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407A - 데이터를 호출 대 호출 센터로 연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호출 대 호출 센터로 연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407A
KR20060043407A KR1020050018118A KR20050018118A KR20060043407A KR 20060043407 A KR20060043407 A KR 20060043407A KR 1020050018118 A KR1020050018118 A KR 1020050018118A KR 20050018118 A KR20050018118 A KR 20050018118A KR 20060043407 A KR20060043407 A KR 2006004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unit
call
tag identifier
emergency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472B1 (ko
Inventor
더글라스 해롤드 롤렌더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4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비상 호출을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대한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 발신하는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단 상기 태그 식별자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콜백 번호는 전송될 수 있다.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비상 호출 레지스터("PSAP-ECR")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수신하고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무선 콜백 번호를 전송한다.
무선 유닛, 태그 식별자, 비상 호출, 콜백 번호, MSC

Description

데이터를 호출 대 호출 센터로 연관시키는 방법{A method of associating data with a call to a call cent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아키텍처 및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아키텍처 및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아키텍처 20: 무선 유닛
30: 기지국 40: 이동 스위칭 센터
50: 서빙 시스템 ECR 60: 비상 서비스 네트워크 엔터티(ESN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북미에서의 비상 서비스 호출은 "911" 다이얼링함으로써 이뤄진다. 세계의 다른 국가들은, 예를 들면, 멕시코인 경우 "611"과 같이 일부 다른 약칭된 다이얼가능한 일련의 디지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약칭된 일련의 디지트들은 도움요청의 간단한 의도를 기억하기 쉬운 숫자로 공유한다. 이들 호출들은 호출자가 통화를 유지하면서 로컬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호출 센터("PSAP-CC")에 라우트되어, 비상 응답(예를 들면, 경찰, 소방서, 도로수리, 및 앰블런스)의 초기화를 가능케한다. 그러나, 호출이, 비상이 완전히 보고되거나 또는 응답자가 도달하기 전에 단절되거나 끊기면, 상기 PSAP-CC는 발신자에게의 재 통화를 요청받을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911" 호출에 대한 기록은 자동 라인 식별("ALI") 또는 호출된 액세스 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무선 가입자의 디렉토리 번호("DN") 또는 전화번호는 물리적 유선 또는 무선 유닛과 연관될 수 없다. 대신에, 로밍 무선 가입자에 대한 호출은 이동 DN("MDN")에 비해 이동국 식별("MSID")에 의해 상기 무선 유닛에 라우트된다. 따라서, 무선 유닛으로의 비상호출을 수행하는 것은, 예를 들면, 지상통신선 장치들과 만나지 않는 장애물들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상기 MSID는 10-디지트 이동 식별 번호("MIN") 또는 15-디지트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자("IMSI")로 특성화될 있다. 상기 IMSI는 무선 유닛 사용자가 서비스 동의를 가입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무선 유닛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SID는 반드시 다이얼가능한 번호일 필요는 없다.
무선 유닛의 상기 DN은 다이얼가능한 번호이다. 상기 DN은 호출자에 의해 다이얼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을 무선 가입자의 홈 시스템에 라우트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입자의 홈 시스템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HLR")은 상기 가입자의 DN과 연관된 상기 MSID를 포함한다. 상기 DN에 비해 상기 MSID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을 서빙 무선 시스템에 라우트하고 가입자를 페이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의 DN은 상기 무선 유닛을 통해 상기 SIM 카드로부터 서빙 시스템에 제공되거나 또는 홈 시스템에 의해 가입자 프로파일이라 하는 별도의 데이터 파일로 서빙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DN 및 MSID용 별도의 번호를 사용하는 시스템들의 옮겨보내기(rollout)는 일부 무선 시스템들에 대한 비교적 최근 경향이다. 다른 것들은 개시부터 이 기술을 사용해왔다. 종래에는, 무선 유닛의 이동 식별 번호는 일부 시스템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번호 이식성(wireless number portability, "WNP") 또는 로컬 라우팅 번호("LRN") 방법과 국제 로밍("IR")에 기초한 수천개의 블록 번호 풀링(thousands block number pooling, "TBNP")을 구현하기 전에 TIA/EIA-41 표준들을 지원하는 시스템들용 DN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WNP 및 TBNP에 따라, 상기 MDN은 하나의 서비스 제공기에서 다른 서비스 제공자로 "이식가능(portable)" 또는 "풀가능(poolable)" 해진다. MSID가 이식가능하거나 풀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측 서비스 제공기는 가입자용 신규 MSID를 이식되거나 풀된 MDN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국제 로밍은 또한 MSID 및 MDN의 분리를 강요하고 있다. 상기 MIN은 북미 넘버링 계획의 10-디지트 MDN 이후에 모델링된 10디지트 번호이지만, 다른 디렉토리 넘버링 계획을 사용하는 다른 국가의 캐리어들은 그들 가입자의 DN을 국제적으로 인증된 MIN 포맷에 유사한 것으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표준 MSID는 IMSI이다. 이것은 전세계에서 TIA/EIA-41 및 GSM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IMSI는 ITU-T 추천 E.212에 기초한 15-디지트 비-다이얼(non-dialable) 번호이므로, 10-디지트 MDN로서 제공할 수 없다.
종래에는, 상기 MDN이 상기 MIN과 동일할 때, 상기 MIN은 PSAP-CC에 전달되고 콜백(call back) 번호로서 사용되었다. 상술된 MIN 및 MDN의 분리에 따라, 상기 MDN을 별도의 콜백 번호로서 호출자의 MSID 뿐만 아니라, 상기 PSAP-CC로 전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 해결책의 구현과 연관된 특정 문제점들이 있다. 하나의 문제는, 서빙 시스템이 PSAP-CC에 호출을 제공하기 위해 호출자의 MDN, 단지 MSID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이유들 중 일부는 MSID-MDN 분리가 표준들에 따라 구현되었다는 것에 관련된다. 다른 이유는, 호출을 PSAP-CC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DN 및 MSID 모두, 또는 일부 경우에서는,심지어 DN 모두를 신호화할 용량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종래의 서빙 TIA/EIA-41 시스템은 WNP, TBNP 또는 IR을 지원할 수 없다. 이는, 더 이전의 서빙 시스템은 MIN 및 MDN이 동일한 것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이전의 시스템은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예를 들면, MDN이 아닌, MIN상의 키)에서 별도의 MDN을 찾는 것은 더욱 알지 못한다. 이 한계로, 이들 가입자들은 기본 서비스들을 사용하도록 허용된 것이 아니라, 비상 서비스들을 호출 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그 결과로, 과거의 시스템에서 "911"을 다이얼하는 로머들은 MDN이 아닌, MSID를 PSAP-CC에 전달된 그들의 호출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콜백은 불가능하다.
WNP 및 IR 가능한 보다 새로워진 서빙 시스템은 MDN을 PSAP-CC에 전달할 수 없다. 이는, 호출하는 무선 유닛이 임의의 서비스 제공기(예를 들면, 비상호출 전용 이동전화기가 있음)이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무선 유닛들은 비가입자 초기화(non-subscriber initialized, "NSI) 전화기들이라 한다. 이는, 또한 가입자가 HLR이 DN을 포함한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로 서빙 시스템에 응답하기 전에 비상 호출할 수 있다. PSAP-CC가 콜백을 위해 동작 중인 DN을 제공받았지만, DN으로의 콜백은, 가입자가 모든 내향 호출을 위한 호출 포워딩 서비스를 갖거나 가입자가 한정되고, 선불된 서비스를 갖고 PSAP-CC로부터의 내향 콜백을 지불할 수 있는 잔고가 없다면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콜백 번호가 방문하는 국제 로머인 경우, PSAP-CC는 국제호출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PSAP-CC는 국제번호를 콜백할 능력을 가질 수 없다. 또한, 네트워크 정체의 위험 또는 적절한 방식으로 비상을 처리하는데 손해인 국제호출을 완료하는데의 지연이 있다. 일부 PSAP-CC는 별도의 외향 행정 라인들을 통해 임의의 외향 호출을 구현하는 것이 설치될 수도 없다.
국제 로머용 콜백 DN은 그들의 로컬 비상 서비스 지대("ESZ")에 있는 가입자에 도착하기 위해 국제호출하는데 PSAP-CC를 요구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국제호출을 하지 않는 PSAP-CC 및 비상 목적의 즉석 콜백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응용들에 대한 실제적이고, 적당하거나 충분하게 신뢰성있는 해결책이 아니다. 더욱이, 전체 국제 MDN(국제코드를 포함한 15 디지트들까지)은, PSAP-CC가 10 디지트들만이 지원하면 콜백을 위해 PSAP-CC에 제공될 수 없다.
또한, 호출 무선 유닛은 임의의 서비스 제공기로 등록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유닛과 연관된 DN이 없거나, 또는 무선 유닛에 인코드된 무한 MSID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유닛들은, 예를 들면, NSI 이동 전화기들이라 한다. 이는 (a) NSI 전화기는 등록되도록 되지 않고(비상 호출 전용의 이러한 전화기들이 있다.), (b) 상기 전화기는 새롭고 서비스 제공기에 의해 아직 초기화되지 않았다.), (c) 가입은 종료되고 NSI 전화기는 서비스 제공기로 더이상 등록되지 않는다. 또는 (d) SIM 카드는 분실되고 도난되거나, 또는 간단히 주의있게 또는 부주의하게 삽입되었거나 제거되지 않는다.
일부 무선 유닛들은 제거가능한 사용자 식별 모듈("R-UIM") 또는 MSID 및 DN을 포함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을 지원한다. R-UIM 또는 SIM이 전화기 내에 없으면, 비상 호출하는데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콜백 번호로서 PSAP-CC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기 또는 서빙 시스템에 공지된 DN 또는 MSID는 없다.
모든 MS는 제조업자에 의해 전화기에 인코드된 독특한 설비 식별 번호("MEIN")을 포함한다. MEIN은, 예를 들면, ANSI/TIA/EIA-41 시스템들에 사용된 전자 직렬 번호("ESN") 또는 GSM 시스템들에 사용된 국제 이동 설비 식별("IMEI")일 수 있다. MEIN은 MSID 및 DN에 독립적이다. MEIN은 무선 유닛 및 호출 발신 시도를 가진 무선 시스템의 기지국 간에 대기를 통해 신호화된다. 예를 들면, 호출 발신 시도가 공급되지 않으면, MEIN은 서빙 시스템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911 + MEIN의 마지막 7 디지트들"를 형식으로 PSAP-CC에 전달하기 위한 무선 비상 서비스들 호출에 대한 현재의 표준들은, 무선 가입자에 지정된 디렉토리 번호가 가용하지 않을 때 번호를 콜백한다. 이는, PSAP-CC에게 동작하는 콜백 번호가 이 호출에 따라 가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지만, "911 + MEIN의 마지막 7 디지트들(MEIN7)은 호출을 독특하게 식별하지 않고(즉, 많은 비상 호출들이 동일한 "911+MEIN7"로 식별될 수 있음),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트될 수 없다. 이는, "911+MEIN의 마지막 7 디지트들"이 완전한 MEID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에 기인하며, 이에 따라 독특하지 않다.
상기 접근법은 무선 유닛의 비상 콜백을 수행하기 위한 PSAP-CC 일부 측정을 제공하지만, 몇몇 장애물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정 환경 하에서 무선 유닛에 대한 콜백 번호는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가진 단지 더미 번호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PSAP-CC가 "911" 호출을 발신하는 무선 유닛에 대한 실제 콜백 번호를 수신한다는 것을 보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실제 콜백 번호가 "911" 호출을 발신하는 무선 유닛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발신한 "911" 호출자가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인프라구조를 거쳐 이뤄지는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로컬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호출 센터("PSAP-CC")와 같이 호출 센터가 콜백을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태그 식별자는, 예를 들면, 다른 채널을 거쳐 또는 분리된 메시지에서 전송된 관련 데이터를 가진 음성의 연관과 같은 다른 소오스들로부터의 시그널링을 독특하게 연관시키기 위해 이름 또는 라벨에 대응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식별자는, 예를 들면, 비상 호출 레지스터 또는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참조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그 식별자들은, 예를 들면, 비상 서비스 라우팅 키, 로컬 공중 안전 번호, 페이징 식별 및/또는 이동 설비 식별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은 비상 호출을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로부터 발신하는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단 상기 태그 식별자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콜백 번호는 전송될 수 있다.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비상 호출 레지스터가 상기 태그 식별자들을 수신하고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무선 콜백 번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비상 호출 레지스터를 가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된 비상 호출을 확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비상 호출에 응답 하여, 예를 들면, Ex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과 연관된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태그 식별자들은 비상 호출 레지스터에 대한 참조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태그 식별자들은 비상 서비스 라우팅 키, 로컬 공중 안전 번호, 페이징 식별 및 이동 설비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전송된 태그 식별자들은 상기 비상 호출 레지스터(예를 들면, 서빙 시스템 비상 호출 레지스터 또는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비상 호출 레지스터)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이 비상 호출 레지스터를 가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된 비상 콜백을 확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Be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비상 호출 레지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식별자는 수신되고,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입력된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비상 콜백은 요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이 이동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된 비상 호출을 확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유닛과 연관된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비상 서비스 엔터티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로부터 무선 유닛과 연관된 콜백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 계를 포함하며, 상기 콜백 및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무제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즉시적인 응용의 도면들은 범위가 아니라 단지 개략적인 표현들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치수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강조되어야 하고, 상기 치수들은 본 명세의 점검을 통해 당업자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실제 콜백 번호가 "911" 호출을 발신하는 무선 유닛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로컬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 호출 센터("PSAP-CC")와 같은 호출 센터가 발신한 "911" 호출자가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 인프라구조를 통해 이뤄지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콜백을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태그 식별자는, 예를 들면, 음성의 연관과 같은 다른 소오스들로부터의 시그널링을 독특하 연관시키기 위해 이름 또는 라벨에 대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태그 식별자는, 예를 들면, 비상 호출 레지스터 또는 비 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참조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그 식별자들은, 예를 들면, 비상 서비스 라우팅 키, 로컬 공중 안전 번호, 페이징 식별 및/또는 이동 설비 식별 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 비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참조 모델("NRM")의 아키텍처(10)는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도 1의 상기 NRM에 대응하는 메시지 흐름도(100)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호출을 처리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없이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 센터에 호출을 전달하기 위한 비-호출 연관 시그널링(non-call associated signaling, "NCAS") 기술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닛(20)은 "911" 호출을 상기 아키텍처(10)에 통신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911" 호출은 비상 호출 및/또는 비상 서비스들(예를 들면, 경찰, 소방서, 도로수리, 및/또는 앰블런스)에 대한 요청에 대응한다. 상기 무선 유닛(20)에 의해 발신된 통신은 대기 인터페이스, Um을 거쳐 기지국(30)으로부터 이동 스위칭 센터(40)("MSC")에 전달된다. 상기 "911" 호출을 상기 아키텍처(10)에 통신하는 단계는 도 2의 흐름도(100)의 메시지 흐름(110)에 대응한다.
일단 "911" 호출이 상기 MSC(40)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무선 유닛(20)과 연관된 식별 정보는 서빙 시스템(50)("ECR-SS")에서 비상 호출 레지스터에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상기 ECR-SS(50)에 통신하는 단계는 도 2의 메시지 흐름(120)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20)과 연관된 정보는, 예를 들면, 이동 설비 식별 번호("MEIN")를 포함한다. 상기 MEIN의 상기 ECR-SS(50)로의 전송은 제1 NRM 인터페이스, Ex를 거쳐 상기 MSC(4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ECR-SS(50)에 전송된 상기 MEIN은 국제 이동 설비 식별("IMEI"), 전자 일련 번호("ESN"), 의사 ESN("pESN") 및/또는 이동 설비 식별("MEID")에 의해 실현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MEIN의 전송과 함께, 상기 MSC(40)는 또한 상기 메시지 흐름(120)의 일부로서 페이징 식별("PGID")를 상기 ECR-SS(50)에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유닛(20)으로부터의 "911" 호출이 상기 기지국(30) 및 상기 MSC(40)로부터 끊기거나 단절되는 경우, 상기 PGID는 상기 무선 유닛(20)을 페이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출 끊김 또는 단절의 환경 하에서 상기 무선 유닛(20)을 페이지하기 위해, 상기 MSC(40)의 로컬 공중 안전 번호("LPN")가 스위칭 서빙 "911" 호출자(예를 들면, 상기 무선 유닛(20))를 독특하게 식별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상기 LPN은 상기 MSC(40)에 지정된 본래 또는 비-이식성(non-portable) 번호 블록으로부터 다이얼가능 번호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LPN은 상기 아키텍처(10) 내에서의 호출 끊김 또는 단절의 경우에, 상기 ECR-SS(50)를 식별하고 "911" 호출자에 콜백을 발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LPN 이외에도, 비상 서비스 라우팅 키("ESRK")는 또한 도 2의 상기 메시지 흐름(120)의 일부로서 "911" 호출자를 독특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SRK는 "911" 호출과 연관된 상기 무선 유닛(20)의 위치 정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ESRK를 제공하는데 관련된 네트워크 소자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기존의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PGID는, "911" 호출이 끊기거나 단절되면 내향 호출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무선 유닛(20)의 페이징을 지원하는 다수의 통신 표준들-계 식별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GSM계 시스템에 관해서는, 상기 무선 유닛(20)은 상기 무선 유닛(20)에 의해 제공되는 국제 이동 이동국 식별("IMSI"), 상기 IMSI와 연관된 임시 이동국 식별("TMSI"), 및/또는 상기 무선 유닛(20)으로부터의 IMEI를거쳐 페이지될 수 있다. CDMA2000 시스템에서는, 상기 페이징 단계는 이동 식별 번호("MIN"), IMSI, 비-가입자 초기화("NSI") 무선 유닛들로부터의 디폴트 이동국 식별("dMSID"), 상기 무선 유닛(20)으로부터의 ESN 및/또는 상기 무선 유닛(20) 내의 MEID로부터 발생된 pESN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MSC(40)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유닛(20)과 연관된 식별 정보에 따라, SS-ECR(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y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중 서비스 응답 포인트(70)("PSAP")와 연관된 다른 비상 호출 레지스터("ECR")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130)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MEIN, LPN, dMSID 및/또는 ESRK는 상기 SS-ECR(50)에서 상기 ECR-PSAP(70)로 재 전송될 수 있다. PSAP-ECR 데이터베이스는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80)("ESME")와 연관된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상기 ESME(80)에서 다른 연관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ESRK, 상기 MEIN, 상기 이동국 식별(예를 들면, MIN 또는 IMSI) 및/또는 호출자의 디렉토 리 번호에 제공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ESRK는 상기 MSC(40)로부터의 "911" 호출로 비상 서비스 네트워크 소자(60)("ESNE")로 신호화될 수 있다. 이 전송은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Aix를 통해 수행된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140)에 대응한다.
일단 상기 ESNE(60)에 전달되면, 상기 ESRK는 공중 안전 액세스 포인트 호출 센터(90)("PSAP-CC")에 다시 전송된다. 상기 ESRK의 이러한 전송은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150)에 대응한다.
다음에, 상기 PSAP-CC(90)는 상기 ESRK를 사용하여 "911" 호출이 발신된 상기 무선 유닛(20)에 대해 상기 ESME(80)에게 질문할 수 있다. 상기 ESME(80)는 인터페이스, Ey로부터 상기 ECR-PSAP(70)로 이미 전달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ESME(80)의 이러한 질문은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D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160)에 대응한다.
상기 PSAP-CC(90)로부터의 질문에 응답하여, 상기 ESME(80)는 셀 사이트 위치 및/또는 무선 유닛 위치, 서빙 시스템의 상기 LPN 및 상기 무선 유닛(20)의 상기 MEIN 뿐만 아니라, 콜백 번호("CBN")를 상기 PSAP-CC(9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상기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PSAP-CC(9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170)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PSAP-CC(90)에 전달된 CBN은 NSI 전화기에 대한 표준들을 벗어남으로써 선정된 무선 유닛의 디렉토리 번호 또는 다이얼-불가능 번호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콜백 번호는 상기 무선 유닛(20)에 서비스하는 상기 MSC(40)의 상기 LPN 및 상기 무선 유닛(20)의 상기 ME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시 상기 CBN에 따르면, 상기 PSAP-CC(90)는 데이터베이스 키로서 상기 ESRK를 사용하여 상기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PSAP-ECR(70) 및 상기 ESME(80)를 또한 신호화할 수 있다. 이 신호화 단계는 "911" 발신호출이 끊기거나 단절되면 상기 MSC(40)로부터 콜백을 요청하는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MSC(40)로부터의 콜백은, 상기 MSC(40)가 이동전화기와 상기 PSAP-CC 간의 새로운 911 호출을 발신하도록 요청하는데 상기 ESME 내에서 상기 PSAP-CC를 신호화하기 위해 대안으로서 상기 D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임의의 PSAP-CC가 별다른 기능없이 외향 호출을 바로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콜백 요청은 상기 Ey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PSAP-ECR(70)으로부터 상기 SS-ECR(50)에 공급된다. 그 다음에, 상기 SS-ECR(50)은 상기 Ex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MSC(40)를 통해 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들(180 내지 200)에 대응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PSAP-CC(90)의 참석자는, 상기 PSAP-CC(90)가 적절한 라인들과 설비로 설치되면 상기 LPN 및/또는 상기 MEIN을 사용하여 콜백을 상기 MSC(40)에 직접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EIN은 글로벌 어드레스 매개변수("GAP")에 관련한 ISDN 사용자부("ISUP")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PSAP-CC(90)는 또한 상기 ESNE(60)를 요구하기 위해 상기 ESRK를 사용하여 상기 D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ESME(80) 요청을 전송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요구는 상기 LPN 및 상기 MEIN을 사용하여 상기 PSAP-CC(90)에서 상기 MSC(40)로의 콜백을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2의 메시지 흐름(210 내지 220)에 대응한다.
상기 MEIN는 콜백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MSC(40)에 의한 페이징에 대해 상기 무선 유닛(20)을 식별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PSAP-CC(90)의 디렉토리 번호는 호출 발신 메시지의 호출 당사자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번호는 상기 MSC(40)에 의해 공지되고, 호출자가 비상 콜백 서비스에 인증될 수 있는가를 확신하기 위해 호출 당사자 필드에서 검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비상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참조 모델("NRM")의 아키텍처(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는 도 3의 상기 NRM에 대응하는 메시지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들은 호출 센터에 의한 호출을 확립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술과 연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닛(320)은 "911" 호출을 상기 아키텍처(300)에 통신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 유닛(320)에 의해 발신된 통신은 대기 인터페이스, Um를 거쳐 기지국(300)을 통해 MSC(340)에 전달된다. 상기 "911" 호출을 통신하는 단계는 도 4의 메시지 흐름(410)에 대응한다.
일단 "911" 호출이 상기 MSC(300)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무선 유닛(320)과 연관된 식별 정보는 ECR-SS(350)에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상기 ECR-SS(350)에 통신하는 단계는 도 4의 메시지 흐름(420)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무선 유닛(320)과 연관된 정보는, 예를 들면, MEIN을 포함한다. 상기 MEIN의 상기 ECR-SS(350)로의 전송은 제1 NRM 인터페이스, Ex를 거쳐 상기 MSC(34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ECR-SS(350)에 전송된 상기 MEIN는 IMEI, ESN, pESN 및/또는 MEID에 의해 실현될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MEIN의 전송과 함께, 상기 MSC(340)는 또한 상기 메시지 흐름(420)의 일부로서 PGID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유닛(320)으로부터의 "911" 호출이 기지국(330) 및 상기 MSC(340)로부터 끊기거나 단절되는 경우에, 상기 PGID는 상기 무선 유닛(320)을 페이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호출 끊김 또는 단절의 환경 하에서 상기 무선 유닛(320)을 호출하기 위해, 상기 MSC(340)의 LPN은 "911" 호출자(예를 들면, 상기 무선 유닛(320))을 제공하는 특정 스위치 또는 엔드 오피스를 독특하게 식별하는데 필요해질 수 있다. 상기 LPN은 본래 또는 상기 MSC(340)에 지정된 비-이식성 번호 블록으로부터 다이얼가능 번호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LPN은 상기 아키텍처(300) 내에서 호출 끊김 또는 단절의 경우에, 상기 ECR-SS(350)을 식별하고 "911" 호출자에게 콜백을 발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LPN 이외에도, ESRK는 또한 도 4의 상기 메시지 흐름(420)의 일부로서 "911" 호출자를 독특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SRK는 "911" 호출과 연관된 상기 무선 유닛(320)의 위치 정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ESRK를 제공하는데 관련된 네트워크 소자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기존의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PGID는, "911" 호출이 끊기거나 단절되면 내향 호출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무선 유닛(20)의 페이징을 지원하는 다수의 통신 표준들-계 식별자들 중 하나일 수 있다. GSM계 시스템에 대해서는, 상기 무선 유닛(320)은 상기 무선 유닛(320)에 의해 제공된 IMSI, 상기 IMSI와 연관된 TMSI, 및/또는 상기 무선 유닛(320)으로부터 IMEI를 거쳐 페이지될 수 있다. CDMA2000 시스템에서는, 상기 페이징 단계는 MIN, IMSI, NSI 무선 유닛들로부터의 dMSID, 상기 무선 유닛(320)으로부터의 ESN, 및/또는 상기 무선 유닛(320) 내에서 MEID로부터 발생된 pESN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상기 아키텍처(300) 및 상기 메시지 흐름도(400)는 호출 연관 시그널링("CAS") 및 비-호출 연관 시그널링("NCAS")의 조합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CAS 기술은 ESNE(360)와 연관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NCAS 방법은 ESME(380)로부터 PSAP-ECR(370)의 분리에 기초하여 PSAP-CC(390)와 연관된다. 결과적으로, 이 기술은 이동 비상 서비스용 하이브리드 CAS 및 NCAS라 할 수 있다.
상기 아키텍처(300)는 SS-ECR(350) 및 상기 PSAP-ECR(370) 간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y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MSC(340) 및 상기 ESME(380)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의 부가 이외에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B는 상기 PSAP-ECR(370) 없이 상기 ESNE(360)과 상기 ESME(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ESNE(360)과 상기 PSAP-ECR(370) 간의 직접 인터페이스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부가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Be는 또한 상기 PSAP-ECR(370)과 상기 ESME(380)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D는 상기 ESME(380)와 상기 PSAP-CC(3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별도의 부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De는 상기 PSAP-ECR(370)과 상기 PSAP-CC(390) 사이에 포함되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기 MSC(340)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유닛(320)과 연관된 식별 정보에 따라, SS-ECR(3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y를 거쳐 새로운 비상 호출에 관한 정보를 PSAP-ECR(370)에 통신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430)에 대응한다. 상기 PSAP-ECR(370)은 상기 ESME(380)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LPN, MEIN, 및 ESRK는 또한 상기 Be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PSAP-ECR(370)에서 상기 ESME(380)로 통신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ESRK는 상기 LPN과 상기 MEIN을 가진 Aix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MSC(340)에 의한 호출로(예를 들면, 호출 연관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ENSE(360)로 통신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440)에 대응한다. 상기 ESRK는 상기 C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ESNE(360)로부터 상기 PSAP-CC(390)로 전송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LPN 및 상기 MEIN는 메시지 흐름(450)에 대응하는 상기 B 인터페이스를 거쳐 상기 ESNE(360)에서 상기 ESME(380)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단 상기 ESRK가 호출과 통신되고 상기 C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었다면, ESNE(60)에 일단 전달되면, 상기 PSAP-CC(390)는 상기 ESRK를 이용하여 상기 ESME(380)에게 질문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은 상기 PSAP-CC(390)에게 상기 무선 유닛(320)과 연관된 콜백 번호(즉, 상기 LPN 및 상기 MEIN)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460)에 대응한다.
다음에, 상기 ESME(380)는 상기 PSAP-CC(390)에 응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SME(380)는 콜백 번호, 무선 유닛 위치 및 비상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상기 PSAP-CC(390)에 필요한 다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470)에 대응한다.
"911" 호출이 끊기거나 단절되면, 상기 PSAP-CC(390)는 상기 ESRK를 사용하여 상기 ESME(380)를 상기 D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렇다면, 콜백은 상기 MSC(340)로부터 요청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480)에 대응한다. 그 다음에, 상기 ESME(380)는 메시지 흐름(490)에 대응하여 상기 PSAP-ECR(370)로부터 상기 MSC(340)를 통해 요청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ESRK와 연관된 상기 MEIN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PSAP-ECR(370)은 메시지 흐름(495)에 대응하여 상기 MSC(340)를 통해 콜백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MEIN를 사용하여 상기 PSAP-CC(390)를 신호화하고 상기 MEIN를 사용하여 상기 De 인터페이스를 직접 거쳐 상기 PSAP-CC(370)를 신호화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PSAP-ECR(370)은 상기 MEIN를 사용하여 MSC 서비스를 통해 콜백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백은 상기 SS-ECR(350)을 통해 전송된 상기 PSAP-ECR(37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MSC(340)에 의해 이뤄진다. 이 동작은 도 4의 메시지 흐름(500)에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SS-ECR(350)은 상기 MSC(340)에 상기 PGID를 제공하고 상기 MSC(340)를 통해 상기 무선 유닛(320)과 상기 PSAP-CC(390)에 콜백을 요청할 수 있다.
특정 발명이 기재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설명은 한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의 다양한 수정들이 청구범위에 인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 설명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분명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기술된 방법과 시스템은, 예를 들면, 무선 유닛,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또는 이동전화센터와 같이 다른 위치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처리 회로는 상기 개시의 장점으로 당업자가 알 수 있듯이 주문형 반도체 회로들, 소프트웨어 구동 처리 회로, 펌웨어, 프로그래가능한 논리 장치들, 하드웨어, 상기 구성요소들의 특정 구성요소들 또는 배열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이들과 수정들, 배열들 및 방법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재된 예시적인 응용들을 엄격하게 따르지 않고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수정들 또는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실제 콜백 번호가 "911" 호출을 발신하는 무선 유닛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아키텍처가 제공된다.

Claims (10)

  1. 비상 호출을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대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콜백 번호(wireless call back number)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 콜백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과 연관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통신 방법.
  3. 비상 호출 레지스터를 가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되는 비상 호출을 확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과 연관된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4. 비상 호출 레지스터를 가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되는 비상 콜백을 확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상 호출 레지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emergency service message entity)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비상 콜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콜백 확립 방법.
  5.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를 가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되는 비상 호출을 확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상 호출 레지스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상기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비상 호출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6. 이동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에 의해 발신된 비상 호출을 확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비상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과 연관된 상기 이동 스위칭 센터로부터 비상 서비스 엔터 티로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과 연관된 콜백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콜백 및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참조 키(reference key)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비상 호출 레지스터와 비상 서비스 메시지 엔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 식별자는 비상 서비스 라우팅 키(emergency service routing key), 로컬 공중 안전 번호, 페이징 식별 및 이동 설비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비상 호출 확립 방법.
KR1020050018118A 2004-03-11 2005-03-04 데이터와 호 대 호 센터를 연관시키는 방법 KR101160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8,629 2004-03-11
US10/798,629 US7702308B2 (en) 2004-03-11 2004-03-11 Method of associating data with a call to a call ce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407A true KR20060043407A (ko) 2006-05-15
KR101160472B1 KR101160472B1 (ko) 2012-06-28

Family

ID=3482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118A KR101160472B1 (ko) 2004-03-11 2005-03-04 데이터와 호 대 호 센터를 연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2308B2 (ko)
EP (1) EP1575327B1 (ko)
JP (1) JP4875310B2 (ko)
KR (1) KR101160472B1 (ko)
CN (1) CN16681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5229A1 (en) * 2004-03-26 2005-09-29 Cheng Steven D Call processing system
JP4396361B2 (ja) * 2004-04-05 2010-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端末装置
FR2869190B1 (fr) * 2004-04-19 2006-07-21 Alcatel Sa Procede permettant a l'usager d'un terminal telephonique sans fil d'etablir une connexion d'urgence dans un reseau local; terminal et serveur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MX2007012683A (es) * 2005-04-12 2008-01-11 Telecomm Systems Inc Portal de numeracion electronica temporal.
US20060271560A1 (en) * 2005-05-25 2006-11-30 Don Mitchell Location based provision of on-demand content
WO2007011861A2 (en) 2005-07-18 2007-01-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grated services user part (isup)/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gateway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emergency services call flow
US7933385B2 (en) 2005-08-26 2011-04-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alert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S8185567B2 (en) * 2006-01-02 2012-05-2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cation aware content using presence information data formation with location object (PIDF-LO)
US7805483B2 (en) 2006-01-09 2010-09-28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geospacial location to content on a network
CN1878401B (zh) * 2006-01-24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紧急呼叫回呼方法及系统
US8228897B2 (en) 2006-04-04 2012-07-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ANSI-41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US8208461B2 (en) * 2006-04-04 2012-06-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MAP/Lg+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US8155109B2 (en) * 2006-04-04 2012-04-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S7 ISUP to SIP based call signaling conversion gateway for wireless VoIP E911
CN101155347B (zh) * 2006-09-30 201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业务的回叫方法及系统
US9521210B2 (en) * 2006-10-06 2016-12-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install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devices
ES2685443T3 (es) 2006-11-02 2018-10-09 Voip-Pal.Com, Inc. Producir mensajes de enrutamiento para comunicaciones de voz sobre IP
BRPI0719682B1 (pt) 2006-11-29 2020-11-24 Voip-Pal.Com, Inc. Interceptando comunicaqoes de voz via ip e outras comunicaqoes de dados
WO2008116296A1 (en) 2007-03-26 2008-10-02 Digifonica (International) Limited Emergency assistance calling for voice over ip communications systems
US20090004997A1 (en) * 2007-06-27 2009-01-01 Allen Danny A Portable emergency call center
US8254529B2 (en) * 2008-02-20 2012-08-28 Oldham Eamonn John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services number alerting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8200185B2 (en) * 2008-04-02 2012-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mergency calls (eCalls)
EP2311292B1 (en) 2008-07-28 2020-12-16 Voip-Pal.Com, Inc. Mobile gateway
KR101691827B1 (ko) * 2009-04-02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긴급 서비스 요청 방법
CA2812174C (en) 2009-09-17 2018-05-15 Digifonica (International) Limited Uninterrupted transmission of internet protocol transmissions during endpoint changes
US8548508B2 (en) * 2010-07-30 2013-10-01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identifying telematics calls
CN101924995A (zh) * 2010-08-30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紧急呼叫业务中的回呼方法及装置、拜访移动交换中心
WO2011103839A2 (zh) * 2011-04-19 2011-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呼叫回呼方法、装置和系统
US20130102317A1 (en) * 2011-10-21 2013-04-25 Aeris Communications, Inc. On-demand directory number control function for a mobile device
WO2013078354A1 (en) 2011-11-23 2013-05-3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user information selection and delivery event based upon credentials and variables
EP2789157A4 (en) 2011-12-05 2015-07-29 Telecomm Systems Inc AUTOMATED ASSOCIATION MECHANISM FOR NEAR LOCATIONS FOR WIRELESS EMERGENCY SERVICES
US9380608B1 (en) 2012-09-13 2016-06-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nhanced emergency call mobility support
US8761722B1 (en) 2012-09-14 2014-06-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nhanced location data in emergency call handl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4217A1 (de) * 1982-11-30 1984-05-30 Electro Chemical Engineering Gmbh, Zug Verfahren zur anodischen oxydation von aluminiumlegierungen
US5392052A (en) * 1993-04-28 1995-02-21 Eberwine; Mark A. Position reporting emergency location system
US5689548A (en) * 1996-05-21 1997-11-18 Ericsson, Inc. Emergency call back using MSC numbers
US5712900A (en) * 1996-05-21 1998-01-27 Ericsson, Inc. Emergency call back for roaming mobile subscribers
US5864755A (en) 1996-06-11 1999-01-26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Method for allowing a mobile phone to receive a call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which it is not registered, for emergency purposes
US6038437A (en) * 1997-02-13 2000-03-14 Gte Mobilnet Service Corp. Call-back method in response to emergency call originating from cellular radiotelephone
US5949865A (en) * 1997-08-18 1999-09-07 Ericsson Inc. Management of calling name delivery in telephone networks providing for telephone number portability
US6128481A (en) * 1997-10-22 2000-10-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routing emergency services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556816B1 (en) 2000-01-31 2003-04-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establishing a cal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415018B1 (en) * 2000-02-08 2002-07-02 Lucent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pecial number calls having geographic sensitivity
US6766159B2 (en) * 2000-03-10 2004-07-20 Nokia Mobile Phones Ltd. Alpha tagging and type indication of emergency call number
US7155201B2 (en) * 2000-09-29 2006-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for emergency call services
US7103153B2 (en) * 2001-03-23 2006-09-05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curate emergency location identification numbers (ELINs) after an emergency caller disconnects
US7676215B2 (en) * 2002-10-16 2010-03-09 Alcatel Lucent Usa Inc. Emergency call back method
US7302250B2 (en) * 2003-01-13 2007-11-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cognizing fraudulent wireless emergency service calls
US7565130B2 (en) 2003-01-13 2009-07-21 Alcatel-Lucent Usa Inc. Emergency intersystem paging for emergency call back
US7480374B2 (en) 2003-01-16 2009-01-20 Alcatel-Lucent Usa Inc. Emergency service call back to a ported number
CA2511917C (en) * 2003-01-21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emergency call completion in a mobile station
US7251312B2 (en) * 2003-09-06 2007-07-31 Intrado Inc. Method and system for availing participants in a special number call event and other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 plurality of data st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2799A1 (en) 2005-09-15
CN1668137A (zh) 2005-09-14
EP1575327A1 (en) 2005-09-14
JP4875310B2 (ja) 2012-02-15
JP2005260971A (ja) 2005-09-22
KR101160472B1 (ko) 2012-06-28
US7702308B2 (en) 2010-04-20
EP1575327B1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472B1 (ko) 데이터와 호 대 호 센터를 연관시키는 방법
US7715821B2 (en) Method of updating a unique call back number for a wireless emergency call
US7764944B2 (en) Method of providing a unique call back number for wireless 9-1-1 calls
EP1411743B1 (en) An emergency call back method
US7565131B2 (en) Emergency call back through intersystem paging
US5689548A (en) Emergency call back using MSC numbers
JP5511927B2 (ja) 通話を間接的に確立する方法とシステム
US7565130B2 (en) Emergency intersystem paging for emergency call back
JP2008099307A (ja) 通信不能な移動電話機に向けられた電話呼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40203574A1 (en) Emergency call back method applicable to non-coded mobile stations
US7706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temporary wireless directory number
CA2681852C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mobile emergency service call from an incognito mobile station
JP2014531170A (ja) 携帯機器用のオンデマンドのディレクトリ番号制御機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