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088A - 모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088A
KR20060035088A KR1020040084421A KR20040084421A KR20060035088A KR 20060035088 A KR20060035088 A KR 20060035088A KR 1020040084421 A KR1020040084421 A KR 1020040084421A KR 20040084421 A KR20040084421 A KR 20040084421A KR 20060035088 A KR20060035088 A KR 2006003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cid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길
이인호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8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088A/ko
Publication of KR2006003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캡슐화한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모발 화장품에 사용함으로써 상전이에 따른 흡열을 이용하여 두피에 청량감과 시원함을 제공하는 제품을 제형화하였고, 기존과는 전혀 다른 작용 기전을 통한 쿨링효과를 부여하며 그 지속성이 매우 우수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모발 화장품, 마이크로 캡슐, 쿨링효과, 상전이

Description

모발 화장품 조성물 {HAIR COSMETIC COMPOSITION}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화한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5℃ 내지 36℃ 영역의 온도에서 상전이가 가능한 물질을 미세 캡슐화하여 이를 함유 함으로써 두피에 쿨링 효과를 제공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모발 화장품은 사람의 모발을 청결히 하고, 아름답게 가꾸어주며, 매력을 증가시키고, 또는 두피나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포, 산포,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모발 화장품의 기본적인 목적 이외에도 내용물의 외적 미관을 향상 시키거나, 레올로지를 활용하여 제품의 사용에 편리성을 부여하거나, 또는 제품의 사용시에 온열 또는 쿨링 효과를 제공하여 제품의 사용시 효과를 증대 시키거나, 사용시의 느낌을 좋게 해주는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모발을 세정하는 화장품인 샴푸의 경우 멘톨, 캠퍼, 박하유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쿨링 효과를 주는 물질을 혼합하여 머리를 감을 때와 감은 후에 두피에 시원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발이나 두피에 사용하는 화장품 중에는 폴리올이나 염화칼슘과 같이 물과 반응에 의한 수화열에 의하여 열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 조성물에 부여하는 다양한 부수적인 기능중에서 쿨링 효과를 볼 때, 종래에는 합성된 멘톨, 캠퍼, 박하유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이들 성분이 함유된 페퍼민트와 같은 식물의 추출물을 제품에 사용함으로써, 두피나 피부에 혈류량을 증가 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청량감이나 쿨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들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성분이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끼치고, 또한 피부나 안구에 자극을 주어 그 사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그 효과가 매우 일시적일 수 밖에 없어서, 대부분의 화장품이 가져야 하는 효과의 지속성 측면에서 매우 미약한 효과를 나타내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의 지속성 측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멘톨 성분을 당피복 마이크로 캡슐화 하여 방출속도, 강도 및 지속성의 향상시켜 츄잉검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3-0030666호, 우선권 번호 JP 2002-181683), 멘톨 또는 기타의 식물성 오일 성분을 연질 젤라틴 캡슐화 하여 구취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0-7008509호, 우선권 번호 ES 1998000228)등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또한 방출되는 속도의 조절이 어렵고 유효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기 때문에 쿨링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의 산업 분야의 경우 실온에서의 상전이 물질을 주요 기재 로 사용하고 과냉각을 방지하는 조핵제를 사용하여 축열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고 이를 바닥재에 함유하여 축열 효과를 활용하는 기술(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0-0086203호) 및 이들 상변화 물질의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발포체를 제조하여 이를 신발, 직물, 의류등에 활용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2-0069427호)등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화장품 분야와는 전혀 다른 산업 분야의 기술이며,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 적용에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 해야만 함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15℃ 내지 36℃ 영역의 온도에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전이가 가능한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모발 화장품에 사용 함으로써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열 현상을 이용하여 두피에 청량감과 시원함을 제공하는 제품을 제형화 함으로써 기존과는 전혀 다른 작용 기전으로 쿨링 효과와 지속력을 갖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온도 영역(15℃ 내지 36℃)의 녹는점을 갖는 상전이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고, 이를 모발 화장품에 사용하여 모발에 흡착 또는 고착시켜 줌으로써, 이들 물질의 상전이에 의한 흡열 효과로 두피에 시원함과 청량감을 제공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두피에 청량감과 시원함을 제공하고 그 효과 지속성이 우수한 모발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n-노나데칸(상전이 온도 : 32.1℃), n-옥타데칸(상전이 온도 : 28.2℃), n-헵타데칸(상전이 온도 : 22.0℃)과 같은 상전이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에센스, 로션, 헤어팩, 투페이스등의 다양한 모발 화장품에 각각의 기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예의 적용한 결과, 기존의 제품에 비해 차별화된 쿨링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전이 물질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적용한 모발 화장품을 사용하고 난 후, 모발을 만지거나 움직임에 의해 모발이 두피나 피부에 닿는 경우 두피의 체온에 의해서 모발에 부착된 상전이 물질이 캡슐 내부에서 녹음에 따라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청량감과 시원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모발에 부착된 상전이 물질이 두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경우 상전이 물질이 캡슐의 내부에서 다시 얼었다가 녹는 과정을 가역적으로 반복 할 수 있음에 따라서 그 효과가 우수하고, 지속력 또한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품은 모발 세정을 위한 샴푸, 모발 컨디셔닝을 위한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팩, 투페이스 및 헤어리퀴드, 모발의 양모 또는 탈모방지를 위한 육모제 제품, 모발을 고정 시키거나 스타일링 해주는 스프레이, 무스, 젤 및 왁스, 그리고 퍼머제, 염모제, 블리치제 등의 모발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들을 포괄하며 이들 화장품의 조성 및 물성, 제조 방법 등은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기 공지된 사실에 따른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하는 상전이 물질은 15℃ 내지 36℃ 영역의 온도에서 상전이가 가능한 n-옥타코산, n-헵타코산, n-헥사코산, n-펜타코산, n-테트라코산, n-트리코산, n-도코산, n-헤네이코산, n-아이코산, n-노나데칸, n-옥타데칸, n-헵타데칸, n-헥사데칸, n-펜타데칸, n-테트라데칸, n-트리데칸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복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중량%내지 90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캡슐에서 상전이 물질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함량이 미미하여 청량감과 시원함을 나타내지 못하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캡슐로부터 용출되어 내용물의 성상을 변질 시키거나 청량감과 시원함을 나타내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들 상전이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 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피막제는 알긴산유도체, 젤라틴, 키토산, 멜라닌, 카라기난, 아라비아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폴리머, 폴리비닐알콜, 콜라겐 및 대두 단백 등의 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중량%내지 90중량%를 캡슐 박막 형성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캡슐에서 박막 형성 물질인 피막제 성분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막의 두께와 강도가 형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코어에 함유된 상전이 물질이 용출될 수 있으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열 전달 속도가 매우 늦어짐에 따라 청량감과 시원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에 있어 상전이 물질의 과냉각 방지를 위하여 1-옥타코사놀, 1-헵타코사놀, 1-헵타데카놀, 1-노나데카놀, 1-옥타데카놀과 같은 조핵제를 상전이 물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5중량%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조핵제 성분의 함량이 상전이 물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과냉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없으며, 5중량% 이상의 경우에는 조핵제 성분에 의해서 상전이 온도가 변하거나 나타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캡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모발에 흡착이나 고착이 가능하고 사용후 모발에서 느껴지는 이물감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0.0001㎛ 내지 50㎛의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의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 캡슐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001㎛ 미만인 경우와 50㎛ 이상인 경우에는 모발에 흡착 될 수 있는 양이 극히 적어져서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 마이크로 캡슐의 함량은 화장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30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캡슐의 함량이 3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품 제형의 안정화에 영향을 주고, 사용 후 모발에서 이물감을 나타내게 되며,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함량이 미미하여 원하는 청량감과 시원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 화장품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제품인 샴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인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용 또는 단독 사용 가능하며, 세정제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며,
Figure 11200404797931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 은 탄소수 8 내지 20 의 알킬이고, n 은 0 내지 4 의 정수이며, M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트리에탄올아민 및 암모늄이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플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조성물 내에서 각종 노폐물의 세정을 주목적으로 사용된다.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 3 또는 4로 표시되며,
Figure 112004047979318-PAT00002
Figure 112004047979318-PAT00003
R5O(CH2CH2O)mH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알킬이고, R2, R3는 탄소수 1 내지 3인 알킬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4CO그룹은 탄소수 8 내지 20인 알콕시이고, n 은 0 또는 1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4에서, R5 는 탄소수 8 내지 20인 알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인 알킬 페닐이고, m 은 3 내지 50 의 정수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화학식 2, 3 및 4의 비이온계면활성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점도 상승, 보조 세정, 가용화 효능 등을 조성물에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펄제, 방부 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금속이온 봉쇄제, 실리콘이나 오일, 양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통상의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점증제 및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등이 사용될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이 사용될 수 있고,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아모디메치콘등의 실리콘으로 통칭되는 실리콘오일, 플루이드, 검, 에멀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하이드로카본오일(Hydro Carbon Oil), 알킬 또는 벤질 에스테르류(Alkyl or Benzyl Esters), 미네랄오일, 동식물성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키토산 및 키토산 유도체, 고급지방산(Fatty Acid),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와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향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세정제 샴푸 조성물에 본 발명에서 주장하는 두피 냉각 효과 및 시원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전이 마이크로 캡술을 0.1중량%내지 30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체 세정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20중량%,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3.0중량%를 물에 가하여 80℃ 까지 가열시킨다. 이 때 물의 양은 나머지 조성물과의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에틸렌글리콜 디에스테르 2.0중량%와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5중량%를 투입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0분간 교반한다.
그 다음에 45℃ 까지 서서히 교반하며 냉각시키고 방부제 0.2중량%, 향료 0.4중량%, 디메치콘(폴리디메틸실록산류) 2.0중량% 및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중량% 가하여 60분간 교반 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0중량%로 투입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 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1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 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에 사용하는 쿨링제인 멘톨을 1중량%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조성 성분에 대한 내용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중량%이다.
원 료 명 실 시 예 비 교 예
1 2 1 2
라우릴황산나트륨 (3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30%) 20.0 20.0 20.0 2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3.0 3.0 3.0 3.0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2.0 2.0 2.0 2.0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5 0.5 0.5 0.5
방부제 0.2 0.2 0.2 0.2
향료 0.4 0.4 0.4 0.4
디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류) 2.0 2.0 2.0 2.0
n-옥타데칸/젤라틴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 1.0 10.0 - -
멘톨 - - - 1.0
100중량%가 될 때까지 첨가
[실시예 3]
전체 헤어크림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유상부로 유동파리핀 15중량%, 바세린 15중량%, 밀납 2중량%,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을 가열 용해하고 80℃가 되도록 한다. 수상부로 물에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1중량%, 산탄검 0.1중량%, 글리세린 5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3중량%, 금속이온봉쇄제 적량을 넣고 80℃ 까지 가열 시킨후, 수상부에 유상부를 혼합하고 호모믹서로 유화한다. 30℃까지 냉각 시킨후 NaOH 0.05중량%를 가하여 20분간 교반하고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중량% 가하여 60분간 교반 시킴으로써 실시예 3의 헤어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0중량%로 투입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의 헤어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 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3의 헤어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3 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에 사용하는 쿨링제인 멘톨을 1중량%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유상부에 멘톨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비교예 4의 헤어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4 및 비교예 3, 4의 조성 성분에 대한 내용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중량%이다.
원 료 명 실 시 예 비 교 예
3 4 3 4
유동파리핀 15.0 15.0 15.0 15.0
바세린 15.0 15.0 15.0 15.0
밀납 2 2 2 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1 0.1 0.1 0.1
산탄검 0.1 0.1 0.1 0.1
글리세린 5 5 5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3 3 3 3
금속이온봉쇄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NaOH 0.05 0.05 0.05 0.05
n-옥타데칸/젤라틴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 1.0 10.0 - -
멘톨 - - - 1.0
[실시예 5]
전체 헤어세팅로션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에칠알콜 30중량%에 폴리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공중합체 5중량%와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을 첨가해서 균일하게 용해하고, 정제수에 실리콘 폴리올 유도체 0.5중량%, 글리세린 2중량%를 첨가시켜 용해한 후,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중량% 가하여 60분간 교반 시킴으로써 실시예 5의 헤어세팅로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0중량%로 투입하여 상기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6의 헤어세팅로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5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5의 헤어세팅로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에 사용하는 쿨링제인 멘톨을 1중량% 사용하여 실시예 5에서 에칠알콜에 멘톨을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비교예 6의 헤어세팅로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6 및 비교예 5, 6의 조성 성분에 대한 내용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중량%이다.
원 료 명 실 시 예 비 교 예
5 6 5 6
에칠알콜 30.0 30.0 30.0 30.0
폴리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공중합체 5.0 5.0 5.0 5.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
실리콘 폴리올 유도체 0.5 0.5 0.5 0.5
글리세린 2.0 2.0 2.0 2.0
n-옥타데칸/젤라틴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 1.0 10.0 - -
멘톨 - - - 1.0
[실시예 7]
전체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에칠알콜에 아크릴수지알카올아민액(50%) 7중량%에 세틸알콜 0.1중량%, 실리콘 오일 0.3중량%, 향료 적량과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중량% 가하여 60분간 교반 시킴으로써 용해한 후, 이 내용물 50중량%에 디메칠에텔 50중량%를 충전하여 실시예 7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0중량%로 투입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8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7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7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7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에 사용하는 쿨링제인 멘톨을 1중량% 사용하여 실시예 7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8의 헤어스프레 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8 및 비교예 7, 8의 조성 성분에 대한 내용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중량%이다.
원 료 명 실 시 예 비 교 예
7 8 7 8
에칠알콜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
아크릴수지알카올아민액 (50%) 5.0 5.0 5.0 5.0
세틸알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리콘 오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n-옥타데칸/젤라틴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 1.0 10.0 - -
멘톨 - - - 1.0
[실시예 9]
전체 육모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에칠알콜에 히노키티올 적량과월련초 추출물 적량 및 비타민 B6, 비타민 E 유도체 적량, 프로필렌 글리콜 2.0중량%, 향료 적량 및 향료 가용화제 적량 및 물 38중량%을 투입하고,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중량% 가하여 60분간 교반 시킴으로써 실시예 9의 육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10중량%로 투입하여 상기 실시예 9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0의 육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9에서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을 사 용하여 비교예 9의 육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9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에 사용하는 쿨링제인 멘톨을 1중량% 사용하여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0의 육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10 및 비교예 9, 10의 조성 성분에 대한 내용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중량%이다.
원 료 명 실 시 예 비 교 예
9 10 9 10
에칠알콜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
히노키티올 5.0 5.0 5.0 5.0
월련초 추출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타민 B6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타민 E 유도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2.0 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가용화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38.0 38.0 38.0 38.0
n-옥타데칸/젤라틴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 1.0 10.0 - -
멘톨 - - - 1.0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의 쿨링효과 강도 및 쿨링효과 지속성은 제품의 사용시와 사용후로 구분하여 시험예 1내지 3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내지 8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제품 사용시 쿨링효과 강도시험
상기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을 20명을 대상으로 3회 사용하게 한 후,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껴지는 두피 청량감과 시원함의 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5점 : 매우강함, 4점 : 약간 강함, 3점 : 보통, 2점 : 약간 약함, 1점 : 매우 약함의 척도로 평가한 후, 그 각각의 평균값을 제품 사용시 쿨링효과 강도시험 결과로 하여 표 6에 표시하였다.
[시험예 2] 제품 사용후 쿨링효과 강도시험
상기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을 20명을 대상으로 3회 사용하게 한 후, 3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두피 청량감과 시원함의 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5점 : 매우강함, 4점 : 약간 강함, 3점 : 보통, 2점 : 약간 약함, 1점 : 매우 약함의 척도로 평가한 후, 그 각각의 평균값을 제품 사용 후 쿨링효과 강도시험 결과로 하여 표 6에 표시하였다.
[시험예 3] 제품 사용후 쿨링효과 지속성 시험
상기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을 20명을 대상으로 3회 사용하게 한 후, 3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의 두피 청량감과 시원함의 지속 정도를 5점 척도로 하여 5점 : 매우 잘 유지됨, 4점 : 약간 유지됨, 3점 : 보통, 2점 : 약간 잘 유지되지 못함, 1점 : 매우 유지되지 못함의 척도로 평가한 후, 그 각각의 평균값을 제품 사용 후 쿨링효과 지속성 시험 결과로 하여 표6에 표시하였다.
제품 사용시 쿨링효과 강도 제품 사용 후 쿨링효과 강도 제품 사용 후 쿨링효과 지속성
실시예 1 3.3 3.3 3.2
실시예 2 3.8 3.6 3.8
실시예 3 3.5 3.3 3.3
실시예 4 4.0 3.8 4.0
실시예 5 3.9 3.8 3.9
실시예 6 4.3 4.1 4.3
실시예 7 4.2 4.0 4.0
실시예 8 4.2 4.3 4.3
실시예 9 4.1 4.0 3.9
실시예 10 4.1 4.1 4.3
비교예 1 1.7 1.3 1.3
비교예 2 4.0 2.8 2.6
비교예 3 1.8 1.3 1.5
비교예 4 4.2 3.0 2.8
비교예 5 2.3 1.8 1.6
비교예 6 4.5 2.8 2.0
비교예 7 3.0 1.5 1.5
비교예 8 4.5 2.6 2.8
비교예 9 3.0 1.7 1.6
비교예 10 4.3 2.0 2.1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종래에 사용중인 멘톨의 경우 사용시에 나타내는 청량감은 비교적 우수한 반면, 사용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그 강도 및 지속력 효과가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고, 이에 반하여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을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초기 사용시의 쿨링 효과 강도는 멘톨에 비해서 비슷하거나 다소 떨어지지만, 사용 후 시간이 경과 하는 경우에도 그 강도 및 지속력 효과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품간에 있어서는 에칠알코올이 함유되는 헤어로션, 스프레이, 육모제 등의 제품이 초기 사용시에 알코올 휘발에 따른 청량감이 더해져 에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군에 비해서 보다 높은 점수의 청량감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샴푸의 경우 상전이 마이크로 캡슐이 세정에 의해서 다른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 비해 많이 씻겨나가는 이유로 청량감의 정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모발 화장품 조성물은 종래에는 없는 전혀 새로운 작용 기전으로 두피 청량 및 쿨링 효과와 더불어, 특히 그 지속력이 현저히 개선된 특징을 갖는다.

Claims (9)

  1. 실온 또는 체온의 범위에서 상전이 되는 물질을 내부에 함유하여, 상전이 특성을 지닌 마이크로 캡슐을 내용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전이 되는 물질이 15℃ 내지 36℃의 상전이 온도(녹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이 n-옥타코산, n-헵타코산, n-헥사코산, n-펜타코산, n-테트라코산, n-트리코산, n-도코산, n-헤네이코산, n-아이코산, n-노나데칸, n-옥타데칸, n-헵타데칸, n-헥사데칸, n-펜타데칸, n-테트라데칸, n-트리데칸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제가 알긴산유도체, 젤라틴, 키토산, 멜라닌, 카라기난, 아라비아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타아크릴산폴리머, 폴리비닐알콜, 콜라겐, 대두 단백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에 포함된 상전이 물질의 과냉각 방지를 위하여 1-옥타코사놀, 1-헵타코사놀, 1-헵타데카놀, 1-노나데카놀, 1-옥타데카놀 중에서 선택되는 조핵제를 상전이 물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중량%내지 5중량%를 단독 또는 조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이 물질이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중량%내지 90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001㎛내지 50㎛의 입도 분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을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중량%내지 3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모발 화장품이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팩, 투페이스, 헤어리퀴드, 육모제, 양모제, 토닉, 스프레이, 무스, 젤, 왁스, 퍼머제, 염모제 및 블리치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1020040084421A 2004-10-21 2004-10-21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20060035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21A KR20060035088A (ko) 2004-10-21 2004-10-21 모발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21A KR20060035088A (ko) 2004-10-21 2004-10-21 모발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088A true KR20060035088A (ko) 2006-04-26

Family

ID=3714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421A KR20060035088A (ko) 2004-10-21 2004-10-21 모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0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311A (ko) * 2009-05-08 2010-11-17 (주)아모레퍼시픽 마이크로 캡슐화한 상전이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71028A1 (ko) * 2019-10-08 2021-04-15 ㈜바이오제닉스 자동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코어-쉘 pcm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쿨링 화장료 조성물
CN114848571A (zh) * 2022-04-26 2022-08-05 康柏利科技(苏州)有限公司 珍珠爽身粉以及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311A (ko) * 2009-05-08 2010-11-17 (주)아모레퍼시픽 마이크로 캡슐화한 상전이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71028A1 (ko) * 2019-10-08 2021-04-15 ㈜바이오제닉스 자동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코어-쉘 pcm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 쿨링 화장료 조성물
JP2022504000A (ja) * 2019-10-08 2022-01-13 バイオジェニックス, インク. 自動温度調節機能を有するコア‐シェルpcmマイクロカプセル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クーリング化粧料組成物
CN114848571A (zh) * 2022-04-26 2022-08-05 康柏利科技(苏州)有限公司 珍珠爽身粉以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103B2 (ja) 表面改質用組成物
CN103622842B (zh) 递送颗粒
JP4073777B2 (ja) 毛髪処理用組成物
TWI342786B (en) Increased moisturization efficacy using hydroxyalkylurea
TWI547555B (zh) 水性毛髮洗淨劑
US2009021462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US20050265936A1 (en) Cleansing foaming sunscreen lotion
WO2013174615A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BRPI0405166B1 (pt) Composição de cuidados pessoais e processo para preparar a mesma
JP2005515215A5 (ko)
WO2007099398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CN108778730A (zh) 易碎的外壳微胶囊、其制备方法和其使用方法
JP2013529659A (ja) ヘアケア組成物
US20040091435A1 (en)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controlled release system
US20200268623A1 (en) Microcapsules with improved deposition
JP7457032B2 (ja) 多価金属カチオンと組み合わせたビス(トリエトキシシリルプロピル)アミン
US6432421B1 (en) Emollient compositions with polyethylene beads
WO2005115334A1 (en) Cleansing foaming lotion
JP2004284988A (ja) 毛髪化粧料及び毛髪の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を抑制する方法
US6730641B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20060035088A (ko) 모발 화장품 조성물
TW201039857A (en) Stabilized cationic ammonium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100770088B1 (ko)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0182599B1 (ko) 모발 내부 조직을 강화하는 샴푸조성물
CN115427006A (zh) 包含2,3-丁二醇的分散剂或分散介质组合物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