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962A - 집약적인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집약적인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962A
KR20060038962A KR1020057025523A KR20057025523A KR20060038962A KR 20060038962 A KR20060038962 A KR 20060038962A KR 1020057025523 A KR1020057025523 A KR 1020057025523A KR 20057025523 A KR20057025523 A KR 20057025523A KR 20060038962 A KR20060038962 A KR 2006003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vessel
gas generating
generating portion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922B1 (ko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빌브레이
스콧 조셉 콜번
리차드 씨. 허즈번드
로버트 더블유. 로비토
사무엘 모르간 한콕
Original Assignee
에이알씨 오토모티브,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알씨 오토모티브,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에이알씨 오토모티브,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6003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팽창기는 제 1 개방 단부를 가지는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제 2 개방 단부를 가지는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을 가지는 신장된 압력 용기를 구비한다.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은 제 1 의 점화 장치 및, 그 안에 배치된 제 1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가진다. 제 1 의 점화 장치는 압력 용기의 제 1 개방 단부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폐쇄시킨다.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은 제 2 의 점화 장치 및, 그 안에 배치된 제 2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가진다. 제 2 의 점화 장치는 압력 용기의 제 2 개방 단부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폐쇄시킨다. 소정의 압력하에 있는 적절한 개스는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들 내에 있게 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리부 또는 분리부 벽들은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들을 분리시키도록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내에 배치된다. 압력 용기는 제 1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중간 부분내에 제 1 의 출구 오리피스를 가지고, 제 2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중간 부분내에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가진다. 제 1 의 파열 디스크는 제 1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되고, 제 2 파열 디스크는 제 2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된다. 디퓨저는 압력 용기 중간 부분과 제 1 및, 제 2 오리피스들 위에 장착되어서 그것을 둘러싼다. 디퓨저는 에어백의 팽창을 위해서 에어백과 소통된다. 팽창기는 제 2 점화 장치와 제 2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생략함으로써 단일 레벨의 출력 팽창기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약적인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를 위한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집약적인 다중 레벨 출력의 하이브리드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상이한 비율 및 레벨에서 선택적으로 개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어백 또는 안전 장치의 다른 유형이 상이한 센서의 입력에 따라서 상이한 출력 레벨로 전개되거나 또는 작동될 수 있다.
최근에, 승객의 체격, 위치, 좌석 벨트의 사용 및, 충돌시의 차량의 속도와 같은 변수에 따라서 에어백 제한 시스템과 같은 안전 장치들의 작동 또는 팽창량 및 비율을 제어하려는 요구가 있어왔다.
좌석 점유자에게 최적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레벨의 출력이 에어백 팽창기로부터 필요하다. 예를 들면, 체격이 크고 벨트를 메지 않은 사람이 고속에서 충돌되었을 때, 최적의 제한을 제공하려면 에어백의 완전한 팽창이 필요하다. 작은 체격의 점유자나 또는 위치를 벗어난 점유자가 저속에서 충돌한 경우에는, 점유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낮고 느린 비율의 팽창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제한을 이루도록 충분한 팽창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다중 레벨 또는 가변적인 출력 기능을 위해 의도된, 현재 이용 가능한 에어백 팽창기들에서, 그러한 성능은 주로 하나의 매니폴드를 공유할 수 있는 동일 유형의 2 개의 개별적인 팽창기로 구성된 팽창기들로써 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를 공유하는 공통의 압력 용기에 있는 개별적인 추진체 챔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이브리드 유형의 2 개의 분리된 팽창기들을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크고, 무겁고 그리고 값비싼 설계를 초래하는데, 이는 거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중복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2 개의 별개인 압력 용기들이 있는데, 이들은 과다의 폐쇄부, 시일 및, 일부 경우에서는 과다의 디퓨저(diffuser) 또는 매니폴드를 가진다. 또한, 2 개의 팽창기들을 공통의 플랫포옴에 고정시킬 필요성이 부가되는데, 이것은 다시 비용, 무게 및, 제조에서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하나의 공통 압력 용기내에 분리된 추진체 챔버들을 캡슐화시키는 제 2 의 접근법은 구성 요소들이 2 개의 추진체 충전물에 의해 공유되었을 경우에 보다 효과적인 포장과 비용 감소를 초래한다. 상이한 레벨의 팽창을 달성하도록, 트로우브리지(Trowbridge)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773,353 호에서는 2 개의 분리된 충전물을 제공하고, 느린 팽창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하나에 점화하고 빠른 속도의 충돌의 경우에는 양쪽을 점화함으로써, 에어백의 매우 급속하고 빠른 전개가 필요한 상황하에서 그것을 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에서 충전물은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데, 하우징은 유독성이 아닌 개스로 압력하에 충전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파열 플레이트로 시일되는데, 파열 플레이트는 2 개의 충전물중 제 1 의 것이 폭발할 때 장치의 피스톤과 로드 유형에 의해서 천공된다. 이러한 장치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비싸다. 예를 들면, 3 개 미만의 파열 플레이트 장치들이 필요하다. 또한, 충전물은 저장조 및 저장조 개스로부터 내측 하우징과 개별의 파열 가능 폐쇄부에 의해 각각 격리된다.
알레만(Alleman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05,515 호는 다른 다중 단계 팽창기 조립체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2 개의 분리된 충전물을 이용하고 충전물을 챔버 안에 배치하며, 챔버는 무독성 개스를 압력하에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 3,773,353 호에 개시된 것보다 복잡하다. 이러한 장치에서 파열 디스크의 일부는 미끄럼 가능한 셔틀 밸브 부재의 헤드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2 개의 충전물들중 하나 또는 양쪽의 폭발 이후에 개스의 유출 유동을 부분적으로 쓰로틀(throttle)하도록 배기 통로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국, 에어백 및,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한, 비용 효과적이고, 가볍고, 집약적이며, 단순한 다중 레벨 출력의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등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본 발명의 신규하고 향상된 다중 레벨 출력의 하이브리드 팽창기 및, 개스 발생기에 의해 충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비용 효과적이고, 가볍고, 집약적이며 단순한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작동에 있어서 신뢰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팽창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2 개의 개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개스 발생기들의 점화가 분리되어, 또는 동시에, 또는 시간 시퀀스로서, 충돌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센서 입력에 따라서 상이한 비율에서 안전 장치의 작동 또는 에어백의 팽창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하이브리드 유형의 개스 발생기 및, 제 2 의 하이브리드 유형 개스 발생기에 대한 공통의 압력 용기를 이용하는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단일 레벨의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순하고 효과적인, 밀폐되지 않은 분리부 또는 분리부 벽을 그것의 중심 부분에 제공하는 것인데, 이들은 제 1 개스 발생기와 제 2 개스 발생기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그러한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그것의 중심 부분에 위치된 출구 오리피스 및, 디퓨저(diffuser)를 제공하여, 그것이 전개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추진-중립적(thrust-neutral)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다중 레벨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그것의 중심 부분에서 디퓨저에 연결된 수직관을 제공하는 것인데, 수직관은 일 구현예에서 개스 분포를 향상시키는 역할과 점유자로부터 이탈되게 유동을 배향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경 방향 또는 측방향 유동을 위한 오리피스들과 함께 일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다중 레벨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에 그것의 중심 부분에서 분리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기들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 비용 및 크기를 최소화하는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다른 목적들은 에어백과 같은 차량 안전 제한부(vehicle safety restraint)를 팽창시키기 위한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것은 중심 부분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순한 밀폐되지 않은 분리부 또는 분리부 벽들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 의 하이브리드 유형 개스 발생기 및, 제 2 의 하이브리드 유형 개스 발생기에 대한 공통의 압력 용기를 구비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분리부 또는 분리부 벽은 분리된 부재이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분리부들은 팽창기의 중심 부분에 위치된 개스 발생통(gas generant canister)들에 근접한 단부벽들에 의해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기들로부터 개스들은 에어백의 팽창을 위해서 그것의 중심 부분에서 공통의 디퓨저에 배향된다. 단일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의 단순한 공통 압력 용기에서의 제 1 의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와 제 2 의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의 결합은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단순한 구조 때문에, 자기 성형(magnetic forming), 형철 가공(swaging), 크림핑(crimping) 및, 용접과 같은 단순한 조립 방법이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를 조립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의 제 1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는 단일 레벨의 작동을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팽창기의 수정된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의 수정된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에 대한 제 3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다중 레벨 팽창기의 수정된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 은 단일 레벨 작동을 위해서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의 제 4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팽창기의 수정된 구현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를 위한 개스 발생통에 대한 일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레벨 팽창기의 일 부분에 대한 측면도로서, 이것은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와 파열 디스크에 근접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에어백의 팽창을 제한하기 위한 줄(tether)에 연결되어 있는 해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 은 도 10 과 유사한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해제 장치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통하는 개스 유동에 의해 외측으로 움직여서 줄이 풀어지고 에어백의 부가적인 팽창을 허용한다.
도 12 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와 파열 디스크에 근접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에어백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줄에 연결되어 있는 해제 장치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와 유사한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해제 장치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통하는 개스 유동에 의해 외측으로 움직여서 줄을 해제시키고 에어백의 부가적인 팽창을 허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10)의 제 1 구현예를 도시한다. 팽창기(10)는 강철, 알루미늄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신장된 압력 용기(12)를 구비한다. 강철, 알루미늄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고, 그 어떤 적절한 구조의 제 1 점화 장치(16)를 지지하는 점화기 동체(14)는, 크림핑 또는 마찰 용접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 용기(12)의 제 1 단부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제 1 의 점화 장치(16)가 개시기(initiator) 또는 마이크로개스 발생기(microgas generator)일 수 있다.
압력 용기(12)에 바람직스럽게는 그것의 중간에 근접하게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이라도 만입된 부분(20)이 형성되어 있다. 만입된 부분(20)은 만입 부분과 제 1 점화 장치(16) 사이의 압력 용기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22)과, 만입된 부분(20)과 압력 용기(12)의 제 2 또는 반대 단부 사이의 제 2 개스 발생 부분(24)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강철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분리부 또는 분리부 벽(26)은 그것의 단부들에서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만입된 부분(20)의 반대 측부들에 근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고정되어 그것을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22,24)들로 각각 분리시킨다. 분리부(26)는 중앙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28)을 구비하는데, 그 어떤 적절한 크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통포트(communication port, 30)들, 제 1 개스 발생 부분(22)에 근접한 일 측에서 만입된 부분(20)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고정된 제 1 의 실질적으로 횡단되는 단부 부분(32)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24)에 근접한 다른 측에서 만입된 부분(20)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된 제 2 의 실질적으로 횡단되는 단부 부분(34)을 가질 수 있다. 주목되어야 하는 바로서, 분리부(26)는 구조가 단순하고 압력 용기(12)에 밀폐 연결될 필요가 없다. 또한, 분리부(26)의 형상은 그것이 여기에 달성되는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분리부(26)는 그것을 통한 그 어떤 소통 포트(30) 없이도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용기(12)의 만입된 부분(20)은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제 1 파열 디스크(38)에 의해 덮히는 일측에 그 어떤 크기의 제 1 출구 오리피스(36) 및,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제 2 파열 디스크(42)에 의해 덮히는 다른 측에 있는 그 어떤 적절한 크기의 제 2 출구 오리피스(40)를 가진다.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디퓨저(44)는 만입된 부분(20), 제 1 및,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36,40)들을 각각 둘러싸며, 용접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 용기에 고정된다. 디퓨저(44)는 에어 백 모듈(air bag module) 또는 다른 안전 장치(미도시)와의 소통을 위해서 적합화된다.
압력 용기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22) 안에는 그 어떤 적절한 개스 발생 조성물로 형성된 펠렛(pellet)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제 1 개스 발생 에너지부(energetics,46)가 장착되는데, 이것은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유지 장치 및 요동 방지(anti-rattle) 장치(48)들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의 에너지부(48)는 단단한 입자(grain)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형태일 수 있다.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고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제 2 점화 장치(52)를 지지하는 점화기 동체(50)는 크림핑(crimping) 또는 마찰 용접에 의해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도 압력 용기(12)의 제 2 단부 또는 반대 단부에 고정된다. 압력 용기(12)의 제 2 개스 발생 부분(24) 안에는 그 어떤 적절한 개스 발생 조성물로 형성된 펠렛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제 2 개스 발생 에너지부(54)가 장착되는데, 이것은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유지 장치 및 요동 방지 장치(56)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 2 의 에너지부(54)는 단단한 입자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형 태일 수 있으며, 유형과 양에 있어서 제 1 의 에너지부(46)와 상이할 수 있다.
압력 용기(12)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22)과 제 2 개스 발생 부분(24)에는 적절한 개스가 충전되는데, 예를 들면, 질소나, 또는 아르곤이나 또는 헬륨과 같은 불활성 개스나, 또는 그것의 혼합물과 같은 것이며, 이것은 적절한 소정의 압력하에 있다.
팽창기 또는 개스 발생기(10)의 일 작동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감지할 때, 제 1 의 점화 장치(16)는 제 1 에너지부(46)를 점화시키도록 발화되어서 제 1 의 연소 개스를 발생시키는데, 연소 개스는 소통 포트 또는 누설부를 통하여 제 2 부분(24)에서의 비율보다 빠른 비율로 제 1 개스 발생 부분(22)내의 개스 압력을 증가시켜서 제 1 파열 디스크(38)를 파열시키고 가압된 개스가 제 1 출구 오리피스(36)를 통하여 디퓨저(44) 안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에, 제 2 파열 디스크(42)는 소통 포트 또는 포트(30)들을 통하여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24) 안으로의 개스 유동으로부터 초래된 증가된 압력에 노출되었을 때 파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앙에 위치된 디퓨저(44)는 실질적으로 추진-중립(thrust-neutral)의, 반경 방향 패턴으로 에어백 모듈(미도시) 안으로 배향시켜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차량 충돌의 특성과 승객의 체격과 위치와 같은 다른 변수들에 따라서, 제 2 의 에너지부(54)들은 단독으로, 또는 제 1 에너지부(46)의 점화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이나 이후의 시간에 따른 시퀀스로서 점화될 수 있다. 제 2 개스 발생기의 작동은 제 1 개스 발생기에 대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다. 제 1 및/또는 제 2 의 에너지부의 점화에 의해 야기되는 제 2 개스 발생 부분(24)내의 증가된 압력은 제 2 파열 디스크(42)의 파괴를 초래하여 가압된 개스가 제 2 출구 오리피스(40)를 통하여 디퓨저(44) 안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통 포트(30)들이 분리부(26) 안에 제공될 때, 제 1 및, 제 2 파열 디스크(38,42)들은 이들이 같은 압력에서 파열되도록 같은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에너지부(46)가 점화될 때, 압력이 제 1 구성 디스크(38)상에 보다 빠르게 가해질 것이며 이것은 소통 포트 또는 소통 포트들(30)을 통한 개스 유동과 제 2 개스 발생 부분(24) 안에서 증가된 압력에 의해 야기된 제 2 파열 디스크(42)의 파열 이전에 파열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는 같은 파열 디스크가 제 1 및, 제 2 출구 오리피스(36,40)들에 대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팽창기의 제 2 구현예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도 1 의 다중 레벨 팽창기가 단일 레벨 팽창기(110)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단일 레벨 팽창기에는 압력 용기(112)의 제 2 부분(124) 안에 에너지부가 없다. 제 2 부분(124)의 단부는 그 어떤 적절한 구조의 폐쇄 부재(125)에 의해서 폐쇄되는데, 폐쇄 부재는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도 고정된다. 압력 용기(112)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122)은 제 1 점화 장치(116), 제 1 에너지부(146), 제 1 출구 오리피스(136), 제 1 파열 디스크(138), 디퓨저(144) 및, 분리부(126)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도 1 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작동된다. 다른 구조에 있어서, 소통 포트가 분리부(126)에 제공되었을 때,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파열 디스크와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가 제 2 부분(124) 안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팽창기(10)와 작동 및 구성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같은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210)를 도시하는데, 예외적으로 디퓨저(244)에는 에어백 모듈(미도시)과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수직관(245)이 제공된다. 수직관(245)에는 그것의 측벽(247)에 복수개의 오리피스(246)들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에어백(미도시)이 장착된 차량의 점유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가압 개스의 유동을 측방향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향시킬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오리피스(246)들이 측벽(247)에 균일하게 이격되어서 그로부터 외측으로 균일한 유동과 향상된 개스의 분배를 제공한다. 이와는 달리, 오리피스들은 축방향 또는 다른 유동을 위해서 측벽내에서 그 어떤 적절한 패턴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팽창기(110)와 구성 및, 작동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단일 레벨 팽창기(310)를 도시하는데, 예외적으로 디퓨저(344)에는 에어백 모듈 또는 다른 안전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도 3 에 도시된 수직관(245)과 같은 수직관(345)이 제공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410)의 제 3 구현예를 도시한다. 팽창기(410)는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신장된 압력 용기(412)를 구비한다.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도 형성되고, 그 어떤 적절한 구조인 제 1 점화 장치(416)를 지지하는 점화기 동체(414)는 크림핑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 용기(412)의 제 1 단부에 고정된다. 제 1 점화 장치(416)는 개시기(initiator) 또는 마 이크로개스 발생기(microgas generator)일 수 있다.
압력 용기(412)에 바람직스럽게는 그것의 중간에 근접하여 그 어떤 적절한 형상의 만입된 부분(420)이 형성되어 있다. 만입된 부분(420)은 만입된 부분(420)과 제 1 점화 장치(416) 사이에 압력 용기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422)을 한정하고, 만입된 부분(420)과 압력 용기(412)의 제 2 단부 또는 반대 단부 사이에 제 2 개스 발생 부분(424)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합금강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제 1 개스 발생통(425)은 압력 용기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422) 안에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압력 용기의 내부 형상과 근접한 만입된 부분(420)을 따르게 된다.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제 1 개스 발생 에너지부(446)는 제 1 개스 발생통(425) 안에 장착되고 그 안에서 만입부(427)나 또는 통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유사한 것에 의해서 정위치에 유지된다. 제 1 개스 발생통(425)의 내측 단부는 각도를 가진 분리부 벽(429)에 의해서 폐쇄되는데, 분리부 벽은 압력 용기(412)의 만입된 부분(420)의 일측으로부터 그것의 다른 측으로 연장되어서 그것을 제 1 및,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들(422,424)로 각각 분리시킨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 벽(429)은 그것을 통해서 스탬핑(stamping)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된 그 어떤 적절한 크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통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개스 발생통(425)은 그것의 외측 벽의 일부를 통하여 오리피스(431)를 가지는데, 이것은 압력 용기(412)의 만입된 부분(420)의 중심에 근접해 있다.
도 9 는 압력 용기(412) 안으로의 삽입 이전에 제 1 개스 발생통(425)을 도 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 1 개스 발생통(425)은 그것의 외측 벽에 오리피스(431)를 구비하고 분리부 벽(429)은 그것을 통한 소통 포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분리부 벽(429)은 그것을 통해서 소통 포트나 또는 소통 포트들을 가지고, 또는 그것을 가지지 않으면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용기(412)의 만입된 부분(420)은 그것의 일측에 제 1 의 출구 오리피스(436)를 가지는데, 상기 오리피스는 그 어떤 적절한 구조의 제 1 파열 디스크(438)에 의해 덮혀있다. 제 1 출구 오리피스(436)는 제 1 개스 발생통(425)의 외측벽에 있는 오리피스(43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만입된 부분(420)은 또한 그것의 다른 측에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440)를 구비하는데, 상기 오리피스는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제 2 파열 디스크(442)에 의해 덮혀있다.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디퓨저(444)는 만입된 부분(420)과, 제 1 및,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436,440)를 각각 둘러싸며, 그 어떤 적절한 방식,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서 압력 용기(412)에 고정된다. 디퓨저(444)는 에어백 모듈 또는 다른 안전 장치(미도시)와의 소통을 위해 적합화된다.
제 1 개스 발생통(425)과 같은 제 2 의 개스 발생통(433)이 압력 용기(412)의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424) 안에 제 1 개스 발생통(425)에 대하여 도립된 관계로 장착됨으로써 제 2 개스 발생통의 내측 분리부 벽(435)은 제 1 개스 발생통의 내측 분리부 벽(429)에 근접하게 전체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다. 제 2 개스 발생통(433)의 분리부 벽(435)에는 그것을 통하여 그 어떤 적절한 크기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통 포트(437)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제 1 개스 발생통(425) 의 분리부 벽(429)의 소통 포트 또는 포트들(43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와는 달리, 제 2 개스 발생통(433)의 분리부 벽(435)은 그것을 통한 소통 포트 또는 포트들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개스 발생통(433)의 분리부 벽(435)은 압력 용기(412)의 중앙 부분(420)의 일 측으로부터 만입된 부분(420)의 다른 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출구 오리피스(440)와 제 2 파열 디스크(442)를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 2 개스 발생 부분(424)을 한정한다. 제 2 개스 발생통(433)의 외측벽은 그것을 통한 오리피스(439)를 가지며, 상기 오리피스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44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제 2 의 점화 장치(452)를 지지하고 그 어떤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점화기 동체(450)는 크림핑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 용기(412)의 제 2 단부 또는 반대편 단부에 고정된다. 제 2 의 개스 발생통 안에는,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제 2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454)가 장착되는데, 이것은 펠렛이나 또는 단단한 입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유형과 양에 있어서 제 1 개스 발생통(425) 안에 있는 제 1 에너지부(446)와 같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압력 용기(412)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422)과 제 2 개스 발생 부분(424)에는 적절한 개스가 충전되는데, 예를 들면, 질소나, 또는 아르곤 또는 헬륨과 같은 불활성 개스나, 또는 그것의 혼합물이 적절한 소정 압력하에 충전된다.
도 5 에 도시된 팽창기(410)의 작동은 이전에 설명된 팽창기(10)의 작동과 유사하다. 팽창기(410)에서,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통(425,433)들의 분리부 벽(429,435)은 각각 압력 용기(412)의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422,424)들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팽창기(10)의 분리부(26)와 같은 별도의 분리부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통(425,433)과 같은 개스 발생통은 각각 제 1 또는 제 2 개스 발생 부분(422,424)의 단지 한 곳에만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개스 발생 부분은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된 그 어떤 적절한 유형의 에너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의 구성에서, 하나의 개스 발생통의 분리부 벽은 압력 용기의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들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팽창기(410)와 구성 및 작동상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같은 다중 레벨 출력 팽창기(510)를 도시하는데, 예외적으로 디퓨저(544)에는 에어백 모듈(미도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직관(545)이 제공된다. 수직관(545)은 도 3 에 도시된 구현예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된 수직관(245)과 구성 및 작동에 있어서 같다.
도 7 은 본 발명의 팽창기의 제 4 구현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5 의 다중 레벨 팽창기가, 압력 용기(612)의 제 2 부분(624)에 에너지부가 없는 단일 레벨 팽창기(610)로 변환될 수 있는 간단한 방식을 도시한다. 제 2 부분(624)의 단부는 그 어떤 적절한 구조의 적절한 폐쇄 부재(625)에 의해서 폐쇄되는데, 폐쇄 부재는 크림핑이나 또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방식으로 그에 고정된다. 압력 용기(612)의 제 1 개스 발생 부분(622)은 제 1 점화 장치(616), 제 1 개스 발생통(625), 제 1 에너지부(646), 제 1 출구 오리피스(636), 제 1 파열 디스크(638) 및, 디퓨저(644)를 구비하며, 이들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고 작동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통 포트(630)들이 제 1 개스 발생통(625)의 분리부 벽(629) 안에 제공되었을 때 제 2 출구 오리피스(640)와 파열 디스크(642)는 제 2 부분(624) 안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팽창기(610)와 구성 및 작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같은 단일 레벨 팽창기(710)를 도시하며, 예외적으로 디퓨저(744)에는 에어백 모듈(미도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직관(745)이 제공된다. 수직관(745)은 도 3 에 도시된 구현예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된 수직관(245)과 구성 및, 작동에 있어서 같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해제 장치(800)는 제 2 출구 오리피스(840) 및, 제 2 파열 디스크(842)에 근접하여 팽창기(810)의 디퓨저(844)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해제 장치(800)는 줄(tether, 80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줄은 다시 에어백(미도시)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에어백에 연결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장치(800)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840)와 제 2 의 파열 디스크(842)를 둘러싸는 컵 형상의 부분(804)을 구비한다. 아암(806)은 컵 형상의 부분(804)에 연결되며 디퓨저(844)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암(806)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해제 부재(805)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아암은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줄(802)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0 에 도시된 위치에서, 해제 장치(800)는 줄(802)에 연결되어서 팽창기의 제 2 개스 발생 부분(824)에서의 제 2 에너지부의 개시가 없는 상태에서 제 1 에너지부의 개시에 응답하여 에어백의 팽창의 크기를 제한한다. 제 2 에너지부의 점화시에, 제 2 개스 발생 부분 안에서 발생된 가압된 개스는 제 2 의 파열 디스크(842)를 개방시켜서 제 2 출구 오리피스(840)를 통하여 디퓨저(844)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개스 유동은 해제 장치(800)의 컵 형상 부분(804)으로 들어가서 그것을 외측으로 도 11 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는데,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에너지부가 팽창기 안에서 점화되었을 때 아암(806)은 해제 부재(805)로부터 분리되고 줄(802)은 에어백의 부가적인 팽창이 가능하도록 풀리게 된다.
도 12 및, 도 13 은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940) 및, 제 2 의 파열 디스크(942)에 근접한 팽창기(910)의 디퓨저(944)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해제 장치(900)의 제 2 구현예를 도시한다. 해제 장치(900)는 줄(90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시 에어백(미도시)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팽창을 제한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장치(900)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940)와 파열 디스크(942)를 둘러싸는 컵 형상의 부분(904)을 구비한다. 아암(906)은 컵 형상 부분(904)에 연결되고 도 12 에 도시된 제 1 위치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디퓨저(944)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어떤 적절한 구성의 약한 해제 부재(905)는 그것이 디퓨저(944)의 외측으로 움직일 때 아암(906)과 정렬 상태로 디퓨저(944)상에 장착된다. 해제 부재(905)는 그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도 줄(902)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다.
도 12 에 도시된 위치에서, 해제 장치(900)는 줄(902)에 연결되어, 팽창기(910)의 제 2 개스 발생 부분(924) 안의 제 2 에너지부의 개시가 없는 상태에서 제 1 에너지부의 개시에 응답하여 에어백 팽창의 크기를 제한한다. 제 2 에너지부의 점화시에, 제 2 부분(924)에 의해 발생된 가압 개스는 제 2 파열 디스크(942)를 개방시켜서 개스가 제 2 출구 오리피스(940)를 통하여 디퓨저(944)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개스 유동은 해제 장치(900)의 컵 형상 부분(904)으로 들어가서 컵 형상 부분을 외측으로 도 13 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이는데, 여기에서 컵 형상 부분은 디퓨저(944)의 외측으로 해제 부재(905)와 연계되도록 움직여서 해제 부재를 파괴하고 줄(902)을 풀어놓게 되며, 그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에너지부가 팽창기 안에서 점화되었을 때 에어백의 부가적인 팽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줄 해제 장치는 그 어떤 적절한 구성과 작동의 것일 수도 있다.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제 2 에너지부의 개시에 응답하는 작동을 위해서 제 2 출구 오리피스에 근접하여 장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에너지부들 양쪽이 개시되었을 때 에어백의 다른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신규하고 향상된 팽창기가 집약적이고, 저렴하고, 구성이 단순하고, 작동이 간단하며 신뢰성이 있고, 용이하게 구성되며, 다중 레벨의 출력으로부터 단일 레벨의 출력 구조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구현예로 간주되는 것과 연결되어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구현예들에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반대로, 첨부된 청구 범위들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된 다양한 변형들과 균등한 장치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구현예가 아닐지라도, 압력 용기는 만입된 중앙 부분이 없이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에서 개스 발생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3)

  1.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로서,
    제 1 개방 단부를 가진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 및, 제 2 개방 단부를 가진 제 2 부분을 가지는 신장된 압력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은 제 1 의 점화 장치 및, 그 안에 배치된 제 1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의 점화 장치는 상기 제 1 의 개방 단부에서 상기 압력 용기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폐쇄하고;
    상기 압력 용기의 상기 제 2 단부에 고정된 압력 용기 폐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은 그 안에 개스를 소정의 압력하에 가지고;
    상기 압력 용기는 중간 부분,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상기 제 2 의 부분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벽을 가지고;
    상기 압력 용기는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상기 중간 부분내의 제 1 출구 오리피스, 상기 제 1 의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된 제 1 의 파열 디스크를 가지고;
    상기 제 1 의 출구 오리피스와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을 둘러싸고, 에어백과 소통되는 디퓨저를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부분은 만입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만입된 중간 부분상에 장착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그것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소통 포트를 가지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중앙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에 근접한 상기 압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 근접한 상기 압력 용기의 일측에서 중간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에너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의 통(canister)은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내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부 벽은 상기 제 1 의 통의 내측 단부벽인,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부분은 개스 발생 부분이고, 상기 압력 용기 폐쇄부는 제 2 의 점화 장치이고, 제 2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는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의 안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용기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가지고, 제 2 의 파열 디스크는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및, 제 2 출구 오리피스들은 상기 분리부 벽의 반대 측들 위에 배치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팽창기가 다중 레벨의 출력 팽창기이게 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는 에어백과 소통되는 수직관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은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제한 장치가 위치되는 차량의 점유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에서, 개스 유동을 그로부터 외측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오리피스들을 가진 측벽을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들은 상기 수직관의 상기 측벽 둘레에 균일하게 이격되며 개스 유동을 그로부터 측방향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향시키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개스 유동을 그로부터 외측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오리피스를 가진 수직관을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에어백이 전개하는 동안에 팽창기가 실질적으로 추진-중립적(thrust-neutral)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팽창 개스를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위치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형상이고 팽창 개스를 그것의 원주 둘레로 배기시키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그 안에서 상기 개스를 압력하에 가지는, 에어백 또는 다 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는 불활성 개스 또는 질소인,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15.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로서,
    제 1 개방 단부를 가진 제 1 개스 발생 부분과, 제 2 개방 단부를 가진 제 2 개스 발생 부분을 가지는 신장된 압력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스 발생 부분은 제 1 의 점화 장치 및, 그 안에 배치된 제 1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의 점화 장치는 상기 제 1 의 개방 단부에서 상기 압력 용기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폐쇄하고;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은 제 2 의 점화 장치 및, 그 안에 배치된 제 2 의 개스 발생 에너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의 점화 장치는 상기 제 2 의 개방 단부에서 상기 압력 용기상에 장착되고 그것을 폐쇄하고;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은 그 안에 개스를 소정의 압력하에 가지고;
    상기 압력 용기는 중간 부분, 상기 제 1 개스 발생 부분과 제 2 개스 발생 부분을 분리하도록 상기 중간 부분내에 배치된 분리부 벽을 가지고;
    상기 압력 용기는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상기 중간 부분 내의 제 1 출구 오리피스, 상기 제 1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된 제 1 의 파열 디스크, 상기 제 2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상기 중간 부분내의 제 2 출구 오리피스, 상기 제 2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된 제 2 의 파열 디스크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중간 부분과 상기 제 1 및,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들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둘러싸고, 에어백과 소통되는 디퓨저;를 구비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은 만입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만입된 중간 부분상에 장착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그것을 통한 적어도 하나의 소통 포트를 가지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중앙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상기 제 1 개스 발생 부분에 근접한 압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에 근접한 압력 용기의 다른 측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에너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의 통은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내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부 벽은 상기 제 1 의 통의 내측 단부벽인,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에너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의 통은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내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부 벽은 상기 제 1 의 통의 내측 단부 벽인,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추진 중립으로 될 수 있는 방식으로 팽창 개스를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위치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형상이고 팽창 개스를 그것의 원주 둘레로 배기시키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에어백과 소통되는 수직관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은 에어백이나 또는 다른 안전 제한 장치가 위치되는 차량의 점유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에서 개스 유동을 외측으로 배향시키도록 복수개의 수직관들을 가진 측벽을 구비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들은 상기 수직관의 상기 측벽 둘레에 균일하게 이격되고 개스 유동을 그로부터 측방향이나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배향시키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개스 유동을 외측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오리피스들을 가진 수직관을 구비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 벽은 중앙의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상기 제 1 개스 발생 부분에 근접한 압력 용기의 일측에서 상기 압력 용기의 만입된 중간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의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2 개스 발생 부분에 근접한 압력 용기의 다른 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의 실질적으로 횡방향의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에어백과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8.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로서,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을 가지는 신장된 압력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스 발생 부분과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은 그 안에 개스를 소정 압력하에 가지고;
    상기 제 1 의 용기는 중간 부분, 상기 제 1 및, 제 2 개스 발생 부분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중간 부분내에 배치된 분리부 벽을 가지며;
    상기 제 1 의 개스 발생 부분에 의해 발생된 개스에 응답하여 에어백의 팽창량을 제한하도록 에어백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줄, 상기 줄과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개스 발생에 의한 에어백의 팽창이 더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개스 발생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개스에 응답하여 상 기 줄을 풀어놓도록 작동 가능한 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는 상기 제 2 의 개스 발생 부분과 소통되는 상기 중간 부분에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가지고, 제 2 의 파열 디스크는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 위에 배치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 및, 파열 디스크에 인접하여 상기 압력 용기상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줄을 풀어놓도록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통한 개스 유동에 응답하여 상기 압력 용기로부터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디퓨저는 상기 중간 부분상에 장착되어 그것을 둘러싸고 에어백과 소통되며,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디퓨저상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의 출구 오리피스를 통하여 개스 유동을 수용하도록 컵 형상 부분을 구비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줄에 풀어놓을 수 있게 연결된 약한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줄을 풀어놓도록 제 2 개스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해제 장치의 외측 방향 운동에 의해 파괴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장치는 상기 디퓨저상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컵 형상 부분에 연결되는,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의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KR1020057025523A 2003-08-06 2005-12-31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및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KR101077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34,797 US20050029785A1 (en) 2003-08-06 2003-08-06 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US10/634,797 2003-08-06
PCT/US2004/007976 WO2005016695A2 (en) 2003-08-06 2004-03-16 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962A true KR20060038962A (ko) 2006-05-04
KR101077922B1 KR101077922B1 (ko) 2011-10-31

Family

ID=3411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523A KR101077922B1 (ko) 2003-08-06 2005-12-31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및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29785A1 (ko)
EP (1) EP1651467B1 (ko)
KR (1) KR101077922B1 (ko)
CN (1) CN101137525B (ko)
WO (1) WO20050166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95B1 (ko) * 2005-02-10 2013-09-23 에이알씨 오토모티브, 아이엔씨. 소형의 다중-레벨출력 가스발생기
KR101502982B1 (ko) * 2007-10-03 2015-03-16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확산 챔버에 내측 도관이 설치된 개스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0797B2 (en) * 2004-10-29 2007-11-06 Autoliv Asp, Inc. Center discharge hybrid inflator device
EP1848614A1 (en) * 2005-02-15 2007-10-31 Autoliv Development Aktiebolag Airbag inflator gas outl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inflator
US20060249938A1 (en) * 2005-04-15 2006-11-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FR2890022B1 (fr) * 2005-09-01 2007-10-12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renfermant des moyens de stockage temporaire d'une partie des gaz
US7878535B2 (en) * 2008-04-29 2011-02-01 Arc Automotive, Inc. Airbag inflator with adaptive valve
DE102011015309A1 (de) * 2011-03-29 2012-10-04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einheit mit einer Haltevorrichtung für ein Zugelement
US8491007B2 (en) * 2011-10-20 2013-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Variable lateral thickness airbag,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deploying same
JP5800732B2 (ja) * 2012-03-06 2015-10-28 株式会社ダイセル 乗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TWI588045B (zh) * 2014-12-12 2017-06-21 元翎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雙級式混合型氣體發生器及其觸發方法
DE102016123312A1 (de) * 2016-12-02 2018-06-07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CN107600027A (zh) * 2017-09-08 2018-01-19 常州工利精机科技有限公司 适用于汽车安全气囊的气体发生器组件
US10875490B2 (en) 2018-04-19 2020-12-29 Key Safety Systems, Inc. Hybrid airbag inflator
CN109733557A (zh) * 2019-03-18 2019-05-10 宁波振华救生设备有限公司 一种低燃温大气量可控缓慢产气的气体发生器
CN110758311B (zh) * 2019-10-23 2020-08-07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用于气囊保护用的双级式气体发生器及控制方法
CN114766761A (zh) * 2022-04-26 2022-07-22 无锡永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气囊的骑行服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178A (en) * 1990-10-08 1993-06-15 Nippon Koki Co., Ltd. Air bag inflation gas generator
US5564743A (en) *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US5630619A (en) * 1996-02-28 1997-05-2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US5582428A (en) * 1996-02-28 1996-12-1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US5683107A (en) * 1996-05-02 1997-11-04 Trw Inc. Container of vehicle air bag inflator having fluid with combustible portion
KR20000016267A (ko) * 1996-06-03 2000-03-25 존슨 윌리엄 엠.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및 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US5851027A (en) * 1996-09-09 1998-12-22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Variable output driver side hybrid inflator
JP3760004B2 (ja) * 1996-10-11 2006-03-2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6089598A (en) * 1996-11-22 2000-07-18 Autoliv Asp, Inc. Pyrotechnic inflator with reduced extent filter and cartridge charges
US5851030A (en) * 1996-12-03 1998-12-22 Autoliv Asp, Inc. Regenerative monopropellant airbag inflator
US5794973A (en) * 1996-12-04 1998-08-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US5934705A (en) * 1997-03-06 1999-08-1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Two chamber inflator body
US6095561A (en) * 1997-03-07 2000-08-0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inflator
FR2760710B1 (fr) * 1997-03-14 1999-04-23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 debit et volume adaptabl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US5762367A (en) * 1997-04-10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inflation control device
JPH10297416A (ja) * 1997-04-25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DE19728438A1 (de) * 1997-07-03 1999-01-0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DE29809062U1 (de) * 1998-05-19 1998-10-08 Trw Airbag Sys Gmbh & Co Kg Mehrstufengasgenerator mit thermischer Entkoppelung der Treibsätze
US6168200B1 (en) * 1998-12-01 2001-01-0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inflator
US6547277B1 (en) * 1999-02-26 2003-04-1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Two chamber gas generator
KR100417766B1 (ko) * 1999-04-28 2004-02-05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발생기
US6149193A (en) * 1999-08-06 2000-11-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Variable output inflator
US6213503B1 (en) * 1999-11-16 2001-04-10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Multi-level output air bag inflator
JP2002012125A (ja) * 2000-06-29 2002-01-15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57689A1 (en) * 2001-06-29 2003-03-27 Nobuyuki Katsuda Hybrid inflator
US6851709B2 (en) * 2001-08-31 2005-02-0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inflating type hybrid inflator
DE60207674T2 (de) * 2001-12-27 2006-07-27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sblasbaren Gassac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95B1 (ko) * 2005-02-10 2013-09-23 에이알씨 오토모티브, 아이엔씨. 소형의 다중-레벨출력 가스발생기
KR101502982B1 (ko) * 2007-10-03 2015-03-16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확산 챔버에 내측 도관이 설치된 개스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6695A3 (en) 2007-08-16
CN101137525B (zh) 2010-12-01
CN101137525A (zh) 2008-03-05
US20050029785A1 (en) 2005-02-10
EP1651467B1 (en) 2013-05-01
WO2005016695A2 (en) 2005-02-24
EP1651467A2 (en) 2006-05-03
KR101077922B1 (ko) 2011-10-31
EP1651467A4 (en)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922B1 (ko) 에어백 또는 다른 안전 장치용 개스 발생기 및 다중 레벨 개스 발생기
US7438313B2 (en)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KR100848588B1 (ko) 집약적인 다중 레벨 팽창기
KR0131594B1 (ko) 에어백용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KR100583839B1 (ko) 이중 레벨 팽창기
KR100591689B1 (ko) 다중 이니시에이터를 가진 인플레이터
US6447007B1 (en) Compact dual nozzle air bag inflator
US4050483A (en) Inflation surge delay
US6213503B1 (en) Multi-level output air bag inflator
JP4115087B2 (ja) 二段階式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