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514A -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514A
KR20060031514A KR1020040080572A KR20040080572A KR20060031514A KR 20060031514 A KR20060031514 A KR 20060031514A KR 1020040080572 A KR1020040080572 A KR 1020040080572A KR 20040080572 A KR20040080572 A KR 20040080572A KR 20060031514 A KR20060031514 A KR 2006003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able terminal
cable
jum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514A/ko
Publication of KR2006003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종(異種)의 충전 거치대에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 내장형의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충전용 내장 케이블과; 상기 충전용 내장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어 충전 거치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용 내장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과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기종이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충전기, 권취릴

Description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JUMP CABLE FOR CHARGING}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 및 가정용 충전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와 배터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 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 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132: 충전용 점프 케이블 133,134: 집게
140: 수용홈 150: 덮개
160: 권취수단 161: 권취릴
165: 조작놉 212: 출력단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종(異種)의 충전 거치대에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 내장형의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전원으로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여야 한다.
종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1)와 이 단말기 본체(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2)로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12)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2)가 결합된 단말기 본체(11) 또는 단말기 본체(11)에서 분리된 배터리(12)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2)와 이 거치부(22)의 하단측에 구비된 출력단자(23)와 단말기 본체(11) 또는 배터리(12)의 거치 여부 또는 충전 완료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 표시 램프(24)를 가지는 거치대(21)와, 이 거치대(21)의 출력단자(23)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전원 코드(25) 및 이 충전용 전원 코드(25)에 연결된 충전용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기(2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구입시 번들로 제공되는 것으로, 그 거치대(21)에는 해당 기종만을 거치할 수 있는 형태와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기종의 휴대용 단말기(10)에 사용되는 충전기(20)로서는 충전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번들로 제공된 충전기(20)를 망실하였을 경우 해당 기종에 맞는 충전기를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으로 부담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충전기(20)가 비치되어 있는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배터리(12)가 방전되었을 경우 그 장소에 다른 기종의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기가 있더라도 충전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충전기(20)를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국가 차원에서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기를 전 기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후 새로 판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충전기를 제공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하던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기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단계에서는 충전용 전원 코드(25)에 표준형 24핀 커넥터를 연결하여 단말기 본체(11)에 설치된 표준형 24핀 소켓에 직접 끼우거나 거치대(21)에 설치된 표준형 24핀 소켓에 끼우고 휴대용 단말기(10) 또는 배터리(12)를 거치대(21)에 거치하여 배터리(12)를 충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는 표준형 24핀 커넥터를 채용한 기종 외에도 18핀 커넥터를 채용한 기종도 사용 및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종 간의 호환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종이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충전용 내장 케이블과; 상기 충전용 내장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어 충전 거치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수단은 도전재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 거치대의 출력단자를 집을 수 있는 집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과 접속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에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릴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릴의 일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권취릴과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놉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 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인다.
도 3에서 100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단말기 본체(110)와, 이 단말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용 배터리(12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구비된다.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은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 회로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충전기(200)의 거치대(210)에 설치된 출력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수단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재(導電材)로 된 집게(133,134)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수단은 집게 형태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을 상기 출력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형태 및 구조의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집게(133,134)는 도시례와 같이 2개의 집게다리와 이들 2개의 집게다리를 항상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2개의 집게다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항상 오므라드는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는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 및 집게(133,13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40)의 내부에는 상기 집게(133,134)가 삽입되는 삽입홈(141,14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0)의 개구부에는 상기 수용홈(140)에 수용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과 집게(133,134)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15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150)에는 이 덮개(150)를 쉽게 개폐하기 위한 덮개손잡이(15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150)는 도시례와 같은 여닫이 식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닫이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례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을 인출하여 그 선단에 설치된 집게(133,134)로 충전기(200)의 거치대(210)에 설치된 출력단자(212)를 집어 단말기 본체(110)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회로부(미도시)가 충전용 점프 케이블 (131,132)과 집게(133,134)를 통하여 출력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면, 충전기(200)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110)에 결합된 배터리(12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당해 휴대용 단말기(100)에 번들로 제공된 충전기가 아닌 기종이 다른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당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배터리(120)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배터리(120)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을 접어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과 집게(133,134)를 수용홈(140)에 수용하고 덮개(150)를 덮어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과 집게(133,134)가 임의로 인출되는 일이 없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저용 점프 케이블(131,132)과 집게(133,134)를 수용홈(140)에 수용함에 있어서 집게(133,134)를 삽입홈(141,142)에 삽입함으로써 집게(133,134)가 수용홈(140) 내에서 유동하지 않게 되어 휴대 중 집게(133,134)의 흔들림 소음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211은 배터리가 결합된 단말기 본체나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된 배터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이고, 213은 충전 표시 램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수용홈(140)의 일측에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을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는 권취수단(160)을 더 구비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례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권취수단(1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권취되는 권취릴(1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취릴(161)은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권취되는 원통부(162)와, 이 원통부(162)의 일측에 형성되어 원통부(162)에 권취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1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판(163)은 그 직경을 원통부(1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기 권취릴(161)은 회전축(164)에 의해 단말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릴(161)은 그 일부가 상기 수용홈(140)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이 노출부분을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나, 상기 권취릴(161)의 회전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부(162)의 타측에 권취릴(161)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수용홈(140)에서 그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놉(165)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놉(165)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놉(165)을 조작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16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례에 따른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 을 설명한다.
배터리(120)를 충전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권취릴(161)을 회전시켜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권취릴(161)에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서로 꼬이는 일이 없이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은 원통부(162)에 권취되고 이 원통부(162)의 일측에는 원통부(162)의 직경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판(163)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권취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권취릴(161)을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권취릴(161)에 결합되어 수용홈(140)에서 그 일부가 노출된 조작놉(165)의 원주면을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권취릴(161)의 회전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게(133,134)는 상술한 제 1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용홈(140) 내에 수용하거나 삽입홈(141,142)에 삽입한다.
배터리(120)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수용홈(140)에 수용된 집게(133,134) 또는 삽입홈(141,142)에 삽입된 집게(133,134)를 잡아당기거나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을 잡아당기면 권취릴(161)에 권취되어 있던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권취릴(161)로부터 풀려나오게 된다.
충전용 점프 케이블(131,132)이 풀려나오면 상술한 제 1실시례와 마찬가지로 그 선단의 집게(133,134)를 충전기(200)의 출력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 충전용 점프 케이블과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기종이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내장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충전용 내장 케이블과;
    상기 충전용 내장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어 충전 거치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도전재로 구성된 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과 접속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수단이 삽입되는 접속수단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추전용 점프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의 일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권취릴과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80572A 2004-10-08 2004-10-08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1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72A KR20060031514A (ko) 2004-10-08 2004-10-08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72A KR20060031514A (ko) 2004-10-08 2004-10-08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14A true KR20060031514A (ko) 2006-04-12

Family

ID=3714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72A KR20060031514A (ko) 2004-10-08 2004-10-08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8213B2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power input and power output connection interfaces
US7746029B2 (en) Battery charger with USB connector and cable storage recess
US5923146A (en) Battery charging unit incorporated in a power cord reel housing
KR10036592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공급장치
CN210327113U (zh) 一种便于收纳的充电器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US7429189B2 (en) Electrical extension lead
US10263441B1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charging mechanism
KR20060031514A (ko) 충전용 점프 케이블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H10341538A (ja) 充電器
JP3093370U (ja) 携帯用充電装置
JP3142461U (ja) 携帯電話機内蔵電池の充電器
KR20060105063A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JP3056852U (ja) 手動携帯発電器
KR101483780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N212435396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CN210914829U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快速充电连接线
US20220271545A1 (en) Combined storage case for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CN209748217U (zh) 一种手提充电宝
CN209881034U (zh) 一种电动汽车用交流放电装置
KR20230173860A (ko) 충전선 연결식 무선이어폰
JP3084819U (ja) 携帯用電力中継装置
CN112490803A (zh) 带有usb接口的电源插座
CN111628363A (zh) 一种usb数据线
KR101331165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