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543A -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 Google Patents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543A
KR20060039543A KR1020040088659A KR20040088659A KR20060039543A KR 20060039543 A KR20060039543 A KR 20060039543A KR 1020040088659 A KR1020040088659 A KR 1020040088659A KR 20040088659 A KR20040088659 A KR 20040088659A KR 20060039543 A KR20060039543 A KR 20060039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support member
oven cavity
cavit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543A/ko
Publication of KR2006003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케비티와 일체로 형성되어 오븐케비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가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는, 오븐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케비티(200)에 있어서,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와;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븐케비티(2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와; 상기 지지부재(400)의 일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는 제작이 용이해 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오븐, 오븐케비티, 케비티플레이트, 지지부재, 보강비드

Description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 An Oven-cavity with surpporting part }
도 1 은 일반적인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케비티 배면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케비티 배면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지지부재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기오븐 200. 오븐케비티
220. 케비티플레이트 240. 상부히터
260. 하부히터 300. 컨벡션히터
320. 컨벡션팬 340. 컨벡션커버
400. 지지부재 420. 보강비드
500. 하부프레임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븐케비티와 일체로 형성되어 오븐케비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가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한 후에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세라믹히터(Ceramic heater)와 시즈히터(Sheathe heater), 할로겐히터(Halogen heater) 등 다양한 히터와 고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하여 건열(乾熱)로 요리재료를 가열하는 조리기기로, 조리재료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요리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 또한 높으며,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근래에 들어서 전기오븐을 포함한 주방용품들이 빌트인 타입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빌트인(Built-in)이란 각종 전자제품을 가구 안에 내장하여 디자인에 일체감을 주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도 뛰어나 많이 선호되고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기오븐(10)은 대략 직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납한 채로 조리하는 공간인 오븐케비티(30)가 형성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양 측면은 측면플레이트(20)가 형성되어 양 측면의 외 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측면흡입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흡입구(22)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기오븐(10)의 표면 및 내부의 구성품들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후면에는 후면플레이트(24)가 형성되어 상기 전기오븐(10)의 후면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일측, 즉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케비티(30)의 개구된 전면은 오븐도어(32)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오븐도어(32)는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32)의 하단부는 상기 오븐케비티(30) 전면의 하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오븐도어(32)는 상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32)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오븐케비티(30)의 개구된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되어진다.
또한, 상기 오븐도어(32)의 상단부에는 도어핸들(34)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핸들(34)은 상기 오븐도어(32)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전기오븐(10)의 전면 상부 즉,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40)이 수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0)은 전기오븐(10)의 전면외관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기오븐(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42)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4)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0)의 후방 즉,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상방에는 이 형성 된다. 상기 은 상기 전기오븐(10)의 작동을 위한 전기장치와 부품들이 장착되는 곳으로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그리고 냉각을 위한 팬조립체 등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븐케비티(30)는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좌/우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60)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비티플레이트(60)는 각각 따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형성될 수도 있고, 한 면 이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 할 것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케비티 배면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케비티(30)의 후단부 하측에는 지지부재(6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62)는 상기 오븐케비티(30)가 상기 전기오븐(10)의 하측 일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70)에 안착될 때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에서 지지 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케비티(30)의 후단부 하측 모서리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62)는 상기 오븐케비티(30)의 후단부 하측 모서리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케비티(30)의 양 측면과 하측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60)의 후단부 하측의 각 모서리에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2)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븐케비티(30) 모서리의 측면과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븐케비티(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1.5㎜두께의 플레이트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62)의 하측면은 하부프레임(7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70)은 상기 전기오븐(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오븐케비티(30)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오븐(1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70)의 상면에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오븐케비티(30)는 상기 전기오븐(10) 내측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오븐케비티(30) 외측으로 냉각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거나 다른 구성품들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오븐케비티(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62)가 상기 케비티플레이트(60) 후단부의 하측 모서리에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서 결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6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븐케비티와 일체로 형성되어 오븐케비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가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는, 오븐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케비티에 있어서, 상기 오븐케비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와; 상기 오븐케비티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븐케비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비티플레이트의 후단부 하측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기오븐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는 제작이 용이해 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로서, 전체적인 외형 및 구조는 일반적인 전기오븐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전기오븐(100)의 내측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케비티(200)는 케비티플레이트(220)에 의해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케비티플레이트(220)는 상기 오븐케비티(200) 내부의 상/하측 면과 좌우 측면 그리고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오븐케비티(200) 내측의 상부에는 상부히터(2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오븐케비티(200) 저면의 하방에는 하부히터(26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히터(260)는 상기 케비티플레이트(220)의 저면에 의해서 상방이 차폐되어 상기 하부히터(260)가 오븐케비티(200)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오븐케비티(200) 내측의 후면에는 컨벡션히터(300)와 컨벡션팬(320)이 장착되며, 상기 컨벡션팬(320)에 의해서 상기 오븐케비티(200) 내부의 공기가 강제 대류되며, 상기 컨벡션히터(300)와 상기 컨벡션팬(320)은 상기 컨벡션커버(340)에 의해서 차폐된다.
상기 상부히터(240)와 하부히터(260) 그리고 컨벡션히터(300)는 각각 시즈히터(Sheathe heater)와 같은 소구경의 관형상의 히터로서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고르게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오븐케비티 배면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양 측면 그리고 하면은 케비티플레이트(22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양 측면을 형성하는 오븐케비티(20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후면은 상기 별도의 후면을 형성하는 오븐케비티(200)에 의해서 차폐된다.
이때,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는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상하면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으로 다소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상하면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의 후단부는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보다 다소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후단부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하면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220)의 후단부 하측의 모서리에는 상기 오븐케비티(200)가 처지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지지부재(400)가 형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지지부재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400)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비티플레이트(220)의 후단부 하측의 양 모서리에서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케비티플레이트(220)와 일체로 형성되며,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지지부재(400)는 상기 전기오븐(100)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프레임(500)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500)은 상기 전기오븐(100)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00)가 안착되어 상기 오븐케비티(200)를 상기 전기오븐(100)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단열재와 하부히터(260) 등이 장착되고, 상기 오븐케비티(200) 후방의 이격된 공간과 함께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지지부재의 외형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재(400)는 측면과 하면으로 구성되어 각각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일정길이 만큼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연장형성된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500)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장착시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상기 케비티플레이트(22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상기와 같은 하중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오븐케비티(2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4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42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420)는 상방으로 함몰형성되며, 함몰된 부분이 상기 하부프레임(50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보강비드(420)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무게에 따라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비드(420)가 상기 지지부재(40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는 0.5㎜ 두께의 플레이트로도 충분히 상기 오븐케비티(2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오븐케비티(200)를 상기 전기오븐(100)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오븐케비티(200)의 후단부 하측의 양 모서리에 연장형성된 상기 지지부재(400)가 상기 하부프레임(50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오븐케비티(200)가 가지는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집중적인 하중의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집중적인 하중으로 벤딩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500)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방으로 함몰된 보강비드(420)가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상방으로 벤딩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에서는, 지지부재가 상기 케비티플레이트의 하단부 하측의 양 모서리에 상기 케비티 플레이트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을 위한 용접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 하지 않게 되어 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집중적인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벤딩모멘트에 견디도록 상기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구부려지게 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로도 지지부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오븐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오븐케비티에 있어서,
    상기 오븐케비티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비티플레이트와;
    상기 오븐케비티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븐케비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비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비티플레이트의 후단부 하측의 모서리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기오븐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KR1020040088659A 2004-11-03 2004-11-03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KR20060039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59A KR20060039543A (ko) 2004-11-03 2004-11-03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59A KR20060039543A (ko) 2004-11-03 2004-11-03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43A true KR20060039543A (ko) 2006-05-09

Family

ID=3714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59A KR20060039543A (ko) 2004-11-03 2004-11-03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5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2865A1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EP2816290A1 (en) Heating cooker
JP5446164B2 (ja) 加熱調理器
CN1884921B (zh) 加热烹饪器
KR20060039543A (ko) 지지부재가 구비된 오븐케비티
JP2019138526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0735185B1 (ko) 전기오븐의 인쇄회로기판 장착구조
KR100672598B1 (ko) 오븐 캐비티의 지지구조
JP2022116464A (ja) 加熱調理器
CN101469872A (zh) 一种具有烤箱的微波炉
JP6793591B2 (ja) 加熱調理器
KR20060098258A (ko) 3상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CN101469875A (zh) 具有烤箱的微波炉
KR100705067B1 (ko) 전기오븐의 라운드타입 하부히터 장착구조
KR100782178B1 (ko) 전기 오븐
CN218552111U (zh) 具备内置隔热网的电烤箱
KR100816926B1 (ko) 오븐의 캐비티 고정구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CN217524767U (zh) 一种电烤箱
US20210325048A1 (en) Oven range
KR100641433B1 (ko) 전기 오븐
CN220608153U (zh) 一种烘烤均匀的烹饪器具
KR100796367B1 (ko) 조리기의 캐비티
KR200386575Y1 (ko) 전기오븐의 컨트롤패널
JP6962948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