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261A -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261A
KR20060031261A KR1020040080224A KR20040080224A KR20060031261A KR 20060031261 A KR20060031261 A KR 20060031261A KR 1020040080224 A KR1020040080224 A KR 1020040080224A KR 20040080224 A KR20040080224 A KR 20040080224A KR 20060031261 A KR20060031261 A KR 2006003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tube
flow path
heigh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헌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261A/ko
Publication of KR2006003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유로의 양단부에 각각 홀컵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접합된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한 방열코어와, 상기 홀컵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높이(FH)는 4.5㎜ ≤FH ≤7.0㎜이며, 상기 튜브는 내측 높이(TH)가 0.55㎜ ≤ TH ≤ 1.1㎜이며, 평균 수력직경(WT)은 2.0㎜ ≤WT ≤4.0㎜ 의 범위로 설정되며, 상기 방열코어의 두께(D)는, 5㎜ ≤D ≤40㎜의 범위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의하면, 최적의 열교환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튜브의 방열핀 및 내측의 높이, 평균 수력직경, 방열코어의 두께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공조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적층형 히터(Lamination-Type Heater), 방열코어의 두께(D), 튜브의 내측 높이(TH), 방열핀의 높이(FH)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LAMINATION-TYPE HEAT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히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내측 높이 및 방열핀의 높이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유로 플레이트로, 도 3(a)는,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이고, 도 3(b)는, U자형 유로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드의 형성여부에 대한 튜브의 종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공기측 유로 단면적값 대비 방열량/공기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열핀의 높이값 대비 방열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매체 유로상에 비드가 구비된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열교환기(Heat Exchanger) 110...튜브(Tube)
112...비드(Bead) 114...홀컵
FH...방열핀의 높이 D .... 방열코어의 두께
TH...튜브의 내측높이 WT.... 수력직경.
CW...방열코어의 적층폭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적층형 히터(Lamination-Type Hea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열교환성능을 갖는 튜브의 내측 높이 및 방열핀의 높이, 평균 수력직경, 방열코어의 두께를 설정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공조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인 히터 코어(Heater Core)는, 엔진을 순환하며 연소시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에 더운 공기를 공급해주는 열교환기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내측에 열교환매체 유로가 형성되고, 그 상·하측부에 홀컵이 구비된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들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방열핀과, 상기 튜브 및 방열핀들의 외측에 구비되는 서포트(Support)와, 상기 서포트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들과 연통되면서 열교환매체의 유입·유출로를 형성하는 유입·유출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엔진의 열에 의해 가열된 열교환매체인 고온의 냉각수를, 히터코어의 내측에 열교환매체 유로가 형성된 튜브를 통해 통과시키면서, 상기 튜브 및 방열핀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따뜻해진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적층형 히터는, 열교환매체의 흐름 방식에 따라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유로의 양단부에 각각 홀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방열코어와, 상기 홀컵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를 구성으로 하는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와,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유로의 일측 단부에 한 쌍의 홀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방열코어와, 상기 홀컵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를 구성으로 하는 U자형 유로 플레이 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형 히터는, 열교환성능을 좌우하는 튜브의 내측 및 방열핀의 높이, 평균 수력직경, 튜브 및 방열핀들의 적층폭에 대한 열교환성능 및 압력강하량을 만족할 정도의 설정값이 충분하게 검토되지 않음으로써,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공조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접합으로 형성된 튜브 및 방열핀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형 히터 에 있어서, 최적의 열교환성능 및 적절한 압력강하량을 유지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공조성능을 제공하는 방열코어의 두께, 평균 수력직경, 튜브 및 방열핀의 높이, 튜브의 내측높이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유로의 양단부에 각각 홀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방열코어와; 상기 홀컵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가 구비된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높이(FH)는 4.5㎜ ≤FH ≤7.0㎜이며, 상기 튜 브의 내측 높이(TH)는 0.55㎜ ≤ TH ≤ 1.1㎜이며, 평균 수력직경(WT)이 2.0㎜ ≤WT ≤4.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와, 상기 냉각수 유로의 일측 단부에 한 쌍의 홀컵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한 방열코어와; 상기 홀컵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가 구비된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의 높이(FH)는 4.5㎜ ≤FH ≤7.0㎜이며, 상기 튜브는 내측 높이(TH)가 0.55㎜ ≤ TH ≤ 1.1㎜이며, 평균 수력직경(WT)이 2.5㎜ ≤WT ≤3.5㎜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방열코어의 두께는, 5㎜ ≤D ≤40㎜의 범위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히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내측 높이 및 방열핀의 높이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로 플레이트로, 도 3(a)는,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이고, 도 3(b)는, U자형 유로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드의 형성여부에 대한 튜브의 종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공기측 유로 단면적값 대비 방열량 /공기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열핀의 높이값 대비 방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매체 유로상에 비드가 구비된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열교환기(100)의 구성요소 중 홀컵(114), 튜브(110), 방열핀(120), 서포트(140), 유입·유출 파이프(130a, 130b)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와 튜브의 내측 높이 및 방열핀의 높이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코어의 적층폭(CW)는, 상기 튜브(110) 들과 방열핀(120)들이 적층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방열코어의 높이(CH)는, 상기 튜브(110)의 높이에 해당하며, 상기 방열코어의 두께(D)는 공기 유동방향의 방열코어 길이에 해당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로 플레이트로, 도 3(a)는,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이고, 도 3(b)는, U자형 유로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엠보싱처리된 다수개의 비드(112)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냉각수 유로(110a)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110a)의 양단부에 엠보싱처리되어 열교환매체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홀컵(11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U자형 유로 플레이트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엠보싱처리된 다수개의 비드(112)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냉각수 유로(110a)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110a)의 일측 단부에 엠보싱처리되어 열교환매체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홀컵(114a)이 구비되고, 상기 홀컵(114a)의 중앙부에는 돌출된 리브(115)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비드의 형성여부에 대한 튜브의 종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를 구성하는 열교환매체 유로(110a) 상에는 비드(112)를 형성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비드(112)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매체 유로 단면에 난류를 촉진시켜 방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여러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1개 이상 접촉되거나 돌기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측 유로 단면적값 대비 방열량/공기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측 유로 단면적값(P)은, 상기 방열코어의 적층폭(CW)과 방열코어의 높이(CH) 중 작은 값(W)과 방열코어의 두께(D)의 곱(W ×D)을 의미한다. 상기 공기측 유로 단면적값(P) 대비 방열량/공기측 압력강하량은 상기 공기측 유로면적의 약 0.1㎠ 에서 수렴(收斂)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튜브의 폭(미도시, TW)이 10㎜ ≤TW ≤40㎜ 이라면, 방열코어의 적층폭(CW)은 약 200㎜ ≤CW ≤900㎜ 범위내에서 방열코어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방열코어의 높이(CH)는 공조시스템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제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의하면, 내측에 형성된 열교환매체 유로(110a)의 상·하부에 홀컵(114)이 구비된 다수개의 튜브(Tube, 110) 및 상기 튜브(110)들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열핀(12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방열코어(C)와, 상기 방열코어(C)의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입·유출로를 형성함으로써 일방향 유로를 갖는 히터구조로 열교환매체를 유동시키는 유입·유출파이프(130a, 130b)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120)의 높이(FH)는 4.5㎜ ≤FH ≤7.0㎜ 일 때, 상기 튜브(110)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높이(TH)는 0.55㎜ ≤ TH ≤ 1.1㎜ 의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튜브(110) 들 중 어느 하나의 최소 유로단면적과 최대 유로단면적의 평균값인 평균 수력직경(WT)는 2.0㎜ ≤WT ≤4.0㎜ 의 범위로 설정되며, 상기 방열코어(C)의 두께(D)은 5㎜ ≤D ≤4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유로 플레이트를 채택한 열교환기에 대한 방열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열핀의 높이값 대비 방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의 높이(FH)는, 약 4.5㎜ ≤FH ≤7.0㎜ 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최적의 방열핀 높이는 튜브 높이와 대비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배체 유로상에 비드가 구비된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내측 높이(TH)는, 약 0.55㎜ 이상에서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 비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튜브의 내측 높이(TH)가 커질수록 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이 작아지게 된다. 이 때, 적절한 방열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열교환매체의 유량을 증대시키거나 공기측 풍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데,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가 클수록 좋은 것은 아니므로, 튜브의 내측 높이(TH)와 방열핀의 높이(FH)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동일한 방열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 및 도 7는, 플레이트 상하에 각각 탱크부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측 또는 하측 탱크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타측탱크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채택한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동일한 방열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을 기준으로 하여 튜브의 내측 높이(TH)를 약 1.1㎜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상하에 각각 탱크부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측 또는 하측 탱크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타측탱크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채택한 적층형 히터는, 방열핀의 높이(FH)가 약 4.5㎜ ≤FH ≤7.0㎜ 이고, 튜브의 내측 높이 (TH)가 0.55㎜ ≤TH ≤ 1.1㎜ 일 때 동일한 방열량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매체 유로상에 비드가 구비된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상기 튜브(Tube, 110)의 열교환매체 유로(110a)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드(11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열핀(120)의 높이(FH)가 4.5㎜ ≤FH ≤7.0㎜ 일 때, 상기 튜브(110) 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높이(TH)는 0.55㎜ ≤TH ≤1.2㎜ 의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튜브(110) 들 중 어느 하나의 최소 유로단면적과 최대 유로단면적의 평균값인 평균 수력직경(WT)는 2.0㎜ ≤WT ≤4.0㎜ 의 범위로 설정되며, 상기 방열코어(C)의 두께(D)은 5㎜ ≤D ≤4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 유로(110a) 상에 비드(11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튜브의 내측 높이(TH)가 커질 수록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가 증가됨을 볼 수 있다. 이 때, 튜브의 내측 높이(TH)는, 약 1.2㎜ 까지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평균 수력직경(WT)은 하나의 튜브(110)에서 최소 유로 단면적과 최대 유로 단면적의 평균값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수력직경(WT)이 약 2.0㎜ ≤WT ≤4.0㎜ 이하에서는 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이 방열량 상승분에 비해 커지게 된다. 이 때,튜브(110)의 평균 수력직경(WT)은 약 1.5㎜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즉, 튜브(110)의 평균 수력직경(WT)은, 약 1.5㎜ ≤WT ≤6.0㎜ 이나, 최적의 방열량을 얻기 위해서는 약 2.0㎜ ≤WT ≤4.0㎜ 의 수력직경이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의하면,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드(112)가 형성된 열교환매체 유로(110a)의 상·하부에 홀컵(114)이 구비된 다수개의 튜브(Tube, 110) 및 상기 튜브(110) 들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방열핀(12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방열코어(C)와, 상기 방열코어(C)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입·유출로를 형성함으로써 플레이트 일측에 한 쌍의 탱크부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일측 탱크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U자형 유로를 거쳐 타측 탱크부로 유출되는 구조로 열교환매체를 유동시키는 유입·유출파이프(130a, 130b)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120)의 높이(FH)가 4.5㎜ ≤FH ≤7.0㎜ 일 때, 상기 튜브(110) 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높이(TH)는 0.5㎜ ≤ TH ≤ 1.2㎜ 의 범위로 설정되고, 상기 튜브(110) 들 중 어느 하나의 최소 유로단면적과 최대 유로단면적의 평균값인 평균 수력직경(WT)는 2.5㎜ ≤WT ≤3.5㎜ 의 범위로 설정되며, 상기 방열코어(C)의 두께(D)은 5㎜ ≤D ≤4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일측에 한 쌍의 탱크부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일측 탱크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U자형 유로를 거쳐 타측 탱크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채택한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의 방열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즉,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내측 높이값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일측에 한 쌍의 탱크부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일측 탱크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U자형 유로를 거쳐 타측 탱크부로 유출되는 구조의 적층형 히터는, 일방향 유로의 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보다 약 1.5 ~ 2배 이상의 압력상승이 이루어지므로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는 약 1000이 적절하다. 이 때, 튜브의 내측 높이(TH)는, 약 0.5㎜ ≤ TH ≤1.2㎜ 정도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평균 수력직경 대비 방열량/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의 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 하나의 평균 수력직경(WT)이 약 2.5㎜ ≤WT ≤3.5㎜ 에서 방열량 상승에 대해 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이 작으므로 최적의 방열량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110) 하나의 평균 수력직경(WT)이 약 1.3㎜ 이하인 경우, 방열량 상승보다 열교환매체측 압력강하량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데, 이 때의 평균 수력직경(WT)은 약 1.3㎜ ≤WT ≤6.0㎜ 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열교환기에 의하면, 최적의 열교환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튜브의 내측 및 방열핀의 높이, 평균 수력직경, 튜브 및 방열핀들의 적층폭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공조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110a)와, 상기 냉각수 유로(110a)의 양단부에 각각 홀컵(114)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110)들과, 상기 튜브(110)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120)으로 이루어진 방열코어(C)와; 상기 홀컵(114)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120)의 높이(FH)는 4.5㎜ ≤FH ≤7.0㎜이며,
    상기 튜브(110)는 내측 높이(TH)가 0.55㎜ ≤ TH ≤ 1.1㎜이며,
    평균 수력직경(WT)이 2.0㎜ ≤WT ≤4.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히터.
  2. 내측에 형성된 냉각수 유로(110a)와, 상기 냉각수 유로(110a)의 일측 단부에 한 쌍의 홀컵(114a)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접합된 튜브(110)들과, 상기 튜브(110)들과 교대로 적층되는 방열핀(120)으로 이루어진 방열코어(C)와; 상기 홀컵(114a)들과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공급ㆍ배출시키는 유입ㆍ유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적층형 히터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120)의 높이(FH)는 4.5㎜ ≤FH ≤7.0㎜이며,
    상기 튜브(110)는 내측 높이(TH)가 0.55㎜ ≤ TH ≤ 1.1㎜이며,
    평균 수력직경(WT)이 2.5㎜ ≤WT ≤3.5㎜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히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코어(C)의 구께(D)는, 5㎜ ≤D ≤40㎜의 범위내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히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비드(112)가 형성되며 상호접합됨으로써 튜브(1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히터.
KR1020040080224A 2004-10-08 2004-10-08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KR20060031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224A KR20060031261A (ko) 2004-10-08 2004-10-08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224A KR20060031261A (ko) 2004-10-08 2004-10-08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261A true KR20060031261A (ko) 2006-04-12

Family

ID=3714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224A KR20060031261A (ko) 2004-10-08 2004-10-08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2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69B1 (ko) * 2008-11-03 2011-04-22 갑을오토텍(주)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KR101408899B1 (ko) * 2006-12-18 2014-06-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KR101427430B1 (ko) * 2008-06-02 2014-08-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WO2019203467A1 (ko) * 2018-04-17 2019-10-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16451293A (zh) * 2023-06-14 2023-07-18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水系统管道管托设计方法及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99B1 (ko) * 2006-12-18 2014-06-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KR101427430B1 (ko) * 2008-06-02 2014-08-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기
KR101030869B1 (ko) * 2008-11-03 2011-04-22 갑을오토텍(주)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WO2019203467A1 (ko) * 2018-04-17 2019-10-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KR20190120921A (ko) * 2018-04-17 2019-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11788448A (zh) * 2018-04-17 2020-10-1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换热器
CN116451293A (zh) * 2023-06-14 2023-07-18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水系统管道管托设计方法及装置
CN116451293B (zh) * 2023-06-14 2023-08-18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水系统管道管托设计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2425B2 (ja) 蒸発器
KR100950714B1 (ko)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JP2000346578A (ja) 複式熱交換器
JP2008080995A (ja) 冷却システム
JP2000346568A (ja) 熱交換器
JP2004212041A (ja) 積層型熱交換器
KR101977817B1 (ko) 열교환기
JP2007232287A (ja) 熱交換器および一体型熱交換器
US11060761B2 (en) Plate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including same
JP2007178053A (ja) 熱交換器
KR100687637B1 (ko) 열교환기
JP2008170140A (ja) 車両用熱交換器
JP2004347160A (ja) 熱交換器
KR20060031261A (ko) 차량 공조장치용 적층형 히터
US11603790B2 (en) Heat exchanger
JP4857074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20190033929A (ko) 오일쿨러
KR20090049989A (ko) 오일쿨러
JPH07332890A (ja) 複式積層型熱交換器
KR101372303B1 (ko) 열교환기
JP4731212B2 (ja) 熱交換器
US20080230215A1 (en) Heat Exchanger with Ventilation
KR101427430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0759792B1 (ko) 일체형 열교환기
KR20070064957A (ko) 열교환기용 방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