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851A -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851A
KR20060038851A KR1020040088021A KR20040088021A KR20060038851A KR 20060038851 A KR20060038851 A KR 20060038851A KR 1020040088021 A KR1020040088021 A KR 1020040088021A KR 20040088021 A KR20040088021 A KR 20040088021A KR 20060038851 A KR20060038851 A KR 20060038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ilm
dua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8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8851A/ko
Publication of KR2006003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6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듀얼창의 제조 방법은 유기발광소자패널 위에 보호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이 증착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밀폐제로 서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효율으로 수분 및 산소를 방지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기발광소자패널, OLED, 필름배열 봉지방식, 캡배열 봉지방식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Method of making OLED dual window}
도 1 은 종래의 캡배열 봉지 방식에 의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필름배열 봉지 방식에 의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캡배열 봉지 방식에 의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기발광소자패널 12: 방습막
13: 보호막 14: 캡
15: 밀폐제 16: 방습제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배열 봉지 방식에 의해 제작된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듀얼창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로 웨이퍼 상에 양전극층(anode layer)과 음전극층(cathode layer) 사이에 유기 전계 발광층인 유기 박막층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매우 얇은 두께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좁은 광 시야각, 느린 응답 속도 등 종래에 LCD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온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특히, 중형 이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와 동등하거나(예를 들어, "TFT LCD")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유기발광소자는 특히 수분과 산소에 접촉하면 소자불량으로 알려진 흑점(dark spot)등이 발생하는 취약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캡 배열 봉지 방식과 필름 배열 봉지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우선, 기존의 캡 배열 봉지 방식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패널(10) 위에 금속이나 유리로 된 캡(14)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14)은 밀폐제(15)를 이용하여 유기발광소자패널(10)의 투명기판 위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캡(14)의 내부에는 방습제(desiccant,16)가 부착되어, 캡 내부의 산소와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캡 배열 봉지 방식은 수분과 산소의 차단 효과가 우수한 반면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필름 배열 봉지 방식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패널(10)위에 다수개의 얇은 방습막(Multi-passivation layer, 12)을 증착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습막(12)은 무기절연막(12a)과 고분자 평판화막(12b)및 제습막(12c)등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기절연막(12a)과 고분자 평판화막(12b)은 유기발광소자패널(10)에 대한 보호막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일정부분 산소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도 가능하다. 다만, 방습막을 이용한 필름 배열 봉지 방식으로 제작된 유기발광소자패널(10)은 상기 캡배열 봉지 방식에서 사용하는 캡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물의 사용없이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중막을 증착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아직까지 연구된 다중막이 캡배열 봉지 방식에 비해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전면창과 내부창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유기발광소자패널(10)을 서로 증착한 유기발광소자 듀얼창(OLED dual window)을 제작하여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유기발광소자 듀얼창 형성기술에서는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하는데 취약한 특성을 갖는 필름배열 봉지 방식으로 제작된 유기발광소자패널(도 2참고)보다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배열 봉지 방식으로 제작된 유기발광소자패널(10)을 이용하여 유기발광소자 듀얼창(dual window)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캡배열 봉지 방식에 의해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을 제작하는 경우 방습제(16)가 부착된 캡(15)의 두께 때문에 유기발광소자 듀얼창 전체 두께가 상당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캡배열 봉지 방식에 의한 유기발광소자 듀얼창 제조방식은 유기발광소자패널(10)을 제조하는 공정과 제조된 유기발광소자패널(10)들을 서로 증착하는 공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정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 보호막이 코딩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증착하여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효율으로 수분 및 산소를 방지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패널 위에 보호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이 증착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밀폐제로 서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은 무기절연막 또는 고분자 평판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착하는 단계는 자외선 경화 타입의 밀폐제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밀폐제를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에 따라 상기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실시예들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패널(10) 위에 보호막(13)을 증착한다. 상기 보호막은 무기절연막 또는 고분자 평판화막 중 어느 하나의 막으로 이루어지거나 두개의 막을 모두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필름배열 봉지 방식과 달리 제습막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경우 두개의 유기발광소자 패널을 수분과 산소에 대한 방습기능이 있는 밀폐제를 사용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연결하여 듀얼창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유기발광소자 패널들 상호간이 캡배열 봉지방식에서와 같은 캡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듀얼창 형성 기술에 의하면 필름배열 봉지 방식에서와 같이 제습막이 포함된 다중 막을 증착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캡배열 봉지방식와 같은 우수한 방습 기능을 갖는 듀얼창을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호막(13)이 증착된 유기발광소자패널 두개를 밀폐제(15)를 이용하여 서로 증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유기발광소자패널(10)의 증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연화(soft) 상태의 밀폐제(15)를 이용하여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10)을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제(15)는 캡배열 봉지 방식 기술(도 1 참고)에서 금속이나 유리로된 캡 봉입물 등을 유기발광소자패널(10)에 결합시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막는데 사용하는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기물 및 무기물의 조합물로서 연화상태 또는 경화상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하는 밀폐제(15)는 자외선 경화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 타입의 밀폐제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연화(soft)상태에서 경화(hard)상태로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10)을 연결하는 연화상태의 밀폐제(15)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화(soft)상태의 밀폐제(15)를 경화(hard)상태로 변화시킨다.
그 결과,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10)들이 서로 보완적으로 캡배열 봉지방식에서 사용하는 캡(도 1참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유기발광소자패널(10) 위에 증착된 보호막(13)에 의해 캡배열 봉지방식과 달리 방습제(도 3 참고) 없이 효과적으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습제는 분자체 물질, 실리카 겔 물질, 및 통상적으로 드라이어라이트(drierite) 물질로서 지칭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의 제작공정은 상호 보완적으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10)들을 증착하여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을 형성함에 따라 독립적으로 캡을 증착하고, 유기발광소자패널(10)들을 배열하여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을 형성하는 캡배열 봉지 방식에 비해 전체 듀얼창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보완적인 유기발광소자패널의 봉지 형성 공정과 듀얼창 형성 공정을 통해 전체적으로 듀얼창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지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방식에 의한 봉지 방식보다 감소되는 공정수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기존의 캡배열 봉지 방식에 의한 봉지 제작 공정의 경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패널에 대하여 방습제를 증착하는데 2개의 공정수가 요구되고, 밀폐제를 기판위의 캡이 증착될 곳에 위치시키는데 2개의 공정수, 캡을 기판에 증착시키는데 2개의 공정수가 필요하다. 또한 캡이 증착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서로 배열하여 듀얼창을 제작하는데 1개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총 7개의 공정수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기존의 필름배열 봉지 방식을 살펴보면 각각의 유기발광소자패널에 다수개의 막을 증착하는데 (증착되는 막의 수× 2)개의 공정수가 필요하고, 제작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서로 배열하여 듀얼창을 제작하는데 1개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총 (증착되는 막의 수× 2)+1 개의 공정수가 요구된다. 이때, 필름배열 봉지 방식에서 사용되는 막은 무기절연막, 고분자 평탄화막, 제습막 등 최소한 3개 이상으로 구성되므로, 최소한 7개 이상의 공정수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봉지배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유기발광소자패널에 단일막을 증착하는데 2개의 공정수, 밀폐제를 기판위의 캡이 증착될 곳에 위치시키는데 1개의 공정수( 유기발광소자 패널간의 부착은 서로 상호 보완적 이므로, 서로 밀폐제에 의해 증착되는 위치 지정은 1개만 필요하다.)가 필요하고, 상하 패널을 증착하는데 1개의 공정수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단일막이 증착된 유 기발광소자 패널에 의해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을 형성하는 경우 총 4개의 공정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 패널에 무기절연막 및 고분자 평판화막을 모두 증착한 후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을 형성하여도 필요한 공정수는 6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소자 듀얼창 제작 기술은 기존 방식에 비해 공정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지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방식에 비해 수분과 산소 차단 침투를 얇은 두께의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으로 구현할 수 있는바 이하 설명한다.
우선, 기존의 필름배열 봉지방식의 경우 아직까지 증착된 다중막이 방습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듀얼창 형성기술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캡배열 봉지방식의 경우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막는 방습효과는 탁월하나 캡의 두께에 의해 제작된 듀얼창의 전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 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배열 봉지방식의 다중막의 증착 공정을 하나 또는 두개의 보호막 증착으로 간략화하고, 상기 공정으로 막이 증착된 유기발광소자를 상호 보완적으로 증착하여 듀얼창을 형성하므로 캡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물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고, 캡배열 봉지 방식과 같은 우수한 방습 효과를 갖는 유기발광소자 패널 듀얼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보호막이 코딩된 유기발광소자패널들을 밀폐제를 이 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부착하여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효율으로 수분 및 산소를 방지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유기발광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기발광소자패널 위에 보호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이 증착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밀폐제로 서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패널 듀얼창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되는 보호막은 무기절연막 또는 고분자 평판화막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패널 듀얼창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하는 단계는 자외선 경화 타입의 밀폐제로 두개의 유기발광소자패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밀폐제를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소자 패널 듀얼창의 제조 방법.
KR1020040088021A 2004-11-01 2004-11-01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KR20060038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21A KR20060038851A (ko) 2004-11-01 2004-11-01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21A KR20060038851A (ko) 2004-11-01 2004-11-01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51A true KR20060038851A (ko) 2006-05-04

Family

ID=3714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021A KR20060038851A (ko) 2004-11-01 2004-11-01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8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89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81525B1 (en) Flexible substrate
US790256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roviding ultraviolet ray prot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999467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minimizing inflow of oxygen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US6689626B2 (en) Flexible substrate
US10079366B2 (en) Plasti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524228B2 (en) Sealing structure with barrier membrane for electronic element,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for electronic element
JP4943921B2 (ja) 表示装置
JP4960762B2 (ja)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170012237A1 (en) A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an encapsulation method thereof
KR2008009284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15995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87225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2014013774A (ja) 有機光電子装置及び前記装置をカプセル化する方法
CN103794628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1004765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80834A (ko) 유기 el소자 어레이
CN110391349B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7754521B2 (en) Dual panel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21035950A1 (zh) 一种柔性衬底基板、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101203B1 (ko) 보호물질,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WO2008105336A1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462469B1 (ko) 접착식 유기-무기 복합막을 갖춘 엔캡슐레이션 박막과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060038851A (ko) 유기 발광 소자 듀얼창의 제조 방법
KR20050029790A (ko) 투습방지막을 구비한 유기이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