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986A -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 Google Patents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986A
KR20060030986A KR1020040079849A KR20040079849A KR20060030986A KR 20060030986 A KR20060030986 A KR 20060030986A KR 1020040079849 A KR1020040079849 A KR 1020040079849A KR 20040079849 A KR20040079849 A KR 20040079849A KR 20060030986 A KR20060030986 A KR 2006003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lithium polymer
polymer battery
current
electro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프코 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프코 씨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프코 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04007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986A/ko
Publication of KR2006003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64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ith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에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장착하여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과 나란히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지지대에 장착시킴으로서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지지체의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접촉시킴으로서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아울러 최소화된 저항값에 의해 열의 발생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의 극편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극편들에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 또는 예단형 접촉부들을 형성함으로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을 제공한다.
지지체,전압측정용 전극편,톱니형 접촉부,제1전류통전용 전극편,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절연체,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극편,예단형 접촉부

Description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A CONSTRUCTION OF CONTACT PIN IN LITHIUM POLYMER BATTERY AND CAPACITOR JIG}
도1은 종래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지지체에 결합된 전극편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전극편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3은 종래 전극편들에 형성된 반원형접촉부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발명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지지체에 결합된 전극편들의 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5는 본발명 도4의 전극편들에 형성된 톱니형 접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6은 본발명 도4의 전극편들에 형성된 톱니형 접촉부에 의해 개선된 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7은 본발명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지지체에 결합된 전극편들의 구조를 나타낸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본발명 도7의 전극편들에 형성된 예단형 접촉부의 작용과 개선된 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지지체 102-전압측정용 전극편
103-톱니형 접촉부 111-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12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 131-절연체
132-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 133-극편
141-예단형 접촉부
본발명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에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장착하여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과 나란히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지지대에 장착시킴으로서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지지체의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접촉시킴으로서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아울러 최소화된 저항값에 의해 열의 발생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의 극편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극편들에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 또는 예단형 접촉부들을 형성함으로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하는 충,방전 장치의 전극편들은 도1 및 도2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전극편들은 2개가 한쌍으로 지지체(1)에 2쌍이 결합되어 있는바, 한개의 전극편은 전압 측정을 하기 위한 전압측정용 전극편(2)이고 나머지 한개의 전극편은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전류통전용 전극편(11)이다.
상기와 같이 한쌍으로 결합되어 있는 전압측정용 전극편(2)과 전류통전용 전극편(11)은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이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충,방전 장치에 10암페어 이상의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실행할 경우 저항값이 커지면서 많은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이 발생할 경우 충,방전기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부품들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잦은 오동작과 부품들의 고장 원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잦은 보수 및 교환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충,방전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 충,방전기에 장착된 한쌍의 전극편(2)(11)상단부에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의 극편(22)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반원형접촉부(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가 충,방전을 하기 위해 전극편 (2)(11)들의 반원형접촉부(3)와 절연체(31)사이로 하강하여 위치되면 상기 절연체 (31)와 지지체(1)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에 연결된 극편(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오무려지면서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극편(22)을 압지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극편(22)을 압지하고 있는 전극편(2)(11)들에 의해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전극편(2)(11)들에 형성된 반원형접촉부(3)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극편(22)의 표면과 선접촉을 하는 상태가 된다.
즉,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의 극편(22)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전극편(2)(11)들의 반원형접촉부 (3)가 극편(22)과 직접 선접촉을 하지 못하고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을 사이에 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에 위치되는 극편(22)의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접촉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 (21)에 정상적인 충,방전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에 충,방전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당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21)를 기체로 부터 분리하여 극편 (22)에 적층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산화피막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행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과 한번에 마무리될 작업을 2-3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아울러 최소화된 저항값에 의해 열의 발생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지지체에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장착하여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과 나란히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지지대에 장착시키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의 극편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한개의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및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선단에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 또는 예단형 접촉부를 형성시키면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체(101)에 전압측정용 전극편(102)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111)을 장착하여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시켜 열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111)과 나란히 지지대(101)에 장착되는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21)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 연결된 극편(133)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극편(133)의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압측정용 전극편 (102)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111)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21) 선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103)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 연결된 극편(133)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극편(133)의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압측정용 전극편 (102)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111)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21) 선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예단형 접촉부(141)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를 충,방전시키기 위해 지지체(101)에 장착된 전압측정용 전극편(102) 및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과 절연체(131)사이로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가 다른 장치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위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절연체(131)와 지지체(101)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 (132)에 연결된 극편(13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오무려지면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압측정용 전극편(102) 및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과 절연체(131)가 극편(122)을 양쪽에서 압지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의 통전에 의해 전류를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 충,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2개의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을 사용함으로서 단면적이 2배로 넓어지게 되고 전류의 특성상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저항값에 의해 접촉저항값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열의 발생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 (132)의 충,방전시 향상된 충,방전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압측정용 전극편(102) 및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과 절연체(131)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의 극편(133)양쪽면을 압지할 때에는, 전압측정용 전극편(102)및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에 형성된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103)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의 극편(133)표면을 찍으면서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103)의 뾰족한 선단부들이 극편(133)의 내부로 파고든 상태로 극편(133)과 접촉을 하게 되므로 극편(33)의 표면에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라도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확실한 접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톱니형 접촉부(103)들과 극편(133)사이에 접촉저항이 최소한으 로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전류의 흐름이 막히는 일이 없게 되므로 표면에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의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132)에도 용이하게 충,방전을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와 같이 극편(133)에 적층되는 이물질이나 산화피막등을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하게 되어 충,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에서는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압측정용 전극편 (102) 및 제1,제2전류통전용 전극편(111)(121)의 선단부에 예단형 접촉부(141)를 예리하게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예단형 접촉부(141)가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 (132)에 연결된 극편(133)의 표면을 찍으면서 안정된 접촉을 하도록 배려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의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아울러 최소화된 저항값에 의해 열의 발생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의 발생에 따른 부품들의 오동작율과 고장의 발생율을 최소화시킬수 있으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지지체에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을 장착하여 10암페어 이하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을 시킬 수 있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10암페어 이상의 용량을 갖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충,방전시 저항값을 최소화시켜 열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과 나란히 지지대에 장착되는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극편의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 선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톱니형 접촉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에 연결된 극편의 표면으로 이물질이나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충,방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극편의 표면을 찍으면서 접촉되도록 전압측정용 전극편과 제1전류통전용 전극편 및 제2전류통전용 전극편 선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예단형 접촉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KR1020040079849A 2004-10-07 2004-10-07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KR20060030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49A KR20060030986A (ko) 2004-10-07 2004-10-07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49A KR20060030986A (ko) 2004-10-07 2004-10-07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986A true KR20060030986A (ko) 2006-04-12

Family

ID=3714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849A KR20060030986A (ko) 2004-10-07 2004-10-07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98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90Y1 (ko) * 2008-08-18 2010-10-14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대용량 바테리 충,방전용 지그의 전극편 구조
KR200450591Y1 (ko) * 2008-08-18 2010-10-14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바테리 충,방전용 지그의 전극편 구조
WO2015030353A1 (ko) * 2013-08-29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조립체
US9520727B2 (en) 2013-08-29 2016-12-13 Lg Chem, Ltd. Gripper assembl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KR20190099674A (ko) 2018-02-19 2019-08-28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20190099675A (ko) 2018-02-19 2019-08-28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CN110568032A (zh) * 2019-08-02 2019-12-13 重庆东渝中能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弹出式电极杆及应用该电极杆的维生素检测仪
KR20230000346U (ko) 2021-08-09 2023-02-16 김종표 울타리용 와이어 고정 브라켓
CN110568032B (zh) * 2019-08-02 2024-05-28 重庆东渝中能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弹出式电极杆及应用该电极杆的维生素检测仪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90Y1 (ko) * 2008-08-18 2010-10-14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대용량 바테리 충,방전용 지그의 전극편 구조
KR200450591Y1 (ko) * 2008-08-18 2010-10-14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바테리 충,방전용 지그의 전극편 구조
WO2015030353A1 (ko) * 2013-08-29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조립체
US9520727B2 (en) 2013-08-29 2016-12-13 Lg Chem, Ltd. Gripper assembl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KR20190099674A (ko) 2018-02-19 2019-08-28 이갑기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20190099675A (ko) 2018-02-19 2019-08-28 이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CN110568032A (zh) * 2019-08-02 2019-12-13 重庆东渝中能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弹出式电极杆及应用该电极杆的维生素检测仪
CN110568032B (zh) * 2019-08-02 2024-05-28 重庆东渝中能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弹出式电极杆及应用该电极杆的维生素检测仪
KR20230000346U (ko) 2021-08-09 2023-02-16 김종표 울타리용 와이어 고정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0897A1 (en) Pulse plating of lithium material in electrochemical devices
JP4946749B2 (ja) 車両のバッテリ制御装置
KR101929061B1 (ko) 전기화학 전지용 집전 단자
JP2008512840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における電池の電圧および温度の測定用部材
KR101223731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방법
US2015022914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DE112012006792B4 (de) Elektrisches 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Zustands von elektrischen Speicherblöcken
JP2011524731A (ja) 単電池を持つ電池及び電荷補償装置及び互いに溶接される極接続部
JPH08185850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MY195773A (en) Multi-Cell Ultracapacitor
KR20060030986A (ko)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EP2475030A1 (en) Secondary battery
JP2017032294A (ja) 二次電池の充電率推定方法、充電率推定装置、及び健全度推定装置
TWI670506B (zh) 電池管理系統
CN107394093B (zh) 电芯连接条、电池连接结构和电池组合
KR100809846B1 (ko)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JP2014154345A (ja) 保護回路を有する二次電池パック
KR20120128403A (ko) 폴리머 전지 충,방전 검사장치
CN108808138A (zh) 夹子型电池极耳夹具装置
JP2012109113A (ja) 電流遮断機構の監視装置
JP201318278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20060014125A (ko) 리튬폴리머전지 및 캐패시터용 충,방전기의 전극편 구조
JP2017017853A (ja) 充電装置および放電装置
JP4365625B2 (ja) 電気化学セル
JP2016164851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