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038A - 밀봉 캡 - Google Patents
밀봉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2038A KR20060032038A KR1020040081045A KR20040081045A KR20060032038A KR 20060032038 A KR20060032038 A KR 20060032038A KR 1020040081045 A KR1020040081045 A KR 1020040081045A KR 20040081045 A KR20040081045 A KR 20040081045A KR 20060032038 A KR20060032038 A KR 200600320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tter
- recess
- cap
- attached
- hol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230 hygroscopic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소자를 동시에 밀봉하면서 하나의 게터(흡습제)만을 이용하여 소자들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흡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밀봉용 캡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밀봉용 캡은 부재의 제 1 면 및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에 소정 깊이 및 넓이의 요부가 각각 구성되되, 부재에는 각 요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요부의 바닥면에는 게터(흡습제)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요부의 외곽부에 실란트에 의하여 외곽부가 부착되어 있는 각 소자의 구성 요소들을 각 요부 내에 위치되어 밀봉됨과 동시에 양 요부 내에 존재하는 습기는 어느 한 요부 바닥면에 부착된 단일의 게터로 흡수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밀봉 캡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휴대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2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과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밀봉용 캡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밀봉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 면에 디스플레이 소자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자가 장착된 전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일의 게터(흡습제)만을 이용하여 양 소자에 대한 흡습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밀봉 캡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은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본적으로 유리 기판(1), 유리 기 판(1) 상부에 형성되어 애노드(anode) 전극으로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2; Indium Tin Oxide film ; 이하, "ITO 층"이라 칭함), 절연층, 유기물층(3) 및 캐소드(cathode) 전극인 금속 전극층(4)이 층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W"는 유기물층(3) 및 캐소드 전극층(4)을 다수의 구역들로 분리하기 위한 격벽이다.
한편, 유기물층(3)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유기물층(3)이 수분과 열에 취약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기물층(3)을 외부(대기)로부터 격리(즉, 수분 침투 방지)하기 위하여 ITO 층(2) 가장 자리에 금속 캡(10)을 고정시켜 그 내부 공간, 즉 소자의 각 구성 요소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금속 캡(10)의 구조 및 접착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금속 캡은 ITO 층(2) 표면에 부착되는 가장 자리의 접합부(11), 접합부(11) 내측에 형성되어 상술한 캐소드 전극층(4), 유기물층(3) 및 격벽(W)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12) 및 제 1 공간부(12) 내측에 형성되어 저면에 테이프(5)를 통하여 흡습제인 게터(6; getter)가 부착되는 제 2 공간부(13)로 구분된다.
유리 기판(1) 상에 상술한 각 소자를 형성한 후, 금속 캡(10)을 ITO 층(2)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서 금속 캡(10)의 접합부면(11) 저면에 실란트(S; sealant)를 분배(dispensing)한 후, 금속 캡(10)을 ITO 층(2) 표면에 대하여 압착한다. 따라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각 구성 요소는 캡(10)에 의하여 외부와 완전히 격리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휴대폰(H)에는 디스플레이부(D) 전면의 서브 창(SW; sub window)과 그 배면의 메인 창(MW; main window)이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에서, 그 메인 창(MW)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소자로, 서브 창(SW)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로 각각 구성되며, 메인 창(MW)과 서브 창(SW)은 각각의 관련 회로(칩)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구동, 제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휴대폰의 크기가 점차 소형화되어 가고, 또한 이미지의 선명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상황에서는 서브 창(SW)과 메인 창(MW) 모두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구성하는 한편 단일 칩을 이용하여 서브 창(SW)과 메인 창(MW) 모두를 구동 및 제어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서브 창(SW)과 메인 창(MW)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구성할 때 고려되어야 사항중 하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유기물층을 외부(대기)로부터 격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캡의 구조이다.
서브 창(SW)과 메인 창(MW)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각각 구성하는 경우, 서브 창(SW)을 구성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메인 창(MW)을 구성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유기물층을 포함한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캡을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각 소자에 장착된 (도 1에 도시된) 캡은 소자의 규격(두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특히 각 소자에 장착된 2개의 캡으로 인하여 그 소자가 적용된 최종 제품, 즉 휴대폰의 규격(두께)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 양 면에 구성된 서브 창 및 메인 창과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 소자가 동일 부재의 양 면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소자를 동시에 밀봉시킬 수 있는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다른 목적은 2개의 소자를 동시에 밀봉하면서 하나의 게터(흡습제)만을 이용하여 소자들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흡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밀봉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밀봉용 캡은 부재의 제 1 면 및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에 소정 깊이 및 넓이의 요부가 각각 구성되되, 부재에는 각 요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요부의 바닥면에는 게터(흡습제)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요부의 외곽부에 실란트에 의하여 외곽부가 부착되어 있는 각 소자의 구성 요소들을 각 요부 내에 위치시켜 밀봉됨과 동시에 양 요부 내에 존재하는 습기는 하나의 게터에 흡수된다.
도 3은 2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과 본 발명에 따른 소자 밀봉용 캡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의 가장 큰 특징으로 평판형 캡(30)의 제 1 면(31; 전면)과 그 반대면의 제 2 면(32; 후면)에 제 1 유기 전계 발광 소자(P1; 이하, "제 1 패널"이라 칭함)와 제 2 유기 전계 발광 소자(P2; 이하, "제 2 패널"이라 칭함)를 각각 밀봉적으로 부착한 것이다. 한편, 편의상 각 소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 않았다.
평판형의 캡(30)의 제 1 면(31)과 제 2 면(32)에는 소정의 깊이와 넓이로 이 루어진 요부(31A, 32A)가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요부(31A)와 제 2 요부(32A)를 구분하는 부재의 소정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요부(31A)와 제 2 요부(32A)는 이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을 서로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 1 요부(31A)와 제 2 요부(32A)중 어느 한 요부(도 3에서는 제 1 요부(31A)) 바닥면에는 흡습제인 게터(G)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게터(G)의 제 1 면은 제 1 요부(31A)의 공간으로 노출되며,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은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을 통하여 제 2 요부(32A)의 공간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캡(30)의 제 1 면(31)과 제 2 면(32)의 외곽부(31B, 32B), 즉 각 요부(31A, 32A)의 외곽부에는 실란트(S)가 도포되며, 제 1 패널(P1)과 제 2 패널(P2)이 이 실란트(S)를 통하여 캡(30)의 제 1 면(31) 및 제 2 면(32)의 외곽부(31B, 32B)에 각각 접착,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패널(P1 및 P2)의 일면에 형성된 소자 구성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캡(30)의 제 1 면(31) 및 제 2 면(32)에 형성된 요부(31A, 32A)에 각각 대응하므로 캡(3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널(P1 및 P2)은 그 일면에 형성된 구성 요소가 캡(30)의 제 1 면(31) 및 제 2 면(32)에 형성된 요부들(31A 및 32A)에 각각 대응하므로 각 패널(P1, P2)에서 발생된 광은 외부에서 관측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널(P1)의 소자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어 있는 제 1 요부(31A) 내에 존재하는 습기는 제 1 요부(31A)로 노출된 게터(G)에 의하여 흡수된다. 또한, 제 2 패널(P2)의 소자 구성 요소들이 수용되어 있는 제 2 요부(32A) 내에 존재하는 습기는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을 통하여 제 1 요부(31A)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게터(G)로 흡수된다.
한편, 도 3에서는 게터(G)가 부착되는 영역에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이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요부(31A)와 제 2 요부(32A)를 서로 연통시킨 구조를 갖는다면 다수의 관통공들(GH1, GH2, GH3 ..)이 형성되는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요부 바닥면과 게터(G)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게터(G)가 부착되는 영역에 관통공들을 형성하지 않고 게터 접착부의 외곽부에 다수의 관통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제 1 요부(31A)와 제 2 요부(32A)가 다수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게터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요부 내의 습기가 관통공을 통하여 게터가 부착된 요부로 유입됨으로서 양 소자에 대한 흡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은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캡의 양면에 요부를 각각 구성하여 2개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각각 부착시킴으로서 단일의 캡으로 2개의 소자의 구성 요소를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어느 한 요부의 바닥면에만 게터를 부착시켜 양 소자들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제습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게터의 부착 공정 및 게터 재료의 절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요부의 바닥면에만 게터를 부착함으로서 게터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요부의 깊이(t)를 패널에 형성된 소자의 높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 깊이로 설정할 수 있어 최종 소자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 역시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성하는 기판의 외곽부가 부착되어 소자의 각 구성 요소들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캡에 있어서,부재의 제 1 면 및 제 1 면의 반대면인 제 2 면에 소정 깊이 및 넓이의 요부가 각각 구성되되, 부재에는 소정 위치에는 각 요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요부의 바닥면에는 게터(흡습제)가 부착되어 있는 밀봉 캡.
-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공들은 게터가 부착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 캡.
-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공들은 게터가 부착되는 영역의 외곽부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 캡.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1045A KR100638037B1 (ko) | 2004-10-11 | 2004-10-11 | 밀봉 캡 |
US11/245,025 US7638942B2 (en) | 2004-10-11 | 2005-10-07 | Encapsulation cap having a get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1045A KR100638037B1 (ko) | 2004-10-11 | 2004-10-11 | 밀봉 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2038A true KR20060032038A (ko) | 2006-04-14 |
KR100638037B1 KR100638037B1 (ko) | 2006-10-23 |
Family
ID=3714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1045A KR100638037B1 (ko) | 2004-10-11 | 2004-10-11 | 밀봉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8037B1 (ko) |
-
2004
- 2004-10-11 KR KR1020040081045A patent/KR10063803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8037B1 (ko) | 2006-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7252B1 (ko) | 유기el 표시 장치 | |
US8569749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ge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19218637A1 (zh) | 显示面板母板、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
KR101690146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9632364B2 (en) | Display apparatus | |
US10256434B2 (en) | Display device | |
JP2022545490A (ja) |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 |
KR20150002939A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CN114665041A (zh) |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 |
US7638942B2 (en) | Encapsulation cap having a get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722626B1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
KR100638037B1 (ko) | 밀봉 캡 | |
KR100604256B1 (ko) | 밀봉 캡 | |
KR100607029B1 (ko) | 밀봉 캡 | |
KR20070051650A (ko) | 유기 발광 소자 패널 | |
KR10074698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738226B1 (ko) | 전계발광 표시장치 | |
KR20050068057A (ko) | 양면 발광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 |
KR20070022954A (ko) | 양면 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
KR101076439B1 (ko) |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 |
KR100741781B1 (ko) | 양면 표시 장치 | |
KR100658352B1 (ko) | 양방향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050077923A (ko) |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 |
KR100612116B1 (ko) | 밀봉 캡 | |
KR20070078425A (ko) |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