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216A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216A
KR20060088216A KR1020050009034A KR20050009034A KR20060088216A KR 20060088216 A KR20060088216 A KR 20060088216A KR 1020050009034 A KR1020050009034 A KR 1020050009034A KR 20050009034 A KR20050009034 A KR 20050009034A KR 20060088216 A KR20060088216 A KR 2006008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inforcing member
region
image display
g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희
신순철
윤해수
이원복
지현철
오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216A/ko
Publication of KR2006008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진공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전자 방출부가 제공되는 제1 기판과, 형광층이 제공되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과 서로 연통되는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진공 구조체, 및 보강 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형 게터를 포함한다.
진공구조체, 보강부재, 전자방출부, 측벽, 형광층, 게터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DEVICE}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방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보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 기판과 보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키 는 진공 구조체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층 발광에 전자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구비된 진공 구조체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전자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소정의 표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자원의 종류에 따라 열음극을 이용하는 방식과 냉음극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진공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음극선관과 같이 벌브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방식과, 형광 표시관 및 전계 방출 표시장치와 같이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임의의 간격을 두고 그 둘레가 접합된 후 내부 공간이 배기된 평판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평판형 구조체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는, 화면 크기가 커지고 내부 진공도가 높아짐에 따라 진공 구조체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는 진공 구조체 내부에 스페이서를 다수 설치하여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압축력에 의한 진공 구조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화상 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 하면서 스페이서가 위치할 비발광 영역의 폭이 좁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미세한 크기와 높은 종횡비를 갖는 스페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조건을 만족하는 스페이서는 그 제조와 설치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는 구조체 내부를 배기시키는 과정에서 스페이서 들로 인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없으며, 배기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장착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화상 표시장치가 초기에 고진공을 확보하지 못하면, 진공 구조체 내부에 제공된 부재들의 가스 방출로 인해 진공도가 점차 낮아져 전자 방출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장착 불량이 일어난 스페이서는 형광층을 손상시키거나 전자빔 경로를 막아 화면 품질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스페이서의 높이로 결정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서의 제조상 한계로 인해 그 크기를 확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지 못하면,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경우 오프(off)되어야 할 화소의 전자 방출부에서 애노드 전계의 영향으로 전자가 방출되는 등의 표시 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없어 화면의 휘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는 평판형 진공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부재이나, 화상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이 되고 있으며, 화면 품질을 개선하는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의 평판형 구조체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의 간격이 극히 작기 때문에 그 내부에 비증발형 게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조체 내부를 배기시킨 후 게터를 활성화하여 구조체 내부의 잔류 가스를 흡착함으로써 진공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비증발형 게터는 증발형 게터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고진공 확보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구조체를 형성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내부 체적을 확대하여 고진공도 확보에 유리하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여 화면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방출부가 제공되는 제1 기판과, 형광층이 제공되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과 서로 연통되는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진공 구조체, 및 보강 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형 게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증발형 게터는 보강 부재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기판은 측벽 내측에서 제1 기판의 네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홀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증발형 게터가 보강 부재의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 증발형 게터는 제1 기판의 장변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단변측 가장자리 중앙부 중 어느 한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방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측벽(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제1 영역(100)을 형성하는 제1 기판(2) 및 제2 기판(4)과, 제1 기판(2)의 후방에 부착되어 제1 기판(2)과 함께 제2 영역(200)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8)로 이루어진 진공 구조체(10)를 구비한다.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은 진공 구조체(10) 내부에서 제1 기판(2)에 의해 나뉘어진 공간을 의미하며, 진공 구조체(10) 내부의 제1 기판(2)에는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a)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2a)은 일례로 제1 기판(2)의 네 코너부에 하나씩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 위에는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수단(12)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 기판(2)에 대향하는 제2 기판(4)의 일면에는 형광층과 더불어 제1 기판(2) 측에서 방출된 전자들이 제2 기판(4)을 향해 양호하게 가속되도록 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수단(14)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1 기판(2)과 제2 기판(4)은 양 기판 사이의 가장자리 부위에 사각 프레임 모양의 측벽(6)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저융점 유리인 시일 프릿(seal frit)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이로써 제1 기판(2)과 제2 기판(4) 및 측벽(6)으로 둘러싸인 제1 영역(100)이 형성되고, 측벽(6)의 높이에 따라 제1 기판(2)과 제2 기판(4)의 간격이 결정된다. 도면에서 부호 16이 측벽(6)과 양 기판(2, 4)을 접합시키는 제1 프릿층을 나타낸다.
이 때, 제2 기판(4)은 진공 압축력에 견디는 충분한 두께, 일례로 10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제1 기판(2)은 진공 구조체(10) 내부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최소 두께를 확보하면서 제2 기판(4)보다 작은 두께, 일례로 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기판(2)은 전자 방출 수단(12)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들, 예컨대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들 및 구동 전극들간 절연을 위한 절연층 등이 마련되는 기판이므로, 전자 방출 수단(1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의 고온 소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제1 기판(2)의 열응력을 줄여 제1 기판(2)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 기판(2)의 두께가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기판(2)의 후방에는 제1 기판(2)을 대신하여 진공 구조체(10)의 외형을 이루는 보강 부재(8)가 부착되고, 제1 기판(2)과 보강 부재(8)로 둘러싸인 제2 영역(200)이 형성된다. 제2 영역(200)은 제1 영역(100)보다 큰 체적, 바람직하게 2배 이상의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도면에서 부호 18이 제1 기판(2)과 보강 부재(8)를 접합시키는 제2 프릿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8)는 제1 기판(2)을 향해 오목한 곡면과 제1 기판(2)을 향해 볼록한 곡면이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보강 부재(8)는 제1 기판(2)을 향해 볼록한 부분 구면을 형성하는 중앙부(8a)와, 제1 기판(2)을 향해 오목한 곡률을 가지면서 중앙부(8a)와 제1 기판(2)을 연결하는 몸체부(8b)로 이루어지며, 진공 압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그 최소 두께가 제1 기판(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8)는 제1 기판(2)을 향한 몸체부(8b)의 오목한 곡률로 인해 제2 영역(200)의 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제1 기판(2)을 향한 중앙부(8a)의 볼록한 곡률로 인해 진공 구조체(10)의 전장(depth)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의 보강 부재(8)는 진공 압축력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안정적인 진공 구조체(10)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보강 부재(8)에는 구조체 내부를 배기시키는데 사용되는 배기구(20)와 배기관(22)이 제공되는데, 진공 구조체(10)의 전장 확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강 부재(8)의 중앙부(8a) 중심에 배기구(20)와 배기관(2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위치하는 제1 영역(100)과 더불어 제1 기판(2)의 후방에 제1 영역(100)과 연통되는 제2 영역(200)을 구비한 진공 구조체(10)에서는, 제1 영역(100)에 스페이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제1 기판(2)과 제2 기판(4)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종래의 진공 구조체보다 제1 기판(2)과 제2 기판(4)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진공 구조체(10)는 내부 체적이 확대됨에 따라 초기 진공도를 대략 10-6 torr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진공 구조체(10)의 내부 체적이 확대되면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종래의 진공 구조체와 비교하여 전자 방출 수단(12) 또는 발광 수단(14)을 구성하는 물질들에서 같은 양의 가스가 방출되었을 때, 본 실시예의 진공 구조체(10)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진공 구조체(10)는 제1 영역(100)과 연통되나 실질적인 화상 표시에는 기여하지 않는 제2 영역(200)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이 제2 영역(200)에 증발형 게터(24)를 설치한다. 증발형 게터(24)는 비증발형 게터보다 성능이 우수하므로 고진공도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게터 플래싱 과정에서 게터 가스가 비산되는 특징이 있으나, 제2 영역(200)에 구비됨으로써 전자 방출 수단(12) 또는 발광 수단(14)에 게터 가스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보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보강 부재(8)의 측면, 즉 몸체부(8b) 내측에 증발형 게터(24)가 부착된다. 증발형 게터(24)는 게터 물질(대표적으로 바륨과 알루미늄 및 니켈의 혼합 분말)을 담는 용기부(24a)와, 용기부(24a)를 보강 부재(8) 내부에 고정시키는 지지체(24b)를 포함한다. 진공 구조체(10) 제작후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게터 물질을 가열하면, 게터 가스가 방출되면서 진공 구조체(10) 내부의 잔류 가스를 흡착하여 제거한다.
증발형 게터(24)가 보강 부재(8)의 몸체부(8b)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게터 가스의 확산 방향은 대략 제1 기판(2)의 면 방향과 평행하며, 제1 기판(2)의 관통홀(2a)을 통해 게터 가스가 제1 영역(100)으로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형 게터(24)는 보강 부재(8)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기판(2)을 향해 오목한 몸체부(8b)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게터 가스의 확산 방향은 보강 부재(8)의 후방에서 제1 기판(2)을 향하는 방향이 되는데, 이 때 게터 가스의 확산 범위 내에 제1 기판(2)의 관통홀(2a)이 위치하지 않도록 증발형 게터(24)는 제1 기판(2)의 장변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단변측 가장자리 중앙부 중 어느 한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 부재는 전술한 형상 이외에 도 7에 도시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보강 부재(26)는 제1 기판(2)의 후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부(26a)와, 대향부(26a)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기판(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기판(2) 후면에 부착되는 스커트부(26b)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 영역(200)이 제1 영역(100)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도록 스커트부(26b)가 측벽(6)보다 큰 높이로 형성된다.
전술한 보강 부재(26) 내측에도 증발형 게터(24)가 설치되는데, 증발형 게터(2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26b)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대향부(26a)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일례로 배기구(20)와 배기관(22)이 보강 부재(26)의 대향부(26a)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배기구(20)와 배기관(22)의 위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진공 구조체(10, 10', 10")는 냉음극(cold cathode)을 전자원으로 사용하는 화상 표시장치, 예를 들어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표면 전도 에미션형 표시장치(Surface conduction Emission Display; SED) 및 금속/절연층/금속(Metal 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등에 적합하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전술한 화상 표시장치가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 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 기판(2) 위에는 캐소드 전극들(28)이 제1 기판(2)의 일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들(28)을 덮으면서 제1 기판(2) 전체에 절연층(30)이 형성된다. 절연층(30) 위에는 게이트 전극들(32)이 캐소드 전극(28)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32)과 절연층(30)에는 캐소드 전극(28)과 게이트 전극(32)이 교차하는 서브픽셀 영역마다 개구부(32a, 30a)가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28)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며, 개구부(32a, 30a) 내측으로 캐소드 전극(28) 위에 전자 방출부(34)가 형성된다.
전자 방출부(34)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카본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nm)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진다. 전자 방출부(34)로 사용 바람직한 물질로는 카본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C60 및 실리콘 나노와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 물질이 있으며, 전자 방출부(34)의 제조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화학기상증착, 스퍼터링 또는 직접 성장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의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이 캐소드 전극 상부에 위치하는 경 우를 설명하였으나, 게이트 전극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캐소드 전극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기판(2)에 대향하는 제2 기판(4)의 일면에는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형광층(36R, 36G, 36B)과, 화면의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한 흑색층(38)이 형성된다. 형광층(36)과 흑색층(38) 위로는 증착에 의한 금속막(예를 들어 알루미늄막)으로 이루어지는 애노드 전극(40)이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40)은 전자빔 가속에 필요한 고전압을 인가받으며, 형광층(36)에서 제1 기판(2)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4) 측으로 반사시켜 화면의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캐소드 전극(28)과 게이트 전극(32)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두 전극간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서브픽셀에서 전자 방출부(34)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 전극(40)에 인가된 고전압에 이끌려 제2 기판(4)으로 향하면서 대응되는 형광층(36)에 충돌하여 이를 발광시킨다.
이 때 진공 구조체는 그 내부에 지지 구조를 마련하지 않고도 진공 압축력에 충분히 견디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기판(2)과 제2 기판(4) 사이의 간격을 종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진공 구조체의 경우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애노드 전극(40)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화면의 휘도와 색재현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화상 표시장치의 일례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른 화상 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 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진공 압축력에 견디는 안정된 진공 구조체를 제공하며, 증발형 게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제조가 용이하고, 고진공 확보에 유리하여 진공도 저하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자 방출부가 제공되는 제1 기판과, 형광층이 제공되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제1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과 서로 연통되는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진공 구조체; 및
    상기 보강 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증발형 게터
    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측벽 내측에서 제1 기판의 네 코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홀들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형 게터가 상기 보강 부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화상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형 게터가 상기 보강 부재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기판의 장변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단변측 가장자리 중앙부 중 어느 한 부위에 대응하여 배치 되는 화상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체적이 상기 제1 영역 체적의 2배 이상인 화상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과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볼록한 부분 구면을 형성하는 중앙부와, 제1 기판을 향해 오목한 곡률을 가지면서 제1 기판과 중앙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의 후면과 이격되어 제1 기판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대향부와, 대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기판을 향해 연장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부가 냉음극 전자원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구조체가 전계 방출 표시장치용인 화상 표시장치.
KR1020050009034A 2005-02-01 2005-02-01 화상 표시장치 KR2006008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34A KR20060088216A (ko) 2005-02-01 2005-02-01 화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34A KR20060088216A (ko) 2005-02-01 2005-02-01 화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16A true KR20060088216A (ko) 2006-08-04

Family

ID=3717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034A KR20060088216A (ko) 2005-02-01 2005-02-01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2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34B1 (ko) * 2012-04-06 2013-09-23 (주) 브이에스아이 전계방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34B1 (ko) * 2012-04-06 2013-09-23 (주) 브이에스아이 전계방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2673B2 (ja) ゲッタ材料を備えた電界放出表示装置
KR20040081299A (ko) 평면형 표시 장치
US20060145595A1 (en) Image display device
US7291965B1 (en) Vacuum vessel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rovided with spacer supports in non-active area of the display
KR20060088216A (ko) 화상 표시장치
US7408298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252226A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0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73864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88215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80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95311A (ko) 화상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7386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113A (ko) 화상 표시장치
KR100717987B1 (ko) 화상 표시장치
KR100506075B1 (ko) 고 종횡비 스페이서가 채용된 고전압 전계 방출 표시 장치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047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8A (ko) 화상 표시장치
US7327075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support member between front and rear substrates
EP1848021B1 (en) Vacuum envelop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vacuum envelope
KR2006007386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9531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1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89321A (ko) 화상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