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921A -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 Google Patents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921A
KR20060037921A KR1020040087022A KR20040087022A KR20060037921A KR 20060037921 A KR20060037921 A KR 20060037921A KR 1020040087022 A KR1020040087022 A KR 1020040087022A KR 20040087022 A KR20040087022 A KR 20040087022A KR 20060037921 A KR20060037921 A KR 2006003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housing
pulle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879B1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제주도(관리부서: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Priority to KR102004008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8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승된 채낚기 어구(낚싯줄)를 양승하기 위한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모터(4); 선박에서 투승된 낚싯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7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치대(7); 상기 거치대(7) 아래에서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80)로 낚싯줄을 상기 거치대의 거치홈(7a)으로 안내하는 가이드(8);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5); 및 그 외주면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름 접촉하면서 상기 낚싯줄에 장력을 부가하여 상기 낚싯줄이 상기 구동풀리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도록 하는 텐션풀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채낚기 어구(낚싯줄)를 힘들이지 않고 인체 손상의 우려 없이 조업자의 판단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면서 신속하게 양승할 수 있으므로 채낚기 낚싯줄 양승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개선할 수 있고 양승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조업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채낚기, 낚싯줄, 양승기, 라인 홀러, 갈치, 어업, 어구어법, 기계화

Description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LINE HAULER FOR SINGLE LINES FISHERY}
도 1은 채낚기 어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가 설치된 선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정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텐션풀리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리미트 스위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거치대용 각도조절레버 작동도.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거치대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에서 낚싯줄의 양 승경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대 3 : 하우징
4 : 구동모터 5 : 구동풀리
6 : 텐션풀리 7 : 거치대
8 : 가이드 9 : 안내판
30 : 지지대 40 : 전원스위치
45 : 리미트 스위치 62 : 이격레버
63 : 인장스프링 70 : 각도조절레버
73 :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
본 발명은 투승된 채낚기 어구(낚싯줄)를 양승하기 위한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낚시를 이용하여 물고기 등을 낚는 채낚기 어업에 있어서, 수 십 미터 이상의 길이를 가진 낚싯줄을 최대한 멀리 투승한 다음 물고기가 낚여져 중량이 늘어난 상태에서 양승하는 낚싯줄 투양승 작업은 매 조업시마다 수 회 내지 수십 회 이상 반복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 중에서도 낚싯줄을 걷어올리는 양승작업은 통상 원줄에 결속된 수 내지 수십 가닥의 각 목줄에 물고기가 낚여져 있어 중량이 크게 늘어난 낚싯줄들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걷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힘과 시간이 요구되며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에 더욱 힘이 들고 손바닥이 갈라지는 등의 상처도 입기 쉬운 매우 고된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채낚기 어업시 낚싯줄의 양승을 인력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투입되는 조업인력과 조업시간에 비해 어획량이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조업인력의 고령화 추세에 의해 조업원들의 개인 작업 능률마저 떨어져 위와 같은 채낚기 어업의 문제점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채낚기 어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승된 채낚기 어구(낚싯줄)를 인력에 의하지 않고 기계적인 힘을 빌려 신속하게 양승할 수 있고 또한 낚싯줄이 모두 양승된 후에는 스스로 정지되어 양승하는 동안 조업자의 감시도 불필요한, 따라서, 조업원의 작업 편의성을 개선하여 채낚기 어업의 조업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는,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모터; 선박에서 투승된 낚싯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 아래에서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로 낚싯줄을 상기 거치대의 거치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 및 그 외주면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름 접촉하여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마찰구동되면서 그 구름접촉면과 상기 구동풀리의 구름접촉면 사이에 끼워진 낚싯줄에 장력을 부가하여 상기 낚싯줄이 상기 구동풀리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도록 하는 텐션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회전 선택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정·역회전 구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승되는 낚싯줄의 장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낚싯줄 이송방향으로 최대 각도로 회전될 때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에 기울기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레버의 선단에 결합되는데 상기 각도조절레버 선단에 대해서도 기울기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는 상기 구동풀리의 축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낚싯줄 권취위치를 횡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에 일체화된 지지대가 선체에 고정된 고정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풀리의 아래쪽에서 상기 텐션풀리에서 낙하하는 낚싯줄을 소정의 위치로 유도하여 낙하시키는 안내판도 바람직한 구성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구성과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채낚기 어업용 낚시 어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가 설치된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의 사시도이다.
채낚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새(110)에 권취되는 수 십 미터 이상 길이의 뒷줄(101)과 상기 뒷줄(101) 끝에 도래(102)로 연결되고 끝단에 납추(104)가 달린 원줄(103) 그리고 상기 원줄(102)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속된 수 내지 수십 가닥의 목줄(105)로 이루어진 낚싯줄(100)을 그 뒷줄(101)을 낚싯대(120)에 거치하여 인접한 다른 어구(낚싯줄)와 엉키지 않도록 하면서 원줄(103)을 선체(S) 밖으로 멀리 투승하여 상기 각 목줄(105) 끝의 낚시에 꿰어진 미끼(106)로 물고기를 유인하여 낚는 어획 방법으로, 주로 갈치, 오징어, 방어, 삼치 등과 같은 비교적 큰 어 종의 물고기를 포획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는 위와 같은 채낚기 조업시 투승된 낚싯줄(100)(구체적으로는 뒷줄(101)이지만 이하 설명에서는 낚싯줄(100)로 용어를 통일함)을 기계적 동력을 이용하여 선체(S) 위로 양승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가드 레일(SG) 또는 갑판에 고정되는 고정대(1), 그 하부에서 연장된 지지대(30)에 의해 상기 고정대(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3)에 내장되는 구동모터(4), 상기 하우징(3)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모터(4)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5), 상기 구동풀리(5)에 구름 접촉하여 마찰 구동되는 텐션풀리(6), 상기 하우징(3) 전방에 선체 밖으로 투승된 낚싯줄(100)을 거치할 수 있게 설치되는 거치대(7), 상기 지지대(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80)로 선체 위로 양승되는 낚싯줄(100)을 상기 거치대(7)로 안내하는 가이드(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4)는 하우징(3) 전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40) 및 가동스위치(41)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가동되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구동축에 전동기어(51)를 매개로 동력적으로 연결된 구동풀리(5)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회전방향과 속도는 정역회전 선택 스위치(42)와 속도조절스위치(43)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구동모터(4)는 전원스위치(40)의 일측에 설치된 정지스위치(44) 및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45)에 의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5와 6에는 위 구성 중 구동풀리(5)와 텐션풀리(6)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양승기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5)와 텐션풀리(6)는 각 외주에 탄력재질의 마찰부재(50,60)가 끼워져 그 두 마찰부재(50,60)의 구름 마찰력으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풀리로, 구동풀리(5)는 하우징(3) 내 구동모터(4)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며(도 4 참조), 텐션풀리(6)는 하우징(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지지대(61) 선단에서 이격레버(62)에 연결된 인장스프링(6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인장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풀리(5)에 탄성 밀착된다. 이에, 두 풀리(5)(6)는 구동모터(4)의 동력으로 구름마찰되어 서로 연동 회전하면서, 구동풀리(5)에 권취된 상태에서 두 풀리(5)(6) 사이에 끼워진 낚싯줄(100)을 두 마찰부재(50,60)의 마찰력으로 양승하게 된다. 이 때 텐션풀리(6)는 하우징(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지지대(61) 선단에서 회동 지지대(61)에 일체화된 이격레버(62)를 매개로 인장스프링(63)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서 그에 따른 탄성력으로 낚싯줄(100)에 장력을 부가한다. 텐션풀리(6)의 장력은 하우징(3)에 구속된 상태에서 텐션풀리(6)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63)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정볼트(64)를 매개로 이격레버(62)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장력조정볼트(64)로써 인장스프링(63)의 탄성 변위량을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이격레버(62)는 상기 회동 지지대(61)에 일체화되며, 이에 조업자는 이격레버(62)를 당겨 텐션풀리(6)를 구동풀리(5)로부터 이격시킨 다음 그 두 풀리(5)(6) 사이에 양승할 낚싯줄을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도 7에는 낚싯줄(100) 양승시 그 낚싯줄(100)을 구동풀리(5)로 유도하기 위한 거치대(7)와 그 거치대(7)에 의해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45)의 작동도가 도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는 낚싯줄(1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쪽 가지 부분이 짧은 Y자형 구조를 갖는 거치수단으로, 하우징(3) 내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의 선단에 각도조절레버(72)를 매개로 결합되며, 낚싯줄(100) 양승시 그 중간부분의 거치홈(7a)에 거치된 낚싯줄(100)을 구동풀리(5)측으로 안내한다. 아울러, 거치홈(7a)을 통해 양승되는 낚싯줄(100)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부하를 받게되는 경우 그 부하에 의해 회전되면서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을 회전시켜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 끝단에 결합된 리미트 스위치 작동레버(75)가 리미트 스위치(45)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구동모터(4)를 정지시키는 기능도 겸한다. 즉, 낚싯줄(100) 즉 뒷줄(101)의 양승이 완료되어 도 7에 점선과 같이 뒷줄(101) 끝단에 원줄(103)을 연결하는 도래(102)가 거치홈(7a)에 걸리게 되거나 낚싯줄(100)의 엉킨 매듭이 거치홈(7a)에 걸리게 되는 경우 그 부하에 의해 회전되어 리미트 스위치(45)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모터(4)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비상 정지시킴으로써 낚싯줄(100)이 단선되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하는 거치대(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회전 각도 조정이 가능한 결합된 두 개의 로킹 플레이트(74)를 매개로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에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레버(72)의 선단에 도 9와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울기 조정 및 축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레버(72)와 거치대(7)의 각 기울기를 조정하여 상기 구동풀리(5)에 대한 낚싯줄 접촉길이(L)나 또는 각도조절레버(72) 회전중 심에 대한 낚싯줄(100) 장력의 작용거리(l) 즉 모멘트 등을 조정함으로써 구동풀리(5)의 낚싯줄(100)에 대한 양승력(마찰력), 낚싯줄(100) 부하에 대한 리미트 스위치(45)의 감응시간, 리미트 스위치(45)를 가동시키는 낚싯줄 부하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7)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구동풀리(5)의 낚싯줄(100) 권취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풀리(5,6)의 마찰부재(50,60)가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는 그 후단부가 고정대(1)와 일체화된 고정플레이트(10)에 형성된 고정공(11)에 끼워진 다음 고정대(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구(81)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 정박시에는 가이드(8)를 분리 보관시킴으로써 다른 어선의 접현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가이드(8) 선단의 가이드 롤러(80)는 낚싯줄(100)과 목줄(103)의 회전에 의한 꼬임을 방지하면서 낚싯줄(100)을 양승방향에 관계없이 거치홈(7a)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 롤러와 그 양 끝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2 개의 세로방향 롤러 등 모두 세 개의 롤러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롤러(80)는 낚싯줄(100)과 직접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선체 바깥쪽으로 기울게 설치되고(도 5 참조), 낚싯줄(10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3) 바깥쪽의 세로방향 롤러(80)의 길이가 안쪽의 세로방향 롤러(80)에 비해 짧게 구성된다(도 3 참조).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를 이용한 낚싯줄 양승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낚싯줄을 투승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양승해야 할 시간이 되면, 전원스위치(40)를 켠 다음 정·역회전 선택스위치(42)를 정회전모드로 선택한 상태에서 가동스위치(41)를 온(on)시킴으로써 구동풀리(5)와 텐션풀리(6)가 구동모터(4)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한다. 이어, 낚싯줄을 안내롤러(80)와 거치홈(7a)에 거치한 다음 텐션풀리(6)와 구동풀리(5) 사이에 낚싯줄(100)을 구동풀리 외주를 휘감게 하면서 끼우면, 서로 연동회전하는 구동풀리(5)와 텐션풀리(6)가 그들 사이에 끼워진 낚싯줄(100)을 각 풀리(5,6)의 마찰부재(50,60)에 마찰력을 가하여 가이드(8)와 거치대(7)를 통해 끌어올리게 된다. 이에, 선체 밖으로 투승되었던 낚싯줄(100)은 구동풀리(5)를 거쳐 안내판(9)의 안내에 따라 낙하하여 선체(S) 갑판 위에 적재된다. 이어, 뒷줄(101)이 모두 양승되어 그 끝단의 도래(102)까지 끌어 올려지면 도래(102)가 거치대(7)의 거치홈(7a)에 걸치면서 낚싯줄(100)이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게 되는데 이 때 거치대(7)가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과 함께 회전되면서 리미트 스위치(45)를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구동모터(4)가 정지되면서 양승기에 의한 낚싯줄 양승작업이 모두 종료된다. 이에, 작업자는 이격레버(62)를 당겨 텐션풀리(6)를 구동풀리(5)로부터 이격시켜 두 풀리(5)(6) 사이에서 낚싯줄(100)을 꺼내 다음 조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미끼나 낚시 등을 정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양승과정에 있어서 낚싯줄(100)이 엉키거나 기타 원인에 의해 양승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정·역회전 선택 스위치(42)로 역회전모드로 전환하여 낚싯줄(100)이 끊기는 것과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는 필요에 따라 역 회전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낚싯줄을 선체 밖으로 투승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승이나 통발 등의 부자줄 등과 같이 다른 어구에서 사용되는 줄을 양승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에 따르면, 채낚기 조업 시 투승된 채낚기 어구(낚싯줄)를 힘들이지 않고 인체 손상의 우려 없이 조업자의 판단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면서 신속하게 양승할 수 있고 낚싯줄이 모두 양승된 후에는 스스로 정지되므로 양승되는 동안 감시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낚싯줄 양승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대폭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낚싯줄 양승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채낚기 어업의 조업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선박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우징(3);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동모터(4);
    선박에서 투승된 낚싯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홈(7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치대(7);
    상기 거치대(7) 아래에서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80)로 낚싯줄을 상기 거치대의 거치홈(7a)으로 안내하는 가이드(8);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풀리(5); 및
    그 외주면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름 접촉하여 상기 구동풀리에 의해 마찰구동되면서 그 구름접촉면과 상기 구동풀리의 구름접촉면 사이에 끼워진 낚싯줄에 장력을 부가하여 상기 낚싯줄이 상기 구동풀리의 마찰력에 의해 양승되도록 하는 텐션풀리(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는 정역회전 선택스위치(42)의 선택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정·역회전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7)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승되는 낚싯줄(100)의 장력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낚싯줄의 이송방향으로 최대 각도로 회전될 때 이를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구동모터(4)를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4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7)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에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7)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 작동축(73)에 기울기 각도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레버의 선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7)는 상기 각도조절레버(72) 선단에 기울기 각도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7)는 상기 구동풀리(5)의 축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풀리(5)의 낚싯줄 권취 위치를 횡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그 하부에 일체화된 지지대(30)가 선체에 고정된 고정대(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풀리(6)의 아래쪽에서 상기 텐션풀리에서 낙하하는 낚싯줄을 소정의 위치로 유도하여 낙하시키는 안내판(9)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KR1020040087022A 2004-10-29 2004-10-29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KR10058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22A KR100585879B1 (ko) 2004-10-29 2004-10-29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022A KR100585879B1 (ko) 2004-10-29 2004-10-29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58U Division KR200372495Y1 (ko) 2004-10-29 2004-10-29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921A true KR20060037921A (ko) 2006-05-03
KR100585879B1 KR100585879B1 (ko) 2006-06-07

Family

ID=3714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22A KR100585879B1 (ko) 2004-10-29 2004-10-29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8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57B1 (ko) * 2007-05-31 2009-09-21 임상준 갈치낚시용 장치
KR20210147656A (ko) * 2020-05-29 2021-12-07 문용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152B1 (ko) * 2009-08-13 2012-02-29 김길환 주낙 연승장치
KR101235904B1 (ko) * 2010-06-29 2013-02-21 김상태 낚싯줄 감김 양승기
KR200463895Y1 (ko) * 2010-09-17 2012-12-03 양정보 경량형 채낚기용 양승기
KR101429739B1 (ko) 2014-04-01 2014-08-13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주낙용 연승장치
KR101658293B1 (ko) * 2014-12-24 2016-09-20 주성구 새우조망용 로프 인양장치
KR102564954B1 (ko) * 2021-06-01 2023-08-07 정수개 양승기 모터용 정역 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57B1 (ko) * 2007-05-31 2009-09-21 임상준 갈치낚시용 장치
KR20210147656A (ko) * 2020-05-29 2021-12-07 문용호 추를 이용하여 수중 바닥을 감지하는 양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879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4323A (en) Long fishing line apparatus with movable multiple skate racks, a two position main hauler and a slack taker, and a water agitated automatic baiter
KR100585879B1 (ko)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US4477992A (en) Apparatus for baiting longline fishing gear
KR200372495Y1 (ko)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US4885863A (en) Fishing lure retriever
KR102578107B1 (ko) 로프 자동견인장치
KR20060008845A (ko) 주낙용 투승장치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US5542204A (en) Fly-fishing line holding device
JP4236007B2 (ja) 回転式自動魚釣り機、及び、釣針作動装置。
JPH0368655B2 (ko)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JP3621410B1 (ja) 捕獲具
EP0370583A2 (en) Device for striking and hauling the standing and running rigging in a fishing boat
US3835567A (en) Troll fishing apparatus
KR102648660B1 (ko) 좌우 이동이 가능한 채낚기용 양승장치
KR200302085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장치의 가이드
KR101365415B1 (ko) 전동릴부재를 이용한 채낚기장치
KR102396348B1 (ko) 수평 권취식 채낚장치
KR101311804B1 (ko) 주낙인양장치
KR100472790B1 (ko) 선박용 그물 양망기 및 양망방법
JP3741516B2 (ja) フック装置
KR200150847Y1 (ko) 조개채취기용 자동윈치
CN102783465A (zh) 一种新型鱼竿
JP2960031B2 (ja) 自動カツオ釣り装置及び自動カツオ釣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