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814A - 로봇완구 - Google Patents

로봇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814A
KR20060041814A KR1020050011217A KR20050011217A KR20060041814A KR 20060041814 A KR20060041814 A KR 20060041814A KR 1020050011217 A KR1020050011217 A KR 1020050011217A KR 20050011217 A KR20050011217 A KR 20050011217A KR 20060041814 A KR20060041814 A KR 2006004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toy
rotating plate
magnet
wir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ublication of KR2006004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및 다리를 들어 상대 로봇 또는 기타 대상물을 가격할 수 있는 로봇 완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한 다리는 발바닥의 자석(55)의 힘으로 바닥철판(100)에 지지되며 반대쪽 다리는 지레의 힘을 이용하여 자석을 바닥철판(100)에서 이탈 시켜 상대를 가격할 수 있는 특징과, 손으로 상대를 가격할 수 있으며, 걷기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동작들을 모터와 와이어로 단순하게 구현하였으므로 낮은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며, 상대방과 같이 공동으로 즐길 수 있으므로 놀이에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어 기존의 로봇완구 제품에 비해 상품성이 우수하다.
로봇 완구, 로봇, 와이어, 회전판, 자석

Description

로봇완구 {ROBOT TOY}
도 1은 본 발명의 로봇완구의 조립완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봇완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리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체 및 가이드 작동원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걷기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무릎굽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다리의 벌어짐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된 다리의 회전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는 본 발명의 어깨부 분해도.
도 12은 본 발명의 팔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로봇완구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머리 20 : 몸체 40 : 팔
50 : 다리 100 : 바닥철판
21 : 제1회전판 22 : 제2회전판
23 : 제3회전판 24 : 제4회전판
25 : 제5회전판 26 : 구슬
27 : 와이어 28 : 구슬가이드
29 : 모터 30 : 모터고정체
31 : 기어부 41 : 어깨회전판
42 : 상완 43 : 하완
44 : 제어부재 51 : 걷기부재
52 : 사타구니부 53 : 허벅지부
54 : 종아리부 55 : 판스프링
56 : 무릎핀 57 : 지레
58 : 자석 59 : 트레이
본 발명은 로봇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일단에 고정된 구슬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에 끼우고 와이어의 타단을 로봇완구의 손과 다리에 연결하여 손 및 다리를 들어 상대 로봇 또는 기타 대상물을 가격할 수 있는 로봇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만화영화 및 게임은 격투기를 소재로 하고 있고 그 캐릭터를 상품화 하였다. 그러나 캐릭터의 동작을 구현하는데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작동완구로서 상품화하지 못하고 비작동 완구로 상품화되었다.
특히, 작동완구로 구현된 제품은 손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격하고 하체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토록 구현되었거나, 큰 발을 이용하여 한발로 중심을 잡고 다른 한 발을 옮겨 놓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걷는 동작을 구현하였다. 이는 한발을 들어 대상물을 가격케 한다는 것은 첨단 전자기술을 활용하지 않고는 불가능 하다고 여겼기 때문으로, 기술력, 자금력, 고가에 의한 대중성 결여 등 많은 구속력에 의해 그동안 발차기가 가능한 완구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그러한 사유로 종래의 격투 로봇들은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며, 팔만으로 대상물을 가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별도의 지지대가 없이 로봇 자체 다리만으로 중심을 잡으며 대상물을 가격할 수 있는 로봇완구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좀 더 로봇완구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여 많은 동작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한 발을 들어 대상물을 가격하는 기능이 불가능 내지는 첨단 기술을 요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가 일단에 고정된 구슬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에 끼우고 와이어의 타단을 로봇완구의 손과 다리에 연결하여 단순하게 상기 동작들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차기가 가능한 완구를 개발하여 기존의 완구보다 다양한 재미와 새로운 시장성을 확대할 수 있는 로봇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로봇 완구는 모터(29)와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고정체(30)와 이 모터고정체 주위를 감싸며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판(21,22,23,24,25)과 모터의 축으로부터 하단 제1회전판(21)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31)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각기 양편으로 돌출되며, 어깨회전판(41)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팔부(40)와; 상기 몸체 하단의 힌지부(303)에 연결되어, 일정부분 회전 운동하는 걷기부재(51), 상기 걷기부재에 연결되는 사타구니부(52)와, 상기 사타구니부(52)와 분리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허벅지부(53)와, 상기 허벅지부(53)의 하단과 힌지 연결된 종아리부(54)로 구성된 다리(50)와; 상기 종아리부(54)의 하측에 구성되며, 자석(58)이 부착된 철재의 트레이(59)와 이 트레이를 들어 올리는 지레(57)로 구성된 발과; 로봇이 쓰러지지 않도록 자력이 통하는 바닥철판(100)과; 각각의 부재에 연결되며 운동을 제어하는 와이어(27)와; 기타 효과를 위한 I.C부; 스위치; 원격조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다리는 발바닥의 자석의 힘으로 바닥철판에 지지되며 반대쪽 다리는 지레의 힘을 이용하여 자석을 바닥철판에서 이탈시켜 상대를 가격할 수 있으며, 또한 손으로 상대를 가격 할 수 있고, 걷기 동작 및 허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의 동작들을 모터, 와이어 기타 구성요소로 단순하게 구현하였으므로 낮은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며, 상대방과 같이 공동으로 즐길 수 있으므로 놀이에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고, 기존의 로봇완구 제품에 비해 상품성이 우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봇완구는 팔과 다리 관절들이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갖는 로봇완구로서, 일단이 상기 로봇완구의 관절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 구슬과, 상기 구슬이 외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외면에 상기 구슬이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구슬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슬이 상기 회전판의 돌기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구슬이 빠질 수 있는 홈을 갖는 구슬가이드와,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완구의 발바닥에 자석이 설치되고, 철판 위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발바닥에는 전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와이어의 끝단이 연결되면 상면에 상기 자석이 고정된 트레이가 설치되고, 그 트레이의 와이어는 돌기를 거쳐 지레의 중앙에 연결되며 지레는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지레의 상단에는 상기 구슬에 연결된 와이어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지레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가 상측으로 들려 자석이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로봇완구의 무릎에는 무릎을 항상 편 상태로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하게 되거나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로봇 완구는 모터(29)와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고정체(30)와 이 모터고정체(30) 주위를 감싸며 회전운동을 하는 다수개의 회전판(21,22,23,24,25)과 모터(29)의 축으로부터 하단 제1회전판(21)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31)로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각기 양편으로 돌출되며, 어깨회전판(41)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팔부(40)와; 상기 몸체(20) 하단의 힌지부(303)에 연결되어, 일정부분 회전 운동하는 걷기부재(51), 상기 걷기부재에 연결되는 사타구니부(52)와, 상기 사타구니부(52)와 분리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허벅지부(53)와, 상기 허벅지부(53)의 하단과 힌지 연결된 종아리부(54)로 구성된 다리(50)와; 상기 종아리부(54)의 하측에 구성되며, 자석(58)이 부착된 철재의 트레이(59)와 이 트레이를 들어 올리는 지레(57)로 구성된 발(60)과; 로봇이 쓰러지지 않도록 자력이 통하는 바닥철 판(100)과; 각각의 부재에 연결되며 운동을 제어하는 와이어(27)와; 기타 효과를 위한 I.C부; 스위치; 원격조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다리(50)는 발바닥의 자석(58)의 힘으로 바닥철판(100)에 지지되며 반대쪽 다리는 지레의 힘을 이용하여 자석을 바닥철판(100)에서 이탈시켜 상대를 가격할 수 있다. 상기 다리(50)의 바닥철판(100)에서의 부착 및 이탈 작동은 영구자석을 대신해 전자석을 이용하여 전류의 흐름으로 부착 및 이탈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로봇 완구는 손으로 상대를 가격할 수 있으며, 걷기 동작 및 허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의 동작들을 모터(29), 회전판(21-25), 그 회전판에 끼워진 구슬(26), 그리고 구슬에 연결된 와이어(27)로 단순하게 구현하였으므로 낮은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며, 상대방과 같이 공동으로 즐길 수 있으므로 놀이에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어 기존의 로봇완구 제품에 비해 상품성이 우수하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명서세에서는 리모트콘트롤, I C회로, 스위치도 등 통상적으로 인지가 가능한 부분은 생략토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로봇 완구 조립완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로봇 완구의 작동형태를 도 3과 도 4를 예로 들어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품이 오른다리를 축으로 하고 왼다리(50)를 들어 대상물을 가격하는 모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반대의 동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 먼저 로봇은 도3-(1)과 같은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리모트콘트롤의 일정 스위치를 누르면 왼 발바닥이 바닥철판(100)에서 떨어지며 걷기부재(51)에 의해 사타구니부(52)가 앞으로 일정부분 회전하여 왼발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도3-(2)). 여기까지 동작을 좌우 번갈아 하면 로봇은 걷기 동작을 하며 앞으로 전진하게된다 . 도3-(2)의 동작에서 더 진행하게 되면 잠시 후 무릎이 구부러지고 다리(50)가 양쪽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오른다리의 사타구니부(52)가 회전을 하게 된다(도3-(3)). 이 상태에서 좀 더 진행하면 왼다리(50)의 굽어졌던 무릎이 펴지면서 대상물을 가격하게 되고(도3-(4)), 이 후 회전된 다리와 벌어진 다리가 도3-(5)의 상태를 거쳐 도3-(6)의 초기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도 4는 팔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모터(29)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봇은 굽혀졌던 팔을 들어 상대를 공격하게 된다(도4-(1)). 모터(29)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4-(2)와 같이 다른 팔을 들어 상대를 공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완구의 동작을 좀 더 자세하게 작동원리와 함께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동력전달을 살펴보면 모터(29)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력은 기어(31)부를 통하여 속도는 줄고 힘은 증가되어 제1회전판(21)의 내측기어(212)에 전달된다. 이 제1회전판(21)의 상부돌기(211)는 제2회전판(22)의 아래연결홈(221)에 전달되며, 제3, 4, 5회전판(23-25)도 같은 원리로 힘이 전달된다. 이 회전판(21,22,23,24,25)들은 모터고정체(30)의 외벽을 타고 회전하며, 이 회전판(21,22,23)과 구슬가이드(28) 사이에 있는 와 이어(27)가 연결된 다수의 구슬(26)은 회전판(21-25)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받아 와이어(27)를 통하여 각각의 작동부위에 힘을 전달한다.
도 6을 통하여 구슬(26)의 선택적 힘 전달의 원리를 알아보자. 도 6은 발차기를 제어하는 제1회전판(21)과 구슬가이드(28)의 단면도이다. 즉 회전판(21-25)과 구슬가이드(28)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제1회전판(21)의 상하단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6-(1)은 구슬(26)에 힘이 가해지기 전의 모습이다. 모터(29)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회전판(21)의 돌기(213)는 작용구슬(26)과 닿게 된다. 이 상태로 작용구슬(26)은 구슬가이드의 홈(282)에 도달할 때까지 운동하게 되며(도6-(2)), 가이드 홈(282)에 빠진 후 (도6-(3)) 제1회전판(21)의 돌기(213)가 좀 더 진행하면 작용구슬(26)은 스프링(55)력 및 중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가기 시작하게 된다(도5-(4))(이 때 발차기 동작이 일어남). 이 후 제1회전판(21)이 원위치하게 되면 도6-(5)와 같이 작용구슬(26)은 가이드 홈(281)에 빠져 힘을 전달하지 못하고 도6-(6)과 같이 원위치하게 된다. 모터(29)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반대편의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를 통하여 제1회전판(21)은 걷기 및 발차기를, 제2회전판(22)은 펀치 및 지지다리의 회전을, 제3회전판(23)은 회전된 다리의 복귀를, 제4회전판(24)은 다리의 오므림을, 제5회전판(25)은 다리의 벌림을 각각 제어한다. 물론 각 회전판(21-25) 및 구슬가이드(28)의 형상은 작용조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원리에 의해 일어나는 각각의 동작을 그림과 함께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7은 걷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의 (1)의 옆에는 분해 사시도가 그려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9)는 종아리 돌기(542)를 거쳐 지레(57)의 중간과 와이어(271)로 연결되며, 무릎의 굽힘을 제어하는 무릎핀(56)도 지레(57)에 와이어(272)로 연결되어 있고, 지레(57) 상단에 연결된 와이어(273)는 그것이 와이어(27)로 연장되고, 그 와이어의 구슬(26)은 제1회전판(21)과 구슬가이드(28)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도7-(1)). 상기 와이어(273)가 당겨지면 지레(57)는 축(57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지레(57)에 연결된 자석(58)이 부착되어 있는 트레이(59)는 자력을 이기고 바닥철판(100)에서 떨어지게 되며, 무릎의 굽어짐을 제어하는 무릎핀(56)은 회전중심의 홈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함께 당겨지는 와이어(273)의 위치가 옆선 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므로 걷기부재(51)의 회전에 의해 사타구니상과 몸체의 하단이 맞닿는 부분까지 회전하게 된다(도7-(2)). 이 걷기부재(51)는 판스프링(55)에 의해 원위치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도7-(2)의 상태에서 모터(29)를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면, 진행한 다리는 일정부분 앞쪽에 위치하게 되며, 반대 쪽 다리의 자력이 없어지므로 진행한 상태를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도7-1,2)을 번갈아 하면 로봇은 앞으로 걸으며 전진하게 된다.
도 8은 무릎이 굽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7-(2)의 상태에서 와이어(273)가 계속 당겨지면 종아리의 상단홈(541)이 힘의 작용점이 되어 종아리부(53)가 굽어지게 된다. 제1회전판(21)의 돌기(213)가 가이드의 홈(282)을 지나면 구슬(26) 및 와이어(27)는 제1회전판(21)의 제어에서 벗어나며(도6-(4)) 무릎에 설치된 판스 프링(55)에 의해 급격히 무릎이 펴지며 상대를 가격하게 된다. 무릎핀(56)은 하단 케이스(56a) 내부에 스프링이 내재되어 밀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27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무릎이 펴지는 동시에 하단 케이스(56a)에 내재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무릎핀(56)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홈에 삽입됨으로써 무릎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다리의 벌어짐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타구니부(51)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275,276)의 당김에 의하여 다리(50)가 벌어지며, 스프링력 또는 중력 및 반대작용(제5회전판)에 의하여 복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된 다리의 회전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사타구니부의 구멍(524)에 연결된 와이어(277)는 허벅지 구멍(532)을 거쳐 회전판과 구슬가이드내의 구슬에 연결된다. 와이어(277)가 당겨지면 사타구니 구멍(524)과 허벅지부의 구멍(532)은 인접하게 회전된다. 회전복귀는 반대작용(제3회전판)또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제어된다.
도 11은 어깨부 분해도이다. 어깨회전판(41)은 연결된 와이어(278)에 의해 회전되며, 이 어깨회전판(41)은 팔과 연결되며, 제어부재(44)는 몸체돌기(32)와 하완(43)의 돌기(431)에 연결된다.
팔의 작동은 도 12에 나타나 있으며, 어깨회전판(41)이 회전하면 도13-(1)의 상태에서 제어부재(44)의 거리 제어에 의해 팔은 도13-(2)와 같이 운동하게 된다.
팔의 작동은 별도의 모터를 구동하고 기어를 통하여 어깨회전판을 회전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도면에는 생략하였으나, 몸체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펀치를 제어하는 구슬과 연결하면 펀치와 함께 허리의 회전도 가능하다.
아울러 회전체의 형상, 수, 가이드의 형상, 모터의 추가 등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발의 자력을 동시에 철판에서 이탈시키게 가이드와 회전판을 구성하여 로봇이 타격을 입으면 양발의 자력을 동시에 철판에서 이탈시키는 작동을 주고 이 상태에서 타격을 입으면 쓰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로봇 완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I C, LED, 스피커 등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과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앞의 실시 예에서는 철판 위에 자석이 발바닥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로봇이 발차기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방향으로만 동작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3과 같이 로봇의 발바닥 내측에 역시 자석(58)을 설치하고 로봇 아래에는 로봇을 운송할 수 있는 동력차(70)를 설치한 것을 제안한다. 동력차(70)는 케이스(71) 측면에 바퀴(74)들을 설치하고 그 바퀴(74)에는 구동모터(72)가 연결되며, 구동모터(72)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73)가 그 옆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케이스(71)가 자석이 붙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71) 상면 내측에는 로봇의 자석(58)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75)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스(71) 위의 로봇의 위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동력차(70)에는 물론 조향장치와 리모트컨트롤러 수신기를 부착하여 어느 방 향이든지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다리는 발바닥의 자석의 힘으로 바닥철판에 지지되며 반대쪽 다리는 지레의 힘을 이용하여 자석을 바닥철판에서 이탈시켜 상대를 가격할 수 있으며, 손으로 상대를 가격 할 수 있으며, 걷기 동작 및 허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의 동작들을 모터와 와이어로 단순하게 구현하였으므로 낮은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여 대중화가 가능하며, 상대방과 같이 공동으로 즐길 수 있으므로 놀이에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고, 기존의 로봇완구 제품에 비해 상품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팔과 다리 관절들이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갖는 로봇완구로서,
    일단이 상기 로봇완구의 관절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 구슬과, 상기 구슬이 외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외면에 상기 구슬이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구슬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슬이 상기 회전판의 돌기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구슬이 빠질 수 있는 홈을 갖는 구슬가이드와, 상기 회전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완구의 발바닥에 자석이 설치되고, 철판 위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에는 전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와이어의 끝단이 연결되면 상면에 상기 자석이 고정된 트레이가 설치되고, 그 트레이의 와이어는 돌기를 거쳐 지레의 중앙에 연결되며 지레는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지레의 상단에는 상기 구슬에 연결된 와이어가 고정됨 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지레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트레이가 상측으로 들려 자석이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완구의 무릎에는 무릎을 항상 편 상태로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완구는 그 발바닥에 자석이 설치되고, 로봇완구는 구동력에 의해 바퀴들이 구동되어 이동되는 동력차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동력차 케이스 내측면에는 상기 로봇완구의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설치되어 로봇완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완구.
KR1020050011217A 2004-02-11 2005-02-07 로봇완구 KR20060041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67 2004-02-11
KR1020040008867A KR20040027548A (ko) 2004-02-11 2004-02-11 로봇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814A true KR20060041814A (ko) 2006-05-12

Family

ID=37148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67A KR20040027548A (ko) 2004-02-11 2004-02-11 로봇 완구
KR1020050011217A KR20060041814A (ko) 2004-02-11 2005-02-07 로봇완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67A KR20040027548A (ko) 2004-02-11 2004-02-11 로봇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275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09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아카인텔리전스 소셜 로봇
WO2020158964A1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션 로봇
WO2020179948A1 (ko) * 2019-03-06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션 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09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아카인텔리전스 소셜 로봇
WO2020158964A1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션 로봇
US11167409B2 (en) 2019-01-29 2021-11-09 Lg Electronics Inc. Action robot
WO2020179948A1 (ko) * 2019-03-06 2020-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션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48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612B2 (en) System to direct movement of a dancing figure
JP6267822B1 (ja) ボール射出装置
JP2012061314A (ja)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AU731294B2 (en) Toy having jumping action
KR20060041814A (ko) 로봇완구
JP2002136773A (ja) サッカー・格闘ロボットとその駆動・操作装置
JP2004351544A (ja) 無線操縦二足歩行ロボット
US6746301B1 (en) Bouncing and dancing toy figure
CN201361447Y (zh) 一种模拟动物动作的电动玩具
US5975979A (en) Sound-emitting doll with mouth and arm movement and capable of removing its pacifier by itself
WO2023160596A1 (zh) 一种场景玩具
KR200361778Y1 (ko) 로봇 완구
US5030161A (en) All-fours walking doll
WO2007018740A2 (en) Cartwheeling character
JP6616648B2 (ja) 対戦玩具
CN101462005B (zh) 一种模拟动物动作的电动玩具
JP2003181152A (ja) ロボット玩具
JP3650780B2 (ja) 人形玩具
JP3509065B2 (ja) 玩具ロボット機構
TW450824B (en) Figure toy
JP2701121B2 (ja) ロボット玩具
EP0278933A2 (en) Toy golfer
KR101577141B1 (ko) 운동 및 놀이기구
JPS60253473A (ja) 走行玩具
JP2504056Y2 (ja) もぐら叩きおもち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