 電界放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界放出表示装置
US20060145595A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106106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46648A (ko) 전자 방출 소자
KR100717987B1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387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5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0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1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1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73864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88216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11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9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80A (ko) 화상 표시장치
US7477011B2 (en) Cathode substrate for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the same
KR2006006047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41125A (ko)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KR20060060478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111614A (ko)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KR2006007386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95311A (ko) 화상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