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915A -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915A
KR20060035915A KR1020040084299A KR20040084299A KR20060035915A KR 20060035915 A KR20060035915 A KR 20060035915A KR 1020040084299 A KR1020040084299 A KR 1020040084299A KR 20040084299 A KR20040084299 A KR 20040084299A KR 20060035915 A KR20060035915 A KR 20060035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reaction
communication
shor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922B1 (ko
Inventor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조성구
주식회사 퀀텀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구, 주식회사 퀀텀스튜디오 filed Critical 조성구
Priority to KR102004008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9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품에 소속된 내부 전산 유니트에 <각 사용자의 소지품(또는 신체 일부)에 개별 부착된 다수의 근거리 통신 태그>와 교신하면서, 이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 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액션(움직임 또는 음성)의 출력을 다채롭게 유도할 수 있는 전산 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완구의 부속물들(예컨대, 스피커, 램프, 목, 다리, 꼬리 등)이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상황, 예컨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유효교신범위(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가, 유효교신범위에 있던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해당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하였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 태그의 기록내역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완구를 이용함에 있어,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Reaction type playth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action process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형 완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태그 데이터의 기록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액션 설정내역 저장부의 저장 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콘텐츠 저장부의 저장 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의 저장 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의 저장 내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의 반응절차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반응 컨트롤모듈과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교신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반응 컨트롤부의 사용자 분류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제품에 소속된 내부 전산 유니트에 <각 사용자의 소지품(또는 신체 일부)에 개별 부착된 다수의 근거리 통신 태그>와 교신하면서, 이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 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액션(움직임 또는 음성)의 출력을 다채롭게 유도할 수 있는 전산 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완구의 부속물들(예컨대, 스피커, 램프, 목, 다리, 꼬리 등)이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상황, 예컨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유효교신범위(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가, 유효교신범위에 있던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해당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하였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 태그의 기록내역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완구를 이용함에 있어,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반응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반응형 완구의 반응절차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여건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각종 완구에 대한 수요 또한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완구는 예컨대, <사용자가 움직임과 관련된 구동 스위치를 켜면, 자신의 부속물(목, 다리, 꼬리 등)을 기 정해진 패턴에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방식> 또는 <사용자가 소리(음성)와 관련된 구동 스위치를 켜면, 기 정해진 패턴에 따라, 일정한 소리(동물 울음소리, 노래 소리, 악기 소리 등)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방식> 등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 유발(호기심 유발)을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 이와 같은 완구의 보급이 거의 포화 수준에 이르면서, 완구의 기능 개선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 또한 점차 팽배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체제 하에서, 완구는 해당 완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황과 전혀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동일한 액션(동일한 움직임 또는 동일한 소리)만을 단조롭게 반복 출력하는 방식을 무모하게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사용자는 완구 사용에 대하여, 항상 많은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구에 소속된 내부 전산 유니트에 <각 사용자의 소지품(또는 신체 일부)에 개별 부착된 다수의 근거리 통신 태그>와 교신하면서, 이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 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액션(움직임 또는 음성)의 출력을 다채롭게 유도할 수 있는 전산 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완구의 부속물들(예컨대, 스 피커, 램프, 목, 다리, 꼬리 등)이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상황, 예컨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유효교신범위(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가, 유효교신범위에 있던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해당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하였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 태그의 기록내역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완구를 이용함에 있어,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부속물들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전산 소속되며, 상기 부속물들을 선택 구동하는 부속물 구동모듈들과, 상기 부속물 구동모듈들을 총괄 제어하는 완구 제어모듈과, 상기 완구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근거리 통신 태그(Local area network tag)들과 교신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수취 분석하여, 상기 부속물들이 상기 각 태그 데이터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을 선택적으로 자동 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반응형 완구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외부의 근거리 통신 태그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데이터를 수취하여, 기록내역을 분석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데이터의 분석 내역을 토대로 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부속물들이 상기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들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을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유도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완구의 반응절차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1)는 각종 부속물(5)들, 예컨대, 스피커(5a), 램프(5b), 목(5c), 다리(5d), 꼬리(5e) 등(물론, 이러한 부속물들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을 구비한 몸체(1a)와, 이 몸체(1a) 내에 전산 소속된 완구 제어모듈(2)과, 이 완구 제어모듈(2)에 의해 전산 제어되는 부속물 구동모듈들(3),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완구 제어모듈(2)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추가 형성하는 메모리(4), 전원 컨트롤러(6) 등은 일련의 데이터(프로그램) 저장 역할, 전원공급상황 제어역할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완구 제어모듈(2)에 의한 부속물 구동모듈(3),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 등의 제어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각 부속물 구동모듈(3)들은 예컨대, 전원(7)의 공급상황, 구동 스위치(8)의 온/오프 상황,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의 기능 수행상황 등에 기인한 완구 제어모듈(2)의 제어에 따라, 앞의 각종 부속물(5)들의 출력 상황, 예컨대, 스피커(5a)의 음성 출력상황, 램프(5b)의 점등상황, 목/다리/꼬리(5c,5d,5e) 등의 움직임 상황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환경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본 발명의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은 앞의 완구 제어모듈(2)의 제어 하에, 예컨대, 다수의 사용자(U1,U2,U3‥‥,UN)들이 소지한 외부의 근거리 통신 태그(20)들과 교신하면서, 이 근거리 통신 태그(20)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수취 분석하여, 앞의 부속물들(5:스피커, 램프, 목, 다리, 꼬리 등)이 각 태그 데이터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움직임, 점광, 음성 등)을 선택적으로 자동 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사용자(U1,U2,U3‥‥,UN)의 물품 또는 신체에 부착되는 형태로 소지되는 근거리 통신 태그(20)들로는 예컨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일련의 무선 근거리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제조되어, 통신부(23), 컨트롤러(22), 정보 저장부(21) 등의 구성요소들을 두루 갖춘 제품들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물론, 상황에 따라, 근거리 통신 태그(20)들의 형태, 구성요소 등은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구 반응 컨트롤모듈(10)은 완구 제어모듈(2)에 의해 전산 제어되는 완구반응 컨트롤부(11)와, 이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태그 교신부(12), 테그 데이터 분석부(13), 반응액 션 설정내역 저장부(16), 액션 콘텐츠 저장부(15),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14),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17)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태그 교신부(12)는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 측의 전자기 신호(데이터)를 유효 주파수(유효교신범위) 내의 근거리 통신 태그(20)들 측으로 무선 송신하거나, 근거리 통신 태그(20)들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주파수(유효교신범위) 내의 전자기 신호(데이터)를 무선 수신하는 일련의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완구 제어모듈(2)의 제어 하에, 근거리 통신 태그(20)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며, 이 요청에 대응하여, 각 근거리 통신 태그(20)들 측으로부터 태그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취 분석하여, 각 근거리 통신 태그(20)의 유효교신범위(즉, 태그 교신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 포함/이탈 여부 및 기록내역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완구 제어모듈(2)과 교신하여, 부속물(5) 측 반응 액션의 서로 다른 출력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태그 데이터 분석부(13)는 앞서 언급한 태그 교신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해 각 근거리 통신 태그들(20) 측 태그 데이터(D)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되고, 전송 완료된 태그 데이터(D)가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달되면, 일련의 분석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태그 데이터(D)에 기록된 내역을 체크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구반응 컨트롤부(11)가 예컨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20:사용자)가 유효교신범위(즉, 태그 교신부와 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체류하고 있던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20:사용자)가 해당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하였는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20:사용자)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신규 포함되었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 태그(20)의 기록내역이 무엇(제 1 사용자/제 2 사용자/제 3 사용자 등)인가 등과 같은 주요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반응액션 설정내역 저장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물(5)에 의한 반응 액션의 근거리 통신 태그(20:사용자)별 출력 유형 및 출력 순서에 관한 설정 내역을 저장 관리하고, 필요 시, 이를 추출하여,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구반응 컨트롤부(11) 및 완구 제어모듈(2:부속물 구동모듈)의 연계 하에 동작하는 부속물(5)들이 각 사용자(U1,U2,U3‥‥,UN)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20)의 상황(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 유효교신범위 이탈여부, 기록내역여부 등)에 가장 부합되는 서로 다른 개별 반응 액션(움직임, 음성, 점등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다채롭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액션 콘텐츠 저장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물(5)이 일련의 반응 액션을 취하는데 필요한 액션 콘텐츠, 예컨대, 각종 음성 파일(M)들을 저장 관리하고, 필요 시, 이를 추출하여,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구반응 컨트롤부(11) 및 완구 제어모듈(2:부속물 구동모듈)의 연계 하에 동작하는 부속물(5), 예컨대, 스피커(5a)가 각 각 사용자(U1,U2,U3‥‥,UN)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 (20)의 상황(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 유효교신범위 이탈여부, 기록내역여부 등)에 가장 부합되는 음성, 예를 들어, "어서 와!! 만나서 반가워!!", "내 이름은 멍멍이야! 넌 이름이 뭐니??", "아빠!! 저랑 산책해요!!", "잘 가! 잠시 후에 보자!", "엄마!! 밥 좀 주세요!!"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다채롭게 출력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함께,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물(5)이 일련의 반응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각종 액션요청 메시지(A), 예컨대, <램프를 점등해 달라는 의미의 메시지>, <목을 흔들어 달라는 의미의 메시지>, <꼬리를 흔들어 달라는 의미의 메시지> 등을 저장 관리하고, 필요 시, 이를 추출하여,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만약, 완구반응 컨트롤부(11)가 완구 제어모듈(2:부속물 구동모듈) 측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할 경우, 부속물(5), 예컨대, 램프(5b), 목(5c), 꼬리(5e) 등이 각 사용자(U1,U2,U3‥‥,UN)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20)의 상황(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 유효교신범위 이탈여부, 기록내역여부 등)에 부합되는 반응 액션, 예컨대, 점등 액션, 흔드는 액션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다채롭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외에, 완구반응 컨트롤부(11)에 의해 전산 통제되는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물(5)의 <이전 반응 액션 출력 내역>을 순차적으로 누적 관리하고, 필요 시, 이를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완구반응 컨트롤부(11)가 <부속물(5)들의 이전 반응 액션 출 력상황 및 현재 파악되는 태그 데이터를 비교하는 절차>를 통하여,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한 근거리 통신 태그(20), 유효교신범위에 신규 포함된 근거리 통신 태그(20) 및 유효교신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 태그(20) 등을 손쉽게 분류 결정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1)의 구체적인 반응절차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이 설치된 완구(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U1,U2,U3‥‥,UN)은 각자의 소지품 일부 또는 신체 일부에 소정의 태그 데이터가 기록된 근거리 통신 태그(20)를 미리 개별 부착하여, 본 발명이 진행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마련한다.
이 상황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1) 내에 설치된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의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완구 제어모듈(2)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작동 개시명령이 출력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예컨대, 전원(7)이 온 되거나, 구동 스위치(8)가 온 되어,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부터 일련의 작동 개시명령이 출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각 사용자들(U1,U2,S3‥‥,UN)이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20)들과 교신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과정 내에서,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태그 교신부(12)를 매개로 하여, 근거리 통신 태그(20)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며(단계 S2), 이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태그(20)들에 소속된 컨트롤러(22)는 정보 저장부(21)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태그 데이터를 추출 한 후, 추출 완료된 태그 데이터를 통신부(23)를 매개로 하여,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태그 교신부(12)를 체크하여, 각 근거리 통신 태그(20)들로부터 출력되는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태그 데이터를 태그 데이터 분석부(13)로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전달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태그 데이터 분석부(13)는 일련의 분석루틴을 가동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그 데이터(D1)의 기록내역을 체크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보고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단계 S3).
이러한 보고과정이 완료되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그 즉시, 태그 데이터 분석부(13)의 분석내용을 독취하여, 예컨대, <제 1 내지 제 3 근거리 통신 태그(20a,20b,20c)가 유효교신범위(Y)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신속히 확인하고,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근거리 통신 태그(20a,20b,20c)를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태그>로 확보 결정한다(단계 S4).
이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반응액션 설정내역 저장부(16)를 체크하여, 부속물(5)에 의한 반응 액션의 각 근거리 통신 태그(20)별 출력 유형 및 출력 순서에 관한 설정 내역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예컨대, <제 1 태그-제 2 태그‥‥순으로 반응 액션을 출력하여야 한다>, <제 1 태그(20a)에 맞게 반응하기 위하여, 제 1 음성파일 및 제 1 액션요청 메시지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제 2 태그(20b)에 맞게 반응하기 위하여, 제 4 음성파일 및 제 4 액션요청 메시지 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파악한다.
이러한 파악과정이 완료되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그 즉시, 액션 콘텐츠 저장부(15),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14) 등을 활용하여, 제 1 음성파일(예컨대, 안녕!! 아가야 반가워!!라는 목소리를 담은 파일), 제 1 액션요청 메시지(예컨대, 꼬리를 흔들어 달라는 요청내역을 담은 메시지), 제 4 음성파일(예컨대, 엄마!! 오늘도 저랑 재미있게 놀아요!!라는 목소리를 담은 파일), 제 4 액션요청 메시지(예컨대, 고개를 꾸벅여 달라는 요청내역을 담은 메시지) 등을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데이터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달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완구 제어모듈(2)은 완구반응 컨트롤부(11)의 요청에 맞게 부속물 구동모듈(3)을 선택 제어하여, 각 부속물(5)들을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해당 부속물(5)들, 예컨대, 스피커(5a), 목(5c), 꼬리(5e) 등이 각 사용자(U1,U2,U3)가 소지한 각 근거리 통신 태그들(20a,20b,20c)의 상황(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 기록내역여부 등)에 부합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예컨대, 소리출력 액션, 흔드는 액션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다채롭게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단계 S5).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예컨대, 유효교신범위(Y) 내에 위치한 제 1 근거리 통신 태그(20a)를 소지한 제 1 사용자(U1)는 완구(1)가 <안녕!! 아가야 반가워!! 라는 소리를 내면서, 꼬리를 흔드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유효교신범위(Y) 내에 위치한 제 2 근거리 통신 태그(20b)를 소지한 제 2 사용자(U2)는 완구(1)가 <엄마!! 오늘도 저랑 재미있게 놀아요!! 라는 소리를 내 면서, 고개를 꾸벅이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완구(1)가 각자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이는 상황 하에서, 제 1 내지 제 3 사용자(U1,U2,U3)는 완구(1)의 사용에 대하여, 종래와 다른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부속물(5)의 <이전 반응 액션 출력 내역>을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17) 측으로 전달하여, 이를 앞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누적 저장·관리한다(단계 S6).
한편, 이 상황에서,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완구 제어모듈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후속 반응시점이 도래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예컨대,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사용자의 구동 스위치 조작이 있거나 하여, 일련의 후속 반응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각 사용자들(U1,U2,U3‥‥,UN)이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20)들과 후속 교신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과정 내에서도,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태그 교신부(12)를 매개로 하여, 근거리 통신 태그(20)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게 되며(단계 S8), 이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태그(20)들에 소속된 컨트롤러(22)는 정보 저장부(21)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태그 데이터를 추출 한 후, 추출 완료된 태그 데이터를 통신부(23)를 매개로 하여,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태그 교신부(12)를 체크하여, 각 근 거리 통신 태그(20)들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새로운 태그 데이터를 태그 데이터 분석부(13)로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전달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태그 데이터 분석부(13)는 일련의 분석루틴을 가동시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태그 데이터(D2)의 기록내역을 체크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완구반응 컨트롤부(11) 측으로 보고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단계 S9).
이러한 보고과정이 완료되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그 즉시, 태그 데이터 분석부(13)의 분석내용을 독취함과 아울러, 이 독취내용을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17)에 저장되어 있던 <부속물들의 이전 반응 액션 출력상황>(앞의 도 6에 도시)과 체크·비교하여(단계 S10), 예컨대, <제 1 근거리 통신 태그(20a) 및 제 3 근거리 통신 태그(20c)가 유효교신범위(Y) 내에 지속적으로 체류하고 있다>, <제 2 근거리 통신 태그(20b)가 유효교신범위(Y)로부터 이탈하였다>, <제 4 근거리 통신 태그(20d)가 유효교신범위(Y)에 신규 포함되었다>는 사실을 신속히 확인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제 1 및 제 3 근거리 통신 태그(20a,20c)를 체류용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로, <제 2 근거리 통신 태그(20b)를 이탈용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로, 또한, <제 4 근거리 통신 태그(20d)를 신규 포함용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로 분류 결정한다(단계 S11).
이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반응액션 설정내역 저장부(16)를 체크하여, 부속물(5)에 의한 반응 액션의 근거리 통신 태그(20)별 출력 유형 및 출력 순서에 관한 설정 내역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예컨대, <제 1 근거리 통신 태그-제 2 근거리 통신 태그‥‥순으로 반응 액션을 출력하여야 한다>, <제 1 근거리 통신 태그(20a)의 체류에 맞게 반응하기 위하여, 제 2 음성파일 및 제 2 액션요청 메시지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제 2 근거리 통신 태그(20b)의 이탈에 맞게 반응하기 위하여, 제 6 음성파일 및 제 6 액션요청 메시지를 완구 제어모듈(5) 측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제 4 근거리 통신 태그(20d)의 신규 포함에 맞게 반응하기 위하여, 제 n 음성파일 및 제 n 액션요청 메시지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여야 한다>는 등의 사실을 파악한다.
이러한 파악과정이 완료되면,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그 즉시, 액션 콘텐츠 저장부(15),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14) 등을 활용하여, 제 2 음성파일(예컨대, 우리 지금부터 뭐하고 놀까? 라는 목소리를 담은 파일), 제 2 액션요청 메시지(예컨대, 램프를 점등시켜 달라는 요청내역을 담은 메시지), 제 6 음성파일(예컨대, 엄마!! 안녕히 가세요!!라는 목소리를 담은 파일), 제 6 액션요청 메시지(예컨대, 꼬리를 흔들어 달라는 요청내역을 담은 메시지), 제 n 음성파일(예컨대, 누나!! 반가워요!! 라는 목소리를 담은 파일), 제 n 액션요청 메시지(예컨대, 머리를 끄덕여 달라는 요청내역을 담은 메시지) 등을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데이터를 완구 제어모듈(2)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달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완구 제어모듈(2)은 완구반응 컨트롤부(11)의 요청에 맞게 부속물 구동모듈(3)을 선택 제어하여, 각 부속물(5)들을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해당 부속물(5)들, 예컨대, 스피커(5), 램프(5b), 목(5c), 꼬 리(5e) 등이 각 사용자(U1,U2,U3,U4)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20a,20b,20c,20d)의 상황(유효교신범위 체류 여부, 유효교신범위 이탈 여부, 유효교신범위 신규 포함여부, 기록내역여부 등)에 부합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예컨대, 소리출력 액션, 점등 액션, 흔드는 액션 등)을 별도의 문제점 없이, 다채롭게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단계 S12).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예컨대, 유효교신범위(Y)에 체류 중인 제 1 근거리 통신 태그(20a)를 소지하고 있는 제 1 사용자(U1:제 3 사용자)는 완구(1)가 <우리 지금부터 뭐하고 놀까? 라는 소리를 내면서, 눈에 구비되어 있는 램프(5b)를 점등시키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유효교신범위(Y)를 이탈한 제 2 근거리 통신 태그(20b)를 소지하고 있는 제 2 사용자(U2)는 완구(1)가 <엄마!! 안녕히 가세요!! 라는 소리를 내면서, 꼬리(5d)를 흔드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유효교신범위(Y)에 신규 포함된 제 4 근거리 통신 태그(20d)를 소지하고 있는 제 4 사용자(U4)는 완구(1)가 <누나!! 반가워요!! 라는 소리를 내면서, 머리를 끄덕이는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완구(1)가 각자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이는 상황 하에서, 제 1 내지 제 4 사용자(U1,U2,U3,U4)는 완구(1)의 사용에 대하여, 종래와 다른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완구반응 컨트롤부(11)는 부속물(5)의 <후속 반응 액션 출력 내역>을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17) 측으로 전달하여, 이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누적 저장·관리한 후, 예컨대, 완구 제어모듈(2) 측의 작동중지 명령 전달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단계 S13).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한 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근거리 통신 태그들을 일괄 소지하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완구반응 컨트롤모듈(10)을 메모리(4:또는 그에 상응하는 전산모듈) 내에 분산 또는 통합 설치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앞의 음성파일(M)을 일상적인 대화내용이 아닌, 교육적인 내용(예컨대, 영어교육, 국어교육, 수학교육, 음악교육 등)으로 교체하여, 완구(1)를 교육적인 기구로 활용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완구에 소속된 내부 전산 유니트에 <각 사용자의 소지품(또는 신체 일부)에 개별 부착된 다수의 근거리 통신 태그>와 교신하면서, 이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 태그 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액션(움직임 또는 음성)의 출력을 다채롭게 유도할 수 있는 전산 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완구의 부속물들(예컨대, 스피커, 램프, 목, 다리, 꼬리 등)이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상황, 예컨대,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유효교신범위(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는가, 유효교신범위에 있던 어떤 근거리 통신 태그가 해당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하였는가, 유효교신범위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 태그의 기록 내역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반응을 자동으로 보일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완구를 이용함에 있어, 최적의 만족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지 놀이용 완구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와 유사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부속물들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전산 소속되며, 상기 부속물들을 선택 구동하는 부속물 구동모듈들과;
    상기 부속물 구동모듈들을 총괄 제어하는 완구 제어모듈과;
    상기 완구 제어모듈과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근거리 통신 태그(Local area network tag)들과 교신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태그 데이터를 수취 분석하여, 상기 부속물들이 상기 각 태그 데이터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을 선택적으로 자동 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은 상기 완구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며, 상기 태그 데이터를 수취 분석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 및 기록내역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반응 액션의 서로 다른 출력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는 완구반응 컨트롤부와;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의 기록내역을 체크하는 태그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반응 액션에 부합되는 액션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액션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은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반응 액션에 부합되는 액션요청 메시지를 저장 관리하는 액션요청 메시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은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반응 액션의 근거리 통신 태그별 출력 유형 및 출력 순서에 관한 설정 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반응액션 설정내역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완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모듈은 상기 완구반응 컨트롤부에 의해 전산 통제되며, 상기 반응 액션의 출력 내역을 순차적으로 누적 관리하는 반응액션 출력내역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완구.
  6. 부속물들을 구비한 상태로,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완구의 반응절차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 측으로 태그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데이터를 수취하여, 기록내역을 분석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 데이터의 분석 내역을 토대로 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의 유효교신범위 포함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 결과에 따라, 반응 액션을 출력할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속물들이 상기 특정 근거리 통신 태그들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을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들의 반응 액션 출력상황을 저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액션의 후속 출력시점이 도래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반응 액션의 후속 출력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태그들로부터 새로운 태그 데이터를 후속 수취하여, 상기 새로운 태그 데이터의 기록내역을 분석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부속물들의 이전 반응 액션 출력상황 및 상기 새로운 태그 데이터의 분석 내역을 비교하여, 상기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한 근거리 통신 태그, 상기 유효교신범위에 신규 포함된 근거리 통신 태그 및 상기 유효교신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 태그를 분류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속물들이 상기 유효교신범위를 이탈한 근거리 통신 태그, 상기 유효 교신범위에 신규 포함된 근거리 통신 태그 및 상기 유효교신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 태그 각각에 개별 상응하는 서로 다른 반응 액션을 선택적으로 취하도록 유도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KR1020040084299A 2004-10-21 2004-10-21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KR10064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299A KR100645922B1 (ko) 2004-10-21 2004-10-21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299A KR100645922B1 (ko) 2004-10-21 2004-10-21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915A true KR20060035915A (ko) 2006-04-27
KR100645922B1 KR100645922B1 (ko) 2006-11-15

Family

ID=3714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299A KR100645922B1 (ko) 2004-10-21 2004-10-21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9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87B1 (ko) * 2006-02-17 2007-01-11 (주) 이니투스 Rfid 태그 인식 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완구
KR100698943B1 (ko) * 2006-07-25 2007-03-22 주식회사 지팡이 이야기이력을 활용하는 이야기지원 완구 및 그 동작방법
KR100886077B1 (ko) * 2007-04-06 2009-02-26 고창용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 이용한 멜로디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7942B1 (ko) * 2007-11-15 2009-11-19 주식회사 지팡이 Rfid를 이용한 동작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654A (ko) * 1999-09-22 2001-04-06 김상철 무선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JP2001293262A (ja) * 2000-04-13 2001-10-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型icタグを使用した玩具制御システム
KR20020033300A (ko) * 2000-10-30 2002-05-06 이정학 로봇 축구 게임기에서 로봇 위치 인식 장치
KR100734103B1 (ko) * 2001-02-09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수신된 완구의 동작 데이터의 선택 방법
KR20010067611A (ko) * 2001-02-21 2001-07-13 한남용 음성인식을 통한 형태 변환 장난감
KR100425246B1 (ko) * 2001-05-04 2004-03-30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무선조작 로봇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87B1 (ko) * 2006-02-17 2007-01-11 (주) 이니투스 Rfid 태그 인식 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완구
KR100698943B1 (ko) * 2006-07-25 2007-03-22 주식회사 지팡이 이야기이력을 활용하는 이야기지원 완구 및 그 동작방법
WO2008013356A1 (en) * 2006-07-25 2008-01-31 Gfunny Inc. Story teller toy using story statement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86077B1 (ko) * 2007-04-06 2009-02-26 고창용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 이용한 멜로디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7942B1 (ko) * 2007-11-15 2009-11-19 주식회사 지팡이 Rfid를 이용한 동작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922B1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7236C (zh) 机器人系统和机器人设备的控制方法
US6352478B1 (en)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entertainment sites, amusement parks and other information and/or entertainment dispensing sites
CN112199002B (zh) 基于虚拟角色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US8172637B2 (en) Programmable interactive talking device
CN107308657B (zh) 一种互动智能玩具系统
US20030115240A1 (en) Schedule managing charact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CA2428631A1 (en) Object recognition toys and games
WO1996015517A2 (en) Interactive personal interpretive device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objects
CA2817397C (en) A fill-in-the-blank audio-story engine
CN105214317B (zh) 一种互动玩具及其互动操作方法
CN101411948A (zh) 电子玩具
CN109961786A (zh) 基于语音分析的产品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0645922B1 (ko) 반응형 완구 및 이의 반응절차 제어방법
JP2008185994A (ja) 音声再生システム
CN105761184A (zh) 一种智能教学魔法棒管理软件系统
KR100886077B1 (ko)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 이용한 멜로디 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5807B1 (ko) 컨텐츠가 매일 업데이트 되는 대화형 완구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50426A (ko) Rfid를 이용한 학습용 완구
KR100597382B1 (ko) 반응형 완구
WO2008108512A1 (en) User created contents toy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5038776A1 (en) Voice controlled toy
CN110246374A (zh) 一种智能教育装备
JP2005034054A (ja) 箱庭玩具
CN210377895U (zh) 一种智能教育装备
AU2002241562B2 (en) Object recognition toys and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