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681A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681A
KR20070056681A KR1020050115660A KR20050115660A KR20070056681A KR 20070056681 A KR20070056681 A KR 20070056681A KR 1020050115660 A KR1020050115660 A KR 1020050115660A KR 20050115660 A KR20050115660 A KR 20050115660A KR 20070056681 A KR20070056681 A KR 2007005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inforcing member
exhaust port
reg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6681A/ko
Publication of KR2007005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05Front or back plates
    • H01J2329/861Front or back pl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94Means for exhausting the vessel 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 H01J2329/941Means for exhausting the vessel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고진공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진공 용기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로 이루어진 진공 용기를 포함한다. 제1 기판의 일면에는 전자 방출 유닛이 제공되고, 제2 기판의 일면에는 발광 유닛이 제공된다. 제1 기판은 진공 용기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며, 보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배기구 및 각각의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관을 구비한다.
진공용기, 전자방출부, 형광층, 보강부재, 배기구, 배기관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기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 중 진공 용기의 배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 중 관통홀들과 제1 배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제1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어레이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 공 용기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층 발광에 전자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는 그 내부에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구비된 진공 용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전자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소정의 발광 또는 표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자원의 종류에 따라 열음극(hot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과 냉음극(cold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용기의 형상에 따라 음극선관(CRT)과 같이 벌브형 용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형광 표시관(VFD) 및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와 같이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및 밀봉 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 용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평판형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화면 크기가 커지고 내부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 용기 내부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진공 용기의 변형과 파손을 억제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스페이서는 형광층을 침범하지 않도록 형광층 사이의 흑색층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그런데 최근의 화상 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 하면서 스페이서가 위치할 흑색층의 폭이 좁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미세한 크기와 높은 종횡비를 갖는 스페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조건을 만족하는 스페이서는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천개의 미세 스페이서를 전면 기판 또는 후면 기판 위에 부 착해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는 스페이서들로 인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없으며, 배기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장착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화상 표시장치가 초기에 고진공을 확보하지 못하면, 진공 용기 내부에 제공된 부재들의 가스 방출(outgassing)로 인해 진공도가 점차 낮아져 표시 특성이 저하되고, 장착 불량이 일어난 스페이서는 전자빔 경로를 막아 화면 품질을 저하시킨다.
더욱이 글래스 또는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로 제작되는 스페이서는 표시장치 작용시 그 표면에 전자들이 부딪히면서 표면이 양 또는 음의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대전된 스페이서는 그 주위를 지나는 전자들을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등 전자빔 경로를 왜곡시켜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는 평판형 진공 용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부재이나, 화상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화면 품질을 개선하는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종래의 진공 용기는 배기관을 통해 내부를 배기시키고 배기관을 밀봉하여 그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공 용기 내부에는 산소와 같은 이물 가스가 미량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 가스들은 진공 용기 내부에 제공된 부재들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상기 부재들을 열화시키며, 전자 방출 특성과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용기를 형성하고, 초기 진공도를 높 여 아웃개싱에 의한 진공도 열화를 보상하며, 배기 공정에서 이물 가스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진공도를 높일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이 진공 용기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보강 부재가 적어도 2개의 배기구 및 각각의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관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진공 펌프 연결용 제1 배기구 및 제1 배기관과, 불활성 가스 주입용 제2 배기구 및 제2 배기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배기구와 제1 배기관은 보강 부재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제2 배기구와 제2 배기관은 보강 부재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들은 제1 기판의 대각 코너부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배기구가 아래의 두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Figure 112005069983194-PAT00001
여기서, D는 제1 기판의 면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1 배기구와 어느 한 관통 홀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내고, d1와 d2는 각각 제1 기판의 대각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두 관통홀들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배기구는 보강 부재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제1 영역(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제1 기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기판(10)과 함께 제2 영역(200)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14)로 이루어진 진공 용기(2)를 구비한다.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은 진공 용기(2) 내부에서 제1 기판(10)에 의해 나뉘어진 공간을 의미하며, 제1 기판(10)에는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홀들(16)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0) 중 제2 기판(12)과의 대향면에는 제2 기판(12)을 향해 전자들을 방출하는 전자 방출 유닛(18)이 제공되고, 제2 기판(12)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는 전자들에 의해 가시광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20)이 제공된다. 이로써 제1 기판(10)이 전자 방출 유닛(18)과 함께 캐소드 기판으로 기능하고, 제2 기판(12)이 발광 유닛(20)과 함께 애노드 기판으로 기능한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가장자리에는 두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 지시키는 서포트 프레임(24)이 위치한다.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24) 중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의 대향면에 제1 접착층(26)이 위치하여 제1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24) 및 제2 기판(12)을 일체로 접합시킨다.
이로써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및 서포트 프레임(24)으로 둘러싸인 제1 영역(100)이 형성되고, 서포트 프레임(24)의 두께에 따라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이 정해진다. 이때 서포트 프레임(24)은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두 기판과 열팽창 계수가 유사한 글래스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12')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기판(10)을 향해 연장된 측벽(28)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기판(12')은 제1 기판(1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판부(30)와, 평판부(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2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28)과 제1 기판(10) 사이에는 제1 접착층(26)이 위치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을 상호 접합시킨다.
여기서, 제2 기판(12)은 진공 압축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두께, 일례로 10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진공 용기(2) 내부를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제1 기판(10)에는 진공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제1 기판(10)은 제2 기판(12)보다 작은 두께, 일례로 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기판(10)은 전자 방출부와 더불어 전자 방출의 온/오프와 전자 방출량 및 전자빔 경로를 제어하는 각종 구동 전극들이 마련되는 기판이며, 전자 방출부와 전극들 및 전극들간 절연을 위한 절연층 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의 고온 열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1 기판(10)은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은 열 응력을 갖게 되어 깨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전자 방출 유닛(18)의 성막 특성을 높이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제1 기판(10)을 대신하여 진공 용기(2)의 외형을 이루는 보강 부재(14)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형을 가지며,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중앙에 오목부(32)를 형성하여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로 둘러싸인 제2 영역(200)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 부재(14)에서 오목부(32)를 제외하고 제1 기판(10)에 대향하는 부위를 측벽(34)이라 하면, 제1 기판(10)을 향한 측벽(34)의 일면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제2 접착층(36)이 제공되어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를 접합시킨다.
보강 부재(14)는 진공 압축력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제1 기판(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며, 일례로 제2 기판(1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14)에는 용기 내부를 배기시키는데 사용되는 배기구(38, 40) 및 배기관(42, 44)과, 배기 후 잔류 가스를 흡착하여 진공도를 높이는 게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된다.
보강 부재(14)의 측벽(34)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사이에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24)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 부재(14)에 가해지는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비교적 큰 응력이 가해지는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면서 비교적 작은 응력이 가해지는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판(10)에는 전자 방출 유닛(18)의 외측, 일례로 제1 기판(10) 의 대각 코너부에 4개의 관통홀(16)이 위치하는데, 이 관통홀들(16)은 전술한 보강 부재(14)의 형상에 의해 오목부(32)가 아닌 측벽(34)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보강 부재(14)의 측벽(34)이 관통홀(16)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오목부(32)를 향해 연통홈(46)을 형성하여 이 연통홈(46)을 통해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을 서로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4)은 배기 공정과 퍼징(purging)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배기구 및 각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구비한다. 일례로 보강 부재(14)는 한 쌍의 배기구(38, 40)와 한 쌍의 배기관(42, 44)을 구비하며, 이 가운데 제1 배기구(38)와 제1 배기관(42)이 보강 부재(14)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제2 배기구(40)와 제2 배기관(44)이 보강 부재(14)의 주변부, 일례로 보강 부재(14)의 대각 코너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배기 공정에서 제1 배기관(42)은 진공 펌프(48)와 연결되어 용기 내부를 배기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제2 배기관(40)은 불활성 가스 공급장치(50)와 연결되어 배기 과정 중 용기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진공 용기(2)는 보강 부재(14)에 의해 제1 기판(10)의 후방에 제1 영역(100)과 연통되는 제2 영역(200)을 형성하여 내부 체적을 확대함에 따라, 제1 영역(100)에 스페이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진공 용기(2)는 내부 체적 확대로 초기 진공도를 대략 10-6 Torr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초기 진공도를 높이면 제품 사용시 전자 방출 유닛(18) 또는 발광 유닛(20)을 구성하는 물질들에서 가스 방출이 일어나 진공도가 낮아지더라도 높은 초기 진공도가 이를 보상하여 진공도 열화와 이에 따른 표시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용기 제작 공정 중 배기 공정시 제1 배기관(42)을 통해 용기 내부를 배기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2 배기관(44)을 통해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므로, 용기 내부의 잔류 가스를 불활성 가스와 함께 제1 배기관(42)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공 용기(2)는 내부의 이물 가스를 최소화하고 진공도를 높여 전자 방출 특성과 표시 특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기 과정에서 제1 배기구(38)와 제2 배기구(40)가 보강 부재(14)에 구비되므로 제1 영역(100)은 제1 기판(10)에 제공된 관통홀들(16)을 통해 제2 영역(200)과 함께 배기된다. 이 과정에서 배기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관통홀들(16)과 제1 배기구(38)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관통홀들과 제1 배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제1 기판의 개략도로서, 관통홀들(16)은 전자 방출 유닛의 외측에서 제1 기판(10)의 대각 코너부마다 하나씩 형성되고, 제1 배기구(38)는 아래의 두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D는 제1 기판(10)의 면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1 배기구(38)와 어느 한 관통홀(16)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내고, d1와 d2는 각각 제1 기판(10)의 대각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두 관통홀들(16)의 중심간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배기구(38)가 전술한 수식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관통홀들(16)이 제1 배기구(38)에 대해 큰 거리 편차를 갖게 되어 배기 효율이 저하되고, 제1 영역(100)을 균일하게 배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공 용기(2)는 전술한 수식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제1 배기구(38)를 형성하여 배기 효율을 높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D가 d1/2 및 d2/2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위치, 즉 보강 부재(14)의 정중앙에 제1 배기구(38)를 형성한다.
상기한 진공 용기는 냉음극을 전자원으로 사용하는 화상 표시장치, 예를 들어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표면 전도 에미션(Surface-Conduction Emission; SCE)형, 금속-절연층-금속(Metal-Insulator-Metal; MIM)형 및 금속-절연층-반도체(Metal-Insulator-Semiconductor; MIS)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등에 적합하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전술한 화상 표시장치가 전계 방출 어레이(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제1 기판(10)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52)은 구 동 전극인 캐소드 전극들(54) 및 게이트 전극들(56)과, 캐소드 전극들(54)과 게이트 전극들(56)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1 절연층(58)과, 캐소드 전극들(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방출부들(60)과, 게이트 전극들(56) 상부에 위치하는 집속 전극(62)과, 게이트 전극들(56)과 집속 전극(62)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 절연층(64)을 포함한다.
제1 절연층(58)과 게이트 전극들(56)은 각 전자 방출부(60)에 대응하여 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581, 561)를 형성하며, 제2 절연층(64)과 집속 전극(62)은 캐소드 전극(54)과 게이트 전극(56)의 교차 영역마다 하나의 개구부(641, 621)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방출부(60)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60)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판(12)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66)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형광층들(68R, 68G, 68B)과, 각 형광층(68) 사이에 위치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흑색층(70)과, 형광층(68)과 흑색층(70) 위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72)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7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지며, 형광층(68)에 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0)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2) 측으로 반사시켜 화면의 휘도를 높인다.
전술한 구성의 화상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캐소드 전극들(54), 게이트 전극들(56), 집속 전극(62) 및 애노드 전극(72)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여 구동한다.
일례로 캐소드 전극들(54)과 게이트 전극들(56) 중 어느 한 전극들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들로 기능하고, 다른 한 전극들이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들로 기능한다. 그리고 집속 전극(62)이 전자빔 집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0V 또는 수 내지 수십 볼트의 음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으며, 애노드 전극(72)이 전자빔 가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수백 내지 수천 볼트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는다.
그러면 캐소드 전극(54)과 게이트 전극(56)간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60)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들은 집속 전극(62)의 개구부(621)를 통과하면서 전자빔 다발의 중심부로 집속되고, 애노드 전극(72)에 인가된 고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화소의 형광층(68)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제1 영역에 스페이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초기 진공도를 높여 아웃개싱에 의한 진공도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진공 용기는 내부의 이물 가스를 최소화하고 진공도를 높여 전자 방출 특성과 표시 특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진공 용기 내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적어도 2개의 배기구 및 각각의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관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진공 펌프 연결용 제1 배기구 및 제1 배기관과, 불활성 가스 주입용 제2 배기구 및 제2 배기관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와 제1 배기관이 상기 보강 부재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배기구와 제2 배기관이 보강 부재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화상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관통홀들을 제1 기판의 대각 코너부마다 하나씩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가 아래의 두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화상 표시장치.
    Figure 112005069983194-PAT00003
    여기서, D는 상기 제1 기판의 면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1 배기구와 어느 한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이고, d1와 d2는 각각 제1 기판의 대각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두 관통홀들의 중심간 거리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가 상기 보강 부재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화상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1 기판과의 대향면 가장자리에서 제1 기판을 향해 연장된 측벽을 일체로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과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과의 대향면에 오목부와 측벽을 형성하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형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측벽이 보강 부재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보강 부재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들이 상기 보강 부재의 측벽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보강 부재의 측벽이 관통홀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해 연장된 연통홈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050115660A 2005-11-30 2005-11-30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60A KR20070056681A (ko) 2005-11-30 2005-11-30 화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660A KR20070056681A (ko) 2005-11-30 2005-11-30 화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681A true KR20070056681A (ko) 2007-06-04

Family

ID=3835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660A KR20070056681A (ko) 2005-11-30 2005-11-30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66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4363A1 (en) Vacuum vessel, its method of manufactur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vacuum vessel
US20060145595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252226A1 (en) Image display device
US7408298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6681A (ko) 화상 표시장치
KR100717987B1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5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668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53872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70047455A (ko)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KR20060088216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0A (ko) 화상 표시장치
US7714495B2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having an optically transmissive anode electrode
KR20060060113A (ko) 화상 표시장치
KR101135469B1 (ko)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KR20060073864A (ko) 화상 표시장치
US20060244362A1 (en) Vacuum vessel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vacuum vessel
KR20060060480A (ko) 화상 표시장치
EP1848021A1 (en) Vacuum envelop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vacuum envelope
KR20060060478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1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95311A (ko) 화상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73863A (ko) 화상 표시장치
KR20060060472A (ko) 화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